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김승연(Kim Seung-yeon),김정연(Kim Jeong-youn),허유성(Heo Yu-sung)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3

        이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A광역시와 B도의 특수학급 교사 137명을 대상으로 자체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에 대한 교사의 이해도와 운영 실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전반적인 이해도는 3.8 이상의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변인에 따라서는 20대의 교사, 5년 미만의 경력 교사의 이해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약 80%는 학교 교육과정 위원회에 참여하지 않으며, 타 학년군의 교과내용을 대체하여 운영하는 것에 대해 대부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진로·직업교육 및 현장실습 영역은 특수학급 교사가 학생의 취업정보 제공과 취업처 발굴, 사후관리까지 책임지고 있었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통합학급에서 운영하는 활동에 참여한다는 응답이 50%이상이었다. 자유학기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대부분이 완전 통합으로 운영하며, 학생의 흥미도와 참여도는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별 운영 지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주요 개정 내용별 지원 요구는 모든 항목에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의 지원 방안과 발전적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ppropriate supporting measures for special education class in secondary school with regard to the 2015 revision of national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137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A metropolitan city, B Cities and Provinces answered questionnaires about their understanding of the revision, operating condition, and support demands.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the level of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revision was high with more than 3.8 point, and the teachers in their twenties, with less than 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showed the highest comprehension level. Second, about 80%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not participated in school curriculum committee, showing positive stance in accepting curriculum of other grade. In the sphere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field practice educa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sumed responsibilities of providing job information, discovering job opportunity. as well as post management. More than half of the teachers responded to operat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inclusive class. Most of the exam-free semester and school sports clubs activities were operated through full inclusion, showing high level of interest and participation rate of students. Third,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was very high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operational support from the revision. The demand for support in each major point of the 2015 revision was high. Based on these results, supportive measures and future direction for special education class were discussed.

      • KCI등재

        다차원 모형에 입각한 한국 특수교육정책 분석

        송미진,정대영 한국특수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학연구 Vol.50 No.3

        This research analyses the past five years special development plan and one in progress with the focus on the special education policy. Educational polic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multidimensional models, based on Cooper et al. (2004). Such dimensional models were, normative, structural, constitutive and technical dimension, analysed in-depth, thoroughly. Multi-dimensional policy analysis models were applied on 1st to 3th five years special educational development plan sand results are shown below(Cooper et al, 2004). The normative dimensions carried by the current special educational policies includes, humanity, equality, self-realization and social integration, whereas 1st and 2nd five years special educational development plans focused on educational equity, influencing on compulsory, free, integrated and work-related education. For the structural dimensions, Ministry of Education and District/Regional Education Office were considered, to see the effects on the special education policies. Particularly, in order for the special education policies to have effects on special education facilities and disabled individuals, human resources must be allocated adequately for an efficiency of governmental organization, systemic review of the policies needs to be placed methodologically and communications and cooperation are needed between governmental agencies. In terms of Constitutive dimensions, policy related surveys, based on the stakeholders, such as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needs for the special education and non-governmental special education organizations, meets education requirements of facilities and establishment of the policies, for the efficient special education facilities and effective placement of the policies, ideally helping with overall policy enactment. Technical dimension wise, limited governmental and district active policy systems affected 1st and 2nd five years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plans, resulting in inconsistent outcomes depending on individual officer’s abilities. 본 연구는 한국 특수교육 발전 과정에서 수립되었던 정책 중 중장기 계획에 해당하는 제1차~제3 차 특수교육발전 종합계획에 대한 정책분석을 통해 한국 특수교육 정책의 특징을 파악하여 미래 특수교육 정책 결정과정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수교육 정책을 분석하기 위해 Cooper, Fusarelli & Randall(2004)이 제시한 규범적 차원, 구조적 차원, 구성적 차원, 기술적 차원의 4가지 차원으로 구성된 다차원 분석 모형이 적용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규범적 차원에서의 제1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에서부터 제3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까지의 정책은 인간존중과 교육의 평등성 보장이라는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비전 및 목표에 자아실현, 통합교육, 사회통합, 사회참여를 강조하고 있으며, 그 시대의 사조도 반영하고 있다. 둘째, 구조적 차원에서는 특수교육정책이 특수교육현장과 수요자들에게 파급되려면 정책을 집행하는 행정조직이 업무를수행하기 원활하도록 인력이 배치되어야 한다. 셋째, 구성적 차원에서는 제1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에서는 드러나지 않지만 제2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에서부터 제3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까지특수교육 정책형성 과정에서 이해당사자의 영향은 매우 컸다. 넷째, 기술적 차원에서는 제1차와 제2차에서는 국가와 지방정부의 정책수행 시스템 부족으로 업무담당자가 중심이 되어 실행가능성과 여건을 무시한 채 이상적인 정책이 수립되거나 업무담당자의 능력과 의지에 따라 성과가 달라지기도 했다.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유아 가족에 관한 유아특수교사의 경험 연구: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분석을 중심으로

