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의 학생지원 프로그램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직업기초능력 조사

        서금택,조용개,성명국,조영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university student support programs based on common job basic competency required i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nd to research the student support programs in each department of the university how the impact any job basic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study, We set up as the following study problems. Frist, How does the university student support programs help job basic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job basic competency in accordance with grade of university students? Third,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job basic competency depending on in accordance with affil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were enrolled in a total of 925 students to 448 students a regional hub A National University and J University 477 students. Data processing was used for the frequency analysis and the cross-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petency through the student support programs which a lot of help with job basic competency appeared as a "communication competency, self-development competency, problem solving competency, information competency, interpersonal competency" in the university. Second, the higher the grade showed a relatively large fostering a more effective job basic competency in the student support programs.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요구되는 공통의 직업기초능력을 바탕으로 대학에서 진행하는 학생지원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대학의 각 부서에서 진행하는 학생지원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어떤 직업기초능력 함양에 도움을 주는지 그리고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에서 진행하는 학생지원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함양에 얼마나 도움을 주는가? 둘째, 학생지원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학년별에 따라 직업기초능력 함양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학생지원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계열별에 따라 직업기초능력 함양에 차이가 있는가? 이다. 연구대상은 지역 거점 국립대학인 A대학교 448명, J대학교 477명으로 총 92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처리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에서 진행하는 학생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직업기초능력 함양에 도움을 많이 주는 능력은 “의사소통능력, 자기개발능력, 문제해결능력, 정보능력, 대인관계능력”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에서 진행하는 학생지원 프로그램은 학년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직업기초능력 함양에 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교수자 자가역량 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사례 연구

        서금택,조용개,장상필,성명국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3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rofessor’s competency self-diagnostic tool that is individually designed and used in the center of teaching and learning. We would utilize the developed professor’s competency self-diagnostic tool to evaluate the self-competence of the instructor. Also we have linked the faculty support program and faculty competency of the CT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basic competences were composed of 5 divisions and 7 questions ; the teaching preparation competences were composed of 7 divisions and 8 questions ; the teaching action competences were composed of 5 divisions and 8 questions ; the teaching evaluation competences were composed 4 divisions and 7 questions. Second, the common areas of the professor’s self--competency diagnostic tool and the teaching assessment checklist comprised the teaching basic competences, the teaching preparation competences, the teaching evaluation competences. Third, the faculty support programs of the CTL, which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reas of the professor’s self -competency diagnosis, turned out to have 7 common faculty support programs that positively affect all four areas of the professor’s competency. 본 연구는 기존의 교수학습센터에서 개별적으로 고안하여 사용하고 있는 교수역량 진단도구 활용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표준화된 교수자 자가역량 진단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을 하는 데 있다. 이렇게 개발된 교수자 자가역량 진단도구는 교수자의 역량을 평가하는 데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강의평가 문항 영역과 일치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교수학습센터의 교수지원 프로그램과 교수자 역량의 영역을 연계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강의기본역량은 5개의 중분류 역량(7문항)으로, 강의준비역량은 7개의 중분류 역량(8문항)으로, 강의실행역량은 5개의 중분류 역량(8문항)으로, 강의평가역량은 4개의 중분류 역량(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교수역량 진단도구와 강의평가 문항의 공통 영역은 기본역량, 강의준비역량, 강의실행역량, 강의평가역량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교수역량 4가지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습센터의 교수지원 프로그램은 7개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4년제 대학을 비롯하여 전문대학에서도 모두 활용 가능한 표준화된 교수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으며, 특히 강의평가 문항 및 교수학습센터의 교수지원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교수 개인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