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지적장애연구` 학술지의 최근 연구 동향 분석

        이성용 ( Yi Seongyong Y. ),김진호 ( Kim Jinho H.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7 지적장애연구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연구 학술지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사회과학분야에서 연구 특성 및 동향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최근에 사용하고 있는 키워드 네트워크분석을 특수교육분야에서 새로이 적용하여 제시하는 데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자료를 검색하고, 게재논문에서 키워드가 제시되기 시작한 2002년부터 시작하여 2016년까지 게재된 총 589개의 학술논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KrKwic과 KrTitl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키워드 추출 및 코딩을 실시하고 자료를 정제해 핵심 키워드 28개로 1-mode 네트워크 행렬을 만들었다.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공출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 기반한 네트워크 구조 특성 분석, 사회적 네트워크 중앙성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네트워크 분석 도구로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UCINET6와 NetDraw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2년부터 2009년까지 지적장애연구에 게재된 연구는 총 233편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키워드는 `지적장애`, `통합교육`, `전환교육`, `발달장애`, `특수교육`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지적장애연구에 게재된 연구는 총 356편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키워드는 `지적장애`, `발달장애`, `전환교육`, `특수교사`, `통합교육`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2002년부터 2016년까지 지적장애연구에 게재된 연구는 총 589건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키워드는 `지적장애`, `발달장애`, `전환교육`, `통합교육`, `특수교사` 등으로 나타났다. 즉, 지적장애연구는 지적장애와 발달장애의 전환교육, 통합교육 관련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적장애연구 학술지의 연구 특성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와 유용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find out the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JID). For investigating this journal, the final 589 papers were selected as subjects from the result of searching research databases(www.kaid.kr). After keyword extraction, coding, and data cleaning, we made a 1-mode network with the final 28 keywords using KrKwic and KrTitile programs. In order to find out the research trends, frequency analysis, social network structural property analysis based on co-keyword network modeling, and social network centrality analysis were used. The network analytic tools were UCINET and NetDraw program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233 papers were published from 2002 to 2009 in the JID and the main keywords were identified as `intellectual disabilities`, `inclusion`, `transiti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and so on. The 356 papers were published from 2010 to 2016 in the JID and the main keywords were identified as `intellectual disabilities`, `developmental disabilities`, `transi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 `inclusion`, etc. Second, the 589 papers were published from 2002 to 2016 in the JID and the main keywords were identified as `intellectual disabilities`, `developmental disabilities`, `transition`, `inclusion`,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so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valuable insights to understand the studies of JID.

      • KCI등재

        사회구성주의 관점에서 본 지적장애의 개념과 시스템 고찰

        강종구 ( Jong Gu Kang ),김라경 ( Rah Kyung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사회구성주의 관점을 통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적장애와 학습장애의 법, 개념, 교육적 함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지난 50년간의 지적장애의 정의와 개념의 변화와 이에 따른 정신지체에서 지적장애로의 용어의 변화의 타당성에 대하여 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와 외국의 문헌을 검토하였으며 검토된 문헌에 대하여 사회구성주의 관점을 통해 해석하고자 하였다.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법인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과 장애인복지법을 검토한 결과 장애인복지법에서는 특수교육법이 지원해 주지 못하는 장애에 대한 보완과 학습장애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지원이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는 달리 미국 장애인법과 재활법에서는 전장애아교육법에 해당하지 않는 장애(천식, 주의력 결핍 장애 등) 및 21세 이상의 학습장애 성인 등을 지원해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유럽의 경우 지적장애 대신 학습장애나 특수교육적 요구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포괄적인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지적장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둘째 지난 50년간의 지적장애의 용어, 정의와 개념의 변화를 검토한 결과 점차적으로 IQ중심의 심리학적 분류, 교육적 분류, 의학적 분류에서 종합적이며 환경적 사회적 맥락을 고려한 지원적 분류로 변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적장애 개념을 검토한 결과 지적장애는 1급에서 3급에 해당하는 중증장애로만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지적장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내포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지적장애 용어 자체에 대하여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 장애의 진단 명칭을 지적장애로 사용하고 있는 데 반해 동일한 대상에 대하여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정신지체라는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어 정부 차원의 교육과 복지가 협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aws, concept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intellectual and learning disabilities using a social constructionist model.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historical overview of how the constructs underlying mental retardation and intellectual disability differ, and to explain why the field is shifting from the term mental retardation to intellectual disabilities. First, unlike the IDEA eligibility system that is based on clinical categories of disabilities, definitions of disability under ADA and Section 504 are broad. These definitions may provide appropriate, reasonable adaptations and accommodations to eligibl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at IDEA cannot cover (e.g., attention deficit disorder, asthma). To the contrary, in order to receive services in Korea, special education law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Welfare of Disabled Persons Act consider the specific categories detailed in the laws. Some European counties favor to use the term "learning disabilities" to prevent bias against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over the last 50 years, the field has moved from the IQ-based medical model of classification to an ecological focus and supports paradigm. This new model focuses on the actual functioning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fic environments. Third,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may have negative attitudes if they are registered as having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current Korean system, the term intellectual disability represents having severe disabilities. The denial of registering as having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Welfare of Disabled Persons Act hinder this population from receiving appropriate services. In order to improve these negative perceptions about using the term intellectual disability, the experts` leadership role is crucial. The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use different terms (MR, ID) for the same disability category, a clear indication of collaboration among Ministries is needed.

