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보조원이 인식하는 특수교육보조원의 바람직한 역할 탐색

        김홍숙,최상배 公州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17 특수교육논집 Vol.21 No.-

        특수교육보조원이 인식하는 특수교육보조원의 바람직한 역할을 탐색하기 위하여 10명의 특수교육보조원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보조원이 인식하는 특수교육보조원 역할 수행의 어려운 점은 생활지원 측면에서 장애학생 개인욕구에 맞는 지원 수행의 어려움, 건강보호, 이동과 안전생활 지원 수행의 어려움, 의사소통 지원 수행의 어려움이었다. 교수-학습 지원의 어려운 점은 수업 보조 역할 수행의 어려움, IEP 참여 지원의 어려움, 문제행동 수정 역할 수행의 어려움이었다. 또한 사무행정 및 기타 지원의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둘째, 특수교육보조원이 인식하는 특수교육보조원제도 개선 사항은 급여 및 근무조건 개선, 선발 및 배치 개선, 교육 및 연수 개선이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와 노르웨이 특수교육보조원 제도의 운영 차이를 기술하고, 우리나라에서 특수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하여 특수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이 협력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al aides on their desirable role. The participants were 10 persons and focus group interview was carried out.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the difficulties of special education aides in the daily living support were support according to children’s educational needs, health support, mobility and daily care, communication support. The difficulties of special education aides in the teaching-learning support were instructional aid, IEP assistance, support for behavior problems. Special educational aides also had lots of difficulties on administrative affairs and other support roles. Second, Improvement plan of special education aides system which special education aides perceive were improvement of payment and working condition, improvement of draft and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 aide, in-service training education for special education aide.

      • KCI등재후보

        키르기스스탄의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교육 ODA(공적개발원조)사업의 수요 분석

        권회연(Hoe-Yeon Kweon),김형준(Hyoung-Jun Kim),정다예(Da-Ye Jeong),천범산(Beom-San Cheon),곽승철(Seung-Chul(Kongju Kwak)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3 특수교육논집 Vol.27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키르기스스탄의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지원 요구를 파악하여 향후 교류 협력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키르기스스탄 현지의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서면 자료, 법령, 선행연구 등을 통해 관련 개념과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현지 전문가의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육과 통합교육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개별화된 교육적 요구를 고려한 실질적인 장애아동 발견 시스템 및 요구 파악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특수교육 서비스 제공을 위한 포괄적인 접근 방식에 대한 모델 개발과 인적 자원을 마련하는 것이 절실하다. 셋째,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담당인력의 수급 및 지위가 향상이 필요하다. 넷째, 한국의 특수교육 발전 과정, 당면 과제 등을 포함하여 두 나라 간 경험을 공유하고 장기적이고 파트너쉽 개발을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와 향후 지원 방향,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Kyrgyzstan's demand for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and integrated education and to seek the direction of future exchange and cooperation. Method: To this end, related concepts and current status were analyzed through written data, laws, and prior studies on special education and integrated education in Kyrgyzsta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local experts were conducted. Results: First, in order to establish the concept of special education and integrate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actual discovery system and need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Second, it is imperative to develop a model and provide human resources for a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provision of special education services.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upply and status of personnel in charge of special education and integrated educa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share experi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cluding Korea's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process and challenges, and to find ways for long-term and partnership development. Conclusion: The discussion according to these research results, the direction of future support, and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특수학교 교원의 정보소양 수준 및 교육정보화에 대한 인식

        곽승철,편도원 公州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03 특수교육논집 Vol.7 No.-