        이정윤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2 No.4

        The family is the most fundamental environment for the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detailed insight on the experience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young children and the family need to be conducted to reveal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on and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special teacher for young children and the fami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nd to understa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on the family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young children’ experience was inductively analyzed according to themes based on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1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been taught in preschool.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the individual interview and the group interview with the teachers. As a results of analysis, 15 sub-themes and 6 essential themes were revealed. For educational practice, the forming a relationship process and the practical collaboration betwee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family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ere revealed through the study. Furthermore, theses results would be the valuable data for a consideration of the plan for strengthe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young children’ ability to collaborate and to form a good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of the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최근 교육현장에서는 유아의 전인적인 교육을 위해 가정과 교육기관이 서로 협력하며 함께 유아의 교육에 대한 공동의 책임감을 느끼고 노력하는 교육공동체로 나아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수교육대상유아의 가족은 유아특수교사가 교육적으로 협력해야 할중요한 대상 중 하나이다. 유아특수교사와 특수교육대상유아 가족의 협력과 관계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유아특수교사와 특수교육대상유아 가족의 경험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특수교육대상유아 가족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유아특수교사의 특수교육대상유아 가족 경험을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통해 주제에 따라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유아특수교사 또는 유치원 수업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11명이며, 자료수집은 참여자들과의 집단 또는 개별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총 15개의 하위주제와 6개의 본질적 주제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특수교사의 특수교육대상유아 가족 경험의 본질적인 의미탐구를 통해 유아특수교사와 특수교육대상유아 가족의 관계와 협력에 관한 생생한모습을 드러내었고,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관계형성과 협력을 위해 유아특수교사가 준비해야할 역량과 그 역량 강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고찰자료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 수준과 영향 요인 분석

        정윤우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2

        This study purposed to survey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level of pedagogicalcontent knowledge(PCK) and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level, and to analyze correlationsamong the domains of PCK.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asfollows. First, is the perception level of PCK different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arethere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PCK variables the level of awareness? Third,what factors influen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PCK? In order to answer thesequestions, this study surveyed 212 special education teacher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perception of PCK was average, and by domain, student knowledge was highest, which was followedby pedagogical knowledge, expression knowledge, curriculum knowledge, content knowledge, andassessment knowledge. Second, a special education teacher PCK is a higher awareness of the PCKawareness than working in small cities and rural teachers are teachers who work in big cities, morethan 15 years of experience teachers PCK showed that the recognition of the high, there was nodifference between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school, a special type of institution. Third,independent variable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CK were work areaand experience. For enhanc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PCK,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training programs to in-service teachers, and consulting training to experienced and new teachers. Furthermore, it will be effective to develop and apply training programs that can utilize thesub-domains of PCK together. 본 연구는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고, 특수교육교사 변인별 인식 수준의 차이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첫째, 특수교육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PCK)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특수교육교사 변인에 따른 교수내용지식(PCK)인식 수준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특수교육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PCK)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무엇인가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특수교육교사 212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의 인식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영역별로는 학생지식이 가장 높았으며, 교수법지식, 표현지식, 교육과정지식, 내용지식, 평가지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인식은 대도시에근무하는 교사가 중소도시 및 농어촌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경력15년 이상의 교사들이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과정, 특수교육기관유형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의 인식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근무지, 경력이었다.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의 계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현직연수와 경력교사와 신임교사의 멘토링 연수가 필요하며, 각각의 하위 영역들을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적용되어야 효과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치원과정 특수교육대상자 의무교육실시 방안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박현옥,강혜경,권택환,김은주,김진희,백유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1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of recognition and demand on compuls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based on this survey data, to suggest basic guidelines and future educational policy direction.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survey by mailing the questionnaire to 1478 people. They are consisted of the 353 directors and 304 special education teachers, 373 general education teachers, 298 parents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150 supervisor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1) the most expected thing and the first thing to implement, 2) the range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compulsory education, 3) difficulties and needed supports for the day care centers and private preschools when the compulsory education is carried out. Based on the results, the present study includes several political suggestions; 1) having enough education facilities, 2) plac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3) implementing the compulsory education and functioning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4) child finding, identifying children who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placing and providing educa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procedures for administrative support, and 5) public awareness. 본 연구는 유치원과정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의무교육을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의무교육 실시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정책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전국단위의 유치부 설치 특수학교, 국ㆍ공ㆍ사립 유치원, 장애전담 및 통합 어린이집의 기관장, 특수교사, 일반교사, 학부모와 각 시ㆍ도 및 지역 교육청의 특수교육, 유아교육 담당 전문직 등 총 14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별 설문 참여자는 장애유아 학부모 298명, 기관장 353명, 일반교사 373명, 특수교사 304명, 장학사 150명 등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참여자를 대상으로 유치원과정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의무교육이 실행될 경우 가장 기대되는 바와 그에 따라 최우선으로 추진되어야 할 내용, 의무교육 실행을 위한 행ㆍ재정적 지원 범위, 사립기관 및 보육시설에서의 의무교육 시행 시 애로사항 및 필요한 지원 등의 내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유치원과정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의무교육 시행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정책적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1) 의무교육 기관 확보 (2) 유아특수교사 배치, (3) 의무교육 실시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 (4) 대상자 발견 및 특수교육 대상자 판정, 배치, 교육 실시와 행정적 지원 절차, (5) 홍보방안.

