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액션러닝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장애아 부모의 양육 역량에 미치는 효과

        김은라,박재국,정계숙,박수홍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 the effectiveness of parents education program using action learning on parenting competenc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20 subjects who ar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on this program for 7 weeks. In order to verify effectiveness of program, questionnaire which was completed by subject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on program and self-reflection diary about participants' interest in the program and level of improvement on their competence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ing competence was improved significantly and so were subfactors of parenting competence. Second, subjects were satisfied with the effectiveness of parents education program applied action learning method. Based on these findings, it could be concluded that parents education program was useful in enhancing the parenting competenc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액션러닝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장애아 부모의 양육 역량 증진에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시 소재 장애인 종합복지관의 도움을 얻어 장애자녀를 둔 부모 20인을 대상으로 7주간 액션러닝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제 적용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부모 역량 강화 프로그램 실행 전, 후로 나누어 어머니용 부모 역량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변화추이를 비교 검증하였으며, 더불어 전체 과정에 대한 참여자의 흥미도, 실제 문제해결 및 양육 역량 증진에 대한 성찰일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장애아 부모의 양육 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으며, 양육 역량의 하위요소에 대해서도 그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참여자가 작성한 성찰일지 분석을 통해 참여자가 액션러닝 기법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적용한 액션러닝을 통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장애아 부모의 양육 역량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기술과 대인상호작용 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김은라,최진혁,박재국,김민영 한국특수아동학회 2019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1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 150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paired t-test, IPA matrix analysis, and Borich’s need analysis method.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s of performance an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well, 2 items such as ‘continuing the conversation with the other person or re-mention the topic mentioned above’ and ‘accepting and understanding the meanings of figures, graphs, charts, and photographs’ were identified to be supported firs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s of performance and importance of interpersonal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2 items such as ‘expressing and responding care and respect in a contextually and socially appropriate manner’ and ‘recognizing and maintaining distance from others according to society, culture, and situation’ were identified to be supported first to enhance interpersonal interac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various practical strategies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uggest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기술과 대인상호작용 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탐색하고 동시에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과 대인상호작용 향상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요소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달장애학생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과 대인상호작용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기술의 수행도와 중요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 향상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항목으로 ‘상대방과의 대화를 지속하거나 앞서 언급된 주제를 재언급하여 대화를 구체화하기’와 ‘그림, 그래프, 도표 및 사진이 나타내는 의미를 수용하고 이해하기’가 도출되었다. 둘째, 발달장애학생의 대인상호작용 기술의 수행도와 중요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발달장애학생의 대인상호작용 증진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대인상호작용의 항목으로 ‘상황에 적합하고 사회적으로 적절하게 배려와 존중에 대해 반응하고 표현하기’와 ‘사회적, 문화적, 상황에 따라 자신과 타인과의 거리를 인식하고 유지하기’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과 대인상호작용 신장을 위한 실질적인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되었다.

      • KCI등재후보

        지체장애학생의 장애수용, 회복탄력성, 사회참여: 컴퓨터 사용여부, 연령, 일상생활 수행정도의 조절효과

        김은라,박재국,박지영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1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computer use, age, and activities of daily life in relation to disability acceptance, resilience, and social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255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colleg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ttending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SEM verification were used to analyze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Results: First, the level of disability acceptance, resilience, and social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positiv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variable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computer use and age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resilience, and social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an appropriate method for accepting disabilities and enhancing resilience according to living age as an effective variable that can promote social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suggested, and at the same time, it contributed to their social participation by enhancing computer use ability. A possible strategy was presented.

      • KCI등재

        통합학급 비장애학생의 공동체의식이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은라,박재국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6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9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ense of community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on the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econdary inclusive classroom. As well,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mpathy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as explored. Method: 318 secondary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ere asked to complete the 3 questionnaires. Results: First, the level of sense of community, the level of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level of empathy were positive.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on the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the effect of empathy on the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the same time,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was identified.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constructing various practical programs that facilitate the level of empathy of secondary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as necessary to realize the ideal inclusive education goal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학급 비장애학생의 공동체의식과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B시 소재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통합학급에 재학 중인 비장애학생 318명을 대상으로 공동체의식,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공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통합학급 비장애학생의 공동체의식,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공감은 모두 긍정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학급 비장애학생의 공동체의식과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은 태도와 공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감은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때 공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긍정적 태도 정립과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실제적 방안 모색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사가 지각하는 장애학생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전략