        본 연구는 특수학교 교원의 정보소양 수준과 교육정보화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특수 교육 교육정보화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97개 특수학교 766명을 대상으로 정보소양에 수준 및 교육정보화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정보소양 수준은 성별, 담당 급별, 근무학교 장애영역, 경력, 직위, 담당교과 계 열, 학력, 연수 경험으로 분류하여 알아보았으며, 교육정보화에 대한 인식은 12개 인식도 문항에 따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에서는 교사의 정보소양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교육정보화에 대한 연수경험이었으며, 교육정보화로 인하여 관련 업무는 증가하였다. 또한, 정보화 활용 수업 효과가 전통적인 수업방식보다 학생의 학습효과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The society in which we live is being called era of technology and information,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puter technology made this possible to happen, which relates to all aspects of our society including especially to the area of educational information that will be viewed as a pridictor of the country’s future. In order to achieve information in schools, the following three conditions should be met. First, hardware computer and other information technology equipment should be in place, second, various computer software and/or programs sould be provided, and third, teachers themselves should b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Without positive perception of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impliment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self-initiated efforts, it is not possible to expect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al technology in schools.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the level of teacher’s understandings of informational technology and to find out perception of teachers regarding current educational information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Thus, the core of educational information in schools, the understandings of teachers towards educational information and perceptions to educational information will provide insights and foundation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l technology in school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levels of understanding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informational technology? Second, what are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informational technology? Gather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Windows(V10.0). T test was used to find out if there is any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cquired certification of computer technology and Anova and Scheffee were uthized to get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ent classes in charge, in-service experience of teachers, special area of disability in current school, the subject area to teach, last degree received, and certification in the area of computer technology and the level of current understandings of informational technology. Perceptions of informational technology in schools was analyzed using percentage and frequenc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First, the experence of in-service in the area of computer technology was significant to the level of the understandings. The role of teachers in informational technology is very important and it should be implemented that more opportunities with longer time of in-service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gender difference, female teachers did not have enough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service and should be provided more frequently, and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should be focused on fundamental operation and concepts of computer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in-service in communication for teachers whose teaching experience were more than 6 years. Second, the increased role of teachers by adapting informational technology in schools should be reconsidered. Teachers believed that, although helpful, the jobs to take care of have been increased. Therefore, maintenence and operation of informational technology in schools should not be given to teachers and administrative process should adapt electronic signing system to speed up the precedure and to reduce the amount of jobs. Third, computer assisted lesson i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model of lesson. To maximize such nee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oftwar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also necessary to encourage students disabilities to use assistive technology. Informational technology in schools so far has not focused on the special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future, various types of assistive technology to enabl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후보

        장애학생의 공격행동에 대한 특수교육교사의 대처방식 및 교육적 중재에 관한 인식

        유수희,임경원 公州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17 특수교육논집 Vol.21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ping strategies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the aggressive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earch for desirable coping methods and efficient interventions for aggressive behavior. Coping in a special education teach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ggressive behaviors it was analyzed by separating them with problem-focused coping, pursuit of social support, emotional palliative coping, wishful thinking. And awareness of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was analyzed separately by school level and individual level. The study measured perceptions of coping strategies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of 166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measuring instruments, the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Research, special education teach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aggression was shown by using more active than passive coping, coping strategi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special education career, education and behavior intervention training experience. Awareness of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personal level also showed some different by gender, special educational career, grades, education, injuries Experience. Educational intervention in the school level were different in some areas by gender, behavior intervention training experience.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의 공격행동에 대한 특수교육교사의 대처방식 및 교육적 중재에 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바람직한 대처와 교육적 중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66명의 특수교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장애학생의 공격행동에 대한 특수교육교사의 대처방식은 문제집중적 대처, 사회적지지 추구, 정서 완화적 대처, 소망적 사고로 구분하였으며, 교육적 중재방법에 대한 인식은 개인차원과 학교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학생의 공격행동에 대한 특수교육교사는 소극적 대처보다 적극적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처방식은 성별, 특수교육경력, 학력 및 연수경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개인차원의 교육적 중재방법에 대한 인식은 성별, 특수교육경력, 학교급, 학력, 상해경험에 의해 일부 다르게 나타났으며, 학교차원의 교육적 중재방법은 성별, 행동중재 연수경험에 의해 일부 영역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지체장애 특수학교 진로교육의 과제와 방향

        곽승철 公州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1995 특수교육논집 Vol.2 No.-

        이 연구는 지체장애 특수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의 당면 과제와 그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특수학교 진로교육의 과제, 직업 세계의 변천 추이 및 지체장애인을 위한 서비스의 과제를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종합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특수학교 진로교육의 과제에 대해서는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개념 혼돈, 직업교육과 정의 문제, 직업평가체제의 확립, 직무적 접근을 통한 직업안정, 산학협동체제의 확립 등을 검토하였고, 직업세계의 변천 추이에 대해서는 인구양상의 변화, 가족구조의 변화, 정보매체의 발달, 자동화, 환경 문제 등 고용의 질·폭·내용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체장애인을 위한 서비스의 과제에 대해서는 서비스의 변화, 교육환경의 변화, 관련직원의 변화, 교육시기의 변화, 시대적 상황의 변화 등을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지체장애 특수학교 진로교육 모형으로서, 지역사회 지원체제 모형과 직업적 통합을 위한 고용경로 모형을 나름대로 제시하였다. 또한, 장차 지체장애인들이 처하게 될 상황을 미래학적 관점에서 조망하여 지체장애 특수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로교육과 관련하여 진로지도, 직업교육, 직업지도, 직업진로지도, 직업진로교육, 평생교육, 생애교육 등 여러 가지 용어들이 혼용되고 있다. 특히 직업교육과 진로교육 두 용어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견해가 다르다. 필자는 특수학교에 관한 한 진로교육과 직업교육을 명백히 구분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다고 생각한다. 차이점이 있다면 진로는 동적·과정적 개념인 반면 직업은 정적·지위적 개념이라는 정도일 것이다. 여기에서는 진로교육을 직업교육보다 약간 더 넓은 개념 정도로 사용하되, 경우에 따라서는 두 용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내·외적 체제 및 전자저작물 활용에 대한 문헌 분석

