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유아특수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 연계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백지연,조현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IEP)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special classes in public kindergarten. To this end, 7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special classes in public kindergartens who have qualifications as teachers in special schools (kindergarten) were sampled for the purpose,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continuous comparison method, and 2 upper categories, 8 sub-categories, and 35 main content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e experience of connect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ith the IEP as ‘education made by early children and teachers together’. The sub-categories were ‘unified education met by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barrier met by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required support in an inclusive environment’. Second,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e experience of connect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ith the IEP as an ‘educational practice process for one early child’. The sub-categories were ‘connecting with the curriculum’, ‘putting the early child at the center’, ‘teachers who create fences’, ‘obstacles encountered in connecting with the curriculum’, and ‘required support for an early child's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useful resource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lated researchers who are striving to successfully link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ith IEP. 본 연구의 목적은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유아특수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 연계 경험과 그 의미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특수학교(유치원) 정교사 자격을 가진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유아특수교사 7명을 목적 표집하였으며, 심층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속적 비교법에 따라 범주화하여 2개의 상위범주, 8개의 하위범주, 35개의 주요 내용이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들은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 연계 경험을 ‘아이들과 교사들이 함께 만드는 교육’으로 인식하였으며, 하위범주는 ‘유아특수교사가 만난 어울림 교육’, ‘유아특수교사가 만난 벽’, ‘통합 환경에서 필요한 지원요구’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특수교사들은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 연계 경험을 ‘한 아이를 위한 교육 실천 과정’으로 인식하였으며, 하위범주는 ‘교육과정과 연결 지어보기’, ‘유아를 중심에 두기’, ‘울타리를 만들어주는 교사’, ‘교육과정과 연결 짓기에서 만난 장애물’, ‘한 아이의 교육을 위한 지원요구’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통합교육 환경의 유아특수교사 및 관련인들에게 2019 개정 누리과정과 IEP 연계의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의미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특수교육교원 양성 교육과정 적절성 탐색

        안성우,박병도,김정은,최상배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the minimum standards of curriculum in teachertraining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the completion of this study, 4 department groups fromthe total of 67 departments of special education in nation were categorized and examined the currentstatus of the basic required courses of special education, subject matters, and indication subjectssuggested by the standards of teacher qualifications. Frequency analysis of subject level wasconducted and added up the order of priority. Then, the highest frequency in subjects was comparedto the lowest frequency in subjects. Results showed that all departments opened not only average 38credits on the basic required courses and indication subjects for special education, but also at least 21credits as minimum standards of curriculum by opening the average 30 credits on the basic requiredcourses for indication subjects. Frist, in the 11 department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pecialeducation the average 36.4 credits were opened as the basic required course of special educationwhereas the average 37.1 credits were opened as the basic required course for indication subjects. Second, in the 25 departments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average 41.6 credits were opened asthe basic required course whereas the average 30.2 credits were opened as the basic required coursefor indication subjects. Third, in the 23 departments related to middle school special educationaverage 41.2 credits were opened as the basic required course of special education. Fourth, in the 8departments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the average 32.8 credits were opened as the basic requiredcourse of special education whereas the average 22.9 credits were opened as the basic requiredcourse.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교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적절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 67개 특수교육 관련 학과(유치 11, 초등 25, 중등 23, 특수체육8)를 4개 학과군으로 분류하여 교원자격검정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특수교육 기본이수과목, 교과교육관련 기본이수과목, 표시과목 기본이수과목 개설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후 교과목별 빈도 분석을 실시하여 가장 많이 개설한 교과목의 우선순위를 집계한 후 개설 빈도가 가장 높은 교과목과 가장 낮은 교과목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학과에서 특수교육 기본이수과목과 표시과목 기본이수과목을 평균38학점을 개설하였고, 표시과목 기본이수과목을 평균 30학점을 개설하는 등 대부분 최소 이수기준은 21학점 이상 개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학과별로 살펴보면 첫째, 11개 유아특수교육 관련 학과의 특수교육 기본이수과목 개설 평균 학점은 36.4학점, 표시과목(유아교육) 기본이수과목 개설 평균 학점은37.1학점이었다. 둘째, 25개 초등특수교육 관련 학과의 특수교육 기본이수과목 개설 평균 학점은 41.6학점, 표시과목(초등) 기본이수과목 개설 평균 학점은 30.2학점이었다. 셋째, 23개 중등특수교육 관련 학과의 특수교육 기본이수과목 개설 평균 학점은 41.2학점이었다. 넷째, 8개의 특수체육교육과의 특수교육기본이수과목 개설 평균 학점은 32.8학점, 체육 기본이수과목 개설 평균 학점은 22.9학점이었다. 이상의결과에 비추어볼 때 우리나라 특수교육 관련 학과에서는 국가에서 설정한 교원양성 기준을 훨씬 초과하는 교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특수교육 교수와 전문행정가들이 장애유형의 교과목 이수 및 개설 현황의 적절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의무교육기관으로써 특수학교 유치원의 질적 운영을 위한 유아특수교육 전문가들의 인식 및 요구조사

