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장인의 동료자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현주,박재연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6

        In this study, 10 public company employees who experienced colleague suicide were interviewed in depth through Giorgi's phenomenological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right after the incident, change process, and growth experiences. In addition, systematic support directions for recovery were also studied. As a result, 8 themes, 29 sub-topics, and 89 semantic units were classified. The eight themes are ‘Experience right after colleague suicide - a whirlwind’, ‘Disappointment and comfort for those around them’, ‘Interest and care for those around them’, ‘Self changes’, ‘Self growth’, ‘Growth with others’, ‘The driving force that lifted up from a colleague's suicide’. ‘the path to recovery togeth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tains the vivid change process of suicide survivors who experienced colleague suicide at work, and that it was able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orporate and national support for suicide prevention of office workers and follow-up management of suicide survivors. 본 연구에서는 동료자살을 경험한 공기업 직장인 10명을 대상으로 Giorgi의 현상학적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심층 면접하여 동료자살을 경험한 직장인의 사건 직후 경험, 변화 과정, 성장 경험을 이해하고 동료자살 경험자의 회복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 방향에 대해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8가지 주제와 29가지 하위주제, 89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8개의 주제는 ‘동료자살 직후 경험-소용돌이 치는 마음’, ‘주변인에 대한 실망과 위안’, ‘주변인에 대한 관심과 돌봄’, ‘자기 자신의 변화’, ‘자기 자신의 성장’, ‘주변인과 함께 하는 성장’, ‘동료의 자살로부터 나를 일으켜준 원동력’. ‘회복을 위해 함께 나아가야 할 길’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장에서 동료자살을 경험한 자살생존자들의 생생한 변화 과정을 담았다는 점과 직장인의 자살 예방과 자살생존자 사후관리를 위한 기업적․국가적 차원의 지원 방향을 모색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초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원장 및 동료교사의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김정희,최미경,최윤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5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among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efficacy, supervisor’s/colleague’s support, and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8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 province. The measure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Teacher efficacy questionnaire,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questionnaire.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requency,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s revealed that overall average value of beginning teachers' general efficacy was higher than that of personal efficacy. Also, overall average value of colleague’s support was higher than that of supervisor’s support. Overall average values of the low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in order of the life goal,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acceptance, environmental control, autonomy, and personal development. Secondly, the results revealed that beginning teachers' personal efficacy had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ll sub-factors of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but beginning teachers' general efficacy had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life goal. Colleague’s support and supervisor’s support had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ll other sub-factors of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except for autonomy. Thirdly, beginning teachers' personal efficacy had a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on all sub-factors of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but beginning teachers' general efficacy didn't have a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on them. Fourthly, colleague’s support had a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on the whole social support, environmental control,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acceptance, but supervisor’s support had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on only the environmental control of all sub-factors of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는 초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원장 및 동료교사의 지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서울 및 경기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208명의 초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교사효능감 질문지, 사회적 지지 질문지와 심리적 안녕감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하여 빈도분석, 적률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효능감 하위요인 중 일반효능감이 개인효능감 보다 점수가 높았고, 동료교사의 지지가 원장의 지지 보다 점수가 높았다. 심리적 안녕감은 하위요인 중 삶의 목적, 긍정적 대인관계, 자아수용, 환경 통제력, 자율성, 개인적 성장 순으로 점수가 높았다. 둘째, 개인효능감은 심리적 안녕감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일반 효능감은 삶의 목적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원장 및 동료교사의 지지는 심리적 안녕감 전체와 하위요인 중 각각 자율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교사효능감 가운데 개인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 전체와 모든 하위변인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보였고, 일반 효능감은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다. 넷째, 동료교사의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 전체에서와 환경통제력, 긍정적 대인관계, 자아수용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가졌다. 반면, 원장의 지지는 심리적인 안녕감의 하위변인 중 환경통제력에서만 정적인 영향력이 유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테크노스트레스와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동료교사 관계의 조절효과