      • KCI등재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성인생활을 위한 미래계획 사정에 대한 특수교육교사들의 인식

        김영준 ( Young Jun Kim ),김진호 ( Jin Ho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2

        지적장애학생의 성인생활을 위한 미래계획 사정은 전환교육에서 핵심적인 요소로서 최근에 매우 강조되고 있다. 장애학생 중심의 평가과정인 미래계획 사정은 장애학생이 학교를 졸업하고 살아가야하는 미래 생활의 목표와 요구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현재 수준을 파악하여 필요한 교육내용과 방법을 구성하고 교육 및 지원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한다. 특히 고등부 지적장애학생을 위해서는 개별 장애학생의 성인생활에서의 목표와 요구, 흥미, 가능성 등을 파악하고, 학령기 때에 그에 관련된 전환교육을 구체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은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성인생활 적응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그러나 우리나라 특수교육현장에서는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성인생활을 위한 미래계획 사정이 실제적으로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전환교육에서 필수적으로 실시해야하는 미래계획 사정에 대한 기초 연구로써,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미래계획 사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특수학교 고등부에서 지적장애 고등학생을 가르친 경험이 많은 담임교사 세 명을 선정하고 반 구조화 된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미래계획 사정과 관련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인식과 관련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써 특수학교 고등부 교사들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미래계획 사정에 대한 인식을 다섯 가지 영역(시작 시기와 그 영역간의 우선순위 설정 등)에 따라서 자세하게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수교육 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지적장애학생의 성인생활을 위한 전환사정을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uture planning assessment is one of critical components of the transi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future planning assessment is a student-centered assessment process, which helps students and teachers identity goals, needs, interests, and preference for adult lives after high school. The future planning assessment can also help teachers develop an effective transition plan to reach career and adult life goals and identify the education and training necessary for high school and adult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on the future planning assessment and suggest several related application issues of the assessment of future plans in teach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utilizing the in-depth interview method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this study surveyed three teachers who have been experienced in teaching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The teachers` perceptions were analyzed in terms of future planning assessment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based on the five categories of the in-depth interview questionnaires. The results suggest basic resources for the future planning assessment and transition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mplication for practice an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한국지적장애 학술연구 동향

        박정식 ( Jung Sik Par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한국지적장애의 교육과 연구에 많은 영향을 끼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에서 발행하는 ``지적장애연구`` 학술지와 학술대회 논문집을 연구유형, 연구대상, 연구주제 등으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한국지적장애 학술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의 결과로 첫째, 초기 지적장애연구 학술지에서 활용한 대표적인 연구유형은 문헌연구가 많았고, 이후 조사연구와 실험연구, 질적연구 유형을 많이 활용했다. 둘째, 지적장애연구 학술지의 연구대상은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가장 많다. 셋째, 지적장애연구 학술지의 연구주제 동향은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주제가 가장 많았고 또한 전환 및 직업교육, 자기결정, 적응행동 등이 주요 연구주제였다. 넷째, 학술대회 논문집에 나타난 연구주제는 행정지원, 통합교육, 진단평가 및 자기결정, 태도인식 및 적응행동, 전환교육, 문제행동, 공학지원 등 그 시대에 가장 쟁점이 되는 사안들을 학술대회 주제로 선택해 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which have publish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Disabilities(KAID) for grasping at Korean academic trend on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journal have influence on education and research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journal which divided as type of research, subjects of study, and titles of study was analy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literatures as representative research type appeared in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early days. and next then, there are type of survey, experimental study and qualitative study in order. Second, there are many papers which the subjects of study in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rd, in titles of study appeared in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re are many titles regarding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hen there are transition and vocation education, self-determination, adaptive behavior in order. Fourth, The Kore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Disabilities(KAID) have chosen titles of KAID` conference to be big issues in that era. so far these are administrative support, inclusion, diagnosis and evaluation, self-determination, paradigm shift of disabilities, transition problem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echnolog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미국의 지적장애학생 중등과정 이후 교육 현황과 함의

