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 지도에 관한 특수교사의 경험적 인식 연구

        이필상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practical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m mathmatics teaching according to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reversed in 2015. The participants of study were 5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D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The data collection for the research was based on Seidman’s In-depth Interviewing and analyzed with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were listed as follows: Titles such as (1) Recognition of Content Element Presentation Criteria (2) Recognition of content system (3) Recognition of connection with general education mathematic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said that it is desirable to present the contents elements of the mathematics of the basic curriculum by stage level.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ed inadequate in time dividen in the content system of the basic curriculum mathematics, and most intensively teach the 'numbers and arithmetic' areas, while avoiding the 'data and possibilities' and 'regularity' areas. The difficult areas are called the 'number and arithmetic' and 'shape' areas.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connection to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and general education mathematics, demanding presentation of content elements by stage level, strengthening of time allotment discretion, strengthening the 'number and arithmetic' area, and adjusting the learning difficulty. 이 연구는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의 내용 요소 제시 기준에 대한 인식과 내용 체계에 대한 인식 및 일반교육 수학과와의 연계성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D광역시의 특수교육 경력 4년 6개월에서 21년 6개월의 특수교사 5명이다.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한 면담을 통해 수집된 결과를 분석한 결과 3개의 주요한 주제와 8개의 부주제, 19개의 코드명이 도출되었다. 3개의 주요 주제는 1. 내용 요소 제시 기준에 대한 인식, 2. 내용 체제에 대한 인식, 3. 일반교육 수학 교과와의 연계성에 대한 인식이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사들은 기본교육과정 수학과의 내용 요소는 단계 수준별로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둘째, 특수교사들은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의 내용 체계에 있어서 시간 배당이 부적절하며, ‘수와 연산’ 영역을 가장 집중적으로 지도하는 반면, ‘자료와 가능성’, ‘규칙성’은 기피하는 영역이고 가장 지도하기 어려운 영역은 ‘수와 연산’ 및 ‘도형’ 영역이라고 하였다. 셋째, 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의 일반교육 수학과와의 연계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내용 요소의 단계 수준별 제시, 시간 배당 재량권 강화, ‘수와 연산’ 영역의 강화 및 학습 난이도 조정을 요구하고 있었다.

      • KCI등재

        공립유치원 초임 유아특수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IEP) 작성 및 실행에 대한 질적연구

        마유림,이병인,김현숙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1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IEP of the beginn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teach special education children at public kindergartens and examine the perceptions, difficulties, and support plans for the writ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IEP based on their early educational experiences and it will suggest practical help for them.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beginners,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participants thought that IEP is an important task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y wanted to implement them with expertise because they were important in presenting the direction of inclusive education, but they recognized that they had difficulties because they were beginners. Second, each IEP support team has its own role and needs to write an IEP through the council meeting, but it is difficult for members to meet the appropriate time for them, and there was a difficulty in the attitude of participating in the council meeting or connection with the therapy(treatment) rooms or schedule, and it turned out that they should finally write the IEP themselves. Third, participants used the educational diagnostic tools they learned in the previous education to understand the current levels of functions, but they felt it was difficult to meet educational goals, and they were using various diagnostic tools to find a diagnostic tool suitable for the fields. Fourth,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was the busiest period of time in schools and time to adjust for school work as a beginner. However, they had to write an IEP on time, but there was no place to get help for writing the IEP, and it was struggling and challenging for them. Fifth, participants had difficulties to implement the IEP, because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ECSE) Curriculum was centered on “young children and play”, the daily routines of the inclusive classrooms are unpredictable and improvised. Sixth, for the successful IEP, the participants required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tools suitable for the kindergarten curriculum, sufficient writing time, improved awareness of members of the support team, peer scholarship and training related to IEP, and casebooks.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에서 특수교육대상유아를 가르치는 초임 유아특수교사가 IEP 수립 및 실행 과정에 겪는 어려움을 살펴보고, 이를 개선하고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초임 유아특수교사의 IEP 수립에 대한실질적인 도움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5명의 초임 유아특수교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연속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면담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임 유아특수교사들은 IEP가 특수교사의 중요한 업무이며, 통합학급 교사와 의사소통하는 중요한 문서라고 인식하였다. 특히 통합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중요하기에 전문성 있게 실행하고 싶지만, 경험이 짧은 초임교사라서 어려움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IEP 지원팀은 각자 고유한 역할이 있고, 협의회를 통해 IEP를 작성해야 하지만 구성원들이 공동의시간을 맞추기도 어렵고, 협의회에 참여하는 태도나 치료실과의 연계에 어려움이 있어 결국 유아특수교사가 홀로 IEP를 작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임 유아특수교사는 현행수준 파악을 위해 직전교육에서 배웠던 교육진단도구를 사용하였으나 목표 수립에 어려움을 느끼고, 교육과정과 연계된 목표를 수립할 수 있는진단도구를 찾기 위해 여러 가지 진단 도구를 사용하고 있었다. 넷째, 학기 초는 바쁜 시기이고 초임이라 모든것에 새로 적응해야 하는 시기이나, 이때 IEP를 작성해야 하고, IEP 작성을 위해 도움받을 곳이 없어 어려움을겪고 있었다. 다섯째,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으로 통합학급의 일과는 예측 가능하지 않고, 즉흥적으로이루어지다 보니 IEP 실행을 위해서는 초임 유아특수교사가 변화되는 일과에 즉각 대응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여섯째, 초임 유아특수교사들은 성공적인 IEP를 위하여 유치원 교육과정에 맞는 진단도구 개발, 충분한 작성시간, 지원팀 구성원의 인식개선, IEP 관련 동료장학 및 연수, 사례집을 요구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 개선에 대한 유급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요구 조사

