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조사

        김은주,강영택,권택환,이인 한국특수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ganization·operation conditions of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from special school teachers and special classroom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1,751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nd general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number of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attending special schools were 6,160, it was approximately 25% out of 24,661 students attending special schools in April, 2012. As 449 classrooms were separately set up and operate as classrooms for severe·multiple disabilities, coping methods for these conditions were immediately required. Therefore, education programs and support systems need to be considered for further curriculum improvement plans appropriate to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Second, as curriculum types applied to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most schools reorganized curriculum within the category of curriculum guided in national level. Therefore, the curriculum improvement plans for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in the future need to includ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in curriculum of national level, they need to develop various curriculums according to needs of students rather than suggestions by subject-centered curriculum. Third, the results of the organization·operation conditions of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shows the preparation of circumstanc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organization system of the current rigid curriculum or the suggestion of a standard curriculum, the suggestion of a curriculum based on real life, the exploration on the methods for providing autonomy to schools, the provision of curriculum based on developmental areas required according to the types of disabilities, the need of education contents with various selections more than the rigid subject education contents in the present. consideration of functions and roles of basic curriculum as replaceable·alternate curriculum,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parat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and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instruction·learning materials for separate curriculum. 본 연구는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운영 현황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156개 특수학교와 무선표집하여 응답한 특수학교(급) 교사 1,7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은 6,160명으로 2012년 4월 현재 특수학교 재학생 24,661명의 25% 정도가 중도·중복장애학생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학생들을 위해 449개 학급에서 별도로 중도․중복장애 학급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에 대한 대처 방안이 시급하게 요구되었다. 이에, 향후 추진되는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개선 방안에서는 대상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 및 지원 시스템을 동시에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들에 대한 적용 교육과정 유형으로는 대부분의 학교들이 국가 수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과정 범주 안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향후 추진되는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개선 방안에서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을 그 대상으로 포함시키고, 교과 교육과정 위주로 제시하기보다는 대상 학생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교육과정 유형을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셋째,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편성·운영 현황에 대한 결과에서는 현재의 경직된 교육과정 편성 체제를 개선하거나 기준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운영할 수 있는 제반 여건 마련, 실생활 중심의 교육과정 제시, 학교에 자율성을 줄 수 있는 방안 모색, 장애에 따라 요구하는 발달영역 중심 교육과정 제시, 현재의 획일적인 교과 교육 내용보다는 좀 더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교육내용 필요, 대체·대안 교육과정으로서 기본 교육과정 기능과 역할 제고,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별도의 교육과정 개발과 그에 따른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및 보급 등에 대한 연구 등이 요구되었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에 관한 질적메타합성: 비판적 해석학적 합성 방법으로

        송만호,박경옥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3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6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s of education from students, teachers, administrators, and parents regarding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o generate insightful and generalizable new interpretations through critical analysis of this phenomenon. Method: To achieve this, 33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related to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ince applying special education curricula in 2011,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meta-synthesis. The procedures and standards of critical interpretive synthesis were applied to analyze and synthesize the detailed data. Resul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ritical point of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as the curriculum that was not suitable for education. As a result, teachers in the field relied on their individual abilities to realize education and experienced difficulties. The improvement measures included developing a curriculum suitable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creasing teachers' expertise in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meeting the demands of daily living, communication, individualized education, and diagnostic evaluation. Conclusion: A simplified theoretical framework was presented by means of a synthesis of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In addition, further discussions were also developed on contents that were key issues in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here there was clear disagreement.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중도중복장애학생 관련 연구에서 나타난 학생, 교사, 관리자, 학부모 등의 교육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수집하고, 이러한 현상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 통찰력있고 일반화 가능한 새로운 해석을 생성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11년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적용된 이후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 관련 양적·질적 연구 33편을 수집하여 질적메타합성하였다. 세부적인 자료 분석 및 합성 방법은 비판적 해석학적 합성의 절차와 기준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핵심은 학생의 요구에 맞는 적절한 교육과정이 부족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현장의 교사들은 개인 역량에 의존하여 교육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요구에 적합한 교육과정의 개발, 교사의 중도중복장애에 대한 전문성 신장 제고, 그리고 일상생활, 의사소통, 개별 교육 및 진단평가기준 개발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종합하여 단순화된 이론적 구조틀을 제시하였다. 또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에서 이견이 뚜렷한 핵심 쟁점을 중심으로 추가적인 논의를 전개하였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동작 수행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박재국,김은라,임세령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To this end, 155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ttending special schools were surveyed about their daily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Results: First, it was shown that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d some level of needing help partially,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grade, type of disability, and level of communication. Second,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as found to be normal,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grade, type of disability, and level of communication.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uch as removals, movements, meals, and toiletries were suggest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수준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담당 교사 155명을 대상으로 담당 학생의 일상생활동작 수행과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은 부분적인 도움이 필요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교급, 장애유형,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급과 장애유형,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수준과 건강관련 삶의 질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일상생활동작을 독립적으로 수행할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착탈의, 이동, 식사, 용변처리에 대한 효율적인 교수를 제공함으로써 중도․중복장애학생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특수학교 중도중복장애 고등학생의 진로·직업교육 활동 참여에 관한 사례연구