        정동영 ( Dong Young Ch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적장애학생들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미국의 지적장애학생 중등과정 이후 교육과 관련된 법률과 그 현황을 고찰한 다음, 미국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중등과정 이후 교육 현황과 실제를 분석하고, 그 함의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미국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중등과정 이후 교육경로와 교육모형의 현황과 실제는 우리나라 지적장애학생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하여 중등학교와 대학에 이중 또는 동시 등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경로를 다원화하며, 혼합·혼성모형과 통합모형을 개발하여 교육모형을 다양화하고, 이를 위하여 인간중심계획, 교육적 코칭, 멘토링 등을 제도화하는 일이 필요함을 함의해 준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최근 증대되고 있는 지적장애학생들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을 위하여 미국의 현황과 실제를 토대로 미국의 지적장애학생 중등과정 이후 교육모형은 우리나라에 지적장애학생들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을 위하여 교육경로와 교육모형을 다양화하고, 우리의 실정에 적합한 지원 제도를 마련하는 일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legislation and its current statu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U.S.A, analyse its current states and practices and analyse out a implication to seek a way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current states and practices of educational path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U.S.A implicate that Korea need multiple ways for expanding opportunity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y not only having college-initiated program and individual- or family-initiated supports program but also developing dual or concurrent enrollment program Second, current states and practices of educational model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U.S.A implicate that Korea should diversify educational model by developing mixed/hybrid model and inclusive individual model as well as separate model, and then, to achieve these, Korea need to establish person-centered planning and systematize educational coaching and mentoring and so on. Therefore Korea must rush in preparing legislation and system appropriate for its actual condition to deal with increasing need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recent years based on current states and practices in U.S.A.

      • KCI등재

        지적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특수교사의 성교육 실태분석: (2005-2014년의 연구를 중심으로)

        박근필 ( Keun Pil Park ),이영철 ( Young Chul Lee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2005년부터 2014년까지) 지적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특수교사의 성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련된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총 14편의 선행연구를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 청소년들이 보이는 성행동 특성 중 빈도가 높은 것은 타인 만지기, 자위행위, 옷벗기이며, 지적장애 청소년들의 성 관련 질문 및 요구도, 성지식에서 높은 빈도를 나타내는것은 신체 구조와 변화, 결혼과 결혼 생활이다. 둘째, 지적장애 청소년을 가르치는 특수교사가 생각하는 성교육 실시 목적에서 빈도가 높은 것은 부적절한 성행동 감소, 성의식ㆍ성윤리 습득이고, 특수교사들은 지적장애 청소년들의 성적 권리로 성적으로 이용당하지 않을 권리, 사회적ㆍ성적 행동에서 교육ㆍ훈련 받을 권리, 사회적으로 허용된 성을 표현할 권리, 자신의 개인적 사생활을 가질 권리로 다양하다. 셋째, 지적장애 청소년에 대한 성교육 내용에서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성폭력 예방과 대처, 성역할의 특징과 차이점(양성평등 포함), 임신과 출산ㆍ양육이고, 성교육 자료로는 슬라이드ㆍ비디오ㆍ영화가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한다. 넷째, 지적장애 청소년에게 성교육을 실시할 때 어려운 점에서 가장 빈도가 많은 것은 교사 자신이 내용과 방법을 몰라서이다. 다섯째, 성교육 개선방안으로 전담교사 확보 및 배치, 교사 연수 기회의 확대가 가장 많은 빈도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es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recognition of teachers on sex education who are conducting the sex education on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for the past 10 years.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total 14 precedent studi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sex behavior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o touch others, masturbation, and to take clothes off showed highest frequency among sex behavior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physical structure, physical changes, marriage, and married life showed high frequency in questions related to sex, demand, and sexual knowledge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econdly, reduction in inappropriate sexual behavior and acquisition of sexual consciousnessㆍsexual ethics showed high frequency in purpose of sexual education conducted by teachers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eachers considered privilege against to be used sexually, right to receive education and training for social and sexual behavior, right to express socially acceptable sex, and right to have personal private life as the sexual right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irdly, contents that showed highest frequency in sexual educatio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prevention and coping methods for sexual violence, characteristic and differences of the gender role(including gender equality), pregnancy, childbirth, and rearing of children, and slide, video, and film showed highest frequency for materials of sexual education. Fourthly, for difficulty in conducting the sex education to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eachers not having knowledge in contents and method showed highest frequency. Fifthly, procurement and placement of responsible teachers and expansion of teacher training opportunity showed highest frequency for the improvement plan of sex education. Suggestions for a follow-up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 딥러닝 모델 구조에 따른 모르타르의 단위수량 평가에 대한 비교 실험 연구

