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이력과 경력관리를 위한 학습 포트폴리오 개발 과정 모형안

        조용개,이은화 한국자료분석학회 201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tentative plan of the learning portfolio development process model for learning history and career aimed at undergraduate students. For this, 256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during the second semester, 2010. During this study, we offered components and stages for the learning portfolio development based on the portfolio type according to purpose and content categorized by Hartnell-Young & Morris (1999) and Cho (2008). And we analyzed the efficiency of the learning portfolio development by the pre/post questionnaire survey which is consisted of 20 questions during the period of the learning portfolio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e/post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stated that they were a great help for improving learning and employment competency through the learning portfolio development process this time. Especially, in the pre/post questionnaire surve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all items. Based on this analysis results, we suggested five phases tentative plan of the learning portfolio development process model according to the portfolio development procedure by Seldin (2004) and Zubizarreta (2004, 2009). This tentative plan of the learning portfolio development process model will be utilized as a guide managing learning history and career in undergraduat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 포트폴리오 개발 사례를 통해 도출된 학습 포트폴리오 개발 과정 모형안을 대학생들의 학습이력 및 경력관리를 위한 학습 포트폴리오 개발 가이드로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A대학의 25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0년도 2학기(9월-12월) 동안 학습 포트폴리오 개발 구성요소를 제공하고, Hartnell-Young & Morris(1999)의 목적에 따른 학습 및 취업 포트폴리오 유형과 조용개(2008)의 내용에 따른 학습이력 및 경력 포트폴리오 유형과 Seldin(2004), Zubizarreta(2004, 2009)의 포트폴리오 개발 단계를 적용하여 학습 포트폴리오를 개발토록 하였다. 그리고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 포트폴리오 개발 과정을 분석하였다. 사전·사후설문은 총 20개 문항으로 설문조사 분석은 정량적 빈도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검증 결과 거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학습 포트폴리오 개발 과정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 제공한 학습 포트폴리오 구성요소와 개발 단계를 중심으로 학습 포트폴리오 개발 과정 모형안을 제시하였다. 본 학습 포트폴리오 개발 과정 모형안은 Seldin (2004)과 Zubizarreta(2004, 2009)가 제안한 포트폴리오 개발 단계를 적용한 5단계 학습 포트폴리오 개발 과정 모형안으로, 대학생의 학습이력과 경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학습 포트폴리오 개발 가이드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교수자의 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포트폴리오 개발 모형 및 평가준거안

        조용개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수업 포트폴리오 개발 사례 결과를 토대로 교수자의 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 포트폴리오(teaching portfolio)의 개발 모형 및 평가준거(rubric)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대학 및 중고등학교 교수자 18명을 대상으로 2008학년도 1, 2학기동안 본인 담당 교과목을 중심으로 수업 포트폴리오 개발 일정에 따라 수업 포트폴리오를 개발토록 하였다. 수업 포트폴리오 개발 사례를 분석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로 인터뷰와 양적 연구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는 반구조화된 5가지 질문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사전․사후설문조사는 총 22개 문항으로 결과 분석은 빈도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수업 포트폴리오 개발 사례 결과를 토대로 교수자의 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 포트폴리오 개발 모형안을 제시하였다. 본 수업 포트폴리오 개발 모형안은 Seldin(2004)이 제안한 수업 포트폴리오 개발 단계를 적용한 교과목(course) 포트폴리오 개발 모형으로, 수업 포트폴리오 구성요소별로 수업 포트폴리오 개발에 활용 가능한 자료들을 각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수업 포트폴리오 개발 단계에 근거하여 Hart(1994)가 제안한 평가 절차를 적용한 수업 포트폴리오 평가준거안을 마련하였다.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수업 포트폴리오 개발 모형 및 평가준거안은 초중고 및 대학교육 현장에서 교수자의 수업 개선과 평가뿐만 아니라 차후 초중등학교의 교원평가와 관련하여 교수자의 교수력을 향상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질적 도구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tentative plan of the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model and rubric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instruction in instructors. For this study, we analyz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eaching portfolio to improve instruction in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In this process, eighteen instructors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eaching portfolio(a course portfolio) during the first and second term, 2008. During the development period of the teaching portfolio, we carried out qualitative research with an interview and pre/post questionnaire survey and quantitative research with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cases, we suggested a plan tentative plan of the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model and rubric for developing and evaluating the teaching portfolio. According to a tentative plan of the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model and rubric, five stages for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were applied stages suggested by Seldin(2004), and rubric for the teaching portfolio evaluation was applied the evaluation criterion of Hart(1994). We expect that a tentative plan of these model and rubric for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teaching portfolio will be able to utiliz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instruction as well as the teacher evaluation in secondary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을 통한 수업의 효과성 탐색

