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시설의 질과 아동의 기질에 따른 걸음마기 영유아의 또래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

        이완정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8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소재 18개 보육시설 걸음마기 아동반의 영유아 33명을 대상으로 보육시설의 질과 영유아의 기질에 따라 영유아가 또래 및 보육교사와 맺는 상호작용이 다른지를 알아보았다. 영유아의 기질은 보육교사에게 설문지를 통하여 알아보았고, 보육시설의 질이나 영유아의 또래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은 관찰법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기된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의 질에 따라 영유아의 또래 및 보육교사와의 상호작용은 차이가 있었다. 즉 보육시설의 질이 우수할수록 영유아는 혼자 놀기보다는 또래와 접촉하는 경우가 많았고, 또한 보육교사와 이야기를 나누거나 놀이를 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둘째, 보육시설의 영유아는 기질에 있어 성차를 나타내어, 남아의 경우 여아보다 활동수준이 더 높았다. 셋째, 영유아의 기질적 특성에 따라 또래 및 보육교사와의 상호작용은 차이가 있었다.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있어, 남아의 경우 반응표현이 격렬할수록, 여아의 경우에는 생리적인 주기가 불규칙할수록,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없는 ‘비몰입’ 행동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와의 상호작용에 있어서도, 남아의 경우 반응표현이 격렬할수록, 여아의 경우에는 신체움직임이 많거나 새로운 자극에 회피경향이 높을수록, 교사의 제재를 받거나 우는 등의 행동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걸음마 아동기(toddler)의 영유아를 관찰하여 보육시설의 질과 영유아의 기질에 따라 이들이 보육시설에서 또래 및 보육교사와 맺는 상호작용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밝혔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북한의 영유아 보육정책

        양옥승,오미경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2

        북한의 영유아 보육 정책은 정치 사회적 변동과 함께 국가의 최우선 제도의 하나로써 다섯 단계를 거쳐 전개되었다. 해방 직후인 제 1기에 이미 여성의 노동력 동원과 맑스·레닌 주의 사상에 입각해 공산주의적 인간 양성을 목적으로 영유아 보육 기관을 제도화하여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집단 교육 체제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1971년에 만 5세의 모든 유아에게 1년간의 유치원 교육을 의무화 했으며, 곧이어 1976년 「어린이보육교양법」과 1993년 동 세칙을 제정함으로써 사회주의 체제유지으 한 방편으로 영유아 보육 제도의 입지를 확고히 하였다. 정권 초기에는 맑스·레닌 주의 이념을 영유아 교육 이념으로 하였지만, 오늘날에는 공산당, 특히 김일성, 김정일 부자에게 충직한 주체형의 새 인간 양성을 이념으로 하고 있다. 북한의 영유아 보육 체제는 연령별로 교육위원회에서 관할하는 유치원(4세, 5세), 보건부에서 관할하는 탁아소(1개원~3세 이하) 등으로 이원화 되어있다. 이러한 현상은 교원 양성 정책을 통해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즉, 보육원이라 불리우는 탁아소 교사는 주로 고등 중학교를 졸업한 여성 중에서 단기 연수 과정을 거쳐 임명되고 있는 반면, 유치원 교사인 교양원은 교육 기간이 길어 3년제의 교원대학 출신 중에서 국가 시험을 통해 배출되고 있다. 영유아 보육 기관의 재정은 중앙 또는 지방의 부담으로 하고 있다. 국립은 중앙 예산으로 공립은 지방 예산으로 충당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탁아소의 재정 형편이 다르다.

      • KCI등재

        한국영유아보육정책의 과제와 방향

        김영모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2

        우리나라에 있어서 영유아보육사업이 1980년이전에는 탁아사업으로 간주되었고, 1980년대에는 교육사업으로 인식되었으며, 1990년 이후에는 다시금 복지사업이 되었다. 이러한 복지사업은 교육서비스를 중요시하는 탁아사업 즉 educare의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정부는 영유아보육사업의 확충계획으로 향후 3년간 1조 3천억원을 투자하여 보육시설을 '94년 현재 6,088개소를 '97년까지 13,678개소로 확대하고 요보육대상아동의 수탁율을 '94년 30%에서 '97년 95%로 확충하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확충계획은 매우 의욕적이지만 과연 적절한 수요예측인지, 그리고 현재수준의 재정지원과 종사자의 인건비로 소기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의문이 간다. 첫째, 정부가 발표한 확충계획은 보육아동의 수탁율 56.4%에 근거하고 있는 것인데, 이것은 잘못된 것 같다. 전문가들의 의견은 20%이하라고 한다. 둘째, 현재 영유아보육사업이 사보육화 보육되어 있는 실정인데 (국공립보육시설은 전체 15.7%) 이러한 여건에서 정부의 확충계획의 실현이 거의 불가능하다. 셋째, 영유아보육사업이 교육서비스이냐 아니면 보호서비스이냐에 대한 전문가들의 논쟁이 심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영유아보육사업의 법적체계는 보호(복지) 서비스이나 아동부모의 68.3%가 보호와 보육을 동시에 요구하고 있다. 넷째, 영유아보육사업의 재원이 저소득층을 제외한 수익자의 자부담원칙인데 만약 확충계획대로 실시하려면 공보육화가 불가피하다. 즉 정부, 직장 및 수혜자가 부담하여야 한다.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영유아 관찰에 대한 교사인식 및 실행 실태

