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술 진화 및 사회 변화 트랜드 분석을 통한 미래기술예측 연구

        송용원,강승현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3

        4차산업혁명 시대의 미래 기술 예측은 과학 기술 발전과 사회문화적 발전을 동시에 종합적으로 사고하고 분석하는 융합적 미래 예측방법론이 필요하다. 그러나 여전히 각각 독립적인 분석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일반인들도 쉽게 사용하기에는 전문적 지식의 필요성, 개인의 주관성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대한 객관적 진화 트랜드 분석 방법을 개발하여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을 최소화하고 일반 연구자들도 현장에서 쉽게 미래 예측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창의적 문제 해결이론(TRIZ)에서 연구된 기술 진화법칙과 대표적인 외부 환경 분석 방법인 STEEP 및 5 Forces 방법을 적용하여 미래 기술예측을 위한 최대한 객관화되고 구체화한 지표들을 추출한 후, TRIZ의 기본적 원인-결과분석 방법인 Multi-Screens system operator를 활용하여 시공간적 상호연관성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이것은 총 5단계 분석으로, ①시스템의 기능 분석을 이용한 시스템 이해 ②시스템 S 곡선 분석 및 기술 진화 패턴 분석을 통한 시스템의 미래 기술 예측 ③STEEP 분석 기반의 핵심 키워드 변화 분석을 통한 거시적 미래 환경 예측 ④5 Forces 기반의 지표 분석과 STEEP 연관성 분석을 통한 시스템의 미래 환경 예측 ⑤시스템의 미래 기술 예측과 미래 환경 예측을 결합한 융합적 미래 기술 개발 전략 도출 등이다. 이를 통해 일반 연구자들도 현장에서 보다 손쉽고 효과적으로 미래 기술 예측 방법을 활용하여 R&D 전략 수립을 위한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시니어 기술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 - CVC 민간투자연계방안을 중심으로

        김종수,엄기용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3

        저출산 심화와 초고령사회 진입,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급격한 디지털 전환 등에 대응하면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실업률을 제고하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 위해서는 재직 시 축적한 기술과 경험. 네트워크 등에 강점을 보이는 시니어 기술창업을 활성화 하여 국가경제의 혁신을 주도하고 성장을 견인할 요인을 만드는 것이 중요함을 전제로 시니어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시니어 기술창업에 대한 선행연구들에서의 실태조사와 선진 주요국의 CVC 연계 투자 사례분석을 통해 실효성 있는 시니어 기술창업 정책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재 정부지원정책으로 운영되고 있는 전국 33개의 ‘중장년기술창업센터’에서의 한계요인을 분석하고, 특히 금산분리법 이후 새롭게 허용된 기업형 벤처투자(CVC)가 성공가능성이 충분한 시니어 기술창업분야에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방법(세제지원 정책)을 모색해봄으로써 실질적인 지원정책효과를 연구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시니어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해 기업형 벤처투자(CVC)와의 연계를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시니어 기술창업지원 정책의 발전방향을 파악하고 정부정책 및 산업 활성화 방안수립에 기여할 것이다. CVC가 허용된지 오래지 않은 시점에서의 본 연구는 실제 CVC가 시니어기술창업에 투자하여 윈윈한 사례들이 부족한 한계점을 가지지만, 향후 연구는 이러한 성공적인 투자사례와 함께 선진국에서 수행되고 있는 다양한 시니어 기술창업에 대한 지원과 민간투자연계에 세제지원이 가져오는 효과를 분석하여 보다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Unemployment is becoming a social problem due to deepening low birth rates, entry into a super-aging society, and rapid digital transformation due to the coronavirus pandemic. To solve this unemployment rate and create quality jobs, the skills and experience accumulated during employment are needed. Senior technology start-ups that show strengths in networking, etc., should be promoted. This study considered ways to revitalize technology start-ups for seniors, assuming it is important to lead innovation in the national economy and create factors to drive growth. This study aims to present effective senior technology start-up policy tasks through fact-finding surveys in previous studies on senior technology start-ups and case analysis of major advanced countries. This study will analyze the limit factors of 33 "middle-aged technology start-up centers" nationwide, which are currently operated by the government, and study the practical support policy effects by exploring institutional methods (tax support and legal expenses) that are highly likely to succe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n alternative to linking with corporate venture investment (CVC) to revitalize senior technology start-ups in Korea, which will identify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senior technology start-up support policies and contribute to establishing government policies and industrial revitalization measures. This study, published not long after CVC was allowed, has limitations in that CVC needs more win-win cases by investing in senior technology start-ups. Still, future research aims to present more specific support measure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ax support on various old technology start-ups and private investment links carried out in developed countries along with these successful investment cases.

