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칸트의 표상

        최태명(Choi Tae Myeong) 민족미학회 2013 민족미학 Vol.12 No.2

        이 글의 목적은 표상을 중심으로 칸트 철학을 이해하고자 함에 있다. 이는 표상을 대상 그 자체로 오해되어 온 점을 불식시킬 수 있으며, 칸트 주체 철학의 정수를 표상을 통해서 보게 하는 의의를 지닌다. 하이데거는 근대를 주체에 의해 세워진 하나의 상, 표상의 시대로 정의했다. 그러면서 세계는 주체에 의해 끊임없이 계산되고 재단되어 진다고 한다. 이것이 탈근대의 단초가 된다. 그러나 칸트의 표상적 사유는 하이데거가 미처 읽지 못한 면이 있다. 인식능력에 의해 드러난 표상은 독립적으로는 의미를 갖지 못한다. 표상들의 연결과 종합을 통해서 인식적 의미를 획득한다. 그 종합의 매개에 도식이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는 초월적 도식에 대해서만 많은 논의들이 이뤄져 왔다. 초월적 도식의 토대가 된 수학적 도식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논의가 적게 이뤄져 온 게 사실이다. 그러나 수학적 도식과 초월적 도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통해서만이 표상적 사유의 정수를 볼 수 있다. 그 중심에 상상력이 있다. 나아가 이성 능력은 초감성 세계로 확장하려는 본성을 지니고 있어서 이성이념을 표상한다. 이러한 이성 표상은 지성과 매개할 수도 있고, 상징을 통해 직관과 관계할 수도 있다. 전자는 이성 표상의 객관적 타당성의 문제이고, 후자는 이성도식의 문제이다. 이성도식은 도덕법칙에 있어 지성의 상징화를 해석하는 잣대가 된다. 그런데 표상은 표상과의 관계를 통해서만 의미를 드러내는 것은 아니다. 표상이 대상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나아가 표상은 주체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이를 도덕법칙과 자유, 쾌와 불쾌가 주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드러난다. 이러한 논의는 두 가지 의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는 칸트의 비판철학을 표상으로 재조명할 때, 맥락적으로, 종합적으로 고찰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는 포스트모던 철학이 해체해 버린 주체의 문제를 복권하는 단초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representation that Kant"s philosophy is to understand. This representation is not a object in itself. Representations in relation to the object and reveal the meaning. Here is the core of the philosophy of Kant. Heidegger has defined the modern era of the representation. This is the foundation of postmodern. In terms of representation differs from Heidegger and Kant. Meaning representation is obtained through the representation. Recognition is achieved through a comprehensive representation of the connections. Scheme is at the center of a comprehensive representation of the connections. However, until now, only the transcendental schema has been many discussions. Scheme for the mathematical discussion took place less. You can see exactly thinking as a means of representation through transcendental schema and mathematical schema. Imagination is at the center. Reason represented rational ideology. Representations by reason connect with intellect, And with intuition. The former is a matter of rational objectivity of representation. The latter is a matter of rational scheme. Schematic reason in moral law acts as a symbolization of intelligence.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representation and the representation is not only to reveal the meaning. Representations may be the cause of object. Representation may affect the subject. This discussion has two kinds of significance. First, If if we understand Kant"s philosophy of representation, Contextual understanding of Kant"s philosophy will be. Furthermore, the philosophy of Kant will be able to be understood comprehensively. Second, Post-modern philosophy, the subject was dismantled. Representation will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of the subject.

      • KCI등재

        그림 표상의 분해와 연결을 통한 언어화훈련이 아동의 표상 재 기술에 미치는 효과

        박희숙(Park, Hee-Soo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표상의 유연성을 다루는 Karmiloff-Smith(1990, 1992, 1999)의 표상 재 기술과정의 발달을 아동의 그림에서 살펴보려 하였다. 표상 재 기술 모형을 촉진하는 표상의 부분-전체 분해 과정과 언어화 과정을 적용하여 표상이 그림의 범주들을 넘나들며 유연하게 변화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84명의 5, 6세 아동들을 대상으로 사람과 집을 두 조각, 여러 조각으로 분해하여 그리도록 지시하였고 분해효과를 보기 위해 통제 조건을 두었다. 또한 각각의 조건에 언어화 및 비언어화 조건을 만들어 총 6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여 그림의 부분-전체 분해 및 언어화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표상의 부분-전체 분해는 특히 두 조각 조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 표상 유연성에 있어 분해는 점화의 효과를 가지며 표상 변화에 영향을 주었고 무엇보다 언어화는 분해과정을 촉진하여, 그림 표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그림의 부분-전체 분해 과정을 자세히 언어화할수록 표상을 유연하게 변화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표상의 유연성 즉, 표상의 재 기술을 촉진하기 위한 언어화는 자신의 표상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주는 의미 있는 행동을 언어화하여야 자신의 지식을 명시화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at specifying the content of the representational redescription(RR) process assumed by Karmiloff-Smith(1990, 1992, 1999) with respect to the emergence of interrepresentational flexibility in children"s drawing behavior. I Hypothesized that the RR process included part-whole decomposition processes that are essential to the ability to produce cross-categorical drawing and verbalizing this process will maximize it"s effects. I presented 5, 6-year-old 184 children with either a two-part or a several-part decomposition task involving a man and a house (experimental conditions) or with no such decomposition task(control condition), prior to a connection task (drawing a man-house). Also, verbalization training was administered to half of children in two conditions(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using verbalization traning processes. The results showed that connection performances were better in children who had previously decomposed the objects into two parts than in children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positive ‘priming’ effect was attributed to the activation of part-whole analysis processes that further facilitated the management of complex connections between the object. Furthermore verbalization helped priming effects out supporting children"s reorganization of implicit knowledge on drawing domain to transfer the implicit knowledge toward explicit forms.

