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한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동료신뢰 형성요인 연구

        이재무(Lee, Jae-Moo),송영선(Song, Young-S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5

        본 연구는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동료신뢰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보육교사에 대한 인적자원관리 차원의 실효적 정보와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사회연결망분석방법을 선택하였으며, 경기도 내 5개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의 신뢰연결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연결정도 및 사이중앙성을 측정하고 가장 높은 중앙성을 보인 각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들의 개인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동료들로부터 신뢰를 받아 신뢰연결망의 중심에 있는 보육교사는 5년 이상의 경력, 외향형 및 판단형 성격, 적응형 사고를 갖고 있었으며, 강한 책임감이 신뢰 받는 가장 큰 요인이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동료신뢰 강화를 위해 보육교사들에 대한 경력개발 및 관리, 자기혁신프로그램, 멘토바이저 제도 등의 도입과 운용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ovide scientific basis and effective information in term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bout child care teacher by comprehending the factors that affects on colleague trust formation in national child care center. To achieve the study object,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was selected and collected data of child care teacher who belongs to 5 national child care centers in Gyunggi province. Betweenness centrality and connection degree was measured from collected data and identified the personal features who presented highest centrality in each child care center respectively. Analysis result demonstrates that child care teacher who stands in center with colleague"s confidence had more than 5 years of career, extroverted and adaptive thought and the most contributing factor for gaining confidence was high sense of responsibility. Thus this study proposed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career development and management for child care teacher, self innovation program and mentor-visor system to enhance colleague confidence.

      • KCI등재

        다중흐름구조(MSF) 모형을 응용한 한국 중소기업 공공구매정책의 변동과정 연구

        이재무(Lee, Jae-Moo) 서울행정학회 2013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한국 중소기업의 안정과 성장을 위해 운용되고 있지만 실효성이 크지 못하다고 비판 받고 있는 신규 중소기업공공구매정책의 변동과정을 확인하고 정책효과성 제고에 일익을 담당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특정 정책의 변화과정에 관한 설명에 유용성이 높다고 평가받는 정책변동 모형인 다중흐름구조모형을 선택하고 설명력 강화를 위해 다른 정책변동모형의 분석요소를 가미하여 중소기업공공구매정책에 대한 정책변동 과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흐름의 결합 당시 내·외부 환경이 큰 차이를 보였고, 정책의 창 개창이 정치의 흐름이 아닌 정책사업가인 대통령에 의해 교리적이고 단독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 정책변동의 양상이 극단적이라는 점 등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 중소기업공공구매정책의 중소기업 자생력과 경쟁력 강화와 관련된 문제점을 숙고하여 한정적인 단체수의계약제도의 운용, 제도운용 실적에 따른 포상과 처벌 등 중소기업공공구매정책의 발전적 실천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public procurement strategies promoting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The multiple streams framework (policy transformation) is applied to analyze variables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ublic procurement strateg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resident (policy entrepreneur) did not consider the main stream in opening the policy window, but rather made an arbitrary decision. The social environment was found to impact the policy entrepreneur who unilaterally offered strong support for the beliefs of an advocacy coalition. Therefore, this study offers suggestions for the management private contracts, including the introduction of both rewards and sanc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 procurement strateg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체육영재, 학업영재, 일반 초등학생의 다중지능, 정서지능 특성비교

        이재무(Lee Jae-Moo),이경현(Lee Kyung-Hyun),이지항(Lee Ji-Hang) 한국체육과학회 2010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9 No.4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multiple intelligence(MI) and emotional intelligence(EQ) of sport and academic talents,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 aged population.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54 general children, 97 sport talented, and 85 students classified as talented in the mathematics and science domain. The results from the t-test and One-Way ANOVA revealed tha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musical, spatial, and language intelligence factors of MI, and only the mathematic intelligence differed among the grade levels. Secondly, While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EQ, senior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emotional perception score, and the junior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emotional use score. Next, the MI test comparison showed that the sport talented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level of physical intelligence while the academic talents displayed higher mathematic scores. Finally, from the EQ test, all the sub-variables were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groups. The post-hoc analyses showed that the sport talented were higher in the emotional use and expression factors while they were lower in the emotional perception and control, and empathy.

      • KCI등재

        외로움, 기본적 심리만족, 행동규제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좌식행동, 중강도 신체활동, 체질량 지수에 대한 영향력 검증