        이병인,김현숙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os to survey perceptions and needs for the qualitative management of the special school kindergartens as compulsory education institutions. By surveying current problems and future improvement, some basic guidelines and future educational policy directions are then sugges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wo special school kindergarten teachers, one vice principal of a special school, two professor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departments were participated in-depth interviews. Five subcategories in perceptions, six in problems and five in improvement were made based on research problems. The survey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early childhood os an critical period of time on development and kindergartens in special schools are easy to support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dividually, and also especially proper for education of children with severe developmental delays. Second, they responded that kindergarten classes on special schools had various advantages but it was passively operated without clear standard due to low level of recognition of administrators, fellow teachers and parents. Third, they required the maximization of its advantages for the qualitative management of kindergartens on special schools, and the unique operation that can supplement the disadvantages of separated education and special curricula for them should be implemented. For this goal,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fo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improvement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fellow teacher’s recognition, disposition of professional school commissioners, the support for teachers’ research meetings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on curriculum are suggested. Based of these results, the support plans were discussed and sought for normalization of the curriculum management of kindergarten classes on special schools in this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유치원 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과 특수학교 유치원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조사하여, 향후 의무교육기관으로써 특수학교 유치원의 질적인 운영과 이를 위한 지원방안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특수학교 유치원 교사 2명과 특수학교 교감 1명, 유아특수교육과 교수 2명 등 관련 전문가들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문제에 따라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인식에서 5개, 문제점에서 6개, 개선방안에서 5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 유아특수교육 전문가들은 유아기는 발달에 있어 중요한 시기로써 특수학교 유치원은 유아의 개별적 지원이 용이하기 때문에 중요하며, 중도발달지체유아의 교육에 적합한 기관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유아특수교육 전문가들은 특수학교 유치원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관리자 및 동료교사, 학부모들이 운영에 대해 낮은 인식을 갖고 있고, 뚜렷한 기준 없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유아특수교육 전문가들은 특수학교 유치원의 질적인 운영을 위하여 특수교육기관으로서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분리교육의 단점을 보완하는 특색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행ㆍ재정적 지원 기준 마련과 학교 관리자 및 동료교사들의 인식 개선, 전문장학사 배치, 교사 연구모임 지원 교육과정 평가문항 개발 등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특수학교 유치원 과정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논의하고 모색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 수준과 영향 요인 분석