        조양제 ( Cho¸ Yang-je ),유승환 ( Yu¸ Seung-hwan ),양현민 ( Yang¸ Hyun-min ),윤종완 ( Yoon¸ Jong-wan ),박태준 ( Park¸ Tae-joon ),이한승 ( Lee¸ Han-seung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2

        The unit-water content of concrete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concrete and is directly related to the durability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 and the current method of measuring the unit-water content of concrete is applied by the Air Meta Act and the Electrostatic Capacity Act. However, there are complex and time-consuming problems with measurement methods. Therefore, high frequency moisture sensor was used for quick and high measurement, and unit-water content of mortar was evaluated through machine running and deep running based on measurement big data. The multi-input deep learning model is as accurate as 24.25% higher than the OLS linear regression model, which shows that deep learning can more effectively identify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high-frequency moisture sensor data and unit quantity than linear regression.

      • KCI등재

        지적장애아교육의 사상적 배경 고찰

        민천식 ( Chun Sik Mi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아교육의 초기 감각론적 경험주의자들이 주장하는 교육사상은 어떠한 것인가를 구명해 보고, 또한 이들의 교육사상을 받아들여 지적장애아 교육을 실시할 수 있었던 창시자들의 교육관을 살펴보려는 문헌연구로써,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아 교육의 창시자들에게 영향을 미친 감각론적 경험주의자들은 고전적 관념주의자들의 주지주의적 주입식 교수 방법에 항거하여 감각을 통한 인간 도야의 가능성을 확신시켰다. 특히, 촉각을 가장 기본적인 감각으로 생각하여, 훈련에 의해서 촉각을 어느 정도 정신생활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함으로써, 도덕교육에 까지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이러한 감각교육의 선구적 사상들은 의사인 Itard로 하여금 야생소년을 교육하는데 있어 그의 전 생애를 바치게 하는데 주요한 정신적 지주가 되었으며, Seguin은 Itard의 야생소년 교육방법과 Pereira의 농교육 방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백치아의 생리학적 교육방법을 주장함으로써, 현대 지적장애아교육을 체계화할 수 있었다. 특히, 특수교육이 일반교육으로 발전하게 된 동기를 마련한 사람은 Montessori로서, 그녀는 Itard와 Seguin의 교육방법에 감명되어 그들의 방법을 깊이 연구하여 창안한 방법이 Montessori 감각교육 방법이다. Montessori의 감각교육 방법이 지적장애아동을 위한 교육에서부터 출발한 점을 생각할 때, 초기 지적장애아교육의 창시자들이 사용했던 감각교육 방법은 특수교육 측면에서 재조명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ideas of the sensory empiricist and the educational ideas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education founders who were able to educat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receiving educational ideas of sensory empiricists. The conclusions obtained by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iven the contemporary situation at the time, pioneering thinkers of sensory empiricism were protest in the classical ideology of cramming teaching methods that have been dominated the philosophical ideas of the ancient world. And they were convinced of the possibility of human improving through senses. Common views on these senses is that all knowledge can be obtained only through the senses. In particular, they think the sense of touch in the most basic sense, thus, by affects in the spirit-living through training of touch sense, that will be reach up to moral education. Second, such a pioneering ideas of sensory education were a major spiritual holding to dedicate young doctor Itard`s entire life to educating the wild boy. Seguin received a direct impact on the wild boy education methods of Itard and deaf education methods of Pereira, by insists the physiological educating methods of the idiots, could organize the education of the modern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particular, Montessori provided the motivation to the development of general education by special education.