        이재무(Lee Jae-Moo),박생렬(Park, Saeng-Ryeol) 한국웰니스학회 2018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이론의 기본적 심리만족, 행동규제, 그리고 외로움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동질적 집단으로 분리되는지 검증하고, 분리된 집단과 좌식 행동, 중강도 신체활동, 체질량 지수와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총 281명(평균 나이: 22.2세)이 본 연구에 최종 참여하였으며, 빈도 분석, 기술 통계, 상관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사용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참여자는 외로움, 기본적 심리욕구만족, 행동규제 프로파일을 중심으로 총 3개 집단(집단 1= ‘높은 외로움 낮은 동기’, 집단 2= ‘보통 외로움 보통 동기’, 집단 3= ‘낮은 외로움 높은 동기’)으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집단이 좌식행동, 중강도 신체활동, 체질량지수에 집단 간 차이를 나타내는지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에 따르면 ‘낮은 외로움 높은 동기’집단은 ‘높은 외로움 낮은 동기’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중강도 신체활동 참여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좌식 행동과 체질량 지수는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자기결정성이론과 외로움의 잠재프로파일 집단이 중강도 신체활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향후 연구는 좌식행동, 신체활동, 체질량지수와 관련된 연구에서 자기결정성과 행동규제뿐만 아니라 외로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individuals" loneliness,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behavioral regulation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In addition, the study sought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engagement in sedentary behavior, moderate physical activity, and body mass index based on the classes. In total, 281 university students(mean age= 22.2) were analys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latent profile analysis. Measurements were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Latent profile analysis showed 3 classes of individuals (Class 1: "high loneliness and low motivation", Class 2: "moderate loneliness and moderate motivation", Class 3: "low loneliness and high motivation") based on loneliness,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behavioral regulation. The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Class 3 and Class 1 in relation to engagement in moderate physical activity. However,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sedentary behavior and body mass index between classes. This study indicated that latent profile classes from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loneliness have close associations with moderate physical activity.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examine the role of loneliness as well as self-determination on sedentary behavior, physical activity and body mass index.

      • 정부 중심의 정책네트워크 관계구조와 정책집행 성과 간 상관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재무 ( Jaemoo Lee ) 단국대학교 정책과학연구소 2015 정책과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다원화 사회의 정책집행 실효성 제고에 일익을 담당하고자 정부 중심의 정책네트워크 현황을 고찰하고, 네트워크 내 정부부문 관계구조가 정책집행 성과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구축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네트워크 관계구조의 계량화 및 시각화에 유용성이 높은 사회연결망분석방법을 선용하였으며, 문화체육관광부와 여성가족부 중앙정부 부처 두 곳을 선정하여 이들의 2011년 및 2012년 업무평가 점수를 정책집행 성과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정책네트워크의 밀도 지수는 정책집행 성과와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중앙성과 중심화수준은 정책집행 성과와 상호 정비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문화체육관광부와 여성가족부를 제외하고 네트워크에 포함된 여타 정부부문과 민간부문 각각의 관계구조를 분석하여 민간부문의 네트워크만이 전체 네트워크 관계구조 양상과 동일한 관계구조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 중심의 정책네트워크가 보이고 있는 이슈네트워크 양상과 정책네트워크 내 민간부문 활성화에 관한 제언을 실시하였다. This study considered overall policy network types to have a key part in effective policy enforcement of diversification society, and was conducted to confirm that how structure of government sectors in network builds correlation relation with policy enforcement result. In order to achieve a study object, this study made good use of social network analysis that is highly useful for quantifying and visualizing relation structure of network. Also as selecting 2 government sectors that Ministry of Culture and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study used their performance appraisal score in 2011 and 2012 as policy enforcement result. As a result of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ce correlation for density index of policy network with policy enforcement result and centrality has a correlation in mutually reciprocal proportion with policy enforcement result. Further, as analyzing each relation structure in other government sectors and private sectors included network except Ministry of Culture and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result shows that only network in private sectors has same relation structure aspects with overall network relation structure aspec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bout issue network aspects that is revealed by Korean policy network and promoting private sectors in policy network.

      • KCI등재

        정책서사모형 분석요소를 활용한 한국 규제정책 형성과정의 담론 양상 분석

        이재무 ( Jae-moo Lee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7 行政論叢 Vol.55 No.1

        본 연구는 한국 사회가 다원화 사회로 변모함에 따라 그 의미가 점차 부각되고 있는 정책담론을 분석하여 유의한 정보를 취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정책결정 과정에서 많은 논란이 존재했던 보호적 규제정책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지표는 정책담론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활용되는 정책서사모형을 한국 실정에 맞춰 효과적으로 수정된 이재무(2014)의 NPFK 모형 내 요인들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정책담론이 민주적 과정의 결과물로써 정책을 산출하는데 기여하고, 규제정책의 정책담론 과정에 미치는 여론의 영향력 특성이 판명 되었다. 또한 규제정책을 주도하는 지지연합이 패자의 정체성 전략을 선택하고 그에 반발하는 집단은 승자의 정체성 전략을 선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담론과정에서 정책을 주도하는 집단이나 반발하는 집단 모두 사회적 비용을 부각시키는 전략을 선호하지만 효과성은 그리 높지 않음이 판별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보호적 규제정책의 기획과 정책결정에 다양한 정책담론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민주성이 보장된 정책을 창출해야 하고, 정책담론에 참여하는 다양한 정책관계자들이 절대적이지 않은 여론의 영향력을 고려해야 하며, 실효성이 높은 정치적 담화전략을 적절하게 사용해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As Korea is transformed into a diversesociety, the meaning of policy discourse in the policy process is becoming more and more evid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meaningful information through analysis of policy discou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gulatory policies created by the Korean government in the past. The analysis index utilized the factors suggested by Lee Jae Moo(2014), which effectively improved the policy narrative model used to grasp policy discourse patterns in Ko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the intention of the coalition supporting the policy was mainly reflected in the policy regardless of the type and the nature of the regulatory policy, and public opinion also supported the policy belief and the discourse strategy of the supporting coalition.In addition, in the discourses identified in the process of regulatory policy formation,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coalition supporting the policy mainly adopts the identity strategy of the loser who defines themselves as the social victim, and the group that opposes it adopts the winner`s identity strategy. In addition, both the policy - driven and the opposing groups in the process of discourse prefer a strategy that emphasizes social costs in terms of costs and benefits, but it was judged to be more effective when social benefits are emphas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public interest should be considered a top priority in the process of forming regulatory policy in the future, and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ing fact - based strategies in policy discourse are suggested.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 개혁정책의 도입 과정 분석을 통한 복합적 정책변동모형 검증: 로스쿨정책과 노동개혁정책을 중심으로