        조용개 한국교육학회 2009 敎育學硏究 Vol.4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 through the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development process and application cases of the teaching portfolio(a course portfolio) in three universities by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y. For this study, twenty-two professors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eaching portfolio during the second semester, 2008. During this study, we offered materials which are requir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eaching portfolio throughout total seven times. And we analyzed it by triangulation techniques, a middle and a post interview, and a pre/post questionnaire survey. Professo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stated that they were a great help for improving teaching competency from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eaching portfolio. Especially, in the pre/post questionnaire surve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establishment of teaching philosophy(P1), the suggestion of objectives before instruction(P2), the utilization of various instructional media(P4), an immediate feedback after tasks and evaluations(O3), the degree of teaching satisfaction(O2), the results of instructional evaluation from students(R2) and the self-reflection about teaching activities(R1).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hat the teaching portfolio will contribute to improve a quality of the teaching competency, to reflect educational achievements evaluation, and to select best teaching awards in higher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을 통한 수업의 효과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대학 교수자 22명을 대상으로 2008학년도 2학기(9월-12월) 동안 본인 개설 강좌 중 1개를 선정하여 일정에 따라 티칭 포트폴리오를 개발토록 하였으며, 개발 기간 중 총 7차에 걸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관련 자료를 제공하였다.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과정을 분석하기 하기 위하여 중간 및 사후 인터뷰, 사전 및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중간 및 사후 인터뷰는 반구조화된 질문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사전 및 사후 설문조사는 총 22개 문항으로, 설문조사 결과는 빈도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에 참여한 교수자들은 개발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수업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며, 수업계획을 세우거나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는데 큰 의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사전․사후 설문조사 결과, 거의 모든 항목에서 사후설문조사의 결과가 긍정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교육철학의 정립(P1), 수업 도입 시 수업목표 제시(P2), 다양한 매체 활용(P4), 과제 또는 평가 후 즉각적인 피드백 제공(O3), 수업에 대한 만족도(O2), 학생들의 수업평가 결과 향상(R2), 수업에 대한 성찰(R1) 등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이번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을 계기로 참여 교수자들이 평상시에 비해 교수활동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발 사례는 대학 수업의 질적 향상뿐만 아니라 차후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을 교육업적평가에 반영하거나 우수수업상 선정요건에 포함하는 방안으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본다.

      • KCI우수등재

        온/오프라인 수업분석 및 컨설팅 도구 재개발 및 타당화 연구

        조용개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evelop and validate instructional analysis and consulting tools use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instruction. To do this, the existing instructional analysis tools were reviewed and analyzed, and in order to improve them, instructional analysis and consulting through three content validity reviews and consultations with on-campus instructors and off-campus instructional experts was conducted using the Delphi survey method. As a result of this study, an online and offline instructional self-diagnosis tool, an instructional questionnaire, a syllabus analysis tool, an instructional analysis (consulting) tool, and an instructional analysis rating table have been redeveloped. We expect that this will be helpful in preparing and utilizing instructional analysis and consulting tools suitable for the purpos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of instruction based on the proces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수업의 질적 개선을 목적으로 활용하는 수업분석 및 컨설팅 도구를 재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수업분석 도구(조 벽(2012))를 기초로 검토,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Delphi 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교내·외 교수자와 수업전문가를 대상으로 약 6개월 동안 3차에 걸친 내용타당도 검토 및 자문과정을 거쳐 수업분석 및 컨설팅 도구를 재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수업분석 및 컨설팅에 필요한 온/오프라인 수업용 수업자가진단 도구, 수업설문지, 수업계획서 분석 도구, 수업분석 및 컨설팅 도구, 수업분석 평정표를 재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기초로 수업의 목적과 특성, 그리고 수업환경에 적합한 수업분석 및 컨설팅 도구를 마련하여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대학에서의 서비스러닝 운영 모델 개발 및 활성화 방안

