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중도·중복장애학생 연구의 지식구조 분석

        송승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8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1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For the purpose of study, 289 articles were selected with the key words ‘severe disability’, ‘multiple disability’, and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y’. Big data analysis programs such as R, UCINET 6.0 and Netdraw were analyzed. Results: First, the number of articles in the study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s increased steadily. And the types of key words derived were related to ‘individual level of support’, ‘type of disability’. Second, 'physical disability' and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highly centrality in the study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the case of multiple disability, blindness and hearing impairment were found to be overlapping. Conclusion: It is meaningful that all article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conduc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on semantic network analysis. Using various studies, including this study, Researcher look forward to legislative enactment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의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이제까지 실시된 국내 중도·중복장애학생 연구의 동향 및 특성을 살펴보고 지식구조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중도장애’, ‘중증장애’, ‘중복장애’, ‘중도·중복장애’를 키워드로 28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빅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인 R, UCINET 6.0, Netdra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을 통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 연구의 논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도출된 주요 단어의 유형은 ‘개별 차원의 지원’, ‘장애 유형’과 관련된 단어로 나타났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과 관련한 연구에서 지체장애, 지적장애가 중심성이 높고 중복장애에서는 시각장애와 청각장애가 중복인 경우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중도·중복장애학생 연구를 연도에 제한을 두지 않고 모든 논문을 대상으로 의미 연결망 분석을 다양한 관점에서 실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포함한 다양한 연구를 활용하여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적 차원의 법적 제정을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지체장애 학생의 전환교육을 위한 요소 고찰

        송승민,한경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5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ore components of vocational educa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 ⒜ synthesis and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transition education in Korea ⒝ content analysis on articles including the research methodologies and the themes selected from 31 journals of transition educa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from 1990 to 2014 in Korea. As the results, research trends related to transition education in Korea were categorized by the deductive method and the inductive method. According to the research, deductive method takes up a large proportion(75.5%).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methodology showed that the researches were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survey research, literature review, experimental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ith no observational research.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themes, there are 7 core components in the following order; Awareness, Vocational preparation, Vocational(Career) education, Vocational evaluation, Employment, General of transition education,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application of and future research on vocational educa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provided as follows; ⑴ accumulation of research by various methodologies and themes for further research, ⑵ improvement of research quality, ⑶ 7 core components, ⑷ inference that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re getting more severe in nowadays, ⑸ increase research on directly subject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⑹ increase research on concrete outcome and vocational education based on employment status after graduation 본 연구는 지체장애 학생의 전환교육을 위한 요소를 고찰하기 위하여 국내의 전환교육 관련 동향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종합, 분석하고 1990년부터 2014년까지의 지체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전환교육 연구 중 국내학술지 논문 31편을 선정하여 연구 방법과 주제에 따라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의 전환교육 관련 동향 연구들은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그 중 연역적 방법으로 분류한 연구가 많은 비중(75.0%)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 조사연구, 문헌연구, 실험연구, 질적연구 순으로 연구의 수가 조사되었으며, 관찰연구는 한편도 없었다. 주제를 살펴본 결과 전환교육을 위한 요소로 인식, 직업준비, 직업(진로)교육, 직업평가, 고용, 전환교육 일반, 삶의 질 이상 7개로 분류 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체장애 학생의 전환교육 연구들이 보다 내실 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음 여섯 가지 논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⑴ 다양한 연구 방법, 주제별로 꾸준한 연구를 통한 전환교육 연구의 기반 마련, ⑵ 연구의 질(타당도, 신뢰도) 향상, ⑶ 7개 전환교육 요소, ⑷ 지체장애 학생의 장애 정도가 점차 중증화 됨을 추론, ⑸ 지체장애 학생을 직접 대상으로 하는 연구 확대, ⑹ 졸업 후 구체적인 결과나 직업교육에 대한 연구기반 확대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 참가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송승민,도현심,김민정,김수지,윤기봉,김정은 한국보육지원학회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경험을 분석하여 참가과정에서의 의미, 반응 및 변화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어머니들의 체험의 본질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9명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총 8회기의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을 실시한 후, 현상학적 이론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면담내용과 프로그램 진행 중에 작성된 저널, 관찰노트의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264개의 의미단위로 묶여 16개의 하위구성요소를 도출하여 분석하였고, 이 가운데 최종 7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1) 부모교육 참가의 내재적 동기, (2) 변화의 시작: 어머니, (3) 변화의 시작: 자녀, (4) 지속되는 갈등, (5) 긍정적인 부모역할모델의 부재와 양육행동의 세대 간 전이, (6) 죄책감에서 벗어나 양육효능감 높이기, (7) 부모교육을 통한 정서적 지원 경험 및 지속적인 교육과정에 대한 기대.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과제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Pricing CO₂ Emissions: An Application to the European Countries Compared with Asian Pacific Countries