      • KCI등재

        테크 스타트업 연구개발 투자의 사회, 경제적 성과 창출 효과

        최규선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9

        전세계적으로 국가 기간산업부터 소비재에 이르기까지 4차 산업혁명 기술 위주의 디지털 전환과 그린 에너지로의 패러다임 변화가 가속화하는 가운데 기술창업 기업에 관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기민함과 민첩함을 무기로 신기술을 사업모델에 접목해 빠르게 성장하는 이들 기술창업 기업은 국가적 신성장 동력으로 일자리 창출과 국가 경제성장을 선도하기 때문이다. 기술 창업기업은 언어 장벽이나 시장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의 특성을 무기로 규모의 경제 위주의 대한민국 산업 지형을 변화시키고 있고, 정부도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여 이들의 연구개발을 지원한다. 한편, 기술창업 기업의 경제적, 사회적 성과 창출에 관해서는 연구자들간 견해가 엇갈리는 추세다. 이에 본 연구는 다수의 딥테크 스타트업 사례를 관측할 수 있는 대덕특구가 위치한 대전 테크 스타트업의 연구개발 투자가 기업의 경제적 성과인 수익과 정부 차원에서 사회적 성과인 고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보다 면밀한 분석을 위하여 기술 기반 창업기업인 테크 스타트업과 그렇지 않은 기술 기반 일반 기업으로 집단을 분리하여 각각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지역 내 연구개발 투자 상위 500대 기업 투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이중 조사 대상으로 창업기업 총 100개와 비교군으로서 500대 기업 중 업력 8년 이상 연구개발 투자 상위 100대 기업을 선별했다. 연구개발 투자 기업을 기술 기반 업종 군으로 구분하고, 업력 7년 이하 기업을 창업기업으로 분류하여 SPSS 25.0 버전으로 차이 분석, 상관분석과 단순 회귀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각각 실시했다. 분석 결과, 기술 기반 창업기업과 기술 기반 일반 기업 모두에 있어서 연구개발 투자의 증가는 매출 증진 효과를 주었다. 한편 창업기업의 연구개발 투자의 증가는 고용 창출과 같은 사회적 효과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반기업의 경우에는 이들 간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기술 기반 일반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는 기업의 매출 신장에는 기여하나 고용 창출에는 기여하지 않았고, 기술 기반의 창업기업은 연구개발 투자가 매출과 고용 창출 모두에 기여하였다. 즉, 대덕특구 클러스터가 위치한 대전지역의 경우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가 중요하며, 특히, 테크 스타트업의 경우 그 사회, 경제적 실효성이 높게 나타난 것을 재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 정부와 클러스터 혁신기관들이 수행하는 테크 스타트업 지원의 당위성을 실증하였다는 데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d how the R&D investment of technology-based startups and non-startup companies affects economic effects such as corporate profits and social effects such as employment. Daejeon, which has a policy significance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a high proportion of deep-tech startups,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target area. Based on the empirical data of the top 500 firms that invest in R&D investments in Daejeon were used and the data has been secured from KoDATA. Among the top 500 companies, the target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for the study. A total of top R&D 100 SMEs in which seven years have not passed since the date on which the person commenced business operations were selected as the start-up group, and the other top R&D 100 companies with more than 8 years old were selected. As an analysis tool, SPSS 25.0 version was used. Statistical analysis and T-test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and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economic and social effec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ore the technology-based startups invest in R&D, the higher the social effect as well as the economic effect.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various R&D support fund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for technology-based start-ups directly help the start-ups to improve their profitability and create job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echnology-based non-startup companies, the more they invest in R&D, the more it can help increase sales, but it was not very helpful for job creation. Since R&D investment in technology-based startups has considered to be helpful not only in generating profits but also in job creation, continuous support should be needed to enhance the effect of local economic and social investment.

