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교육에서의 핵심역량과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이해와 쟁점

        김대중,김소영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7 핵심역량교육연구 Vol.2 No.1

        좋든 싫든, 그리고 자의든 타의든 지난 15년 간 역량은 교육계에 화두로 자리매김해 왔다. 여전히 핵심역량에 대한 개념이 대학교육 실무 단위에서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지만, 대학교육에서 핵심역량은 더 이상 생소한 용어가 아니다. 이제 핵심역량을 어떻게 이해하고, 더 나아가 대학 구성원 간 이해를 바탕으로 대학에 맞는 핵심역량을 도출하여 교육에 접목시키는 것이 주요한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 동안 대학교육에서 핵심역량과 관련하여 논의된 쟁점들을 정리 분석하여 대학에서 역량교육을 이해, 수요, 그리고 더 나아가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작성되어졌다. 관련 사례들을 파악해 본 결과 쟁점들은 크게 3개로 정리될 수 있었다. 첫 번째 쟁점은 대학교육에서 핵심역량은 무엇인가이다. 이 쟁점의 중심에는 역량의 모호성과 역량이라는 용어가 직무나 직업 관점에서 도출된 것을 교육에 접목시키는 것에 대한 거부감에서 기인되는 쟁점이다. 두 번째 쟁점은 각 대학의 핵심역량은 어떻게, 어떤 과정으로 도출하는가이다. 두 번째 쟁점은 자연스럽게 첫 번째 쟁점과 연결되는 쟁점이라 할 수 있다. 세 번째 쟁점은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무엇이며, 무엇이 중요한가이다. 각 대학 대학을 대표하는 핵심역량을 정립하게 되면, 역량을 어떻게 교육에 접목시키는가에 대해 고민 하게 되고, 이를 둘러싼 쟁점이 역량기반 교육과정이다.

      • KCI등재

        대학에서의 핵심역량 연구동향 분석

        양채원,문지영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2 핵심역량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2010년 이후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 관련 연구, 특히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역량 기반 교육의 연구동향에 관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에서의 역량 기반 교육이 주로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역량 및 핵심역량에 대한 개념이 충분히 정립되었고 K-CESA로 대표되는 핵심역량 진단도구가 보편화된 2010년 이후의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핵심역량에 대한 개념정립과 이론화 이후 대학에서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진단하고 해당 결과를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여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313건의 국내 등재(후보)지 게재 논문을 토대로 연구 제목 및 핵심어, 연구 자료 및 연구 방법,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토픽모델링을 바탕으로 대상 논문을 분석한 결과 대학에서의 핵심역량 관련 연구는 대부분 3가지의 주제로 요약될 수 있다. 첫 번째 주제는 대학의 특징을 살린 자체적 핵심역량진단도구 개발이다. 두 번째 주제는 K-CESA 등 대규모 데이터를 활용한 특정 학교 학생, 혹은 대학생 전반의 역량분석과 이를 통한 사례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대학에서의 핵심역량 관련 세 번째 연구 주제는 핵심역량 진단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과 해당 교육과정의 성과 분석으로, 한국 대학에서의 핵심역량 관련 연구가 점차 역량기반 교육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대학생 진로교육경험과 진로개발 핵심역량

        진미석,이강주,이상아,김하령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7 핵심역량교육연구 Vol.2 No.1

