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방크스소나무 및 산오리나무의 發芽와 苗木의 生長에 미치는 Mn과 Al의 影響

        康祥俊 한국식물학회 1967 Journal of Plant Biology Vol.10 No.3-4

        The aim of present study is to elucidate the effects of manganese and aluminium ions on the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Pinus banksiana and Alnus tinctoria and to estimate the limiting level of those ions in the cultivated soils. The rate of germination of Pinus banksiana was increased under the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of Mn and Al (100 p.p.m), however, the germinating activity was not affected. High concentration over 110p.p.m. of Mn and Al was related to the reduced percentage of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Pinus banksiana and Alnus tinctoria. Soils sampled from various parts of Korea contained Mn as much as high level that would be harmful for the seedling growth of Pinus banksiana and Alnus tinctoria.

      • KCI등재

        강릉시 교외 신규 개발지역의 공간 변화 추이

        강상준,권태정 한국도시설계학회 201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0 No.2

        Gangneung City is a medium-sized Korean city on th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Majority of the city’s residential-oriented urban developments have been allowed since the early 1980s.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lmost forty years changing spatial pattern of the urban development areas in Gangneung City with about 200,000 population. LISA (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and GIS mapping analysis, based on the data of individual building records, proves that (1) the city’s low density urban developments during the era have been built randomly rather than expanded away from the old downtown and (2) none of the low density areas has grown to a high density central district. No significant land-use difference between low and high density development areas are also found, indicating low levels of differentiation between high density downtown areas and low density suburbs. As a case study it has a significant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findings above. This study is, however, believed to contribute to introducing a new urban morphology research method, which is based on individual building records, and also to empirically verifying the limitation of suburban low density developments within the context of a medium-sized Korean city. 인구 약 20만 명 규모의 강릉시에서는 80년대 들어서며 주거지 중심의 도시개발이 이루어졌다. 강릉시의 지난 40년간 도시개발로 인한 저밀개발지역과 고밀개발지역의 공간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자 본 연구는 강릉시 개별 건축물 자료를 활용하여 공간자기상관석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강릉시 교외 저밀개발지역은 강릉의 구도심을 거점으로 확산하는 형태가 아닌 강릉시 전역에 걸쳐 나타났으며 세월이 흐른 후에도 거점지역으로 성장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저밀개발지역과 고밀개발지역 간에는 건축물 용도상에도 큰 차이가 없어 각 지역이 상대적 차별성을 기반으로 한 경쟁력 측면에서도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강릉이라는 인구 20만 명 규모의 중소도시의 공간변화추이를 분석한 것으로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한계를 보이고 있으나 개별 건축물 자료를 활용한 새로운 연구 방법론 제시와 거점으로 발전하지 못하는 중소도시 교외개발의 한계를 일부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니고 있다.

