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음모론 혹은 토론의 장으로써의 인터넷 방송 : Afreeca TV의 망치부인을 중심으로
한석희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7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7 No.4
본 연구는 현재 한국 사회에서 크게 성장 중인 인터넷 방송의 모습을 탐구한다.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기존 의 시청자들 개인이 스스로 방송하게 되는 인터넷 방송 시장이 새롭게 태어났다. 국내에서 가장 대중적인 인터넷 방송 플랫폼은 Afreeca TV로, Broadcasting Jockey(BJ)들이 자신의 채널에서 고유의 콘텐츠로 다양한 장르의 방송을 하고 있다. 근래의 혼란스러운 한국 사회와 맞물려, 시사/정치의 장르도 인기가 점점 높아진 장르로 변하고 있다. 구체적으 로, 본 연구는 시사/정치 부분에서 유명한 BJ 망치부인을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그녀의 채널의 특징, 의견, 시청자 들과 소통 방법이 한국 사회에서 언론의 자유에 대해 어떠한 시사점을 던지는 지 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인터넷 방 송이 음모론 혹은 토론의 장이 되는지에 대해 입체적으로 탐구하고, 더 나아가 인터넷 방송의 청사진에 대해 토론한다. This study analyzes various aspects of the Internet broadcasting that has rapidly increased in South Korea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Internet Broadcasting industry that ordinary viewers do the broadcasting themselves has appeared. Today, the most popular platform of the Internet broadcasting in South Korea is “Afreeca TV”, which allows BJs do broadcasting in their channel with own contents. Related to current chaotic Korean society, Current Affairs/Politics becomes one of the new popular genre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BJ Hammer Wife as a case study, who is famous in the Current Affairs/Politics industry. Then it examines what characteristics of her channel, her opinions, and the method of communication with common viewers implicate messages regarding the freedom of speech in South Korea. Throughout this, it explores that the Internet Broadcasting functions as a place for conspiracy or discussion, and discusses the blueprint of the Internet broadcasting.
인터넷 게임 방송에서 나타나는 인기 채널의 특징과 비교 : Twitch TV를 중심으로
한석희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6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6 No.4
본 연구는 인터넷 방송 중 게임을 전문적으로 하는 미국의 Twitch TV(트위치 TV)에서 나타나는 인기 채널 을 분석한다. 현재 한국에서 인터넷 방송은 아프리카가 실질적 독점을 하고 있으나, Twitch TV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 가 높으며 현재 한국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 중에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1월부터 6월까지 매주 금요 일 9시에 Twitch TV에서 나타나는 국내(한국)와 해외의 인기 채널을 총 20회 조사한 뒤, 채널에서 나타나는 ① 시청 자(접속자) 수 ② 게임의 출연수 ③ 게임의 장르 ④ 게임의 개발 국가의 차이점을 입체적으로 조사하였다. 인터넷 방송 은 지상파 TV와 달리 시청률의 개념은 없지만, 채널에 연결 된 접속자 수를 기반으로 인기 채널이 구별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Twitch TV의 특징을 연구하고, 더 나아가 인터넷 방송의 미래에 대해서도 토론한다. This study analyzes popular channels of America’s Twitch TV that centers on video game among several Internet broadcasting services. Afreeca TV de facto monopolizes the Internet broadcasting industry in South Korea; however, Twitch TV is popular around the globe and tries to expand business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collects data of popular domestic/international channels on every Friday 9:00 p.m. 20 times, and examines differences of between those channels: 1) the number of the audience(users) 2) the frequency of games 3) the genre of games 4) nationality of games. Internet broadcasting streaming service does not have a concept of ratings, but it could be categorized as popular based on users connecting the channels. Thus, this study studies characteristics of Twitch TV, and further discusses the future of the Internet broadcasting.