        조용개,김혜경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1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xtended integrated service-learning operating model based on service-learning operation that links the course and the community centered on the case of service-learning activity conducted for 3 years in S university. We suggested plans to revitalize service-learning in university. Types are service-learning was operated in the form of credit-linked type and service time-linked type, and these activities and operation process was presented. The model of service-learning operation was presented by preparatory and planning stage, execution and management stage, evaluation and improvement stage. And this is an extended service-learning operating model that can be integrated and applied when developing and operating service-learning as a regular course or a program. Therefore, it can be applied and used stages when it wants to operate service-learning according to education goal of university and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 and course. In addition, plans to revitalize service-learning were proposed centered on practical problems. 본 연구는 S대학교에서 3년간 실시한 서비스러닝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교과목과 지역사회를 연계한 서비스러닝 운영을 기반으로 확장된 통합형 서비스러닝 운영 모델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대학에서의 서비스러닝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비스러닝의 유형은 학점연계형과 봉사시수연계형으로 운영되며, 이에 따른 활동 및 운영 과정을 제시하였다. 서비스러닝 운영의 모델은 준비 및 계획 단계, 실행 및 관리 단계, 평가 및 개선 단계별로 제시되었으며, 본 단계별 서비스러닝 운영 모델은 서비스러닝을 정규교과목으로 개발, 운영하거나 주관 부서에서 프로그램으로 개발, 운영하고자 할 때 통합, 적용할 수 있는 확장형 서비스러닝 운영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의 교육목표, 학과 및 교과목의 특성에 따라 서비스러닝을 운영하고자 할 때 단계별로 적용, 활용 가능하다. 이와 함께 서비스러닝 운영을 활성화하는 방안으로 실질적인 문제점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 생태주의적 환경윤리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논의

        조용개 교육철학회 2002 교육사 교육철학 Vol.27 No.-

        When we regard the current ecological environment crisis as an internal crisis of human being, this crisis can be an educational crisis on which has been carried anthropocentric education until now. To overcome these ecological environment crisis and educational crisis wisely, we should reorganize the existing education with 'ecological curriculum', 'education for humane existence', which harmonizes and recover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through the reflection on existing education. This curriculum needs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based on 'the holistic world view'. So we need to change and reorient human consciousness and value systems which means the shift of ecological world view as a new paradigm. In this, as a new ecological curriculum,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means to cultivate the ability which can recognize environmental problems correctly and to overcome ecological crisis wisely today.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should be made a contribution to overcome ecological crisis and to create new alternatives. It must go beyond technical environmental education level which deals with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 managing aspects. And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must be not only the education which deliveries knowledge about the environment and cultivates environmental ethics virtues from the environment but also, 'ecological education for learning new life style', the education which encourages consciousness for the environment. Also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should be not 'a simple behavior modification but 'an action qualification' which changes the views of values, thoughts and attitudes etc.. In conclusion, to overcome an ecological environment crisis and educational crisis we face with, we should uprightly se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For this ecological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should be taken charge of the most important part among human literacy educations.

      • KCI등재

        체계적인 교수활동 관리를 위한e-티칭 포트폴리오 시스템의 개발 및 활용 방안

        조용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9

        This study is to design and develop an e-teaching portfolio system that can manage teaching activities systematically and suggest effective utilization plan for university instructors. To this study, we applied Jones and Richey(2000)’s the rapid prototyping methodology. This e-teaching portfolio system was developed by pilot tests of 3 times and conducted user evaluation for the e-teaching portfolio system. The e-teaching portfolio system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can manage the teaching activities of the university instructors integrally. It is linked with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except writing the education philosophy and teaching reflection, And it is loaded self diagnostic tools(teaching philosophy, teaching style and teaching competency). In addition, it is provided teaching method course completion status. User evaluation results were showed 4.48, 4.37 respectively in satisfaction and usefulness, and somewhat improved in aspect of system accessibility, convenience of utilization, compatibility of components. We proposed a plan to reflect on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by each component of the e-teaching portfolio in utilization plan of an e-teaching portfolio. 본 연구는 대학 교수자의 교수활동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e-티칭 포트폴리오 시스템을 설계, 개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e-티칭 포트폴리오 시스템 설계와 개발은 Jones와 Richey가 제안한 래피드 프로토타입 개발 방법론(rapid prototyping methodology)을 적용하였다. e-티칭 포트폴리오 시스템 개발은 총 3차에 걸친 Pilot Test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최종 개발된 e-티칭 포트폴리오 시스템 사용자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e-티칭 포트폴리오 시스템은 대학 교수자의 교수활동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교육철학 및 교수성찰 작성 외에는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와 연동되어 제공되며, 자가진단도구(교육철학, 티칭스타일, 교수역량)를 탑재하였다. 이와 함께 교수법 이수현황과 강의평가결과를 제공한다. 사용자 평가 결과, 만족도와 유용성 측면에서 각각 4.48, 4.37로 나타났으며, 시스템의 접근성, 시스템 활용의 편의성, e-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의 적합성 측면에서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e-티칭 포트폴리오 활용 방안으로는 e-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별로 교육업적평가에 반영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