        이재무 ( Jae Moo Lee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6 行政論叢 Vol.54 No.1

        본 연구는 한국적 정책변동을 보다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모형을 창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정책변동 설명력이 높은 정책옹호연합모형과 다중흐름구조모형을 결합시키고, 거시적인 다중흐름구조모형의 순차적 진행과정 틀 속에 정책변동과 관련된 분석의 세분화를 가능하게 해줄 정책옹호연합모형의 요소들의 배치하였고, 각 정책변동 단계별 요소들의 배치 위치를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한국 정책변동 단계를 타당성 높게 설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세 가지 흐름이 독립적으로 진행되며 대선이라는 정치적 초점사건 이외에 외부요인들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 정책의 창을 여는 정책사업가는 대통령이 전담하여 원리주의적이고 신중하게 열었지만 여론과 사회적 담론은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 대립되는 옹호연합 중개혁정책 찬성연합에 대통령이 적극적으로 참여했다는 점, 정책중개자의 역할과 정책지향학습이 미미하여 정책 산출을 위한 의사결정에 개혁정책 찬성연합 측 의견이 거의 일방적으로 수용되었다는 점, 정책변동 과정으로 창출된 최종정책에 대해 반대연합 측은 극렬한 반대 입장을 고수하게 되고 비협조적인 태도로 일관하여 정책의 성과가 미지수이지만 대통령은 그를 통해 국정 추진 원동력을 획득하였다는 점 등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model that reasonably and effectively explains Korean policy changes. The Policy Advocacy Coalition Model and the Multiple Streams Framework Model with high explanatory power were combined and the factors of the Policy Advocacy Coalition Model were arranged in the sequential process of the macroscopic the Multiple Streams Framework Model for a detailed analysis of the policy changes. The phases of Korean policy changes could be explained with high validity by verifying the arrangements in each step of policy chang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three streams were independent of one another and external factors other than presidential elections did not have any direct impact. Even though the president was in full charge of the policy window, the policy entrepreneur and their approach was doctrinal and cautious, and public opinion and social discourse were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Among opposing advocacy coalitions, the president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oalition supporting reform policies. Due to the limited role of the policy broker and policy oriented learning, the opinions of coalition supporting reform policies were unilaterally accepted in the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Since the adverse coalition severely opposed to the policy created by the policy change process and consistently maintained disobliging behavior, policy outcomes were unknown but the president acquired the power to promote administration through opposition.

      • KCI등재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이직의도 조절을 위한 긴급 감염병 상황에서의 회복탄력성 탐구

        이재무(Jae-Moo Lee),조경서(Kyung-Seu Ch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이직의도 조절을 위한 긴급 감염병 상황에서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분석을 위해 2020년 8월 19일부터 30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201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의도는 낮은 수준, 회복탄력성은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모두 개인적 특성 유형에 따라 대부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영향력을 미쳤으나 이직의도와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관계 속에서 회복탄력성 중 정서조절력, 충동통제력, 적극적 도전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라는 긴급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나빠진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장 큰 이유는 원활한 직무수행이 어려워진 것 때문으로 규명되었었다. 반면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은 이전과 변함없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방역 기반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대응, 직무소진과 회복탄력성의 일상적 관리, 자기초점주의 근간의 상담이나 프로그램 등과 같은 회복탄력성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cquire useful information regarding the resilience of childcare educators amidst an emergency pandemic to adjust their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analysis from August 19th to the 30th in 2020 and 201 responses ended up being u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educators were low while resilience was high and it was acknowledged that all of them mostly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s of personal traits. Although the job stress of childcare educators had a positive (+) influence on job burnout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t turns out that job stress does not have an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turnover intention. Furthermore, the emotion regulation ability, impulse control, and active conductivity among resilience displaye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burnout. Amidst an emergency pandemic known as the COVID-19 virus, it has been confirmed that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educators deteriorated, and the prominent reason for this was identified as the difficulty in carrying out smooth job performances. Accordingly, measures to strengthen resilience such as countermeasures against quarantine-based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 daily management over job burnout and resilience, as well as counseling or programs based on self-focused attention have been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