        이지영(Jiyoung Lee),김성원(Sungwon 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19 스트레스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테크노스트레스, 교수효능감, 자아탄력성, 동료교사 관계의 수준과 네 변인 간의 상관관계, 테크노스트레스가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과 동료교사 관계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아교사 202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테크노스트레스와 교수효능감, 자아탄력성, 동료교사 관계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 교수효능감, 자아탄력성, 동료교사 관계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 테크노스트레스가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과 동료교사 관계는 부분적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테크노스트레스로 인해 교수효능감이 낮은 경우 자아탄력성과 동료교사 관계의 내·외적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Background: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technostress, teaching efficacy, ego-resilience, and the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t was also intended to identify correlations between these four variables, and any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on the association of technostress and teaching efficacy.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2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and Kyoung-gi province, from September 3, 2018 to September 29, 2018, and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2.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showed technostress at a moderate level, and teaching efficacy, ego-resilience,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 at slightly higher levels. There were negative associations between technostress and teaching efficacy, ego-resilience,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 teachers, and positive associations among teaching efficacy, ego-resilience,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 teachers. A partial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 teachers on the association between technostress and teaching efficacy, was found.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a high level of technostress on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uld be alleviated dependant on the levels of ego-resilience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 KCI등재

        동료코칭 기반 교사학습공동체의 수업재구성 경험에 대한 연구

        정민수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교사를 대상으로 동료코칭 기반의 교사학습공동체를 조직하여, 수업코치와 수업자의 역할을 순환적으로 경험한 교사의 수업재구성 측면의 인식을 살펴보고, 동료코칭의 적용방안과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 학기에 걸쳐 주1회의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한 뒤 연구 참여자가 작성한 활동보고서, 동료코칭 일지, 포커스그룹 및 개별 면담자료, 관찰일지 등을 통해 생성된 연구자료를 심층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수업성찰 측면에서 교사들은 교과내용의 이해도 및 수업능력 향상, 교수태도의 적극성 증진, 수업연구 및 수업준비에 대한 부담감, 수업대화로 인한 수업고민의 해결을 경험하였다. 그리고 수업협력 측면에서 교사들은 교육네트워크의 구축 및 확장, 동지애와 공동체의식의 함양, 동료교사 간의 갈등을 경험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동료코칭 기반 교사학습공동체의 성찰협력과정은 수업전문성 보다 업무실용능력이 부각되어 있는 교육현장에서 교실의 고립화를 최소화하고 가르침과 배움의 상호작용이 중심이 되는 수업코칭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여겨졌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동료코칭 기반 교사학습공동체의 고충 및 미비점을 보완하고 성찰협력과정을 통한 수업재구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paper is based on teachers organized colleagues coaching-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It examined the recognition in lesson reconstitution aspect of the teachers who are experienced in the roles of instruction coaching and instructing circularly, and found organization probability of the educational field. So, this paper did an in-depth analysis of the research materials created through activity reporting, colleague coaching records prepared by participants after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were performed once a week for one semester, interview materials prepared by focus groups and individuals, and also, observation recording.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in the aspect of instruction introspection, the teachers experienced an improvement of subject content understanding and instruction ability, the enhancement of instruction attitude initiative, load over instruction research and preparation, and learned about instruction difficulties based on conversation. In the aspect of instruction collaboration, the teachers experienced in 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their educational networks, cultivation of colleagueship and community recognition, and conflict resolution among colleagues. As a result, this paper found that the course of introspection and collaboration performed by colleague coaching-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y could minimize the isolation of teacher classrooms at the educational field for which work operational ability was more developed than instruction professionalism and that the course could be used as a way of instruction coaching in a way which th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ion and learning was regarded as important. Finally, This paper, on the basis of these research result discussed the ways of improvement that supplement difficulties and the weaknesses of colleague coaching-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lesson support reconstitution through the course of both introspection and collaboration.