      • KCI등재

        초등특수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분석과 개선방향

        정정진 한국특수교육학회 2006 특수교육학연구 Vol.41 No.1

        Analysis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sof elementary school 본 연구는 초등특수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기본이수과목과 초등교육 관련 전공과목을 법령의 이수규정과 특수학교 교육과정, 특수교육전문가 및 특수교사들의 의견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교육과정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집된 23개 대학 특수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해 교육부고시 2000-1호 이수규정, 학교(급) 교육과정, 특수교육전문가 및 특수교사들의 의견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특수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네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육부고시 이수기준은 초등특수교사 양성기준으로 부적절하다. 둘째, 현행 초등특수교사 양성 교육과정은 교사의 수행능력을 배양하는데 한계가 있다. 셋째, 현행 졸업학점제는 우수한 특수교사를 양성하는데 한계가 있다. 넷째, 특수교사 양성 국가 표준교육과정이 운영되어야 한다.<주제어> 초등특수교사 양성 교육과정, 특수교육전문가, 표준 교육과정, 특수교사자격증

      • KCI등재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특수교육 교사론적 함의

        김병하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특수교육학연구 Vol.45 No.1

        본 연구는「대승기신론」의 특수교육 교사론적 함의를 구명하기 위해 다음 세 갈래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즉, 첫째는 오늘의 한국특수교육에서 교직과 교사론의 함정은 무엇인가? 둘째는 본성회복 혹은 심성함양으로서 (특수)교육본질의 복원을 위해 기신론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가? 셋째, 기신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특수교육 교사론의 정립 과제는 무엇인가? 오늘의 한국 특수교육은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본말이 전도되어 있다. 체용(體用)의 논리에서 보면, 몸짓(用)에 현혹된 나머지 몸(體)를 간과한 형국을 초래하고 말았다. 즉, 장애아동의 ‘장애’만 보고 사람을 놓친 격이다.「대승기신론」은 심성함양으로서의 교육본질을 함축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중생이 곧 부처라는 불퇴신(不退信)을 전제로 하는 기신론은 특수교육을 ‘희망과 믿음’의 교육으로 정초한다. 붓다는 중중 정신지체인인 출라판타카(周利槃特)에게 깨우침을 얻게 함으로써, 희망과 믿음의 교육을 입증해 보였다. 그러기 위해 특수교육교사는 “중생인 장애학생을 자신과 동일한 존재로 생각하면서도 그 자신이 그들과 동일한 존재로 되지 않는”(取一體衆生 如己身故 而易不取衆生相) 바로 그 여래의 모습을 띠어야 한다. 그래서 특수교육은 ‘교육 중의 교육’이고, 특수교사는 ‘교사 중의 교사’이다. This paper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ly, what is a pitfall on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our country? Secondly, What is implication for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the viewpoint by Mahayana sutra(大乘起信論)? Lastly, What is tasks for the professionalism of Kore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the viewpoint of the sutra?Currently, Korean special education mistake the means and ends with exaggeration on the ‘handicap’ of children with disability. Educaion is the cultivation of natural mind, and the Mhayana sutra was presented us to keep the mind. Budda demonstrated the educability for the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a real case by Ksullapathake. In this poin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should be ‘teacher of teachers'

      • KCI등재후보

        한국 특수교육학의 지식 기초 연구 : 역사적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정용석 한국특수교육학회 2003 특수교육학연구 Vol.37 No.4

        한국의 특수교육의 출발은 평등권, 교육권 등의 선교사에 의한 도덕론에서 출발하였다. 한국 특수교육학의 지식은 일반교육학을 토대로 출발하였고 현재까지도 일반교육학의 지식은 특수교육 전문가 집단에게 상당부분 녹아들어가 있다. 1980년대 특수교육의 확장 및 전개에 가장 영향을 준 지식은 미국 중심의 주관주의에 속해있는 진보주의였으며, 1990년대 중반이후 한국의 특수교육 전개에 영향을 준 지식 기초 또한 진보주의와 계통을 같이하는 구성주의, 포스트모더니즘 등이었다. 그리고 특수교육학의 패러다임 등의 상위지식과 특수교육 실제 등의 하위지식간에는 상당히 괴리감이 존재한다.Ⅳ. 한국과 서구 특수교육학의 지식기초 비교

