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과용도서의 장애 관련 내용선정 및 개발절차 요구 분석

        권택환 국립특수교육원 2007 특수교육연구 Vol.14 No.2

        현 교과용도서에는 장애 및 장애인과 관련하여 적합하지 않은 소재, 용어, 삽화 등이 다수 수록되어 있고 이를 활용하여 교수-학습 활동을 하는 일반교사나 일반학생에게 교과용도서가 오히려 장애인에 대하여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과용도서 개발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교육과정 연구자, 행정가 및 특수교육교사, 장애학생 학부모 등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여, 현재의 교과용도서의 장애 관련 내용 개발 및 수록 절차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교과용도서의 장애 관련 개발과 편수절차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isability-related content of the textbook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disability-related content included in current textbooks, which wer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conducted a needs assessment on the development procedures of the disability-related content of the textbooks of the future. The analysis of the disability-related content included in current textbooks indicated the following: First, the textbook introduced more characters with disabilities from other countries than those of our own country, and the overall disability-related content was written with an emphasis on 'pity and charity.' it was suggested that the disability-related content should focus on individual differences and human rights, and literary works containing degrading terms to describ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used as negative examples for the improvement of disability awareness. Second, curriculum developers, special education policy makers,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ors indicated that the disability-related content of the textbooks should be written to depict people with disabilities as members of the peer group and local community who actively engage in social interaction with others. On the other hand,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dicated that disability etiquette should be included in the textbook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rea. Third, the committee on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should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disability-related content(terms and illustrations) during the ist textbook review process. In this review, the hierarchical presentation of the disability-related content should also be examined.

      • KCI등재

        장애학생의 전환계획과 자기결정력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만족도 비교

        권택환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0 시각장애연구 Vol.26 No.3

        이 연구에서는 장애학생들의 전환계획과 자기결정력에 대한 교사와 부모간의 만족도 수준을 비교함으로써, 이들 양자 간의 보다 긍정적인 관계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장애학생들의 전환계획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만족도에 있어 IEP 구안 시 전환목표에 대한 기술, 목표진술 시 학생 선호도에 대한 고려, IEP 구안 시 부모와 학생 참여, 성인기 전환을 위한 기술 습득 등에 대해 교사들이 부모들보다 만족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학생들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부모와 교사간의 만족도에 있어 교육계획 수립 시 학생 의견의 반영, 학생 중심의 선택기회 제공, 교육계획 수립 시 학생 참여에 있어 부모보다는 교사들의 만족도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eek satisfaction of parents and teachers about transition plan and self-determination for successful transition from school to home, from school to work place, from school to local community, and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of disabilities studen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ly, in the case of comparison to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ransition plan of disabilities student teachers were demonstrated higher satisfaction than parents that in description of the transitional goals and participation, student' interest about goal description, skill acquisition for adult transition. Secondly, in the case of comparison to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self-determination of disabilities student teachers were demonstrated higher satisfaction than parents that reflection of student' opinions, choice making, student' participation during educational goal establishment.

      • KCI등재

        맨발활동이 초등학생의 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권택환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6

        This study examined how barefoot activity affects physical streng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as conducted in 3rd grade class A of D elementary school in D metropolitan city from March to October to find out how this activity affects physical strength of students (flexibility, alacrity, cardiopulmonary endurance, muscular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After barefoot activity, students' physical strength was measured by the items presented in PAP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results of the PAPS measurement of the fifth grade of the same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strength of 3rd grade students who performed barefoot activitiy, they showed that their physical strength improved in the order of flexibility, cardiopulmonary endurance, alacrity, muscular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Second, barefoot activity was found to be very helpful for improving flexibility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 among PAPS evaluation items. Third, barefoot activity helps to improve alacrity, muscular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but does not show the effect as much as flexibility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which examines which part of the physical streng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is mainly affected by barefoot activity, suggests that a specific study will be conducted to analyze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physical strength by area according to the time of barefoot activity, since the overall trend is analyzed without controlling all student's time. 본 연구에서는 맨발활동이 초등학생의 체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D광역시의 D초등학교 3학년 A반을 대상으로 3월부터 10월까지 맨발활동을 실시하고 이 활동이 학생들의 체력(유연성, 순발력, 심폐지구력, 근력・근지구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맨발활동 후 학생들의 체력을 PAPS에 제시되어 있는 종목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고, 동일학교 5학년의 PAPS 측정결과와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맨발활동을 실시한 3학년 학생들의 체력을 측정한 결과 학생들은 유연성, 지구력, 순발력, 근력・지구력 순으로 체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맨발활동은 PAPS의 평가항목 중 특히 유연성과 심폐지구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맨발활동이 순발력과 근력・근지구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만 유연성과 심폐지구력이 향상되는 만큼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맨발활동이 초등학생의 체력 중 어떠한 부분에 영향을 주로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연구로써 학생 개개인의 시간을 모두 통제하지 못하고 전반적인 경향을 분석한 것이므로 후속연구에서는 맨발활동 시간에 따른 영역별 체력향상 정도를 분석하는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제언한다.