        정윤우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2

        This study purposed to survey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level of pedagogicalcontent knowledge(PCK) and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level, and to analyze correlationsamong the domains of PCK.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asfollows. First, is the perception level of PCK different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arethere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PCK variables the level of awareness? Third,what factors influen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PCK? In order to answer thesequestions, this study surveyed 212 special education teacher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perception of PCK was average, and by domain, student knowledge was highest, which was followedby pedagogical knowledge, expression knowledge, curriculum knowledge, content knowledge, andassessment knowledge. Second, a special education teacher PCK is a higher awareness of the PCKawareness than working in small cities and rural teachers are teachers who work in big cities, morethan 15 years of experience teachers PCK showed that the recognition of the high, there was nodifference between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school, a special type of institution. Third,independent variable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CK were work areaand experience. For enhanc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PCK,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training programs to in-service teachers, and consulting training to experienced and new teachers. Furthermore, it will be effective to develop and apply training programs that can utilize thesub-domains of PCK together. 본 연구는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고, 특수교육교사 변인별 인식 수준의 차이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첫째, 특수교육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PCK)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특수교육교사 변인에 따른 교수내용지식(PCK)인식 수준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특수교육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PCK)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무엇인가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특수교육교사 212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의 인식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영역별로는 학생지식이 가장 높았으며, 교수법지식, 표현지식, 교육과정지식, 내용지식, 평가지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인식은 대도시에근무하는 교사가 중소도시 및 농어촌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경력15년 이상의 교사들이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과정, 특수교육기관유형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의 인식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근무지, 경력이었다.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의 계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현직연수와 경력교사와 신임교사의 멘토링 연수가 필요하며, 각각의 하위 영역들을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적용되어야 효과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특수교육 교사의 과학교육 신념과 과학의 본성 인식 특성

        정동영(Chung Dong-young),이철우(Lee Cheol-woo)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eliefs of science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science nature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achieve these purpose, 133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elected and the belief in science education and the nature of science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beliefs about science education are that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re stronger than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stronger than Secondary teachers.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for Nature of Science are that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nd elementary school are higher than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Secondary school. This is because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nd elementary school have easy access to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ird, The ratio of Traditional recognition and Mixed recognition is that special education school is more tha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nd Secondary school is more than elementary school. Therefo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beliefs about science education and perception for Nature of Science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where teachers work. 본 연구는 특수교육 교사의 과학교육 신념과 과학의 본성 인식의 특징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전국에서 특수교육 교사를 선정하여 ‘과학교육 신념 및 과학 본성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 특수교육 교사의 과학교육 신념은 특수학급 교사들이 특수학교보다 더 강하고, 초등학교 교사들이 중․고등학교 교사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교육 교사의 과학의 본성 인식도 일반교육 교육과정 접근이 용이한 특수학급과 초등학교의 교사들이 특수학교와 중·고등학교 교사들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특수교육 교사들은 특수학급보다 특수학교의 교사들이, 초등학교보다 중·고등학교의 교사들이 전통적 인식과 혼합된 인식을 가진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수교육 교사의 과학교육 신념 및 과학의 본성 인식은 교사들이 근무하는 학교 특성에 따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특수교육의 학사적(學史的) 일 연구: 초기(1960-70년대) 연구 활동 중심으로