        김은라,박재국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2 교육혁신연구 Vol.3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lended learning strateg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erceiv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implement effective blended learning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blended learning strategies with 15 teachers working in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After that, using the collected data, a conceptual map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luster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erception dimens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blended learning strateg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first dimension (X-axis) was a 'constructing human and physical environment’ including 'management of learner information and preparing' and 'check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upporting learning technology'. The second dimension (Y-axis) was derived as the dimension of 'cooperative teaching execution', including 'community awareness creation and system operation strategies' and 'identifying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ized teaching-learning strategie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ceptual map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the blended learning strateg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total of five clusters were derived such as 'collaborative program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intuition', 'increas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reflection on learning outcomes', 'improving media flexibility and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continuous management and guidance provision', and 'enhancement of learning flexibility'. And the lo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were examined through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variou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to implement blended learning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future special education field were present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가 지각하는 장애학생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전략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향후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효과적인 블렌디드 러닝을 실행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15명을 대상으로 블렌디드 러닝 전략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후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군집분석 및 다차원 척도법을 사용하여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학생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전략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차원을 살펴본 결과, 1차원(X축)은 ‘학습자 정보관리 및 준비시키기’와 ‘교육환경 점검 및 학습기술 지원’을 포함하는 ‘인적‧물적 환경구성’의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2차원(Y축)은 ‘공동체 의식 조성 및 시스템 운영 전략’과 ‘장애특성 파악 및 개별화된 교수-학습 전략’을 포함하는 ‘협력적 교수 실행’의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장애학생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전략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의 개념도를 살펴본 결과, ‘협동적 프로그램 운영 및 직관성 향상’, ‘자기 주도적 학습 신장 및 학습 성과 성찰’, ‘매체 융통성 높이기 및 장애특성 파악’, ‘지속적 관리 및 안내 제공’, ‘학습 융통성 높이기’ 등 총 5개의 군집이 도출되었으며, 다차원 척도법을 통해 각각의 군집의 위치와 특성을 살펴보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수교육 현장에서 장애학생 특성에 적합한 블렌디드 러닝을 실시하기 위한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미래지향적 특수교사 역량 척도 개발 기초 연구

        김은라 한국특수아동학회 202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4 No.3

        Purpo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preliminary data for teacher competency enhancement for special education execution to the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by exploring the competency that teachers should have in future-oriented special education.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wo-round of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0 special education exper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the SPSS 26.0 program, and content validity, agreement, convergence, and a coefficient of variation were calculated. Results: The final five domains, 23 elements, and 139 items were extracted as the competency of future-orient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detail, domain 1 was competency in understanding educa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3 elements), domain 2 was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 competency (6 elements), domain 3 was student guidance competency (4 elements), domain 4 was competency to adapt to the teaching profession (6 elements), and domain 5 was derived as future education competency (4 element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ays to improve the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future by confirming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changing future society were discussed.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미래지향적 특수교육에서 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탐색함으로써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적절한 특수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 역량 신장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교육 전문가 및 특수교사 20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내용타당도, 합의도, 수렴도, 변동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미래지향적 특수교사의 역량으로 최종 5개 하위영역, 23개 하위요소, 139개의 문항이 추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영역은 교육 및 교육환경 이해 역량(3개 하위요소), 2영역은 특수교육 전문성 역량(6개 하위요소), 3영역은 학생지도 역량(4개 하위요소), 4영역은 교직 적응 역량(6개 하위요소), 5영역은 미래교육역량(4개 하위요소)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변화하는 미래사회에 특수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특수교사의 역량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교육공동체에 대한 특수교사의 메타포 의미 분석

        김은라,박재국,정계숙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6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taphors on educational commun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categorize the metaphors according to the ground of metaphors, and to explor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odemgraphic variabl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these ends, 107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sked to describe the metaphoric meaning on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the ground using open-ended ques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etaphors were categorized by four subjects such as ‘shared vision’, ‘acceptance of each other’s differences and consideration for harmony’, ‘necessary condition’, and ‘permanent repeated sources of trouble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recognition on subjects according to gender and scholarship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particular, male thought of educational community as ‘shared vision’ while female thought of it as ‘acceptance of each other’s differences and consideration for harmony’. As well, teacher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regarded educational community as ‘acceptance of each other’s differences and consideration for harmony’, while teacher who finished graduate school regarded it as ‘shared vision’.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pproaches to form ideal educational community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교육공동체에 대한 특수교사의 메타포(metaphor)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이상적인 특수교육 공동체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과 경남 소재 특수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107명을 대상으로 교육공동체에 대한 메타포를 조사하였다. 이에 따른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공동체에 대한 특수교사의 메타포 의미를 범주화하여 공유된 비전, 융합을 위한 서로 다름에 대한 인정과 배려, 필요조건, 끝없이 반복되는 고민거리 등 총 4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둘째, 4개 주제에 대한 특수교사 변인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과 학력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즉 남성은 교육공동체를 ‘공유된 비전’으로 인식하는 반면 여성은 ‘융합을 위한 서로 다름에 대한 인정과 배려’로 여기고 있었다. 또한 대학을 졸업한 집단은 교육공동체를 ‘융합을 위한 서로 다름에 대한 인정과 배려’로 보는 반면 대학원을 졸업한 집단은 ‘공유된 비전’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학생의 행복한 성인기 생활 영위라는 특수교육의 궁극적 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공동체 구축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은라,박재국,최영민,전혜영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7차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 자료 중 중학교 1학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패널조사 자료에서 정서행동문제, 삶의 질, 또래애착, 자아탄력성의 모든 문항에 응답한 1881명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삶의 질, 또래애착, 자아탄력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모두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는 삶의 질, 또래애착, 자아탄력성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때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은 정서행동문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율적인 교육적 수단으로 정서행동문제를 감소시키고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은 신장시키는 실천적전략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olescents’ emotional behavior problems on quality of life.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and resilience were explored. Method: Date of 1881 middle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behavior problem, quality of life, peer attachment, and resilience of 7th Korean Child Youth Panel Survey(KCYPS) were extracted. Results: First, the levels of emotional behavior, quality of life, peer attachment, and resilience were positive.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emotional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quality of life, peer attachment, and resilience. At the same time,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and resilience were identified.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actical strategies to reduce behavior problems and foster quality of life, peer attachment, and resilience as means of facilitating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