      • KCI등재

        구급대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에서 조직내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 상사 및 동료관계를 중심으로

        송유신,전혜성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8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7 No.1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of 119 ambulance workers and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support. Especially, the research was designed focusing on the emotional support of superior and colleague in workplace. The researchers used a convenience sample of 333 targeting 119 ambulance workers belonged to 4 fire stations (Yong-in, Bun-dang, Seong-nam and Gwang-ju) in Gyeonggi-do. The researchers employed frequency analysis, t-tests, one-way ANOVA, Pears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job stress of 119 ambulance worker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burnout, and colleague's emotional support had moderating effects on this influence. Superior support could not be verified as a moderating factor. In conclusion, colleague's emotional support function as a buffer for the negative impact of job stress of 119 ambulance worker on burnout. 본 연구는 119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조직내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119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를 독립변인으로, 소진을 종속변인으로, 조직내 상사 및 동료 간의 정서적 지지를 조절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4개 소방서를 직접 방문하여 119구급대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351부가 배포되었는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333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119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에서 동료의 정서적 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사의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한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동료신뢰 형성요인 연구

        이재무(Lee, Jae-Moo),송영선(Song, Young-S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5

        본 연구는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동료신뢰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보육교사에 대한 인적자원관리 차원의 실효적 정보와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사회연결망분석방법을 선택하였으며, 경기도 내 5개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의 신뢰연결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연결정도 및 사이중앙성을 측정하고 가장 높은 중앙성을 보인 각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들의 개인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동료들로부터 신뢰를 받아 신뢰연결망의 중심에 있는 보육교사는 5년 이상의 경력, 외향형 및 판단형 성격, 적응형 사고를 갖고 있었으며, 강한 책임감이 신뢰 받는 가장 큰 요인이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동료신뢰 강화를 위해 보육교사들에 대한 경력개발 및 관리, 자기혁신프로그램, 멘토바이저 제도 등의 도입과 운용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ovide scientific basis and effective information in term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bout child care teacher by comprehending the factors that affects on colleague trust formation in national child care center. To achieve the study object,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was selected and collected data of child care teacher who belongs to 5 national child care centers in Gyunggi province. Betweenness centrality and connection degree was measured from collected data and identified the personal features who presented highest centrality in each child care center respectively. Analysis result demonstrates that child care teacher who stands in center with colleague"s confidence had more than 5 years of career, extroverted and adaptive thought and the most contributing factor for gaining confidence was high sense of responsibility. Thus this study proposed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career development and management for child care teacher, self innovation program and mentor-visor system to enhance colleague confidence.

      • KCI등재

        가족친화제도와 분위기가 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경로분석 -상사와 동료의 지원을 매개효과로-

        김진욱,강상준 한국사회보장학회 2018 사회보장연구 Vol.34 No.1

        In the study, family-friendly system and atmosphere, although they did not show a direct effect on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rearing, affected their superiors and colleagues, and displayed a mediating affect that had a positive effect in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rearing. In addition, family-friendly system had more influence on superior and colleagues than family-friendly atmosphere. In other words, family-friendly system must be prepared first and lead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atmosphere, and organizational members’ active cooperation must happen based on it. Eventually, in order for the image of fathers that participate in childrearing to become active as a natural social atmosphere, family friendly system should be focused on the company that male caregiver belongs to, as well as male caregivers themselves. Coexistence of work-family based on gender equality became a policy as family-friendly system, but in Korean society where male-oriented family support model still strongly remains as a tradition, both government and society, as well as company, are all directly involved in the change of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childrearing’ from women to men. 본 연구에서는 18세 미만의 양육이 필요한 자녀 중 미취학 아동을 둔 직장인 기혼 남성을 대상으로 가족친화적인 제도와 분위기, 상사와 동료의 지원 등이 양육참여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 경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족친화제도 및 가족친화적인 분위기는 상사와 동료의 지원을 통해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경로가 파악되었다.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책적 초점이 남성이 속해 있는 기업과 조직에 맞춰져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남성생계부양자모형이 여전히 강한 전통으로 남아 있는 한국사회에서, ‘양육’에 대한 역할을 여성과 남성이 함께 책임지는 형태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가족친화정책의 제도적 확대는 물론 기업과 조직 내부의 양성평등인식 확산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이 본 연구의 결론이다.