      • KCI등재

        특수학교 및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리자들이 인식하는 장애영아 지원 실태 및 요구

        백유순,이명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current state and needs ofearly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the special schools and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Korea.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were 77 administrators of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31from the special schools and 46 from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Thesubjects of the survey were 1)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intervention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2) the process for child diagnosis,evaluation and placement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3) managing ofthe curriculum for the early intervention programs; 4) providing special educationrelated service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5) support for administrationand finances for the early intervention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severalsuggestions for ensuring quality early intervention were presented: 1) expandingearly intervention programs across the nation for the young children with specialneeds and their families to access easily in various early childhood programs; 2)recruiting qualifie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to provide quality educations;3) developing evaluation inventorie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providing guidelines on curriculum for infants with special needs; 4) providing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regardless of theirregion and attending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장애영아를 위한 특수교육기관인 특수학교와 특수교육지원센터의관리자들이 인식한 장애영아를 위해 제공되는 특수교육 지원 실태 및 요구를 알아보는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특수학교 관리자 31명,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리자 46명, 총 77명이다. 연구 결과, 장애영아를 위한 1) 특수교육기관의 특성, 2) 특수교육대상자 선정ㆍ배치실태 및 요구, 3)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요구, 4)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지원 실태 및 요구,5) 행ㆍ재정 지원 실태 및 요구를 파악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교원 양성 교육과정 적절성 탐색

        안성우,박병도,김정은,최상배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the minimum standards of curriculum in teachertraining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the completion of this study, 4 department groups fromthe total of 67 departments of special education in nation were categorized and examined the currentstatus of the basic required courses of special education, subject matters, and indication subjectssuggested by the standards of teacher qualifications. Frequency analysis of subject level wasconducted and added up the order of priority. Then, the highest frequency in subjects was comparedto the lowest frequency in subjects. Results showed that all departments opened not only average 38credits on the basic required courses and indication subjects for special education, but also at least 21credits as minimum standards of curriculum by opening the average 30 credits on the basic requiredcourses for indication subjects. Frist, in the 11 department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pecialeducation the average 36.4 credits were opened as the basic required course of special educationwhereas the average 37.1 credits were opened as the basic required course for indication subjects. Second, in the 25 departments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average 41.6 credits were opened asthe basic required course whereas the average 30.2 credits were opened as the basic required coursefor indication subjects. Third, in the 23 departments related to middle school special educationaverage 41.2 credits were opened as the basic required course of special education. Fourth, in the 8departments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the average 32.8 credits were opened as the basic requiredcourse of special education whereas the average 22.9 credits were opened as the basic requiredcourse.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교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적절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 67개 특수교육 관련 학과(유치 11, 초등 25, 중등 23, 특수체육8)를 4개 학과군으로 분류하여 교원자격검정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특수교육 기본이수과목, 교과교육관련 기본이수과목, 표시과목 기본이수과목 개설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후 교과목별 빈도 분석을 실시하여 가장 많이 개설한 교과목의 우선순위를 집계한 후 개설 빈도가 가장 높은 교과목과 가장 낮은 교과목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학과에서 특수교육 기본이수과목과 표시과목 기본이수과목을 평균38학점을 개설하였고, 표시과목 기본이수과목을 평균 30학점을 개설하는 등 대부분 최소 이수기준은 21학점 이상 개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학과별로 살펴보면 첫째, 11개 유아특수교육 관련 학과의 특수교육 기본이수과목 개설 평균 학점은 36.4학점, 표시과목(유아교육) 기본이수과목 개설 평균 학점은37.1학점이었다. 둘째, 25개 초등특수교육 관련 학과의 특수교육 기본이수과목 개설 평균 학점은 41.6학점, 표시과목(초등) 기본이수과목 개설 평균 학점은 30.2학점이었다. 셋째, 23개 중등특수교육 관련 학과의 특수교육 기본이수과목 개설 평균 학점은 41.2학점이었다. 넷째, 8개의 특수체육교육과의 특수교육기본이수과목 개설 평균 학점은 32.8학점, 체육 기본이수과목 개설 평균 학점은 22.9학점이었다. 이상의결과에 비추어볼 때 우리나라 특수교육 관련 학과에서는 국가에서 설정한 교원양성 기준을 훨씬 초과하는 교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특수교육 교수와 전문행정가들이 장애유형의 교과목 이수 및 개설 현황의 적절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