        송승민 한국EU학회 2009 EU학연구 Vol.14 No.1

        This paper focuses on the estimation of pricing CO₂ emission right for European countries with respect to themselves and Asian Pacific countries by employing nonparametric input and output distance functions. For the estimation of distance functions, technical efficiency scores have been calculated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he result of pricing shows that there exists a substantial heterogeneity in the potential value of right of extra CO₂ emission across European countries and they are willing to pay more for the right of extra CO₂ emission than Asian Pacific countries.

      • KCI등재

        사회적기업의 중증장애인 고용 확대 가능성

        송승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7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expanding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in social enterprises based on the actual situation of employing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employment situation analysi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578 companies authorized by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the employment situation and possibilities of increasing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social enterprises. Results: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16.6% of the social enterprises hired people with disabilities. Second,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main workers of vulnerable groups of employment target of social enterprise. Third, among many kinds of social enterprises, the pure enterprise offered some integrative atmosphere more to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had bigger possibilities to hire them than other enterprises in both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standard workplace. Fourth, it appears to be advantageous to hire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the finance of social enterpris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ovid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을 고용한 사회적기업의 실태를 살펴보고 고용상황을 분석해 봄으로써 사회적기업의 중증장애인 고용 확대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사회적기업 육성법에 의거하여 사회적기업으로 인가받은 1,578개 기업을 대상으로 장애인을 고용한 사회적기업의 실태, 고용상황, 장애인 고용 확대 가능성을 기술통계, t-test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을 통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을 고용한 사회적기업은 16.6%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기업의 고용 대상인 취약계층에서 장애인 근로자는 주요한 근로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기업 중 순수 사회적기업이 직업재활시설과 표준사업장을 병행하는 사회적기업 보다 장애인 근로자에게 통합적인 환경이며 장애인 고용 확대 가능성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 근로자를 고용하는 것이 사회적기업의 재무측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기업의 중증장애인 고용 확대를 위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지체장애인의 취업과 직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송승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7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0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analyz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and job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016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dvantag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isability 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similar to the population. Second, institutional support was needed for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 guarantee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nd employment. Third, it was necessary to build a customized network to expand the qualitative expansion of the employment service provided to the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Fourth, the employment condition of the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needed to be improved. Fifth, the employment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required to consider the degree of disability and health status. Sixth, systematic support was needed for practical certification for employment. Conclusion: Employment services, policies, and vocational education plans were needed for employment and job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체장애 근로자의 특성을 알아보고 지체장애인의 취업과 직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16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의 원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을 통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 근로자의 인구사회적 특성과 장애 관련 특성은 모집단과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다. 둘째, 지체장애 근로자에게 국민기초생활보장과 취업의 병행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요구된다. 셋째, 지체장애 근로자에게 제공하는 고용서비스의 양적확대와 더불어 질적확대를 위하여 맞춤형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지체장애 근로자의 취업 시 고용 조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다섯째 지체장애인의 장애 정도와 건강상태를 고려한 취업이 요구된다. 여섯째, 취업을 위한 실제적인 자격증 취득을 위하여 체계적 지원이 요구된다. 결론: 지체장애인의 취업과 직업 만족도를 위한 고용서비스, 정책, 직업교육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 KCI등재