      • KCI등재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칸트의 우정

        이혜정(Lee Hye jung) 대한철학회 2014 哲學硏究 Vol.132 No.-

        칸트는 윤리학을 인간의 자연적 경향성에서 정초 지우려하지 않고 오로지 도덕 법칙을 선험적으로만 수립할 수 있는 윤리 형이상학을 통해 정초 지우려 했듯이, 우정도 이념과도 같은 완전성 안에서 고찰하려 했다. 그래서 칸트는 『윤리형이상학』 <덕론>에서 우정이란 평등하고 상호적인 사랑과 존중을 통한 두 인격체들 간의 연합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러나 나는 칸트의 우정에 대한 정의는 우리의 일상에서 일어나는 우정하고는 매우 다를 뿐만 아니라 낯설기까지 하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그의 정의가 친구들 상호 간의 관계를 규정하기 보다는 차라리 동료들 간의 관계로 규정하는 것이 알맞다고 보기 때문이다. 동료와 친구 관계의 혼동이 일어날 수밖에 없는 것은 그의 인간관이 근대의 계약론적 인간관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이다. 친구들은 평등하고 상호적이어야 한다. 우정이란 두 인격체들 간의 연합이다. 친구들에 대한 사랑의 이끌림은 존중을 통해 통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견해들에서 그의 계약적 관계의 인간관을 엿볼 수 있다. 더욱이 그의 언어는 남성의 전유물로 보았던 이성주의적 언어로, 다시 말하면 아버지의 언어로 이루어져 있다. 아버지의 언어라는 것은 연역적 방식의 논증을 의미한다. 수학적으로 자명한 공리들처럼, 윤리학은 직관적으로 자명한 원리들을 제시하고 그것들로부터 구체적인 행위들을 도출해 내는 것이다. 행위의 도덕적 정당화는 바로 도덕 규칙들이 도덕 원리와 일치될 때이다. 칸트의 우정에 대한 정의와 설명에서 부각되어 있는 언어들은 평등, 상호성, 의무, 연합, 존중의 언어들이다. 칸트는 우정의 속성인 사랑이라는 감정에 대해서 사소하게 다루고 있거나 또는 지나치게 감정적이어서 통제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여긴다. 이끌림으로서의 사랑은 불안정하고 천방지축이어서 존중을 통해 균형 잡아야 하는 두려운 대상이다. 칸트는 우정을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정서로서 고찰했다고 보다는 우선적으로 근대적 인격체들 간의 관계로 규정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른 존재들과는 나눌 수 없는 친구간의 친밀한 감정의 교류들이 얼마나 인생을 아름답고 즐겁고 유쾌하고 행복하게 만드는지에 대해서 전혀 드러내지 않았다는 것은 매우 아쉽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좋은 것들을 다 가졌다 하더라도 친구가 없는 삶은 그 누구도 선택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는데 말이다. Kant has tried to consider a friendship in its perfection, as if he didn't base ethics on natural inclination of human, but on the metaphysics of morals be able to established moral principle a priori. So Kant defined in The Metaphysics of Morals that a friendship is the union of two persons through equal mutual love and respect. But I argue the definition of friendship of Kant is not only very different from a friendship in daily life, but also unfamiliar. This reason is that his definition do not regulated mutual relation of friends, but appropriate relation of colleagues. The reason to be confusion of friend and colleague is that his perspective of human is founded on contractual theory of modern human being. Friends should be equal and mutual. A friendship is the union of two persons. A Attraction to love of friends is controlled by repulsive force of the respect. We can peek theory of contractual relation of human in theses his views. Moreover his language is composed of rationalistic voices deemed to the preserve of man, that is to say, voices of fathers. The voices of fathers mean the argument of deductive method. As a mathematically self evident axioms, ethics suggests a intuitively self evident principles and deduces concrete actions from them. A voices exposed in definition and explanation of friendship in Kant is the voices of equality, mutuality, duty, union, repect, and so on. Why he do not explain or treat trivially about the emotion of love in friendship. A love as attraction is a scarey object balanced through respect because of unstable and rush. Kant thrown away very basic emotions and abstracted a universal form only. It is a thousand pities to not expose about how interchanges of intimate feeling of friends make a life beautiful, pleasant and happy. Aristotle should have said nobody choose a life without friendship though having all things.