        조유나 ( Cho You Na ),신은미 ( Shin En Mi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20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영유아 관찰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실태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의 보육교사 총 24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영유아 관찰과 관련된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영유아 관찰에 대한 인식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어린이집과 직장어린이집은 영유아의 요구 및 발달 수준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가정어린이집은 기본생활습관 행동을, 직장어린이집은 또래 및 사회성 발달 행동을 관찰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은 국공립어린이집 교사들보다 관찰결과를 보육과정 계획 및 운영에 반영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 관찰에 대한 실태도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일부 다르게 나타났다. 직장어린이집은 기본생활습관행동과 표준보육과정의 놀이 및 활동을 일화기록으로 관찰 기록하는 반면 가정어린이집 교사들은 기본생활습관행동을 체크리스트를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관찰 결과를 가정과의 의사소통 자료 그리고 영유아의 요구와 발달을 이해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특히 직장어린이집에서 영유아의 요구와 발달을 이해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보육과정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영유아 관찰의 활용을 강조하여야 하며 어린이집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교육을 선택하여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육이 개발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s about the observation of children following the types of child care center.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research goals, a total of 245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elected, and were made to answer a questionnaire with 49 questions, all related to observation of children.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children observation differed according to type of child care center. Home child care center and Work child care center teachers being more aware of the need to understand development level of children through observation, Home child care teachers recognized basic daily habits behaviors and Work child care teachers recognized that more peer and social development behavior should be observed. Regarding the use of observation results, Work child care center teachers reflected observation results in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child care curriculum rather than at national child care centers. The practices of the children observation showed some diffe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hild care center type. Teachers of the Work child care center observe and record activities of the basic life habits behaviors in anecdotal records, while Home child care teachers were using checklists for basic lifestyle behavior.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영유아 보육 문제에 대한 교사의 개별적 대응에 대한 분석적 검토

        현정환(Hyun, Jung-Hwa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3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영유아 보육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무엇이며, 그 문제 해결을 위해 교사가 다문화 가정 영유아 및 그 부모에 대해 개별적으로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전체 재원 아동 176명 가운데, 81명의 다문화 가정 영유아가 재원하고 있는 일본의 M보육시설을 대상으로 자료 분석 및 교사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사례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 가정 영유아 보육의 주요 문제로서는 「부적응」, 「착의, 탈의」, 「식습관이나 음식」, 「보육내용」, 「언어」, 「기본적 생활습관 형성」등의 문제 사례가 발견되었다.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한 대응 방식에서 영유아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자립을 지원하는 접근을 하고 있었으며, 부모에 대한 대응에서는 부모의 보육관이나 아동관에 구애받지 않고, 영유아의 건강한 신체적, 심리적 발달적 측면에서 부모의 이해와 협조를 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is the main problem caused by childcare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to figure out how teachers response to children and their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achieve its purpose, examples are collected from M daycare center, which is caring 81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out of 176 children in total. The collected examples include interview with teachers and analysis on daily record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ain problem of childcare from multi-cultural family is as follows. A maladjustment behavior in familiar environment, problems of children’s dressing (undressing) code, eating habits and food, contents of childcare, language problems, problems of daily time practice. In order to solve those problems, two measures have been conducted in M daycare center. When it comes to children, teachers were giving them support that helps children be more independent. And for their parents, asking them to be cooperative in promoting children’s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However, if it’s hard to get parents’ cooperative support, teachers have tried to find compromise with them through continued conversation.