        이미숙(Misuk Lee),윤애영(Ae-Young Yoon),나인정(In-Jung Ra),김보민(BoMin Kim)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3 특수교육논집 Vol.27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내·외적 체제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전자저작물의 활용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와 관련된 저서, 보고서, 연구포럼 자료, 학술지 논문 등이 선행연구의 분석 범위에 포함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법적 근거,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형태,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용도서의 편찬,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내적 및 외적 체제,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전자저작물의 활용, 미래 교육과정을 반영한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편찬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결론: 모든 교과에서 교과의 특색과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하여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미래형 교과용도서 개발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how the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s are organized and how electronic resources are utilized. Method: For this study, journal articles and books related to curriculum, research forum data,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related policies and government reports we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literature review. Results: The themes of the literature review included the legality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s, the forma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s,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 electronic resource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reflecting on future education. Conclusion: It is required to develop curriculum textbooks that could be flexibly modifi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area to promot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 KCI등재후보

        일반고등학교와 특성화고등학교의 특수학급 진로교육 운영 실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최영혜,최상배 公州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18 특수교육논집 Vol.22 No.2

        This research involved in-depth, unstructured interviewing with 7 teachers including three teachers who worked before in general high school, three teachers who worked in specialized high school and one teacher who worked in both high schools in order to find out actual condition of special-education students and improvement plans in general high school with special classes and specialized high school in Gangwon-do Province. It was found that specially educated students who entered in general high school showed a tendency to prepare to enter university and received education in order to raise SAT scores and school records through school curriculum, but students with sensory impairment among them could comprehend curriculum and manage their scores so that they were accepted by the university of their dream and specialized in major they wanted, whil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had difficulties to enter university through regular education course sin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dn’t know systematic information concerning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as well. In addition, although general high school already set up guidelines on field placement system, it went beyond the curriculum in general high school and was not in operation due to the school regulation, persuasion of administrator and negative aware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it is required to provide information on career education by type of high school through education for school parents, to connect employment companies for specially educated student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firms and schools for strengthening career education in high school with special classes and to employ additional manpower in order to mange and assign special-education students more professionall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n effective, flexible budget plan in order that specially educated students who require lots of experience could receive efficient career education. 이 연구는 일반고등학교와 특성화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고등학교 특수학급 진로교육 운영 특성과 개선방안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특수교사 7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3개의 상위범주, 12개의 하위범주, 24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특수교사는 특성화고등학교는 진로에 대한 교육적 지원이 잘 되어 있는 반면 일반고등학교는 진로선택에 대한 정보제공이나 제도적 정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특수교사는 학교 유형에 따라 고등학교 진로교육에 차이가 있었고, 진로선택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고등학교 입학 전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진로교육활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셋째, 특수교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활동 및 선택을 위해 진로활동에 특화되어 있는 전문 인력 배치가 필요하며, 특수학급 인원과 목적을 구분하지 않는 일괄적으로 예산을 편성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특수교사는 고등학교와 산업체와의 산학협력을 통해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일자리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 KCI등재후보

        장애영역별 특수학교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직무전문성 및 근로여건에 대한 인식

        김안나,임경원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9 특수교육논집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job professionalism and working condition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working in special schools for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12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2 special schools for the special disabilities of special schools in South Korea.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67 specialists in special schools for visual, auditory, intellectual, emotional and handicapped special schools.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perception of job professionalism, the most important role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t special school for visually impaired and deaf that is teaching and activity support and personal life support that was the most important role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 at special school for intellectual, emotional, physical disability.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were less aware of the effectiveness of their suppor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ffect of the support of the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by the disability type of the special school which was working. Second, when the result of recognition difference of working conditions were examined, it was recognized as 'low' in recognition of satisfaction of pay condition, work colleague relation, relationship with school manager, work volume, etc.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the higher the efficiency of achieving goal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Therefore, measures should be taken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영역별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육 보조 인력의 직무전문성 인식 차이 및 근무 인식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특수교육 보조 인력의 직무와 근무여건, 전문성 향상을 모색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전국 장애영역별 특수학교 중 12개교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적장애, 정서행동장애,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육 보조 인력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167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학교 장애영역별 특수교육 보조 인력의 직무전문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서는 다른 모든 장애영역에서는 개인활동 지원을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인식하고 있지만, 청각장애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육 보조 인력만 교수활동 보조 지원을 가장 중요한 역할로 인식하고 있었다. 장애영역별 특수교육 보조 인력의 지원 효과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없었으며, 지원 영역별 효과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일상생활 영역에서의 효과성이 가장 큰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장애영역별 특수교육 보조 인력의 교수활동 지원 역할 수행과 개인활동 지원 역할 수행, 그리고 교내외 활동 지원 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은 각각 ʻ보통ʼ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장애영역별 학교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이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면 목표 달성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직무에 대한 충실성도 함께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직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대상 유아의 통합교육과 팀 협력