      • 수리산 도립공원 도로소음 관리방안

        강상준,김동영 경기연구원 2010 정책연구 Vol.2010 No.5

        현재까지 도로소음은 주로 생활환경 측면에서 다루어져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국민의 여가 활동이 증대됨에 따라 쾌적한 여가환경측면에서의 도로소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자연공원을 통과하는 도로의 건설과 이동차량들은 자연공원 이용객을 위한 쾌적한 환경조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소음원으로 여겨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서 기존의 자연공원관리는 서식지 훼손ㆍ단절 등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물리적 요소에 많은 관심을 두었으나, 최근 들어 건강한 자연생태환경 조성이나 동물복지 등에 대한 일반인의 이해와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도로소음으로 인한 자연생태계 교란ㆍ훼손 등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생활소음과 관련한 민원제기가 늘어나고, 고속도로 건설과정에서 발생하는 터널 공사 등으로 인한 소음피해로 젖소 등 가축 피해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미루어 볼 때, 쾌적한 자연공원조성을 위해 생활ㆍ여가ㆍ생태환경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연공원에 영향을 주는 도로소음을 다룰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수리산 도립공원 서울외곽순환도로 수리터널~수암터널 교량구간에서 발생하는 도로소음을 생활ㆍ여가ㆍ생태환경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 쾌적한 수리산 도립공원 조성을 위한 도로소음 관리방안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연구대상지 현황파악과 소음현황파악을 위한 도로소음 구간별 소음실측조사 및 현장조사, 소음관리방법의 효과 및 적정성 검토를 위한 문헌고찰, 등산로 이용객의 불편사항 및 관리대책 의견수렴을 위한 설문조사ㆍ분석을 통해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환경측면에서 볼 때 서울외곽순환도로 교량 주변의 소음문제는 해당지역이 전용 또는 일반주거지역이 아닌 개발제한구역이라는 점, 해당 주민거주시설의 인구밀도가 현저히 낮다는 점, 현재 여러 다른 전용주거지역이나 일반주거지역의 도로소음 관리대책이 만족할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수리산 도립공원의 도로소음관리가 시급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둘째, 생태환경의 경우 서울외곽순환도로 개통시점과 현재를 비교해 봤을 때 야생종 증감현상은 일관성 있는 증가 또는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지 않다. 또한 야생동물의 서식 및 활동반경은 발견지점에만 한정된다고 볼 수는 없지만, 일반 생활소음 발생지점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서울외곽순환도로 소음의 지배적인 영향권 내 보호우선순위가 높은 야생종은 발견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야생동물의 쾌적한 서식환경 조성차원은 바람직하겠지만, 생태환경측면에서 볼 때 수리산 도립공원의 도로소음관리 중요성은 높다고 보기 어렵다. 셋째, 여가환경의 경우 수리산 제 3전망대 지점의 소음도가 60.9㏈정도이나, 설문조사 결과 120명 중 12명(10%)만이 소음저감대책 필요성을 느낀다는 점을 고려할 때 12명의 응답을 대표값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여가환경측면의 소음피해 역시 크다고 보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도로소음은 감시카메라, 방음터널, 방음벽, 저소음포장을 통해 관리가 가능한데 그 중 수리산 지역 서울외곽순환도로 소음관리에 고려할 만한 대책은 저소음포장과 방음벽 보완이다. 하지만 연구대상지의 상황을 고려할 때 방음벽의 효과는 매우 미비하다. 쾌적한 수리산 도립공원 조성을 위한 도로소음 관리방안을 위한 정책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ㆍ생태ㆍ여가환경측면에서 볼 때 수리산 서울외곽순환도로의 소음관리 중요성은 높지 않다. 하지만 좀 더 나은 생활ㆍ생태ㆍ여가환경조성을 목적으로 수리산 방음대책을 시행하고자 한다면, 방음벽보완이나 저소음포장을 수리산 도로소음 대책으로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들은 소음저감에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으며 무엇보다도 비용투자 당위성이 낮다고 판단한다. 둘째, 향후 수리산 도립공원 내부를 통과할 예정인 수원광명간 고속도로 등 자연공원 내 통과도로 신설 시에는 생활ㆍ생태ㆍ여가환경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사전환경성 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일단 도로가 건설되고 나면, 본 연구에서 검토된 수리산 외곽순환도로와 같은 도로하중의 제약이 큰 교량의 경우, 향후에 적용할 수 있는 소음관리 방안이 매우 제한적일 뿐더러 그 효과 또한 매우 미비하므로 도로신설 계획단계에서 충분한 소음관리 협의 및 조치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수리산의 쾌적한 산림이용 환경조성을 위해서는 등산로 정비와 화장실증설이 시급히 해소되어야 할 부분일 것이다.

      • KCI등재

        저영향개발기법을 고려한 교육 및 산업단지의 환경적 영향 분석

        강상준 한국지역학회 2013 지역연구 Vol.29 No.3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low impact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not only green but also land use in the context of regional and urban settings. So far, low impact development related researches are limited to the frame of water management. However, for the academic and practical perspectives, we need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on that low impact development can provide from a broad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impacts from educational and industrial facilities incorporating low impact development techniques by using CommunityViz as one of sketch planning tools. The result is summarized that educational and industrial facilities incorporating low impact development techniques can reduce commercial energy usage by up to 68% in a regional scal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evelopment practices. This paper shows the possibility that using a certain level of low impact development technique can reduce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s associated with educational and industrial facility development practices. 저영향개발기법은 녹지라는 측면도 중요하지만 도시 및 지역의 토지이용이라는 관점에서 보다 큰 틀에서의 이해가 필요하다. 기존의 저영향개발기법과 관련한 연구들은 주로 수량 및 수질 등 물관리 차원에서 이루어져왔다는 한계를 보인다. 저영향개발기법의 개념발전과 적용 확대를 위해서는 보다 포괄적 측면에서의 저영향개발기법 기여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영향개발기법을 고려한 교육 및 산업단지의 환경적 영향을 스케치 플레닝 기법 중 하나인 CommunityViz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저영향개발기법의 간접지표로 건폐율을 사용하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교육 및 산업단지 등의 입지 시 변화되는 해당 용도지역에 저영향개발기법을 적용하여 그에 따르는 환경적 변화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영향개발기법을 적용한 교육 및 산업단지는 기존방식으로의 교육 및 산업단지가 유발하게 될 지역의 연간 상업지 에너지 소비량을 최대 68% 가량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적정수준의 저영향개발기법의 적용은 교육 및 산업단지 조성 시 발생 가능한 환경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대암산 고층습원의 환경변천