        직업세계의 변화와 더불어 복합적인 진로개발과제를 안고 있는 대학생들을 위해서 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은 학생들에게 전공교육뿐만 아니라 자신의 진로에 대하여 탐색하고 준비할 수 있는 진로개발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경험을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다. 본 연구는 21개 산업연계교육활성화선도대학(Program for Industrial needs-Matched Education 참여 대학: PRIME, 이하 프라임 대학) 대상으로 2,906명의 소속 대학생들이 학교로부터 제공받는 진로교육경험을 분석하고 진로교육경험에 따라 진로개발을 위한 기초역량, 즉 진로개발 핵심역량이 어떤 차이를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진로개발핵심역량으로 진로개발준비도, 대학생핵심역량, 기업가정신 등을 살펴보았다. 진로교육경험은 12개의 대표적인 진로교육활동으로 구성하고 양적인 경험과 질적인 만족도의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진로경험은 요인분석을 통하여 학생의 자기주도 비교과중심 유형과 학교주도 진로교과목 중심 유형으로 나누어짐을 볼 수 있었다. 진로교육경험 분석결과 21개 대학 공히 학생들은 자기주도적 비교과중심 교육보다 학교주도 진로교과목중심의 진로 교육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1개 대학 별로 학생들의 진로교육경험의 정도는 상당히 다르게 나타났다. 진로교육경험을 질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진로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3점(4점 만점)의 만족도에 근접하고 있어, 학생들의 만족도는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에 있어서도 학교간의 편차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험도와 만족도의 두 가지 영역 모두에서 평균을 하회하는 학교가 있는가하면, 두 영역에서 평균을 현저하게 상회하는 학교가 있었고, 경험은 상대적으로 풍부하나 질적으로 만족도는 낮은 학교도 있었다. 진로교육경험도와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진로개발준비도, 기업가정신, 대학생 핵심역량(K-CESA)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성별, 학년, 학교, 계열을 통제하고 회귀분석한 결과 진로교육경험도 특히 진로교과교육경험과 진로개발역량과 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나, 진로교육경험이 많을수록. 자아이해, 전공 및 직업에 대한 지식, 관계활용효능감, 의사결정효능감, 기업가 역량, 태도, 의지,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다만, 의사소통역량, 자원정보활용역량, 글로벌 역량 등 K-CESA의 인지적 역량으로 자가진단이 아닌 수행형 진단도구로 측정된 역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진로교육만족도와 진로개발역량과의 관계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진로교육경험에 비해서는 그 관계가 뚜렷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정책당국이나 대학기관에서는 학생들의 진로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진로개발활동 경험을 양적으로 확충하고 질적으로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진로교육경험의 유형과 분류기준은 진로교육의 실태와 성과를 분석하고 대학과 정부의 학생진로개발정책과 전략을 이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후속연구에서 진로교육과 진로개발역량과의 관계에 대한 종단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생의 핵심역량 변화와 수업만족도 분석

        김은주,성명희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8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학술대회지 Vol.- No.4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성과분석을 위해 학업성취도 외에 핵심역량 분석과 수업만족도를 통해 교육성과를 관리하고 있는 시점에서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생의 핵심역량 변화와 수업만족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60명의 대학생에게 사전・사후 교양교육과정 운영에 따른 핵심역량의 변화와 수업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즉,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생의 자기관리, 글로벌, 대인관계, 자원정보기술활용 역량을 중심으로 어떠한 핵심역량에 변화가 있었고,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수업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원정보기술활용 역량에 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또한 수업만족도는 보통이상의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교양교육 수업만족도 개선사항 도출에 있어 시사하는 바가 있다. Currently, colleges have been subject to evaluate students competencies, apart from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order to analyze the outcomes of college education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of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and their course satisfaction in general education based on core competencies for college education performance. In order to do this, pre and post surveys were conducted on 160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which core competencies had major changes among the core competencies of self-management, global, interpersonal, and resource 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competencies and students’ course satisfaction in gene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a positive change was found in resource 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competency and students’ course satisfaction were above-average level. In light of this,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preliminary data for further development of general education based on core competencies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students’ course satisfaction in general education.

      • 전문대 유아교육 전공 학생들의 핵심역량 분석 및 IPA 기법을 활용한 전공 및 교직과정 개선 연구

        하정윤,김성재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5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학술대회지 Vol.- No.2

        본 연구는 전문대 유아교육 전공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전공 및 교직 과정을 개선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K-CESA를 활용한 학 생들의 핵심역량 진단, 전공 및 교직과정에서의 핵심역량 교육 정도 분석, 핵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S전문 대 유아교육 전공 학생들의 핵심역량은 대인관계(56.39점), 자기관리(53.92점), 종합적사 고력(50.53점), 글로벌역량(48.08점), 의사소통역량(46.11점),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 량(46.08점)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 및 교직과정에서의 핵심역량 교육 정도는 수업내용 영역에서 전공 1.45점, 교직 1.15점으로 나타났고, 수업방법 영역은 전공 1.61점, 교직 2.59점, 과제·평가 영역은 전공 1.48점, 교직 2.39점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전공 및 교직과정에서 핵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IPA 매트릭스로 확 인한 결과, 유연성 및 적극성,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목표지향적 계획수립 및 실행능력 이 우선적으로 교육을 강화해야 할 역량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문대 유 아교육과의 전공 및 교직과정에서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높이기 위해 개선해야 할 내용 과 방법을 제언하였다.