      • KCI등재

        TFDEA를 이용한 태양전지 기술 예측에 관한 연구

        김흥섭,최경현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4

        전 세계는 기술혁신을 통한 신기술 확보로 국가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 대표적으로 온실가스 다 배출 분야인 에너지 산업은 화석연료에서 신재생에너지로 전환을 위해 태양광, 풍력, 수소 등 다양한 기술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기술 중에 태양전지 기술은 무한한 태양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다양한 타입으로 경쟁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에너지 분야 기술 개발의 필요성에 따라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한 기술 예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기술 자체의 성능 변화를 예측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양전지 기술의 성능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였다. 기술 성능을 예측하는 방법론으로는 TFDEA 모델을 활용하여 태양전지 핵심 성능인 전환효율, 개방전압, 단락전류 밀도, 충진율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미국 재생에너지 연구소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1976년부터 2023년까지 개발된 522개 태양전지 제품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Thin-Film Technologies가 9.07%로 가장 빠른 기술 변화율을 보이며, Multi junction 0.05%로 가장 낮은 변화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비교 기술 간의 성능 변화를 예측함으로써 미래 태양전지 기술 예측의 기법으로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에 필요한 정량적 지표를 설정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Countries worldwide are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by securing new technologies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energy industry, a significant emitter of greenhouse gases, is leading the way in developing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solar, wind, and hydrogen, to transition from fossil fuels to renewable energy. Among these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solar cell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into various competitive types due to its ability to utilize infinite solar energy. Although various methodologies are being used to forecast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the energy field, more research is needed to forecast changes in the performance of the technology itself.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forecast on the performance of solar cell technology. The TFDEA model was used to forecast technological performance, analyzing changes in the core performance of solar cells, including efficiency, open-circuit voltage, short-circuit current, and fill factor. Based on data from the NREL, we analyzed 522 solar cell products developed from 1976 to 2023. As a result, Thin-Film Technologies showed the highest rate of technological change at 9.07%, while Multijunction had the lowest change rate at 0.05%. Changes in performance rankings over time were observed for each technology.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predicting future solar cell technology by forecasting changes in performance between comparative technologies. In particular, this approach is expected to be useful in setting quantitative indicators needed for developing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 KCI등재