방송콘텐츠 글로벌 유통 확산을 위한 온·오프 마켓플레이스 구축 방안 연구
안종배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5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5 No.1
본 연구는 국내 방송콘텐츠의 해외 진출 활성화를 위한 글로벌 온·오프 마켓플레이스의 구체적인 구축 방안을 모색하였다. OTT 강세 등 방송콘텐츠 유통 환경의 변화와 해외 각국이 방송콘텐츠 마켓플레이스를 강화하고 있는 상 황에서 국내 방송콘텐츠 마켓플레이스 구축 방안에 대해 유통 전문가 대상 델파이 서베이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델파이 서베이 결과 국내 방송콘텐츠 글로벌 마켓플레이스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고 온라인 마켓프렝이스에 방 송환경 변화와 글로벌 유통을 원활하게 하는 신기술을 적용하며 오프라인 견본시와 함께 방송콘텐츠 페스티벌을 세계 적인 규모로 개최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한국을 방송콘텐츠 글로벌 유통의 아시아 허브로 만들 수 있을 것 이다. This research try to find how to construct On & Off Marketplace to activate exporting of broadcasting contents by Delphi survey. This research is based on environment of broadcasting contents such as OTT and reinforcement for broadcasting contents marketplace of foreign countries. This research find that global marketplace of broadcasting contents should be constructed by convergence of online and offline, and should adopt new technology to make easy global distribution in new broadcasting environment, and also open global festival with offline marketplace of broadcasting contents. korea will be asia hub for global distribution of broadcasting contents through this task.
무선 공간 데이터 방송 환경에서 범위 질의 처리를 위한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의 설계와 구현
임석진,황희정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4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4 No.5
스마트폰과 초고속 네트워크에 연결된 스마트폰과 같은 클라이언트는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언제 어디 서나 사용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무선 데이터 방송 시스템은 대규모의 클라이언트들의 다양한 데이 터 요구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한다. 효율적인 무선 데이터 방송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 스케 줄링 기법과 인덱싱 기법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법들을 신속히 평가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의 개발 은 보고된 것이 없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 기반의 무선 데이터 방송 시스템 성능 평가를 위한 시뮬레이션 프레 임워크를 설계 및 구현한다. 개발된 프레임워크는 무선 데이터 방송 시스템의 성능을 빠르게 평가할 수 있으며 다양 한 데이터 스케줄링 기법과 인덱싱 기법을 적용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가진다. Smart devices linked to high speed networks enable us to obtain location dependent data at anywhere and anytime. In this environment, a wireless data broadcast system can deal with enormous data request from a great number of clients effectively. In order to set up an efficient wireless data broadcast system, various data scheduling and indexing schemes have been proposed. However, a simulation framework to evaluate the schemes is not reported yet. In this paper, we design and develop a simulation framework for a wireless data broadcast system. The developed simulation framework can evaluate quickly a wireless data broadcast system and has scalability to adopt various data scheduling and indexing schemes for wireless data broadcasting.
데이터 액세스 확률의 이동 평균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데이터 방송 스케줄링 기법
권혁민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8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8 No.5
방송 스케줄링 기법은 데이터 방송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수적인 기술이다. 본 논문은 질의의 응답시 간을 줄이기 위하여 다중 채널을 통한 데이터 방송의 문제를 연구하여 HDAMA로 명명된 새로운 하이브리드 데이터 방송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푸쉬기반 방송과 풀기반 방송의 장점을 결합하는 전략을 채택한다. HDAMA는 다중 데이터 질의의 특성을 반영하여 액세스 확률의 영향력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고, 풀 데이터를 비교적 적시에 방송할 수 있기 때문에 질의 응답시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안된 기법의 성능 평가를 위해 시뮬레이션이 수행되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평균 응답시간의 성능에서 HDAMA는 다른 기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A broadcast scheduling scheme is an essential techniqu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data broadcast systems. This paper explores the problem of data broadcast over multiple channels to reduce query response time, and proposes a new hybrid data broadcast scheduling scheme named HDAMA. The proposed scheme employs the strategy that combines the advantages of push-based broadcast and pull-based broadcast. HDAMA could enhance the performance of query response time since it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influence of access probability properl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multi-data queries and broadcasting pull data items relatively on time. Simulation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HDAMA is superior to other schemes in terms of the average response time.