      • 대학생의 대인관계 역량과 글로벌 역량 함양을 위한 핵심역량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김은주,성명희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6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학술대회지 Vol.-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 역량과 글로벌 역량 함양을 위해 핵심역량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 처치 전과 후의 대학생의 대인관계 역량과 글로벌 역량을 비교하였다. 핵심 역량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인성교육프로그램의 구성요인 및 수행목표를 설정하고, K-CESA 대학생 핵심역량의 대인관계와 글로벌 역량을 중심으로 인성교육프로그램을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핵심역량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실시 후의 대인관계 역량과 글로벌 역량 수준이 변화된 것 을 분석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200명의 대학생에게 배부된 설문지 중에서 쌍(Pair)을 이루지 않거나 누락 된 것을 제외한 142부의 설문지에 대해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전 대인관계 역량과 글로벌 역량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의 교정된 대인관계 역량과 글로벌 역량 점수의 집단 간 차이는,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집단이 대인관계 역량의 하위요인 중 협력, 중재, 조직에 대한 이해를 제외한 정서적 유대, 리더십에서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고, 글로벌 역량의 하위요인 중 유연성, 글로벌화 및 글로벌 경제에 대한 이해를 제외하고 타문화 이해 및 수 용능력에서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전통적 관습과 규율과 같은 소극적인 도덕적 덕목 을 강조한 인성교육에서 글로벌, 다원화 사회의 가치를 이해, 포용, 관리해 나갈 수 있는 적극적인 덕목으로의 인 성교육의 개념을 확대하고, 핵심역량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그 효과성을 검증했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 를 찾을 수 있다.

      • 졸업직전 예비유아교사들의 핵심역량 진단 및 현장유아교육전문가의 핵심역량 중요도 분석과 심층면담을 통한 유아교사양성과정 개선 연구

        김성재,황지애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8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학술대회지 Vol.- No.4

        본 연구는 전문대 유아교육전공 졸업직전 예비유아교사들의 핵심역량 수준을 제고하여, 현장직무에서 중요시되는 핵심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적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K-CESA를 활용한 졸업직전 예비유아교사들의 핵심역량 진단, 현장유아교육전문가들이 인식한 핵심역량의 중요도 수준분석, 현장유아교육전문가들과의 심층면담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핵심역량은 대인관계역량이 가장 높았고, 자기관리역량, 글로벌역량,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종합적 사고력, 의사소통역량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장유아교육전문가들이 인식한 핵심역량의 중요도 수준을 분석한 결과, 자기관리역량, 의사소통역량, 대인관계역량, 종합적사고력,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글로벌역량 순을 보였다. 셋째, 현장유아교육전문가들이 인식한 핵심역량의 중요도 수준과 예비유아교사들의 실제 핵심역량 수준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현장유아교육전문가들은 자기관리역량, 의사소통역량, 대인관계역량을 순차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예비유아교사들의 핵심역량 측정결과는 대인관계역량, 자기관리역량, 글로벌역량 순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넷째, 현장유아교육전문가들에게 핵심역량이 중요한 이유를 심층면담한 결과, 수신(修身): 아이들의 전인적 발달 도모하기, 역지사지(易地思之): 생각이 다른 엄마와 동료교사들의 마음 헤아리기, 통즉불통 불통즉통(通卽不痛, 不通卽痛): 문제해결을 위한 소통하기 등으로 범주화되었다. 다섯째, 현장유아교육전문가들에게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의 핵심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적 방안에 대해 심층면담한 결과, 핵심역량 향상의 근본: 인성교육이 답, 교수자들의 인식, 태도변화 우선: 현장 목소리 듣고 수업에 적용하기, 교육과정의 다양화: 비정규과정에서 행복 찾기, 교수방법의 개선: 정규과정에서 핵심역량 강화하기 등으로 범주화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의 핵심역량을 높이기 위해 개선해야 할 내용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at seeking educational methods to enhance core competences that are important on the job by improving the level of core competences of pre-service teachers before graduation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re competences of pre-service teachers before graduation were diagnosed using K-CESA, and then the level of importance of core competences recognized by field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was analyzed. Finally, in-depth interviews with these speciali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 relations competence was at the highest level among the core competences possessed by pre-service teachers, followed by self-management competence, global competence, application ability of resources, and information and technology, comprehensive thinking skill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Second, the analysis of the level of importance of core competences recognized by field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showed that self-management competence w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communication competence, personal relations competence, comprehensive thinking skills, application ability of resources, and information and technology, and global competence. Third,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importance of core competences recognized by field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and the level of the actual core competence of pre-service teachers showed that field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recognized self-management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ersonal relations competence to be important in the decreasing order while the actual core competences in pre-service teachers were measured to be personal relations competence, self-management competence, and global competence in the decreasing order, which indeed indicated difference. Fourth,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field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on why core competences were important were categorized as 修身: promoting the holistic development of children, 易地思之: understanding other mothers and fellow teachers who have different ideas, and 通卽不痛,不通卽痛: communicating for problem solving. Fifth,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field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with respect to the educational methods to strengthen core competences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nurture curriculum were categorized as fundamental of core competence improvement: personality education is the answer, highest priority on the change in tea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listening to the voice in the field and applying it to the class, diversification of curriculum: finding happiness in irregular courses, and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s: strengthening core competences in regular cour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rovements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nurture curriculum to enhance the core competences of pre-service teachers were proposed.