        제로에너지 건물 구현을 위한 루버 기술동향 및 제언 연구

        한소원,심민아,이행우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4

        에너지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화석연료의 고갈이라는 이슈와 맞물려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 소비량의 증가의 주요 원인은 건물부문의 에너지소비량과 연관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건물부문의 에너지 사용량은 건물외피의 성능과 직결되어 있기에 첨단 기술과 건물외피를 결합한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루버는 건물외피의 주요한 요수기술 중 하나이며, 그 구조가 단순함에도 효율성이 높아 건물외피에 적용하는 사례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루버에 관련한 기술은 여타 건물외피 기술에 대비하여 낮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루버와 관련한 연구동향을 검토하며, 이후 루버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제언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Net Zero와 건물외피 및 PV module에 대하여 문헌고찰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새로운 개념의 루버기술을 제언하였다. 이에 대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진행한 루버 관련 선행연구의 동향은 수직형 및 수평형 루버의 각각의 slat의 단순 규격에 초점이 맞춰진 성능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루버는 첨단화를 접목할 수 있는 기술개발 및 여러 환경을 고려한 성능평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2) 본 연구에서 제안한 루버는 재실자의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가동을 통한 수직 및 수평형 루버로 변환이 가능한 형태를 제언함에 따라서 실내 쾌적도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루버는 PV의 효율적인 발전을 위하여 태양추적기술을 적용하였다. 3) 본 연구에서 제언한 루버는 Net Zero를 구현하기 위하여 PV를 활용해 생산된 전기를 ESS에 저장한 후, 가동부에 전달하여 가동에너지를 저감시키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제언된 루버기술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향후 본 연구는 제언된 루버 기술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Energy consumption continues to increase and is becoming a crucial issue, along with the continuing depletion of fossil fuels. The primary cause of this increase is highly correlated with energy consumption in the building sector. In particular, energy consumption in buildings is direct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building envelopes. Because of this, there has been increased research on incorporating advanced technologies in building envelope design. Louvers are one of the main technical elements associated with building envelopes. Despite their simple structure, louvers are highly efficient, so their prevalence in building envelopes is rising. However, technologies related to louvers still need to be developed compared to other building envelope technolog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related fields by reviewing research trends related to louvers and recommending technologies that can improve louvers’ performance.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net zero initiatives, building envelopes, and PV modules to propose a new concept for louver technolog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Most previous studies on louvers mainly focus on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vertical and horizontal louvers based on the specifications of each slat. In this regard, the performance of louvers should be continuously evaluated, considering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various environments that can incorporate advanced technologies. 2) The louver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converted into vertical and horizontal forms through operation to create a comfortable environment for occupants, thus enhancing indoor comfort. Solar tracking technology was also applied to the efficient PV power generation design. 3) To better realize a net zero world, the proposed louver stores electricity generated by PV in the ESS and transmits it to moving parts to reduce operating energy.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because it did not validate the proposed louver technology. Therefore, a follow-up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validate its effectiveness.

      • KCI등재

        건물의 조명환경 성능개선을 위한 채광시스템 연구동향 분석 연구

        정수연,이민구,이행우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5

        Energy consumption is increasing year after year, and the energy consumption in the building sector accounts for a significant part of the total consumption. The demand for technology development and research to solve increasing lighting energy consumption in buildings is growing, and daylighting systems are receiving much attention as a possible solution.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daylighting systems compared to building cooling energ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daylighting system research related to improving the lighting environment and saving building energy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daylighting systems. Academic articles related to daylighting systems published in Korea after 2000 were analyzed,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main content of most related papers was centered on combining various element technologies. These combinations focused on offering different functions from daylighting systems and integrating other fields, and most results showed improved daylighting performance compared to the single-structured daylighting systems. Also, recent research has begun to integrate IT,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of Industry 4.0,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2) Most research on developing daylighting system technologies focused on daylighting control, which requires an optimal combination of operation and control, as mentioned above. 3) Most previous studies on daylighting systems valid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technologies but only focused on energy savings. These performance evaluations should have also considered the demand and satisfaction of occupants to verify the proper performance of daylighting systems. 4) Most previous works on developing daylighting system technologies did not consider or review economic feasibility (such as initial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s), which is a major omission in demonstrating their effectiveness and a limitation of previous studies. 에너지 사용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그중 건물에너지의 사용량은 전체 사용량에 대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건물 에너지중 조명에너지의 사용량의 증가 문제로 인한 기술개발 및 연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중 채광시스템은 조명에너지 사용량 증가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으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채광시스템 관련한 연구분야는 건물부분의 냉방에너지 관련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빛환경 개선 및 건물에너지 저감과 관련된 채광시스템 연구의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채광시스템과 관련한 연구 방향에 대한 분석을 목표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발간된 채광시스템 관련 국내논문의 경향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채광시스템의 기술개발에 대한 관련 논문의 주요한 내용은 요소기술간의 결합으로 보여지고 있다. 요소기술간의 결합은 채광시스템과는 다른 기능을 가지거나 타분야와의 결합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채광시스템의 단일구조에 의한 것보다 채광성능이 개선된다는 결과가 보여지고 있다. 또한 최근 연구는 4차혁명의 핵심기술인 IT기술과 결합된 연구로 이러한 경향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 채광시스템의 기술개발과 관련한 연구의 주요한 내용은 채광제어에 대한 수준으로, 앞서서 언급한 가동 및 제어 분야와 적절한 결합이 요구된다. 3) 채광장치의 선행연구는 기술개발에 대한 유효성 검증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에너지저감의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져 진행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채광시스템에 대한 적절한 성능검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에너지저감 및 재실자의 요구수준 및 만족도에 근거한 성능평가가 반영되도록 개선되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 본 연구에서 수행된 채광시스템과 관련한 개발 연구 기술개발에 대한 초기 구축 비용 및 유지관리 관련 경제성을 검토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이는 기술개발의 실효성 입증에 부적합하다. 이러한 부분은 선행연구들이 가지는 한계로 보인다.