자동 노드 인식 기능을 갖는 ARP 스푸핑을 이용한 인터넷 차단기
정인환,Jung, In-Hwan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6
본 논문에서는 이더넷 환경에서 ARP 스푸핑(spoofing)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컴퓨터들의 인터넷 사용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인터넷 차단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된 차단기에서는 ARP 스푸핑을 작동시키고 모든 패킷들이 관리자 컴퓨터로 보내지는 상황에서 그 패킷들을 본래 라우터로 전달하지 않고 폐기하는 방식으로 인터넷 차단기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차단기는 차단 대상 컴퓨터들에 에이젼트(Agent)와 같은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관리자 컴퓨터 단독으로 차단 기능이 가능하다. 또한 차단 대상 컴퓨터들을 수동으로 정해주는 것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에 접속되어있는 컴퓨터들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수의 컴퓨터를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 컴퓨터 수에 관계 없이 ARP 스푸핑 메시지 발송 주기를 4초 미만으로 유지하면 인터넷 차단이 가능하였으며 ARP 스푸핑을 위한 추가적인 네트워크 부담은 무시할 정도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구현된 인터넷 차단기는 물리적으로 같은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다면 모든 서브넷의 노드들을 인식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서브넷의 컴퓨터들에 대해서도 인터넷 차단이 가능하다. 구현된 인터넷 차단기는 대학교 실습실에서 강의 중 인터넷 차단을 위한 도구로 및 망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도구로도 활용되고 있다. In this paper we describe an efficient and easy to use internet stopper, which is called AINS (Automatic Internet Stopper), which uses ARP spoofing scheme. Instead of forwarding packets to router for the case of hacking, in ARP spoofing, the AINS ignores all the packets so that internet stopping operates. The AINS program needs to be installed only in manager computer that does not require additional agent program. In addition to setting manually the stopping computer list, it is able to indentify network nodes automatically by analyzing broadcasting packet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less than 4 secs for spoofing interval is enough for blocking internet usage regardless the number of computers and therefore network overhead is negligible. The AINS can indentify and control network nodes not only on same subnet but also on different subnet only if they are connected onto same ethernet switch physically. It is being used for an efficient tool for controling internet usage of university computer laboratory and also for an efficient network management.
XML 기반 CCR 문서의 무선 데이터 방송을 위한 프레임워크의 설계와 구현
임석진,황희정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5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5 No.5
ICT 기술과 의료기술이 융합된 의료 정보기술에서 XML 기반의 CCR 문서는 환자 데이터의 연속성과 이동성을 확보해 준다. 대규모의 클라이언트들이 CCR 문서를 동시에 액세스할 때 클라이언트의 수에 상관없이 데이터 배표가 가능하게 해주는 확장성을 가진 무선 데이터 방송은 효율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하나의 대안이 된다. 본 논문은 무선데이터방송을 이용한 CCR 문서 전달을 위해 다양한 CCR 문서 스케줄링 기법과 인덱스 기법을 적용하여 최적의 클라이언트 성능을 낼 수 있도록 방송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무선 데이터 방송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구현된 프레임워크에 다양한 스케줄링 기법과 인덱스를 적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프레임워크의 효율성을 보였다. In the field of health informatics converging ICT technology and medicine technology, XML-based CCR document make sure the continuity and mobility of the information of patients. When a number of clients access CCR documents, wireless data broadcast that supports any number of clients can be an alternative for the scalabi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framework for wireless data broadcast of XML-based CCR documents. We design and implement the framework that can adopt various data scheduling algorithms and indexing schemes for the optimized performances of clients. The implemented framework shows the efficiency with simulations adopting various data scheduling algorithms and indexing schemes.
도준호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7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는 유료방송시장 규제에 적용되는 공익성 개념을 고찰하고 유료방송시장을 규제하는 주요 방송 정책의 기조를 분석하였다. 지상파 방송의 공적 책무로 논의되는 다양성, 지역성, 품질 등의 방송의 공익성 개념은 유료방송산업이 발전하면서 보편적 접근, 공정 경쟁 및 소비자 보호로 확대 되었다. 하지만 공익성의 가치가 법제와 정책에 어떻게 반영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이 부족했으며 공익성과 산업성의 조화라는 가치는 제대로 구현되지 못했다. 유료방송 시장을 규제하는 주요 정책은 산업 성장에 대한 큰 그림 없이 추진되었다. 장기적인 청사진이 없는 정책 추진은 임기응변식 수직적 규제체계로 이어져 미디어 융합시대의 규제의 정합성 문제가 야기 되었다. 유료방송 정책 추진과정에서 공익성과 산업성의 논리는 혼재된 채로 각각 제대로 필요한 역할을 하지 못하거나 과도함이 문제로 지적 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public interests in pay TV industry and analyzed the regulatory framework of the industry. The concept of public interests such as diversity, localism and quality which are mainly discussed in the context of over the air broadcasting extends to universal access, fair competition and consumer protection as pay TV industry grows. However, there is a lack of concrete implementation of public interests in regulatory framework and coordination of public and industrial interests was not accomplished. Major policy that regulates the pay TV industry carries out without big picture. Policy implementation without long term plan results in hierarchical regulation model and it produced consistency problem.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policy in pay TV industry public interests and industrial interests discussion is mixed and sometimes it played exaggerated role.