      • KCI등재

        공무원 상사의 코칭리더십이 직원의 혁신행동과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 동료의 성장가능성에 대한 믿음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은희,탁진국 한국코칭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과 협력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공무원 상사의 코칭리더십의 효과를 검증하고, 상사의 코칭리더십과 부하 직원의 혁신행동과 협력행동 사이에서 부하의 인지적 유연성, 동료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믿음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서울에 소재한 교육행정기관에 근무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상사 155명, 부하직원 442명 총 597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상사가 답변한 부하들의혁신행동과 협력행동의 측정값을 부하 직원의 응답 결과와 짝을 맞추어 부하직원의 데이터에 합친 후, 결측치와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총 397부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공무원 상사의 코칭리더십은 부하 직원의 혁신행동, 협력행동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둘째, 상사의 코칭리더십은 부하 직원의 인지적 유연성, 동료의 성장가능성에 대한믿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였고, 셋째, 인지적 유연성은 상사의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 사이를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넷째, 동료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믿음이 협력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기반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수학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교사학습공동체의 동료코칭 실행연구

        정민수(Jung Min Soo),김연경(Kim Youn Kyoung),부재율(Boo Jae Yool)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수학교육에 관심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평가코치와 평가자의 역할을 순환적으로 경험한 교사들의 수학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동료코칭 경험의 인식을 살펴보고 수학교육에 대한 수업능력과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근거로 평가기준이 수학과 교과서 수준에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분석하였고, 교실수업 수준의 과정중심평가를 수학과 ‘수와 연산’과 ‘도형’ 영역에 걸쳐서 실행하였다. 또한 3개월에 걸쳐 주2회의 동료코칭 활동을 한 뒤 참여교사들의 동료코칭 일지와 과정중심평가 실행보고서 그리고 연구참여자가 작성한 관찰일지와 포커스그룹 및 개별 면담자료 등을 통해 생성된 연구자료들을 심층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평가성찰 측면에서 교사들은 과정중심평가의 방법선정과 도구개발, 과정중심평가 실시 후 채점 및 성적부여 과정에서 동료코칭을 경험하였고, 평가협력 측면에서 교사들은 과정중심평가의 결과분석 및 해석을 위한 의사결정과정, 과정중심평가의 성취수준 결정과정에 대한 의미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이상의 실행연구결과 교수·학습 상황에서 수학과 과정중심평가를 실행할 때 동료코칭 활동이 교사들의 수학교육에 대한 수업능력과 학생평가 전문성 향상에 의미 있게 기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학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동료코칭 활동은 학생들의 수학교과 역량향상 측면에서 교수·학습 상황을 전개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comprised of teachers with interest in math education, examine their perceptions of colleague coaching experiences regarding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math among those who experienced coaching by an evaluator and his or her roles in a cyclical manner, and search for plans to increase their instructional abilities for math education and their professionalism in student evaluation.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ways that evaluation criteria were reflected at the level of math textbooks based on the achievement criteria in the Revised Math Curriculum of 2015 and carried out process-focused assessment at the level of classroom lessons in “Numbers and Operations” and “Figures” areas in math. The participating teachers engaged in colleague coaching activities twice per week over three months. The research materials were then put to in-depth analysis including their colleague coaching logs, reports on process-focused assessment, observation logs, focus group reports, and individual interview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teachers experienced colleague coaching in the aspect on reflection on evaluation in the process of selecting a method for process-focused assessment, developing a tool for the assessment, and marking and grading the students after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the aspect of collaboration on assessment, the teachers discussed a decision-making process to analyze and interpret outcomes in process-focused assessment and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e determination process for the achievement level in process-focused assessment. The action research findings demonstrate that colleague coaching activities mad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teachers’ improved instructional abilities and professionalism in student evaluation in math education when carrying out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math under teaching and learning circumstances. In addition, the colleague coaching activities for process-focused evaluation in math provided practical assistance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in the aspect of students’ enhanced capabilities in the math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