      • KCI등재

        2015 개정교육과정의 핵심역량에 기반한 초등학교의 맨발활동 탐색

        권택환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1

        In this study, we looked at how the barefoot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has to do with the six core competences requir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further sought to gain suggestions on provid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t school sites. Research council was conducted twice a month with a class teacher after starting barefoot activity in Class A of D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D, and the results produced by students in year 3 class A during their usual educational activities, teacher diary, parents' records that were related to barefoot activit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focusing on thematic keyw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continuing the barefoot activity performed outsid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experienced improvement in self-management capacity as physical fitness improved. Second, it can be found that barefoot activity is mostly educational activities that are carried out from the outside, intuitively perceiving nature, and it is possible to discover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to construct and reconstruct concepts. Third, barefoot activity is effective to enhance communication capacity and community capacity.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the method of observation is limited because it promotes qualitative research focusing on the records of the subjects. I suggest that in subsequent researches, the barefoot ac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data collected through various observations.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의 맨발활동이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6가지 핵심역량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더 나아가 학교현장의 교육환경 제공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D광역시의 D초등학교 3학년 A반을 대상으로 맨발활동 시작 후 매월 2회 담임교사와 연구협의회를 갖고 3학년 A반 학생들이 평소 교육활동 중 생산되는 결과물(학습지, 일기장, 편지, 방송인터뷰 등), 교사 일지, 학부모 기록물 중 맨발교육활동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주제별 키워드를 중심으로 유목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깥에서 이루어지는 맨발활동을 꾸준히 함으로써 교사, 학생, 학부모는 체력이 향상되면서 자기관리 역량이 향상되는 것을 경험하게 되었다. 둘째, 맨발활동은 대부분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으로써 자연을 직관적으로 인식함에 따라 개념을 구성하고 재구성하는 지식정보처리 및 창의적 사고 역량도 길러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셋째, 맨발활동은 의사소통 역량 및 공동체 역량 함양에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의 기록물을 중심으로 질적 연구를 추진하였으므로 관찰 방법이 한정적이라는 제한점을 가진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관찰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초등학생의 맨발활동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지길 제언한다.

      • 기본교육과정 과학과의 STS교육 도입배경과 시사점

        권택환 국립특수교육원 2001 특수교육 교육과정 연구 Vol.2 No.-

        발달장애 학생 과학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실생활의 적용이다. 최근 과학교육에서 과학의 사회적 의미, 과학과 기술과의 관계, 과학과 실생활과의 관계를 강조하는 이른바 STS(과학-기술-사회)교육 과정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 7차 기본교육과정 과학과에 구체적으로 반영되고 있고, 과학교육의 주요 관심영역인 STS 교육의 개념과 도입배경, STS 교육의 목적, STS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 STS 학습지도 방법 등을 살펴보고, 발달장애 학생 과학과 지도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 ultimate goal of scie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that the students should learn how to apply this knowledge to real life situations. There has been a recent movement in science education, known as STS (Science-Technology-Society), which emphasizes the social meaning of sci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the real lif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how the concept of STS education was reflected in science education in the 7^th National basic curriculum. Consideration is the investigation was given to how the background, introduction, of the STS course. In addition, the study explored th purpos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content of the STS course. Issues concerning methods for teaching science to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국내 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 및 지원요구

        권택환,박현옥,김은주 국립특수교육원 2008 특수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국내 통합학급 운영 실태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과 지원요구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그 결과 부모들은 일반학급 입급 시 장애학생들의 사회성에 대한 기대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필요한 정보들은 주로 다른 장애학생의 부모나 특수교육관련 전문가 및 특수학급 교사에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을 위한 개별화교육 프로그램의 작성에 부모 참여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의 학교생활에 관련하여서는 교과활동의 어려움, 문제행동, 친구들로부터의 따돌림 등으로 인해서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사회성에 대한 기대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녀가 일반 친구들로부터 언어적 놀림이나 따돌림을 받고 있는 것이 교우관계의 어려움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추후 통합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arent's perception and demand on the inclusive classroom. We surveyed nationwide parents who have student with disabilities enrolled in inclusive classroom. The survey showed that, for the most, the parents wanted their children to be socialized, And, they depended mostly on other parents, special classroom teacher and other experts in special education field for information on school adjustment, school work of their children. Also, the parents' participation on IEP meeting were very low. For their children's difficulty in school, the parents were quite aware of problem behavior, low achievement on general curriculum, and maliciously alienating fellow classmates. The verbal ridicule or alienation from classmate worked as an obstruction in making friends within the classroom. Tak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ed and sugges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inclusive classro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