        신혜영,이미숙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4 특수교육논집 Vol.29 No.1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particip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ctivities,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ctivities in a special school. Meth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terviews, and the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using a domain analysis method. Result: First,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howed interest in activities that provide sensory stimulation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se activities. Second,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restricted from participating 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ctivities because they focused on excessive safety and work results. Finally,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participating 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ctivities through various support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ctivitie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o prepare for their future careers through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 KCI등재

        메타포(Metaphor)를 통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김은라 한국특수아동학회 202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5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메타포 기법을 활용하여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중도중복장애학생 자기결정력 교수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185명의 자료를 최종 수집하였다. 이 후 수집된 자료의 코딩, 메타포의 분류, 범주화, 주제명 부여 등의 절차를 거쳤다. 마지막으로 양적 분석을 통하여 집단 간 메타포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특수교사의 메타포의 의미 범주는 ‘당연한 권리’, ‘삶의 이정표’, ‘모양이 다른 그릇’, ‘손에 잡히지 않는 구름’ 등 4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둘째, 특수교사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중도중복장애학생 담당 경력과 보조인력 수에 따라 유의미한 집단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 자기결정력 신장을 위한 다각적인 교사지원 방안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obtain preliminary data for teaching self-determination to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y analyzing the meanings of using a metaphor technique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special teachers on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purpose, the data from 185 teachers in special school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coded, metaphors were classified categorized, and assigned subject names. Finally,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the difference in metaphor recognition between groups was examined. Results: First, the meaning categories of special teachers' metaphors for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derived from four themes: 'due rights', 'life milestone', 'bowl of different shapes', and 'cloud out of reac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pecial teacher variables,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howed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assistants and the years of professional experience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were made for multifaceted teacher support measures to foster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대안교육과정으로서 현상학적 모형 탐색

        김혜리 ( Hye Ri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메를로-퐁티(Merleau-Ponty) 현상학의 이론 중 몸 도식(Schema corporel), 육화된 의식(embodied consciousness), 살(la chiar), 미적 체험(aesthetic experience)이라는 4가지 주요개념을 중심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대안교육과정의 논리와 모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현상학적 교육과정의 궁극적인 목표는 주관적-잠재적 앎을 통한 ‘지금 여기’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현상학적 교육과정의 내용은 지각, 관계, 습관, 반응이라는 4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셋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현상학적 교육과정의 방법은 통찰, 체험, 대화, 기술의 4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일정 수준의 인지능력을 중도·중복장애학생에게 강요하는 기능 훈련적 접근 일색의 교육과정이 아니라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몸과 실존 및 지각된 세계라는 원초적인 문제에 안착하는 현상학적 접근은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고유하고 실제적인 대안교육과정으로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had a purpose that to find the principle and model of alternativ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y applying body scheme, embodied consciousness, flesh, aesthetic experience as Merleau-Ponty`s phenomenological key concepts. This theoretical research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ultimate object of phenomenologic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s living life in ‘here right now’ through a potential subjective knowledge. Second, Contents of phenomenologic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s comprised of four fields titled perception, relation, habit, reaction. Third, method of phenomenologic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s comprised of four elements titled insight, experience, conversation, description. Phenomenological approach have a signification as intrinsic and practical alternativ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ecause of it is focusing on the primordial issue called body, existence and perceived world, not functional training approach to impose a certain level of cognitive abilities unto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한 문헌 고찰

        김경미,양소현,이미숙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8 지적장애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o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o exam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 total of 16 related studies were selected. Researchers analyzed the related studies based on general and in contents characteristics. In the results, the amount of topic-related studies were not enough. Most of the research utilized literature review and had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s major research participants.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puts emphasis on the living areas of daily, personal, community, and leisure, and is practiced based on specific vocation-related skills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related skills.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as not fully practiced based on the individual needs of the students, and they encountered challenges in having jobs after graduation. In discussion, the research proposed theoretical reform of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reorganization toward proper curriculum, improving professionality of teachers, the collaboration between schools and families, and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hat is wired with local community service institutions.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국내·외 학술논문을 살펴봄으로써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 논문으로 국내 연구 8편, 국외 연구 8편, 총 16편이 선정되었다. 분석대상 논문을 개괄적인 측면에서 게재연도별, 연구방법별, 연구대상별로 분석하였고, 내용적인 측면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내용의 개념적 특성, 수업 운영적 특성, 문제점, 그리고 학령기 이후의 삶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와 국외 모두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관련 연구의 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은 실생활 중심, 개인생활 영역, 지역사회생활 영역, 여가생활 영역이 강조되고 있었고, 직무관련 기술영역과 대인관계 기술영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특성에 맞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으며, 또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경우 졸업 이후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논의에서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재개념화, 적절한 교육과정으로의 재구성, 교사의 전문성 강화, 학교와 가정간의 긴밀한 협력, 지역사회기관과 연계한 진로·직업교육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의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중도·중복장애학생 연구의 지식구조 분석