        정길순 公州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19 특수교육논집 Vol.23 No.2

        There are still many issues to be solved at the educational scene, even though kindergarten inclusive education is based on legal and policy. In particular, special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are increasingly required to perform general duties in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but there are less reference to specific advice or resources to consult. Teachers report that inclusive education is the trend of the times, and that they are struggling because they have the passion to teach well, but do not know how.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eam cooperation as a way for teachers to overcome difficulties in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The research was formed in order explaining the status and effectiveness of inclusive education, difficulties that teachers might go through, and team cooperation. Team cooper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method to achieve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and this includes coope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clusive teachers, parents, school administrators, and special education practitioners. Team members need the following to successfully lead the cooperation. (1) Spontaneous progress of cooperation, (2) Forming an even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nts, (3) To pursue common goals and ideals, (4) Sharing the responsibilities and resources of a cooperative team, (5) Having the opportunity to express one's thoughts and opinions in a spirit that is safe in spirit, (6) The joint responsibility for the team's decision, (7) Systematic meeting procedures and regular meetings, (8) Positive attitude toward cooperation. 유치원 통합교육이 법적, 정책적으로 기반을 마련했음에도 교육현장에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다. 특히,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들은 통합교육 상황에서 일반적인 의무를 수행해야 하는 상황이 늘고 있으나 구체적인 조언 자료나 참고할 만한 자료들이 부족하다. 교사들은 통합교육이 시대의 흐름이고, 잘 하고 싶은 의지는 있으나 방법을 잘 몰라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고한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통합교육 상황에서 어려움을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방법으로 팀 협력을 제시하였다. 연구는 유치원 통합교육 현황과 정의 및 효과, 통합교육 시의 어려움을 살펴보고 팀 협력에 대하여 설명하는 순으로 진행하였다. 통합교육에서 팀 협력은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며,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보호자, 학교행정가, 특수교육 실무원과의 협력이 포함된다. 팀 구성원은 협력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이 필요하다. (1) 협력의 자발적 진행, (2) 참여자 간 균등한 관계 형성, (3) 공동의 목표와 이상 추구, (4) 협력팀의 책임과 자원 나누기, (5) 심리적으로 안전한 분위기에서 자신의 생각과 의견 표현 기회 갖기 (6) 팀의 결정에 대한 공동 책임, (7) 체계적인 회의 절차와 규칙적인 모임, (8) 협력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 KCI등재후보

        중ㆍ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진로 및 직업 교육에 대한 부모 인식

        박종숙(Park Jeong Sook),이미숙(Misuk Lee)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논집 Vol.20 No.1

        본 연구는 중ㆍ고등학교 특수학급의 부모를 대상으로 특수학급 학생의 진로 및 직업 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특수학급이 있는 17개 학교를 선정하여, 특수학급 교사를 통해 부모 12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이 중 100부의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특수학급의 진로 및 직업 교육에 대한 부모의 이해 정도, 진로와 직업에 대한 의사결정의 의논 상대, 진로 및 직업 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 진로 및 직업 교육의 시기, 진로 및 직업 교육에 대한 도움 정도, 학교에서 진로 및 직업 교육 개선을 위한 방안, 가정에서 진로 및 직업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학생부모의 진로 및 직업적 요구를 파악하여 진로 및 직업교육의 내용을 직업재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에서의 자립으로 확대하는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과 가족중심의 진로 및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the perception o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in special classes in middle and high schools from their parents.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arried to 120 parents in 17 schools which have special classes, and then 100 gathered surveys were used as analyzing material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egree of parents’ understanding about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n special classes, the discussion partner for decision of career and vocation, teachers’ role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he time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he degree of supports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he way for improving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n schools, and the way to carry out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t home were presented. Finally, for further research, through figuring out the needs regarding career and vocational needs of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esearches of the content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expanded not only vocational rehabilitation but also independence in daily and social life, and the program of family-centered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should be invigor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