      • KCI등재

        지적장애 학생 교육의 최선의 실제 : 현재 진전과 미래 진전을 위한 과제

        박승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n overall review of the current best practices for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o suggest a vision for the future. A review of the best practices which wa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from 1990s to the present time is intended to identify and briefly discuss major themes that are found in the current advances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o outline some priority tasks for the future advances in the field of intelletual disability and special education in Korea. As a result, in this study, first, four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the statu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mong special education students were identified and briefly discussed. Second, eight major themes from the current advances were identified and discussed. Third, seven tasks for the future advances that might be expec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special education in Korea were pointed out and elaborated. Finally, necessity and strengths of critically and periodically synthesizing and scrutinizing the best practices for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s a whole rather than attending to only advancing the discrete areas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 특수교육대상 학생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지적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1990년대 이후 현재까지 주창되는 최선의 실제(best practices)에 대해 문헌연구를 통해 점검을 하면서 현재까지의 ‘진전’을 정리하고, 이제부터 미래 ‘발전 방향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1990년대라는 대략의 경계선을 둔 것은 특수교육 및 장애인서비스 분야의 발전 시기를 구분할 때 ‘지원 패러다임’의 시작 시기라는 점과 지적장애 개념화에 ‘지원’ 개념이 공식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한 1992년 미국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학회(AAIDD)의 정의체계에 근거하고 있다. 우선 지적장애 학생 교육의 최선의 실제에서 현재 진전과 미래 비전을 정리하기 위하여 지적장애 학생은 과연 누구인지 그 정체성의 특성을 4가지 주제로 집약하여 문제제기로 시작한다. 그리고 지적장애 학생 교육의 최선의 실제에 대해 1990년대 이후 2014년 현재까지 진전의 핵심적 주제를 8가지로 판별하여 제시한다. 현재의 진전을 음미한 후에는 우리나라 지적장애 학생 교육의 최선의 실제가 미래에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그 발전 방향 과제를 7가지로 판별하여 논의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가 현재 우리나라 특수교육 분야의 발전과 지적장애 학생의 교육력 제고를 위해 어떠한 함의가 있는지를 지적하며 맺는다.

      • KCI등재

        비디오 자기 모델링이 지적장애 축구 선수의 축구 기술 습득에 미치는 영향

        성기태 ( Ki Tae Sung ),김원경 ( Won Kyung Kim ),한민규 ( Min Kyu Ha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비디오 자기 모델링을 통해 지적 장애 학생들에게 패스, 드리블 및 컨트롤 그리고 슈팅 기술을 지도한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지적장애 D 특수학교의 지적장애 학생 2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A그룹 10명과 비실험집단 B그룹 10명으로 선정배치하였다. 그리고 스페셜올림픽 축구 팀 경기 테스트 검사와 사회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중재는 실험집단 학생들에게 비디오 자기 모델링 프로그램을 3회 걸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디오 자기 모델링은 지적장애 축구선수들의 드리블 기술 향상 효과에 대해서는 드리블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통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디오 자기 모델링은 지적 장애 축구선수들의 컨트롤 및 패스기술 향상 효과에 대해서는 컨트롤 및 패스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통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디오 자기 모델링은 지적장애 축구선수들의 슈팅 기술 향상 효과에 대해서는 슛팅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통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디오 자기 모델링은 특수학교 지적 장애 축구선수의 드리블 기술, 컨트롤 및 패스 기술 그리고 슛팅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Recently, there are many studies using multimedia for teaching soccer skills to mentally retarded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is going to focus on self-modeling using a recorded video programs, Here are the steps we will use in our research. First, we have developed and verified the program of self-modeling using a recorded video programs. And we have selected 20 students who are at special schools in Seoul. And then these students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Group One is designated as an experimental group. This groups(20 students) implemented the self-modeling using a recorded video program. Group Two is known as a Control group. This group(10 students) implemented the traditional teacher-centered programs without watching a recorded video program. We have used Social Maturity Assessment to measure the students social maturity ability and Special Olympic Soccer Team Function Evaluation Test which tests soccer skills. And we have run SPSS 12.0 version and analyzed the data by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of independent-Sampled T test to test hypotheses. Our data and statistics analysis summary will show that self-modeling using a recorded video programs has significantly positive results with students compared to teacher-centered programs without using a recorded video programs. This research has these implication. First, it is important that this research is conducted us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verifying the self-modeling program of watching a recorded video. And it is meaningful that this research tested the effects on Special Olympic Soccer Team Function Evaluation Test by that program.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to special education because special education teacher can apply video self modeling instruction to soccer and also apply to other sports in special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