        송승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8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1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For the purpose of study, 289 articles were selected with the key words ‘severe disability’, ‘multiple disability’, and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y’. Big data analysis programs such as R, UCINET 6.0 and Netdraw were analyzed. Results: First, the number of articles in the study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s increased steadily. And the types of key words derived were related to ‘individual level of support’, ‘type of disability’. Second, 'physical disability' and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highly centrality in the study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the case of multiple disability, blindness and hearing impairment were found to be overlapping. Conclusion: It is meaningful that all article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conduc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on semantic network analysis. Using various studies, including this study, Researcher look forward to legislative enactment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의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이제까지 실시된 국내 중도·중복장애학생 연구의 동향 및 특성을 살펴보고 지식구조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중도장애’, ‘중증장애’, ‘중복장애’, ‘중도·중복장애’를 키워드로 28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빅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인 R, UCINET 6.0, Netdra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을 통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 연구의 논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도출된 주요 단어의 유형은 ‘개별 차원의 지원’, ‘장애 유형’과 관련된 단어로 나타났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과 관련한 연구에서 지체장애, 지적장애가 중심성이 높고 중복장애에서는 시각장애와 청각장애가 중복인 경우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중도·중복장애학생 연구를 연도에 제한을 두지 않고 모든 논문을 대상으로 의미 연결망 분석을 다양한 관점에서 실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포함한 다양한 연구를 활용하여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적 차원의 법적 제정을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일반초등학교와 특수학교의 통합교류활동 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들과 중도․중복 장애학생들에게 미친 영향

        남혜진(Nam, hye jin),박승희(Park, Seung Hee)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 Vol.17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초등학교와 인근 특수학교 간의 사물놀이로 구성된 통합교류활동 프로그램이 비장애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초등 중도․중복 장애학생(청각장애와 지적장애)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참여자는 C일반초등학교와 N특수학교의 3학년 학생이며, 실험집단으로 비장애학생 24명과 중도․중복장애학생 8명은 통합동아리 시간에 총 16회기의 ‘통합교류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비장애학생의 종속변인 양적자료는 독립표본 t검정을 하였고 중도․중복 장애학생의 사전사후 변화는 관찰, N특수학교 담당교사, 특수교육보조원, 공익근무요원과의 면담, 학기 말 성과보고서에서 수합된 질적 자료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 비장애 초등학생들의 정서지능 전체 점수와 하위영역 3가지 점수는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비장애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 전체점수와 하위영역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중도․중복 장애학생들은 통합교류활동 프로그램 참여의 양과 질 향상, 대인관계에서 상호작용의 증진, 개인적 정서적 안정감과 행복감의 표현이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는 ‘통합교류활동’을 초등 정규교육과정의 통합동아리 활동으로 실시하고 그 긍정적 효과를 보고하는 첫 연구로서 분리교육 환경의 특수학교 학생들에게 비장애학생들과의 통합경험 제공, 통합동아리 활동 참여 후의 초등학생들의 성장, 사물놀이 활동선정의 적절성, 특수학교의 발전 방향 등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이 제공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inclusive exchange program involving elementary students in special and ordinary schools, o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ceptanc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on overall change in percep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A total of 24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8 students diagnosed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16 sessions of Samulnori inclusive exchange program, which was based on social emotion learning. Independent-samples t-tes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disabilities acceptance attitudes in the two groups. The themes underlying the overall exchange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derived from the qualitative data collected.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s. The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howed improvement in their participation in Samulnori and expressed excitement and satisfaction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cultivated new friendship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inclusive exchange program involving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those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t special and ordinary schools.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 대상 치료지원서비스 현황 및 발전방향 탐색: 물리치료를 중심으로

        강혜경,김주혜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학연구 Vol.54 No.3

        Despite the wide range of related support ser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tudents with severe, multiple disabilities experience difficulty accessing physical therapies. Many of students with severe, multiple disabilities have accompanying physical disabilities; therefore, it is crucial to secure access to physical therap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rapy support services for students with severe multiple dis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difficulties, demands,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development. The focus group interviews involved three parents with children with severe multiple disabilities and one parent with an adolescent child with severe multiple disabilities. We analyzed the interview results using a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which identified six topics and twenty-one sub topics. These were the suggested future directions: 1) realization of a voucher system; 2) improvement of medical treatment conditions; 3) diagnosis based on conditions and services that accommodate demands; 4) transfer of service delivery system. 장애학생을 위한 치료지원 분야는 매우 다양하나 중도․중복장애학생 중에는 지체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고, 이중 대다수가 물리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들이 치료 지원을 받는 데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 대상 치료지원 서비스 중 물리치료를 중심으로 서비스의 현황과 어려움, 요구 및 발전방안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남지역 중도․중복장애 학교 학부모 중 물리치료를 받고 있는 4명의 학부모(초등 3명, 중등 1명)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자료는 지속적 비교분석법에 따라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 6개의 주제와 22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중 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치료지원서비스의 나아가야할 방향을 다음과 같이 논의 및 제언하였다: 1) 바우처 제도의 현실화, 2) 치료여건의 개선, 3) 상태중심의 진단과 요구중심의 서비스, 4) 서비스 전달체계의 전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