        김병하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3 No.4

        This paper was conducted to present the scholastic history on special education in Korea from 1960s to 1970s. The subject of analysis in this study involved the research paper, the published books and the related professional papers on special education in Korea from 1960s to 1970s. Our country had been established the prepar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children and youth with disabilities at college and university as four year professional course since 1961. The scholastic discourse in Korean special education during 1960s was concentrated on educating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hearing impaired. And the early days in the 1960's, the research papers on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our country were concentrated upon the problem of socio-medical aspects. In our country, the first professional author in special education field was Dr. Tae Young Rhee who initiated the preparation of special teachers at Korea Social Work College since 1961. His first book,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was published in 1963 at Daegu. In this book, Dr. Rhee discussed the future issues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and suggested the school restructuring for all children as long term vision. During 1970s, scholastic papers on special education in our country were more increased i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First of all, the professional publications and research papers on the mentally retardation and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published more rapidly since 1970s. 본 연구는 1960년대에서 1970년대에 이르기까지 초기의 우리나라 특수교육 연구 활동을 학사적(學史的) 측면에서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960년대에 접어들며 우리나라에서도 4년제 대학에 특수교육과가 설치되고 그에 영향을 받아 특수교육 저술을 비롯해서 초기의 연구 활동은 주로 맹교육과 농교육 중심으로 행해졌다. 60년대에 우리나라 최초의 특수교육 저서는 한국사회사업대학 특수교육과 설립(1961)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이태영(李泰榮; 1929-1995) 학장이「특수교육개론」(1963)을 저술한 것이다. 60년대 중후반에 접어들면서 대학 연구소와 논문집을 중심으로 특수교육 분야 논문이 본격적으로 발표되기 시작했으며, 이 무렵 특수교육 학술단체로 ‘한국특수교육학회’가 결성되기도 했다. 70년대에 와서는 특수교육 연구 활동의 양과 관심분야에 걸쳐 현저한 진전을 가져오기 시작했다. 특히 70년대에 와서 정신지체 분야의 저술과 논문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그 가운데 김정권(金正權) 교수가 기획한「정신박약아교육총서」(전6권)의 간행은 당시 상황으로서는 주목할 만한 것이었다. 70년대의 저서 가운데 구화교육(최병문), 청각교육(이규식 등), 특수교육역사(김병하), 지체부자유아교육(안병즙) 등에 걸쳐 성과가 있었고, 논문 쪽에는 정신지체의 진단-평가, 특수아동 실태조사와 출현률, 특수학급 입급(入級) 아동 진단과 교육, 교사교육 등에 걸쳐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이 모아졌다. 70년대에 특수교육학계가 우리나라 특수교육 발전에 기여한 주요 성과 가운데 중학교 무시험진학제도 도입이후 일반 초등학교 내에 전국적으로 특수학급이 설치 운영되게 한 것과 1977년 말에 학계가 주도하여 ‘특수교육진흥법’이 제정될 수 있게 한 것은 특히 높이 평가할만하다.

      • KCI등재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에서의 특수교육보조원 지원 요구 분석 및 지원 방안 연구

        이병인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needs on para-professionals in early childhoodspecial education field and to provide effective support for para-professionals. Aquestionnaire was conducted by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n indepthinterview was conducted by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placing para-professionals ineducational settings, standard on placement should be made according to appropriateschool age and grade. Second, criteria for para-professional’s qualification shouldbe stressed, & pre-service for teacher education and their job training should beconsidered. Third, para-professional’s role should be clearly defined and teachersand administrators should collaboratively work together. Fourth, para-professional’sselection, placement, training & arrangement should be administered by schooldistricts and clear & specific regulation and guidelines also should be established. Fifth, effective management systems for para-professionals should be establishedbased on real educational setting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willcontribute to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para-professionals in early childhood specialeducation field. 본 연구는 특수교육보조원에 대한 유아특수교육 현장의 요구를 조사하고, 효율적인 특수교육보조원 서비스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수도권 지역의유아특수교사와 장애유아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유아특수교사들을 심층 면담하였다. 조사연구와 심층면담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특수교육보조원 활용방안이 제시되었다. 첫째, 유아특수교육 현장의 특수교육보조원 배치 시 유, 초, 중ㆍ고등부의 학제별 특수교육보조원 배치인원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특수교육보조원의자격기준이 강화되어야 하며, 양성 및 직무 교육의 내용이 내실화되어야 한다. 셋째,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을 명확히 규정하여 교육기관의 교사 및 행정가 등이 상호 협력할 수있어야 한다. 넷째, 특수교육보조원의 선발, 배치, 양성 및 관리 등 일련의 과정은 시ㆍ도교육청 주관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에 대한 명확한 규정과 제도적 지침이 마련되어야한다. 다섯째, 유아특수교육현장을 고려한 특수교육보조원의 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향후 유아특수교육 현장에서 특수교육보조원의효과적인 활용에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교육정책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 중요도와 실행도(IPA) 분석을 중심으로