      • KCI등재

        과학기술분야 화학물질 취급 연구시설 안전기준 적용 분석

        김종구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5

        최근 4차 산업혁명 및 첨단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과학기술 연구개발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으며, 이차전지, 수소 에너지, 반도체, 양자 등의 영역에서 화학물질 취급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분야 화학물질 취급 연구시설에 대하여 안전‧보건 관계 법령에서 요구하는 시설 안전기준을 비교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정책적 개선을 위한 지표를 제시하였다. 첫째, 중앙부처에서 운영 중인 화학물질 안전‧보건 관계 법령을 전수 분석하여 구체적인 물질 성상에 따른 과학기술분야 연구시설로의 적용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하위법령 및 행정규칙 등으로 위임하고 있는 특례 기준을 조사‧분석하였다. 둘째, 화학물질관리법과 위험물안전관리법의 특례 기준을 조항별로 분석하여, 화학물질 사고와 직접적으로 연계되는 화재‧폭발 예방기준, 실내 배출‧환기기준, 감지‧경보설비 기준, 화학물질 보관시설 기준의 연구시설에 대한 적용성 및 개선방안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화재‧폭발 기준에서는 파열판 기준 적용시 압력 방출에 따라 주변 시설 및 연구자 등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과학기술분야 화학물질 취급 연구시설로의 적용 재검토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환기‧배출시설의 경우에는 필터식 흄후드 및 암후드에 대한 배출시설로 추가 인정 여부가 현장 적용성 강화를 위한 주요 쟁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감지‧경보시설은 연구시설에서 취급하는 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성능을 확보한 적합한 설비의 설치가 중요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안전‧보건 관계 법령의 연구시설의 적용성 분석 결과는 향후 관련 정책 및 안전기준 개발에 기초자료로써 활용이 기대된다.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apid progress in cutting-edge technology, there is an increasing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Consequently, the handling of chemical substances is experiencing a rapid surge in various fields, including secondary batteries, hydrogen energy, semiconductors, and quantum technolog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facility safety standards of safety and health-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pplicable to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facilities and reviewed improvement measures. First, all laws related to chemical safety and health administered by central ministries were examined to assess their suitability for application to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facilities based on specific material properties. Second, a detailed analysis of each provision of the special standards was carried out. This involved evaluating the applicability and suggesting improvement measures for fire and explosion prevention standards, indoor emission/ventilation standards, detection/alarm facility standards, and chemical storage facility standard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fire and explosion standards require reexamining the rupture disk standard to be applied to research facilities handling chemical substances. In ventilation and discharge facilities, it was reviewed that recognition of filter-type fume hoods as discharge facilities would be a major issue for strengthening field applic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installing appropriate equipment that secures chemical detection performance is an important factor. These results are anticipated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related policies and safety standards, contributing to the overall enhancement of safety in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environments.