다중 방송 채널 환경을 위한 유사 최적화 데이터 할당 기법
권혁민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2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1
방송 기반의 데이터 전파는 모바일 컴퓨팅 환경에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통신 방식이다. 그러나 많은 데이터를 방송해야 할 경우에 방송 채널의 순차성으로 인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까지의 예상 지연시간이 증가한다. 이 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본 논문은 다중 채널에 적절하게 데이터를 할당하기 위한 주제를 연구하여 NODA(near optimal data allocation)로 명명된 새로운 데이터 할당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우선 각 방송 채널이 방송해야 하는 데이터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평균 예상지연시간의 이론적 하한 값에 기초하여 전체 데이터들을 K 개의 그룹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나서 NODA는 동일 방송 채널에 할당된 데이터들을 다른 빈도로 방송하기 위하여, 각 그룹의 데이터들을 확장된 동적 프로그래밍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B 개의 그룹으로 분할한다. 제안된 기법은 동일 채널에 할당된 데이터들을 그들의 인기도를 반영하여 방송할 수 있기 때문에 평균 예상지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Broadcast-based data dissemination has become a widely accepted approach of communication in the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However, with a large set of data items, the expected delay of receiving a desired data increases due to the sequential nature of the broadcast channel. This paper explores the issue of designing proper data allocation on multiple broadcast channels to reduce this wait time, and proposes a new data allocation scheme named near optimal data allocation(NODA). The proposed scheme first partitions all data items in K group based on the theoretical lower-bound of the average expected delay to determine data items which each broadcast channel has to broadcast. Then, NODA further partitions each group of data items in B groups using extended dynamic programming algorithm to broadcast data items allocated on the same broadcast channel in different frequencies. The proposed scheme is capable of minimizing the average expected delay time since it can broadcast data items allocated on the same channel reflecting their popularities.
한국형 CIPs 결제 시스템을 이용한 중소기업의 최소 물류비용 분석
김일권,정종필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1 No.1
최근 한국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CPS, 빅데이터, 5G, IIoT, VR/AR, 복화 운송 AI 알고리즘 등의 신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CIPs(Connected Industrial Parks) 아키텍쳐가 제안되고 있다. 한국의 중소기업들은 미국, 유럽, 일본 등의 해외 선진국 기업들 보다 기술 경쟁력에서 앞서 있지 않은 면들이 많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의 중소기업들은 기술 연구 개발에 많은 비용을 투자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후발 주자로서 한국의 중소기업들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 수익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재무적으로 한국의 중소기업들이 수익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매출을 증대시키는 것 보다 레버리지 효과성이 높다. 본 논문은 한국 CIPs에 위치한 중소기업들의 비용 절감을 통한 수익성 개선을 주요 과제로 하였다. 한국 CIPs에 위치한 중소기업들의 비용 절감을 위한 방안으로서 VJP(Vehicle Junction Problem)를 주목하였다. 한국형 CIPs 결제 시스템을 통한 중소기업의 최소 물류 비용 달성 방법을 분석하였 다. 새로운 한국형 CIPs결제 시스템의 세부 항목을 크게 4가지 “업무(Business)”, “데이터(Data)”, “기술(Technology)”, “자금(Finance)”로 구분하여 정리한다. CIPs 결제 시스템의 성과 분석 방법으로 CBA(Cost Benefit Analysis)을 사용한다. Recently, various connected industrial parks (CIPs) architectures using new technologies such as cloud computing, CPS, big data, fifth-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5G, IIoT, VR-AR, and ventilation transportation AI algorithms have been proposed in Korea. Korea'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do not have the upper hand in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han overseas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Japan. For this reason, Korea'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have to invest a lot of money i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As a latecomer, Korean SMEs need to improve their profitability in order to find sustainable growth potential. Financially, it is most efficient for small and medium-sized Korean companies to cut costs to increase their profitability. This paper made profitability improvement by reducing cost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located in CIPs in Korea a major task. VJP (Vehicle Action Program) was noted as a way to reduce cost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located in CIPs in Korea. The method of achieving minimum logistics costs for small businesses through the Korean CIPs payment system was analyzed. The details of the new Korean CIPs payment system were largely divided into four types: "Business", "Data", "Technique", and "Finance". Cost Benefit Analysis (CBA) was used as a performance analysis method for CIPs payment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