      • 핵심역량 향상 교육지원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핵심역량 교육요구도 분석

        이희원,박소현,이신혜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8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학술대회지 Vol.- No.4

        본 연구는 K-CESA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서울대학교 학부생의 핵심역량의 수준을 분석하고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핵심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대학교 학부생 136명이 K-CESA 진단에 참여하였고, 개인 특성에 따른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인관계 협력 수준은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높았고, 대인관계 조직 이해에 대하여 3학년이 2학년보다 높았고, 대인관계 중 정서적 유대가 교육계열이 사회계열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높은 차이를 보였다. 글로벌 유연성 인문계열이 사회계열보다 높았고 대인관계영역 중 협력 수준은 수시전형이 정시보다 높았다. 학점이 높을수록 자기관리역량 수준이 높았고, 대인관계 역량 중에서 정서적 유대와 리더쉽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높은 차이를 보였다. 진단 참여자 45명을 대상으로 세부 영역별 핵심역량에 대한 Borich 교육요구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의사소통 역량 중 말하기, 토론 조정 능력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핵심역량 수준이 높은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핵심역량 향상에 영향을 미친 수업 내・외적 학습경험을 분석하였다. 교육요구도와 FGI 결과를 종합하여 학습자의 요구에 근거한 핵심역량 향상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vel of core-competenc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using K-CESA diagnostic tools and to develop an educational support program that can improve core-competencies by analyzing factors affecting core competencies. For this, 136 undergraduates student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K-CESA diagnosis, and the differences were verified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level of interpersonal cooperation was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in female students, 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interpersonal organization in the second grader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third graders, and emotional bond amo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College compared to Social Science College. Global flexibility in Humanities College were higher than that in Social Science College, and collaboration level among interpersonal relations was higher than usual.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higher the level of self-management competence a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motional bond and leadership area. The analysis of the needs for Borich s education on the core-competencies of each sub-area was conducted for 45 diagnostic participants. As a result, it was recognized that communication ability had the most ability to speaking and discussion. Also, FGI was applied to 15 students with high core-competence level, and analyzed the learning experiences that affected core-competency improvement. A program for improving core-competency were proposed by combining the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and FGI results based on the needs of learners in SNU.

      • KCI등재

        대학생 핵심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경희,김기홍,김지연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2 핵심역량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에 소재한 중규모대학인 A대학교 재학생의 핵심역량을 진단하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2020년 9월부터 11월에 걸쳐 A대학교 학부생을 대상으로 2차례에 걸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6개의 핵심역량, 110개 문항을 선정한 뒤, 2021년 3월 23일부터 4월 4일까지 본 조사를 통해 얻은 3,381명의 자료를 SPSS 26, AMO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으로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등을 검토하였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으로 도구들을 구성하고 있는 문항과 도구측정의 정확성과 요인 차원의 독립성을 검증하였다. 셋째, 내적일치도(Cronbach's α)로 측정문항들의 구성요인에 대해 내적일관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최종 문항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하였다. 다섯째, 핵심역량별로 평균 분산 추출(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과 개념 신뢰도(construct reliability, CR)를 구하고,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각 요인별 내적 일관성 신뢰도(Cronbach’s α)는 .70 이상 이었으며, 핵심역량 전체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도 모든 적합도 지수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역량별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개념 신뢰도(CR) .70 이상, 분산추출지수(AVE) .50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A대학교 핵심역량 진단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적절한 측정도구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측정도구는 A 대학교 학생의 핵심역량을 진단하고 관리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학의 교육정책 방향에 부합하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선순환 과정에서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서울대 학부생의 학업 역량 분석 및 역량 향상 프로그램 개발 탐색

        이희원,박소현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7 핵심역량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학부생의 핵심역량의 수준을 분석하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대학교 학부생 52명을 대상으로 K-CESA 진단을 실시하였고, 6가지 영역별 핵심역량의 수준을 학업 성취도(학점), 입학전형 유형, 전공계열, 등록학기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울대학교 학생들의 전반적인 핵심역량 수준은 전체 대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았고 특히 종합적 사고역량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자기관리영역이나 대인관계영역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6가지 핵심 역량이 고르게 높은 수준을 보였고, 등록학기가 누적될수록 핵심 역량의 수준도 상대적으로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공계열에 따라서는 6가지 영역에서 편차를 보였다. 입학전형별로 분석한 결과 수시가 정시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고, 정원외 입학생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핵심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한 교육 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학업 성취도와 역량 수준이 고르게 우수한 학생 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6가지 핵심역량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주는 요소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교육과정 뿐 아니라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의 학업 편차를 줄이고 다양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 구성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