        서선진,김주혜 한국특수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학연구 Vol.50 No.1

        이 연구는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 시행 후 10여 년이 지난 시점에서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유급 보조인력(국비/지방비 지원 및 자활후견기관 지원)의 제도 개선 요구에 대해 살펴보는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국적으로 유급 특수교육 보조인력 2,15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특수교육보조인력 제도 개선에 대한 영역별 요구와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배경요인에 따른 세부 영역별요구 차이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자격기준에 있어서는 대개 고졸 또는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시도교육청이 주관하는 양성과정의 이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특수교육보조인력 선발에 대해서는 교육(지원)청이 주체가 되어 특수교육 보조인력을 선발·배치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또한, 급여 개선과 정기적인 연수기회 확대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평가를 통한 연수기회 확대와 보상체제 마련, 직무와 직접 연관된 교사 및 학교장 등에 의한 평가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의 개선 방향 및 함의에 대하여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opinions and needs for improving the current system for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Total of 2,017 paraprofessionals nationwide participated in a survey on the opinion and needs for various dimensions of the special education parprofessional system. The subjects were all those who received their salary from the national or regional expendi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considerably requested to improve the current system in working conditions, in-service and training programs, as well as the scope of their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qualification,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thought a paraprofessional pre-service program would be needed for those who graduated from a high school or higher. They demanded such programs to be enforced by local school district offices. Also the subjects wanted school district offices to be in charge of hiring and placing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The subjects demanded salary raise, learning opportunities to enhance their capacities on a regular basis. In the evaluation, they needed to ensure training programs and rewards based on its results, which would be conducted by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system were provided.

      • KCI등재

        중등 특수학급의 안전교육 운영 실태와 특수교사의 인식

        김미영,황순영,이연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학연구 Vol.5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education implement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secondary school and special teachers’ awareness of safety education. 121 special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were surveyed to ask the current status of special classes’ safety education implementation and the awareness of special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establishment plan of safety education was well adhered to in the implementation of safet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secondary schools, but teachers were having difficulties due to lack of safety education materials. I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wareness on the safety education implementation, they said safety education is necessary and preventive education is important based on the case. In addition, the main cause of the accident was a lack of awareness or carelessness, and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disability was needed. It was suggested that various support is needed to keep the safety education of students with special classe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특수학급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안전교육 운영 실태와 안전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부산, 경남에 소재한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있는 121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특수학급의 안전교육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중등 특수학급에서의 안전교육 운영 실태에서는 안전교육의 수립계획이 잘 지켜지고 있었으나, 안전교육 교육 자료가 부족하여 교사들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안전교육 운영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안전교육 연수가 필요하며 사례중심의 예방교육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안전사고 발생의 주원인은 안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거나 부주의 때문이라고 하였으며, 장애유형별 특성에 따른 안전교육이 실시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중등 특수학급의 장애학생들의 안전교육을 지속적으로 잘 운영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자폐성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박현옥(Hyun Ok Park),이윤경(YoonKyoung Lee),이효정(Hyo Jung Lee),이영선(Youngsun Lee) 한국특수교육학회 2022 특수교육학연구 Vol.56 No.4

        이 연구는 자폐성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살펴보고 향후 자폐성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과정에서 어떠한 변화와 지원이 필요한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특수교육대상자 선정과정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12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5개의 핵심 주제와 16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5개의 핵심주제는 1)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의 의미, 2)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과정에서의 경험, 3) 진단평가 실행과 특수교육지원센터 차원의 노력, 4) 그럼에도 여전한 한계와 어려움, 5) 특수교육대상자 선별 체계와 개발될 진단평가 도구에 거는 바람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자폐성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과정이 특수교육 전달 체계의 일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과 보다 타당하고 신뢰로운 선별이 이루어지기 위한 선별 도구 개발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valuation experience and perception for determining special education eligibility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For this reason,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special teachers who are currently in charge of diagnostic evaluation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ocus group interview data, five main themes and 16 sub-themes were derived. The main themes were: 1)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determining special education eligibility for students with ASD; 2) experience in the diagnostic evaluation process; 3) experience and effort in diagnostic evaluation; 4) remaining limitations and difficulties; and 5) needs for a reasonable eligibility determination system and diagnostic evaluation tools for students with ASD.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process of determining special education eligibility for students with ASD should be conducted as part of the special education delivery system. Additionally, future directions for valid and reliable screening and diagnostic evaluation tools were discussed.