        심솔비,이병인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1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special education policy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the 5th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2018-2022) and to identify implications through IPA analysis. For this purpose, a surve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ECSE) teachers were analyzed. and 29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fter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execution through t-test, we conducted an IPA matrix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policy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recognized as ‘Establishm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legal members, Open and extension of special schools(classes), Early identification to improve special education. Second, the performance of policy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appeared ‘Educating & improving disability-awareness’, ‘Implement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Strengthening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or early identification & diagnosis’. Third,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related education policies for special education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ques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provided basic data for the 6th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본 연구는「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2018~2022)」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교육정책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IPA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실시하고, 293명의 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t-검증을 통해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알아본 후, IPA 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교육대상영유아 정책에 대한 중요도는 특수교사 법정 정원 확보, 특수학교(급) 신․증설, 조기발견이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둘째, 특수교육대상영유아 정책에 대한 실행도는 장애 인식 개선 교육, 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성․운영,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조기발견 및 진단․평가 기능 강화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관련 교육정책에 대한 유아특수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의 차이는 대다수의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책 시행의 중간 점검과「제6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 특수교육 입법정책의 변천에 관한 연구

        이석진,김삼섭 한국특수교육학회 2004 특수교육학연구 Vol.39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enactment and amendment of Korean policies for special education related law based on analysing and reviewing them (Korea policies of special education related law). For this job, this study divided the periodical process of changes on Korea special education policies into the followings: the Civilized Nation Period(1870-1911),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1911-1945), the American Occupation Period(1945-1948),the Quickening Period of Special Education Policies(1948-1976), the take-off Period of Special Education Policies(1977-1994), and the Developmental Stage of Special Education Policies(1994- ), and investigated the process of formation, enforcement and evaluation through grasping wether the special education related law or not at each period. The objects of investigation were the National Constitution, the Law of Education, the Law of Education Standards, the Law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Law,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Enforcement Ordinance,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Enforcement Regulations, and the Special School Facilities and Equipment Standards Ordinance. Through investigating the process of changes of these kinds of laws in Korea, there was presented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special education related law. 이 연구는 한국 특수교육 입법 정책의 변천과정을 분석․검토한 후, 이를 토대로 특수교육 관련 법규의 제정과 개정의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정책의 시대적 변천 과정을 개화기ㆍ일제 강점기ㆍ미군정기ㆍ태동기ㆍ안정기ㆍ발전기로 시대를 구분하고, 각 시대의 특수교육 관련 법규의 존재여부를 파악하여 그 법규의 형성ㆍ집행ㆍ평가 과정을 고찰하였다. 고찰의 대상이 된 법규는 헌법, 교육법, 교육기본법, 초․중등교육법, 초․중등교육법시행령, 특수교육진흥법, 특수교육진흥법시행령, 특수교육진흥법시행규칙, 특수학교시설․설비기준령이었다. 이 법규들의 변천과정 고찰을 통하여 우리나라 특수교육 입법 정책의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 특수교육법의 교육학적 문제점과 개선 방안 탐색

        배찬효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edagogical problems and tasks of the special education law which is being implement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questions of it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pedagogical problems of the special education law? Second, what are the improvement plans about the pedagogical problems of the special education law?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 problems of the special education law belong to the purpose, integrated education, individualized education, itinerant education, and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presented by the law. The improvement plans about the pedagogical problems of the special education law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legislate about how to implement in order to achieve the self-realization which is one of the purposes of the special education. Second, it has to make integrated education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improving well.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특수교육법인⌈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가지는 교육학 적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 하여 ‘첫째,⌈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교육학적 문제점은 무엇인가? 둘째,⌈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교육학적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라는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특수교육법의 문제점은 특수교육법에서 제시된 목적 자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특수교육법에서 제시된 ‘통합교육’, ‘개별화교육’, ‘순회 교육’, ‘진로 및 직업교육’과 같은 특수교육의 내용 및 방법과 관련된 문제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 다. 제시된 문제점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의 목적 중의 하 나인 자아실현을 위해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특수교육을 실시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에 관해 법 률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고, 둘째, 현재 통합교육이 이루어지는 곳이 대부분 특수학급이 있는 일반학급임을 고려하여, 통합교육과 개별화교육을 잘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