        발달장애 고등학생 전환능력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 연구

        송승민,박희찬,김라경,최민식 한국특수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학연구 Vol.5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istribution normality,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ransition Competency Assess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examine its technical adequacy. Using a stratified multi-stage sampling(regions, school type, types of disability, and gender), the participants are 1,003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 total of 900 responses were analyzed. As for the results, first, the questionnaires of the Transition Competency Assessment showed that the absolute value of skewness was in the range of 0.26 to 0.72, and the absolute value of kurtosis was in the range of 0.10 to 1.11, indicating very good normality. Second, we confirmed that CFI, IFI, and NFI values were 0.92, and SMC values were between 0.62 to 0.91, thus securing feasibility for each area and sub-areas.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school type and the type of disability. Third, the reliability of the Transition Competency Assessment questionnaires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verification result of Cronbach’s α value was 0.99. The area of reliability coefficient was 0.98∼0.99 and the sub-area of reliability coefficien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uitable with a range of 0.95∼0.98. 본 연구는 발달장애 고등학생 전환능력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분포 정규성과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층화표집방법을 사용해서 전국을 지역(광역시, 비광역시), 배치 유형(특수학교, 특수학급), 장애 유형(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성별(남, 여)을 고려하여 1,003명에게 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발달장애 고등학생 900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환능력검사 문항의 왜도 절댓값은 0.26∼0.72, 첨도 절댓값은 0.10∼1.11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포 정규성은 우수하였다. 둘째, 구인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CFI, IFI, NFI 수치는 0.92, SMC 값은 0.62∼0.91로 검사도구의 영역과 하위 영역별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변별 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지역, 학교 유형, 장애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환능력 검사도구의 문항 내적 신뢰도, 재검사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Cronbach’s α 값은 0.99이었고, 영역별 신뢰도 계수는 0.98∼0.99, 하위영역별 신뢰도 계수는 0.95∼0.98로 통계적으로 매우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사회적기업의 발달장애 학생 고용 확대를 위한 고용주의 인식에 관한 연구

        송승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을 고용한 사회적기업 고용주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사회적기업의 발달장애 학생 고용 확대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발달장애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4개 사회적기업의 대표이사, 상임이사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사례연구를 위해 면담, 관찰, 문서분석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컴퓨터를 활용한 질적연구 분석도구인 NVivo 1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의 고용주는 장애인 근로자에게 허용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회적기업이 장애인 고용 확대의 방안이 될 수 있다. 둘째, 사회적기업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하여 위험성을 감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기업에서 발달장애 학생을 고용하는데 있어 현장실습을 통하여 고용으로 이어지는 것이 긍정적이다.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사회적기업이 장애인을 포함한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허용적인 점을 활용하여 사회적기업과의 협력적 관계형성을 체계화하여야 한다. 둘째, 사회적기업의 고용주에게 부담이 없는 현장실습으로 시작하여 고용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social enterprises employ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xplore ways to expand the employment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ocial enterprises. For this purpose, case studies were conducted for the CEOs and standing director of four social enterprises employing work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erviews, observations, and document analyzes were conducted for case stud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NVivo 11 program as a computer-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employers of social enterprises had a permissive perception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so social enterprises can be a way of expanding the employment people with disabilities. Second, although social enterprises were experiencing economic difficulties, they are risk-taking for realizing social values. Third, it was positive that the employment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ocial enterprises leads to employment through internship in the community.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enterprise should systematize formation of collaborative relationship by utilizing permissible points for socially vulnerable groups including people with disabilities. Second, it starts with the internship in the community for employers of social enterprises and enables them to go to employment.