      • KCI등재

        특수학교 및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리자들이 인식하는 장애영아 지원 실태 및 요구

        백유순,이명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current state and needs ofearly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the special schools and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Korea.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were 77 administrators of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31from the special schools and 46 from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Thesubjects of the survey were 1)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intervention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2) the process for child diagnosis,evaluation and placement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3) managing ofthe curriculum for the early intervention programs; 4) providing special educationrelated service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5) support for administrationand finances for the early intervention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severalsuggestions for ensuring quality early intervention were presented: 1) expandingearly intervention programs across the nation for the young children with specialneeds and their families to access easily in various early childhood programs; 2)recruiting qualifie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to provide quality educations;3) developing evaluation inventorie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providing guidelines on curriculum for infants with special needs; 4) providing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regardless of theirregion and attending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장애영아를 위한 특수교육기관인 특수학교와 특수교육지원센터의관리자들이 인식한 장애영아를 위해 제공되는 특수교육 지원 실태 및 요구를 알아보는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특수학교 관리자 31명,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리자 46명, 총 77명이다. 연구 결과, 장애영아를 위한 1) 특수교육기관의 특성, 2) 특수교육대상자 선정ㆍ배치실태 및 요구, 3)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요구, 4)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지원 실태 및 요구,5) 행ㆍ재정 지원 실태 및 요구를 파악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현장 적용성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 연구

        이필상(Lee Pil-sang)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4

        이 연구는 특수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대한 인식과 교과 내용에 대한 인식 및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특수교사의인식이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D 광역시의 A 특수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육 경력 3년 10개월에서 26년 10개월의 특수교사 5명이다.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한 면담을 통해 수집된 결과를 분석한 결과 3개의 주요한 주제와 8개의 부주제, 16개의 코드명이 도출되었다. 3개의 주요 주제는 첫째, 성취기준에 대한 인식, 둘째, 교과 내용에 대한 인식, 셋째,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이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사들은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인식하고 있지만, 학생 수준별로 성취기준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가 낮다고 하였다. 둘째, 특수교사들은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교과 내용의 양과 수준이 적절하지 못하여 학생의 장애 정도와 특성에 따른 적용상의 문제가 있으니 이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특수교사들은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필요성은 인식하지만, 실행 방법에 대한 이해도가 낮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을 요구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perception of application to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reversed in 2015. The participants of study were 5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D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The data collection for the research was based on Seidman’s In-depth Interviewing and analyzed with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were listed as follows: Titles such as (1) Percep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2) Perception of the subject’s content (3) Perception of curriculum restructu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said they were aware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but they said they had low understanding of how to analyze achievement standards by student level.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aid that the amount and level of curriculum content in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was not appropriate, and there was a problem in application depending on the degree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disabilities.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of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but their understanding of how to implement it was low, so they requested countermeasures.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원격교육 실태 및 운영 방안 탐색