      • KCI등재

        생체모방기술에 의한 건물외피 에너지 저감 연구동향 및 제언

        정수연,한소원,황지영,이행우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1

        에너지 사용량 급증 문제는 지속적으로 심각해지고 있으며,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였던 화석연료의 고갈로 인해 그 심각성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주요 원인은 건물 부분의 에너지 사용량 증가를 뽑을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건물 에너지 저감을 위한 다양한 연구와 기술개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건물 부분의 에너지 사용량은 건물 외피의 성능과 비례하는 만큼 건물 외피의 성능개선은 건물 에너지 개선에 있어서 중요한 연구이다. 이를 통하여 최근 증가하고 있는 생체모방기술을 적용한 건물 외피에 대한 연구의 경향과 수준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수행된 생체모방기술 적용 건물 외피에 대한 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선행 연구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생체모방기술이 적용된 건물 외피에 대한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공하며 추후 기초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생체모방기술이 적용된 건물 외피 관련 연구 경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생체모방, 건축 및 건물 외피를 주요 키워드로 하는 선행연구 논문을 선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생체모방기술 적용 건물 외피 관련 선행연구의 경향을 분석하는 것이기에 생체모방기술의 적용 범위, 적용 요인, 가동 유무, 심미적 요인, 에너지 저감 및 경제성을 분석하는 내용을 주요하게 설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건축 및 건물외피 분야에서의 생체모방기술 연구는 의료 및 로봇 첨단 분야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생체모방기술은 건물 외피에 적용하기에 있어서 비용적 문제가 크다는 것도 간접적인 원인이다. 2) 선행연구는 자연현상을 모방한 건물 외피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이를 구현하기 위한 가동 기술이 접목되고 있다. 이러한 생체모방기술이 적용된 건물외피는 건물 외피의 행태와 가동을 접목하여 심미적인 효과가 실현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3) 생체모방기술이 적용된 건물 외피의 선행연구는 전체적으로 에너지 부문의 검토가 부재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유지 및 관리를 위한 경제성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향후 많은 연구 수행 이후 그 경향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Increasing energy demands are becoming a serious problem as we continue to rely on fossil fuels as our primary energy source. One of the main causes of this problem is the increasing energy consumption in the building sector, and many studies are being pursued to address this issue. In particular, as the energy used in buildings is proportional to the performance of building envelopes, research o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uilding envelopes is significant in saving building energy. Therefore,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trends and level of research on building envelopes using biomimetics, a field that has seen significant growth in recent years. In response,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previous studies on building envelopes using biomimetics. The purpose was to construct basic data and provide direc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on similar technologies. Previous studies using keywords such as biomimetics, architecture, and building envelopes was selected to analyze research trends related to building envelopes using biomimetics. It also covers the scope of application, application factors, operation, aesthetic factors, energy savings, and economics of biomimetic technologi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biomimetics i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velopes compared to high-tech fields such as medical care and robotics. One indirect reason is the significant cost-related issues of biomimetics when applied to building envelopes. 2) Most previous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building envelopes that mimic natural phenomena and integrating operational technologies to implement them. Building envelopes integrating such biomimetic technologies realize aesthetic effects by combining the behavior and operation of building envelopes. 3) Most previous studies on building envelopes using biomimetics did not review energy consumption. They also did not cover the economic aspects related to maintenance and management, which future studies should review.

      • KCI등재

        한국 콘텐츠 소비가 베트남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와 국가이미지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철한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2