      • KCI등재

        영유아보육비용 재정분담 구조의 현황과 과제

        백선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21

        이 논문은 21세기 우리 나라 보육사업의 과제인 보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 영유아보육의 재정적 측면에서는 어떠한 변화가 요구되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보육의 ‘質’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보육의 질은 보육에 대한 사회적 가치에 따라 강조하는 바가 달라질 수 있다. 시장과 개인의 능력을 중시하는 개인주의적 가치가 강조되는 사회에서는 개인의 지불능력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에 초점을 맞출 것이지만, 보육문제의 사회적 해결과 형평성 있는 분배를 위한 국가개입을 강조하는 집합주의적 가치의 사회에서는 보육의 질은 단순히 프로그램의 질 뿐만이 아니라 서비스의 탈상품화 즉, ‘아동보육이라는 서비스가 필요할 때 시장에서 형성되는 서비스 비용을 다 지불하지 않고도 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정도’가 고려될 것이다. 이 논문은 사회복지사업으로의 보육서비스의 질적 발전을 위해서는 서비스의 탈상품화가 강화되어야 한다는 기본 입장에서, 탈상품화를 이루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인 재정적 측면에서의 공공성을 강조하면서 우리 나라 보육비용 분담구조의 현황을 분석하고 그 정책대안을 제시한 것이다. 필자는 비용분담구조를 통한 탈상품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보육서비스 비용의 사회화’와 ‘보육서비스 접근의 형평성’이 필요하다는 입장하에 전자를 위해서는 비용부담주체와 총보육비용 중 국가부담비용을 분석하였으며, 후자를 위해서는 소득대비 비용부담의 적절성과 소득계층별 형평성 있는 부담(재분배) 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용부담주체는 국가, 기업, 민간, 개인 등으로 다원화된 가운데, 보육비용의 대부분(85~92%)을 민간에서 부담하고 있으며, 비용부담면에서는 제도의 불안정으로 저소득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더 많은 보육료를 부담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소득계층별로도 일부 역진적이고 혼란스러운 결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에 필자는 보육에 대한 국가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국가의 재정부담 확대, 국가 보육료지원의 형평성 확보 및 계층간 형평성 있는 비용부담구조로의 제도 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부록 표 1> 정부의 보육시설 설치비 예산 ◁원문참조▷ <부록 표 2> 민간보육시설의 신축 및 설치비 추정 소요비용 ◁원문참조▷

      • KCI등재

        보육정책의 동반자적 관계 모색

        김형식,최영신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22

        이 논문은 최근의 경제ㆍ정치ㆍ사회분야에서 활발하게 제기되고 있는 ‘동반자적 모델(Partnership Model)’의 관점에서 볼 때 우리의 현황은 어떠한지, 또한 이 모델이 영유아 보육정책의 시행과정에 제시할 수 있는 원칙들은 어떤 것인지에 대하여 규명해 본다. 서론 부분에서는 '동반자적 모델'이 대두된 배경을 간략하게 서술하고 이러한 개념이 영유아 보육정책, 특히 재정지원과 분담방식에 어떠한 함의를 시사할 것인가를 정리해 본다. 이 논문은 아동의 기본권에 근거한 보편주의적 접근이 가장 바람직한 영유아 보육 정책이라는 입장을 취한다. 전 소득 계층에 속한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영유아 보육정책은 보육의 욕구가 있는 어떠한 아동이던지 간에 국가의 보육정책으로부터 그 이익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평등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며, 그 이익의 크기에 있어서는 요구에 따른 형평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할 것을 주장한다. 이 논문은 보편적인 보육서비스의 공적인 보장, 다양한 보육서비스의 제공, 재정부담의 형평성의 원칙, 서비스의 질적 향상이라는 네 가지 보육목표 달성에 있어서 국공립, 민간(시장), 부모의 세 주체를 중심으로 한 동반자적 관계를 평등한 역할 분할의 관점에서 모색해 본다. 아울러 영유아보육정책에 있어서 국가와 민간간의 관계에 관한 제한된 비교분석으로서 일본의 자료를 검토한다.

      • KCI등재

        영유아 보육시설장의 보고에 의한 보육시설의 현황

        오영희,김숙령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

        본 연구는 보육프로그램의 질적 수준과 관계가 있는 보육시설의 시설장(원장)들의 보고에 의해 보육프로그램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시설장의 보육사업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조사하여 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시의 64개소의 국공립, 민간, 직장 보육시설의 시설장들이었으며 사용된 질문지는 미국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에서 보육시설장 면접 (Director Interview)을 위해 사용한 질문지의 일부를 번역.수정한 것이었다. 자료분석에 의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보육시설은 대부분 연령별로 학급을 구성하였으며, 18개월 미만의 영아와 환아를 위한 보육 서비스나 주일이나 공휴일, 야간 시간을 위한 보육 서비스는 별로 없었다. 둘째, 우리나라 보육교사의 임금수준은 특히 민간 보육시설의 교사의 경우 노동의 대가나 희생에 비해 너무 낮았으며, 이와 관련하여 보육교사의 이직율이 매우 높았다. 셋째, 보육시설의 시설장들의 수입은 보육교사에 비해 국공립 보육시설과 민간, 직장 보육시설 간에 차이가 별로 없었으며 이와 함께 시설장들은 현재 재직하고 있는 보육시설에 비교적 오랫동안 종사해 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많은 시설장들이 학급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어린이집 운영자로서의 역할에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한편 시설장의 직무 만족도는 수입과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보육시설장들은 보육시설을 운영하는 가장 큰 이유로서 보육의 중요성을 꼽았으며 또한 어린 아동과 함께 있는 것이 좋고 아동의 발달이나 교육을 경험하는 기회가 되기 때문에 보육시설을 운영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 KCI등재