        강상준,Yoshioka, Takahito 한국육수학회 2005 생태와 환경 Vol.38 No.1

        강원도 양구군과 인제군의 경계에 있는 대암산 용늪의 이탄 퇴적물을 사용하여 탄소 및 질소 동위원소비의 해석을 통하여 용늪의 환경변천의 해석을 시도하였다. 표층 0~5 ㎝의 연대는 BP190년, 30~35 ㎝층 및 50~55㎝층에서는 각각 BP870, BP1870년으로 측정되었다. 유기물 함량이 높은 0~55㎝의 이탄층에서 bulk의 퇴적속도는 약 0.4㎜/년으로 계산되었다. 금번 시료를 채취한 지점의 퇴적물 최하층인 75~80㎝층의 ^(14)C 연대는 약 BP1900년으로 측정되었고 50~55㎝와 75~80㎝층의 측정연대가 거의 비슷한 것으로 보아서 용늪의 심층부는 원래의 삼림 토양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50~55㎝층은 모래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또한 유기물 함량이 낮은 것으로 보아 주변 지역의 침식으로부터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본 연구에서 이용한 시료의 채취 지점에서는 BP1900년 경부터 습원화가 되었다고 추정된다. 유기탄소 동위원소비, 총 질소동위원소비는 깊이 방향으로 변동이 보였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대암산 고층습원의 발달과정에 있어서 기후조건의 변동과 함께 질소순환계의 변화도 있었던 것으로 추론 되었다. The environmental change of Yong-nup in Mt. Dae-Am, which is located at the northern part of Kangwon-Do, Korea, was assesed with peat sedimentary carbon and nitrogen isotope analysis. The surface layer of the peat (0~5 ㎝) was 190 year BP, and the middle layers (30~35 ㎝ and 50~55 ㎝) were 870 year BP and 1900 year BP, respectively. Bulk sedimentation rate was estimated to be about 0.4 ㎜ year^(-1) for 0 ㎝ to 30 ㎝ and 0.15 ㎜ year^(-1) for 35 ㎝ to 50 ㎝. The ^(14)C age of the bottom sediment (75-80 ㎝) collected and measured in this study was about 1900 year BP, although it was measured that the ^(14)C of the lowest bottom sediment in Yong-nup was 4105±175 year BP (GX-23200). Since the ^(14)C ages for 50-55 ㎝ and 75-80 ㎝ layers were almost the same as 1890±80 year BP (NUTA 5364) and 1850±90 year BP (NUTA 5462), respectively, we have estimated that the deep layers (55 80 ㎝) in the high moor were the original forest soil. The low organic C and N contents in the deeper layers supported the inference. The sediment of 50~55 ㎝ layer contains much sandy material and showed very low organic content, suggesting the erosion (flooding) from the surrounding area. In this context, the Yong-nup, high moor, of Mt. Dae-Am, might have developed to the sampling site at about 1900 year BP. The δ^(13)C values of organic carbon and the δ^(15)N values of total nitrogen in the peat sediments fluctuated with the depths. The profile of δ^(13)C may indicate that the Yong-nup of Mt. Dae-Am have experienced the dry-wet and cool-warm period cycles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high moor. The δ^(15)N may indicate that the nitrogen cycling in the Yong-nup have changed from the closed (regeneration depending) system to the open (rain NO₃^-1 and N₂ fixation depending) system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high moor.