        한국과 베트남은 문화교류와 교역에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오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는 충분치 않았는데 따라서 한국의 드라마나 영화 음악이 베트남 소비자의 한국 제품에 대한 관점이나 한국 이미지에 대한 평가 연구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또한 기존연구들이 주로 학생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많아서 보다 일반화를 위해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기존의 제한된 수의 연구를 보완하고 실무적이고 학문적인 함의를 더하기 위해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문화권간 영향을 고려한 소비자의 행동을 연구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의 미디어 콘텐츠 소비가 한국제품 브랜드와 국가 이미지 그리고 자민족중심주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한국의 드라마, 영화, 음악을 중심으로 수행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192명의 베트남 소비자를 대상으로 편의표집 방식으로 서베이를 하였고 서베이 장소는 호치민 1군 지역이며 2022년 7월 1일부터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회귀분석을 통해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한국의 음악이 한국 제품과 한국 국가이미지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이러한 유의미한 결과가 발견되지는 않았다. 또한 주목할만한 결과로 베트남 응답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더 한국 브랜드와 한국 이미지 이식에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난 것이었다. 이 연구는 향후 보다 일반화할 수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 한류 콘텐츠 다양화를 제안하는 바인데 웹툰이나 소설, 텔레비전 프로그램, 순수미술, 한식등에 대해서도 연구에 포함시키는 것을 향후 연구로 제안하는 바이다. South Korea and Vietnam has a close relationship in trade and cultural exchange. However, previous studies scarcely explore how Korean dramas, movies, and music influence Vietnamese consumers’ views on Korean products and the image of Korea. In addition, unlike studies focused on student samples, this research targeted the general public, offering more comprehensive insights. With limited existing research in this area, the findings become essential for businesses and academics, providing crucial insights into the cross-cultural impact on consumer behavior, especially considering the strategic ties between Korea and Vietnam in trade and cultural exchange.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Korean media contents on attitude toward Korean product brand, national image, and ethnocentrism.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Korean dramas, movies, and music. For this purpose, 192 Vietnamese consumers were recrui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A survey was conducted on from July 1st to July 30th 2022 at Hochimin District 1 areas.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a significant impact of experiences with Korean music on shaping both brand attitudes toward Korean products and national image. Conversely, no discernible effects were observed for film and drama in this context. Notably, as Vietnamese respondents aged, there was a corresponding increase in favorable brand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the Korean na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future research diversification, urging a closer examination of various Korean Hallyu contents beyond music, such as webtoons, novels, television programs, fine arts, and Korean cuisine.

      • KCI등재

        이주여성의 한국생활적응과 가족상담 경험 연구

        최영화,이미나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5

        본 연구는 이주여성의 한국생활적응과정과 가족상담 경험에 관한 연구이다. 본 논문은 이주여성의 한국생활적응 과정에서 심리·정서적 문제들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족 중에서 가족상담을 경험한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J지역 J가족센터에서 가족상담을 경험한 총 4명의 연구참여자이다. 연구기간 2023년 5월부터 8월까지 총 8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 진행과정은 연구참여자의 이주 전 삶부터 현재까지의 적응경험의 전 과정을 개인의 환경적 요인과 한국사회의 문화와 적응 등의 심층진술을 시간적 흐름에 따라 정리하였다. 따라서 인터뷰의 질문내용은 연구참여자의 이주 전의 생활, 국제결혼 과정, 조기적응의 어려움, 적응과정 및 현재의 삶의 순으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이주여성들의 성공적 적응 경험, 한국사회의 문화적응과 가족구성원의 적응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주여성의 한국생활적응 과정과 가족센터 등 지역사회의 조력으로 진행하는 가족상담 경험의 중요한 요인 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about immigrant women's adaptation process to life in Korea and their experiences with family counseling. This paper was conducted on immigrant women who had experience with family counseling among families who were struggling with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o life in Korea. This study's subjects are four research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family counseling at the J Family Center in J Region. A total of 8 sessions were conducted during the research period from May to August 2023. The research process was organized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including statements about individual environmental factors, culture, and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as well as the entire process of adaptation experience from the research participant's life before migration to the present. Therefore, the interview questions were described in the following order: the research participant's life before migration, the process of international marriage, difficulties in early adaptation, the adaptation process, and current life. This study found that immigrant women's successful adaptation experience, cultural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and adaptation of family members are organically linked. Accordingly, this study shows that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immigrant women's adaptation process to life in Korea and their experience of family counseling provided with the assistance of local communities such as family ce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