        한ㆍ일 자녀양육지원 및 보육서비스의 니즈분석

        최영신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

        현재 일본에서는 보육시책이 보호자의 취업에 관련하여 자녀양육지원이 필요한 가정만이 아니라, 일반가정의 취업이외의 자녀양육지원니즈에도 대응하여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있는 가운데, 전통적인 보육제도의 개혁을 포함한 새로운 보육니즈에 대한 대응방안의 모색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모색방안중 구체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특별보육사업의 추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장래의 보육소의 역할로써 가장 기대받고 있는 사업이 특별보육사업중 지역자녀양육지원센타사업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최근 일본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다양한 보육제도의 모색방안에 대한 동향을 소개하면서, 양국에서 실시한 자녀양육상황 및 보육니즈조사 를 기초로, 양국에 있어서의 자녀양육상황, 특별보육서비스 및 이에 관련된 지역에서의 자녀양육지원서비스와 사회적 지원책에 대한 니즈를 검토하여 보았다. 본 조사의 분석에 따르면 한국, 일본 양나라 모두에 있어서 취학전의 전자녀가 하루동안의 생활을 집에서만 보내는 가정이 많은 상황속에서, 보호자들이 자녀양육상의 불안을 강하게 느끼고 있으며, 불안을 느낄수록 자녀양육지원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금후 보육시설의 기능은 현재 보육소를 이용하고 있는 아동에 대한 보육서비스의 충실만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일반가정의 자녀양육을 지원하는 중심시설로써의 기능도 요구되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별서비스에 대한 니즈조사에서는 일본의 경우에는 래소형아동에 대한 기능강화서비스와 지역에 있어서 자녀양육지원서비스에 대한 두가지 기능에 대한 니즈가 모두가 높게 나타났다. 한국에서는 래소형아동에 대한 기능강화니즈는 비교적 낮으며, 지역에 있어서 자녀양육지원에 대한 니즈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한국의 보육정책의 경향이 서서히 래소형아동에 대한 서비스의 기능강화를 위한 특별보육사업에 대한 모색이 서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지역에 있어서 자녀양육지원의 방안에 대한 모색도 필요하다는 사실을 지적하여 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영유아보육법 개정에 따른 보육시설장 및 보육교사 자격제도 연구

        백선희,서문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39

        보육인력의 자질은 영유아보육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이다. 최근의 영유아보육법 개정은 영유아보육서비스의 공공성 확보와 질적 향상이 배경이 된 것으로, 따라서 그 주요 요인이 되는 보육교사의 자질 향상과 관련하여 보육교사 자격증 제도의 도입이 새로 포함되어 있다. 법은 자격증제도 도입 등 몇 가지 기본적 사항만 제시하고 있을 뿐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하위법령에 위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보육인력 자격제도의 완비를 위해서는 하위법령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보육인력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합리적인 자격제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현 자격제도의 주요 문제점으로 첫째, 자격증이 발급되지 않아 사회적 인정 정도가 약하고, 둘째, 보육교사 1급이 되기 위해 필요한 대학 교육내용의 질적 통제가 어렵고, 셋째, 현재의 보육시설장의 자격기준으로는 시설장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것 등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모니터링과 정책토론의 방법을 통해, 개정 법률이 위임하는 법적 테두리를 고려하면서 보육인력의 자질 향상을 위한 자격제도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quality of child care workers is one of key determinants affecting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s. The recent amendment of Child Care Act in Korea was drawn on the idea of both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 provision and placing more emphasis on public responsibility. Naturally, a part of the amendment includes the introduction of a new certification system of child care workers. In Roman law system where a hierarchy exists among different laws, it is generally done that an upper law delegates the details of its implementation to a lower law such as practice ordinance. So, it is necessary to have Child Care Act supplemented by sub-laws that specifies the details of the implementation measures of the Act. Having these points in mind, this article discusse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qualification system of child care workers, and possible alternative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