        김현집,신현기 한국특수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학연구 Vol.55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distance learning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distance learning operation, and to explore the requirements and improvement plans for more effective distance learning operation in special education field. For the research, the author conducted a convergent parallel mixed study that complement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of distance learning operation of 353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recently conducted distance learning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Next, eigh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research or data production related to distance learning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distance learning operation, the most utilized type of distance learning was content utilization class. The platforms mainly utilized in the class were ZOOM and e-learning sites. The teachers mainly used self-produced contents because they could not secure sufficient amount of contents for special education or had difficulties in individualization for special students. The average time for one class preparation was 63 minutes, and average class was 25 minutes in length.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ponded that distance learning was more difficult to operate and brought heavier workload compared to face-to-face education. Teachers had been challenged not only by lack of digital literacy, but also by copyright issues and the burden of revealing classes.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understand the degree of student understanding, as it was difficult to provide immediate feedback or interact with the students in class. For these reason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low satisfaction and expectation of distance learning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nally, as a demand for more effective distance learning operati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ponded that various distance learning contents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uld be developed and special education distance learning platform(LMS) which is easy to accumulate and access special education contents should be established. They also hoped that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tself should be designed to enable distance learning, and digital literacies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ltogether should be strengthened. As a means of distance learning for the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y insisted that life-oriented curriculum for distance learning should be developed, and local community support for education and childcare should be conducted. Also, they recommended measures to utilize EduTech or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suggested utilization plans of remote control or macro settings in computer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recent research on distance learning, the author discussed the needed measures for effective distance learning operation in special education.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원격교육의 운영 현황 및 실태를 알아보고, 원격교육 운영과 관련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며, 나아가 보다 효과적인 특수교육 원격수업 운영을 위한 요구 및 방안을 탐색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양적·질적 연구를 서로 보완하는 수렴적 병렬 혼합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최근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원격교육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353명을 대상으로 원격교육 운영 현황 및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다음으로, 특수교사 8명(특수학교 교사 4명, 특수학급 교사 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교육 운영 현황 및 실태와 관련하여, 특수교사가 가장 많이 활용한 원격교육 유형은 콘텐츠활용중심수업이었고, 혼합 유형을 선택한 경우에도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이 함께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원격수업에 주로 활용한 플랫폼은 ZOOM(실시간쌍방향수업)과 e학습터(콘텐츠활용중심수업)였고, 주로 활용한 콘텐츠는 교사가 자체 제작한 콘텐츠였다. 한 차시 수업 준비 시간은 평균 63분, 수업 소요 시간은 25분 정도였다. 둘째, 원격교육 운영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특수교사는 원격교육이 대면교육보다 더 어렵고, 업무과중도도 더 높아졌다고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원격교육 운영과 관련한 요구 및 방안을 알아본 결과,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콘텐츠가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하며, 특수교육용 자료를 모을 수 있고, 장애학생도 접근이 용이한 LMS형 특수교육 원격수업 플랫폼이 구축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 결과와 최근 이루어진 원격교육 관련 연구 등을 토대로 특수교육 원격수업의 효과적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추후 국가별 특수교육 원격수업 운영 관련 현황 분석, 원격교육 수업모형 개발, 디지털역량 및 리터러시 강화를 위한 연구 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특수교육학의 지식 기초 연구 : 역사적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정용석 한국특수교육학회 2003 특수교육학연구 Vol.37 No.4

        한국의 특수교육의 출발은 평등권, 교육권 등의 선교사에 의한 도덕론에서 출발하였다. 한국 특수교육학의 지식은 일반교육학을 토대로 출발하였고 현재까지도 일반교육학의 지식은 특수교육 전문가 집단에게 상당부분 녹아들어가 있다. 1980년대 특수교육의 확장 및 전개에 가장 영향을 준 지식은 미국 중심의 주관주의에 속해있는 진보주의였으며, 1990년대 중반이후 한국의 특수교육 전개에 영향을 준 지식 기초 또한 진보주의와 계통을 같이하는 구성주의, 포스트모더니즘 등이었다. 그리고 특수교육학의 패러다임 등의 상위지식과 특수교육 실제 등의 하위지식간에는 상당히 괴리감이 존재한다.Ⅳ. 한국과 서구 특수교육학의 지식기초 비교

      • KCI등재

        스마트러닝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 : 2000-2012년 국내 논문 중심으로

        김건희,김창걸 한국특수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search and praxi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particular smart learning, through an analysis of 110 journals published through 2000-2012. The study found that most articles concern students without disability across all age levels. Articles that addressed disability numbered 13 out of the 110 and focused on school age children. Trends in smart learning exhibit work that varies in purpose, subject, and method, but smart learning in special education is conducted in few areas. In the future, research in smart learning in special education, and for students with disability, should be supported by government and conducted in the area of teaching subjects and of teaching method. Also, interdisciplinary work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other discipline should be done for developing smart learning in Special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교육과 관련된 스마트러닝의 논문들을 분석하여 그 연구동향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의 연구동향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특수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의 활용과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0년에서 2012년 12월까지 발행된 국내의 학술지 110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에서 교육과 관련된 스마트러닝의 연구는 2009년을 시작으로 2012년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다. 연구의 대상자는 특수교육대상자가 아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특수교육대상자를 연구대상으로 한 경우는 110편 중 13편에 불과했다. 또한, 연구대상에서도 특수교육대상자가 아닌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경우는 전 연령에 걸쳐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특수교육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경우는 학령기아동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연구들의 동향은 대체로 연구목적, 대상, 방법들이 다양하였으나 특수교육분야에서는 국한된 장애 영역에서만 연구되었으며, 특수교육대상자들에 대한 교수 모형연구가 없는 등 연구목적이나, 대상, 방법들이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향후 특수교육분야에서 스마트러닝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의 특성에 따라서, 교과영역에서 그리고 다른 분야의 연구자들과 함께 융합의 형태로써 다양하게 연구되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스마트러닝과 관련된 정책의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로 되어진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