      •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와 논의

        강상준 경기연구원 2010 CEO Report Vol.- No.-

        이산화탄소 감축 필요성과 이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에 공감을 보이는 것이 현재의 세계적 추세이며 주류임. 공공정책 논쟁에 있어, 과학자들의 “합의”가 존재한다는 “단언”은 어떤 정책의 “이론적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논지”로 종종 사용됨. 과학적 이론이나 가설에 대한 “의심과 회의, 토론”은 과학적 발전을 위한 “필수 조건”이며 특정 자연현상에 대한 “확고한 믿음”은 과학이 아니라 “종교를 바라보는 시각”일 것임. “과학적 불확실” 속에서의 대응행동은 “비용-효과적(Cost-effective)”이어야 한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기후(Climate)란 수십 년에서 수백만 년에 이르는 오랜 기간 동안의 평균적인 대기상태로, 시간이 흐르면서 변하기도 함. 일반적으로 30년간의 평균을 이용함. 또한 특정 해에 관찰된 폭설이나 폭염 등의 기상현상이 기후변화를 의미하지는 않음. 온난화 관련 논의는 매우 다양한 부분에서 발생하고 있으나, 과학계에 있어 가장 큰 논의는 1) 최근의 지구온난화 사실여부, 2) 지구온난화가 사실이라면 그 원인여부, 3) 지구온난화가 사실이라면 그로 인한 위협 정도에 대한 논의가 있음. 중국, 인도, 브라질, 멕시코 등 개도국들이 자국의 탄소배출감축행동이 “법적 구속력이 없는 자발적인 조치”임을 명시하고 “선진국의 기술?재정 지원을 전제조건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음. 교토 스타일의 국제적 협약을 버리고, 국제적 협약을 통한 탄소감축보다는 1) 에너지 관련 기술연구에 대한 적정수준의 정부지원, 2) 지금껏 자연이 보여준 현상에 대한 적응에 초점을 둔 방식인 “플랜 B”가 제기되고 있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음. 최근의 지구온난화와 이산화탄소 관련한 인과관계의 진위여부와 관련 대처방안에 대한 논의는 “과학의 문제”라기보다는 “정치?경제?외교적 이슈”에 더 가까울 수 있음. 과학현상과 관련한 정치?경제?외교정책은 과학적 진실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과학적 발견 및 결과 검토”에 대한 자유와 책임은 “과학계”에, 과학적 결과에 대한 “응용”은 “정치?경제계”에 책임이 있을 것임. “기후변화 대응방안”은 “정치?경제?외교적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 “과학적 논의와는 구분”되어 다루어져야 할 것임.

      • 환경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사회 조성을 위한 정책방향

        강상준,조성한 경기연구원 2014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Vol.- No.-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ddress policy directions for safe society from environmental disasters. The study site is limited to the Gyeonggi-do and the time frame for the data analysis is from the year 2004 to the year 2013. The employed research method is a content analysis. The data for the analysis come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which have the key words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pollutions, environmental disasters, and environmental acciden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nvironmental disasters can be defined the social-disaster with unintentionally caused environmental pollutions or accidents. To be called environmental disasters, the events must be characterized as environmental pollutions or accidents through the their entire processes. Second,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disaster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different types. Third, environmental disasters are discussed from either a broad perspective or a limited perspective depending on their contexts. Fourth, nuclear, chemical, and oil spill related disasters have the enormous impacts on the society once it happens. In that case, pre-management efforts are much more important than post-management efforts. Fifth, storm, wild-fire, contagion related disasters have relatively less critical impacts on the society compared to the nuclear related disaster. Thus, in this case, post-event efforts are equally important to post-event efforts. Sixth, environmental disasters management should be done by investigating fishbone diagram analyse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 the safe society from environmental disasters, the national government needs (1) to encourage further researches in a process oriented disaster management; (2) to prepare unknown disasters which our society haven’t experienced so far; (3) to enforce duty change programs betwee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related agents; (4) to develop a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the consideration of the public emotions. Gyeonggi-do needs (1) to develop management programs associated with secondary environmental damages; (2) to find new types of environmental disaster we haven’t experienced before and prepare them; (3) to prepare hazardous material management systems not limited to industrial sectors but daily life related realm; (4) to have more government staffs in the filed of environment - safety.

      • KCI등재후보

        미국과 캐나다 주정부의 재난관리 협력사례 분석 및 시사점

        강상준,김진오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예술디자인연구원 2021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from case studies of collaborations between independent administrative sectors for effective hazard management. In order to investigate mutual collaboration cases among state governments in regional scales, we selected cases in U.S. and Canada. Our research results are follow. First, hazard management needs to be designated and conducted as a primary regional function. Second, an organization of separate regional institution can be a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authority. Third, agreement led by local government for mutual assistance can be seen as a coexistence model for effective hazard management. Based on these results, we draw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policy improvement. Based on th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gional insititution for systematic hazard management and to build a field-centered legal system for regional hazard management. Futhermore, in order to apply the implications from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cases to our national legal systems it is important to have a consensus among the key stakeholders. 본 논문의 목적은 효율적 재난관리를 위해 필요한 독립된 행정주체 상호간의 협력사례를 해외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주요 해외사례로 광역대도시권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주 정부 상호간 협력사례를 살펴보고자 하며 이에 대한 대표적 사례지역으로 광역적 차원의 협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미국과 캐나다 일대를 선정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관리는 주요 광역기능 중 하나로 지정ㆍ운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별도의 광역기구조직의 큰 특징은 부여된 정치ㆍ행정적 권한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지방정부주도의 상호지원협약은 효율적인 재난관리 상생모델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체계적 광역재난관리를 위한 광역재난본부 설립을 적극 검토하고, 현장중심의 광역재난대응을 위한 재난관리 법체제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된 해외사례에 대한 국내 법제도로의 적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내 법제도적 환경에서의 공감대 형성이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