      • KCI등재

        스마트러닝 기반의 직업교육이 정서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의 도서 분류작업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데이터마이닝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송승민,한경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effects of vocational education based smart-learning on book classification accuracy of high school students in special school for emotional disorder. Researchers selected the library classification of the librarian assistants in the project for creating job within each school and class as the vocational education. Smart-learning in vocational education was designated by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crete materials in vocational education was designated by a comparison group. Each groups were composed by 3 students to apply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On the basis of this experiment, researchers tested the effects to the students applying these methods; analysing the effect size and the decision tree technique. A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book classification accuracy was improved.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vocational education were all effective both smart-learning and concrete materials. Second, it was shown to be effective that teaching volume number, book number, classification number and, copy number. Finally, when developing the smart-learning materials, it needs to be considered of each characters of the students by the principle of the Evidence based practice. In the other aspect of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methods, for the first, when the change of a period of mediation compared to baseline increased or decreased it was shown to be less discriminative in analysing the effect size in the single subject research. Second, it needs various valid applied methods to determine the efficiency of the experimental study targeting disordered students. Finally, in statistics research targeting the disordered stud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extend the region of the subject to within subject and to between subject which was used to be in-group subject before.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러닝 기반의 직업교육이 정서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의 도서 분류작업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직업교육은 ‘각 급 학교 일자리’ 중 사서보조 직무인 도서 분류작업으로 설정하였다. 스마트러닝 기반 직업교육을 실험군으로 구체물 기반 직업교육을 비교군으로 설정하였으며, 실험군과 비교군 모두 3명으로 구성하여 대상자 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적용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효과크기(effect size)와 데이터마이닝 분석 중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분석을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러닝 기반의 직업교육을 통하여 도서 분류작업 정확도는 향상하였다. 다음으로 스마트러닝 기반 직업교육에 대한 효과성을 논의하면 첫째, 스마트러닝과 구체물 기반의 직업교육 모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학생에게 도서 분류작업을 교육할 때 권차기호, 도서기호, 분류기호, 복본기호 순으로 지도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스마트러닝 자료를 제작할 때 증거기반 실제의 원리를 토대로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자료를 제작하여야 한다. 연구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면 첫째, 단일대상연구에서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효과크기 방법은 기초선 대비 중재 기간의 변화가 상승 또는 하락한 경우 변별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연구의 효과성을 검정하기 위한 타당성 있는 다양한 방법의 적용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통계연구에서 연구 단위가 집단에서 개인 내 또는 개인 간으로 영역을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특수학교 중·고등학교의 기본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유형별 특성 분석

        송승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7 지적장애연구 Vol.19 No.4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revised to expand the autonomy and discretion to organize and implement the schoo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special schools in Korea that organize and implement the basic curriculum according to the types, to analyze the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schools of each type. For this purpose, 139 middle schools and 136 high schools of special schools were surveyed by cluster analysis. After that, three special schools representing each cluster were selected through unique sampling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basic curriculum were as follows: The middle school were ‘centered on national level’ and ‘centered on creative excremental activity’. The high school were ‘centered on national level’, ‘centered on creative excremental activity’, and ‘centered o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ctually, it has been shown that the standard curriculum standardized at the national level was directly applied to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basic curriculum at special schools. Second, the special schools organized and implemented the school curriculum considering the type of disability in applying the basic curriculum. Therefore, each school should make efforts to develop an distinctive school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needs of students, teachers, parents, and communities to meet the diverse learning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특수교육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자율성과 재량권을 더욱 확대하는 방향으로 개정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본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 전국의 특수학교를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변인별 특성에 따라 분석하며 각 유형에 해당하는 특수학교의 특성별 사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기본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중학교 139개, 고등학교 136개의 특수학교를 전수조사 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표본선정을 실시하여 각 군집을 나타내는 3개의 특수학교를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기본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유형은 중학교는 국가 수준 중심, 창의적 체험활동 중심, 고등학교는 국가 수준 중심, 창의적 체험활동 중심, 진로와 직업 중심으로 나타났다. 실제 특수학교에서 기본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을 국가 수준에서 고시한 교육과정 기준 시수를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특수학교에서 기본 교육과정을 적용하는데 있어 장애유형을 고려하여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하였을 때 각 단위 학교에서는 장애학생의 다양한 학습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학생,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의 요구를 반영한 특색 있는 학교 교육과정을 구안하기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