      • KCI등재

        마음 이해능력의 발달과 표상능력의 발달Ⅱ: 자폐, 정신지체 및 정상 아동 비교 연구

        김혜리,손정우,정명숙,이문숙,이수경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7 No.2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erner(1991)'s claims that the theory of mind development depends on the acquisition of a more general cognitive ability to metarepresent, that is the ability to represent the representa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primary representation and what it represents. In order to examine the Perner's claim, five groups of autistic, mentally retarded, and normal 3-, 4-, 5-year-olds'performance on the mental representation tasks (false belief tasks and deception tasks) and physical representation tasks (out-of-date photo tasks and false photo tasks) were compared. The metarepresentation capacity is required to pass the false belief, deception, and false photo tasks in common. In contrast, the secondary representation capacity is required to pass the out-of-date photo tasks. Three-year-olds passed the out-of-date photo task, 4-year-olds passed the physical representation task, 5-year-olds passed all. In contrast autistic children passed only the physical representation task. In addition, MR children passed all even though their performance was lower than that of normal 5-year-olds. When autistic, MR, and normal 5-year-old groups were closely matched for VMA, autistic and normal group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on the physical representation tasks on the mental representation tasks. This finding demonstrates that the understanding of false representations precedes in the physical domain than in mental domain. suggesting the domain specific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 자폐, 정신지체 및 정상 3, 4, 5세 아동을 대상으로 틀린 믿음 이해능력의 발달이 마음뿐만 아니라 다른 물리적 표상에도 적용될 수 있는 영역 일반적인 표상능력의 발달에 의한 것이라는 Perner의 주장을 검증하였다. 마음영역의 마음-표상과제(틀린믿음 과제와 속임수 과제)와 물리영역의 사진-표상과제(과거사진 과제와 틀린사진 과제)를 사용하였다. 틀린믿음 과제, 속임수 과제 및 틀린사진 과제는 상위표상 과제이며, 과거사진 과제는 2차표상 과제였다. 3세 아동은 틀린사진 과제만, 4세는 사진-표상과제, 5세는 사진-표상과제와 마음-표상과제를 해결하였으나 자폐아동은 사진-표상과제만을 해결하였고, 정신지체아동은 5세 아동에 비해 수행이 낮았으나 사진-표상과제와 마음-표상과제를 모두 해결하였다. 평균언어정신연령이 일치된 자폐, 정신지체 및 정상집단의 수행을 비교한 결과, 마음-표상과제에 더 낮은 수행을 보인 정도는 정상집단에 비해 자폐집단에서 더 컸다. 이에 반해 정신지체집단에서는 과제들 간 수행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상위표상 능력이 마음영역과 물리영역에서 각기 분리되어 발달함을 보여준다. 이는 Perner의 주장을 부정하는 것이다.

      • KCI등재

        현상학적 관점에 기초한 자율적인 미술 표상(그림) 활동에 나타나는 문제적 양상과 해결을 위한 교육적 고찰

        박라미(Park Lamy) 한국미술교육학회 2011 美術敎育論叢 Vol.25 No.3

        표상이란 재현의 의미를 지니며, 형식을 통하여 의도와 의미를 추구할 수 있다. 표상을 형식화 하는 것은 경험한 것이나 상상한 것을 전달하는 모종의 방식이다. 그림을 그리는 것은 미술적 표상활동으로 자신이 추구하는 의도와 의미를 지향하는 활동을 통해 재현된다. 지향성은 현상학(후설)의 중심 개념으로 사태 자체에로 향하는 자아의 경험세계를 주목하였다. 현상학적인 미학의 관점에서 화가는 현상학적인 자아이며, 미술표현 활동에 나타나는 현상은 3가지 특성으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즉 경험으로부터 대상을 향하는 정감적 인식과, 지향성, 지향적 목적을 위한 시 지각 작용이 자율적으로 일어난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학습자 역시 현상학적 자아이며, 미술적 표상 활동 역시 현상적인 것으로 보았다.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인 미학의 관점에서 미술적 표현활동에 나타나는 특성에 기초하여 미술적 표상활동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적 양상과 그 해결을 교육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표상’과 ‘표상형식’의 개념을 이해하고, 미술적 표상과 표현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자율과 미술적 표상활동의 관계와 시지각 작용을 이해하여 미술적 표상을 위한 문제적 양상과 해결 방향을 고찰하였다. A word Representation has a meaning of reproduction while both intention and meaning can to be pursued through forms of representation. Formalizing representation is a kind of method for expressing individual experience or imagination. Painting is also an artistic representation activity which aims to reproduce the intention and meaning of self-directing activities. Directivity is a key concept of the Phenomenology concentrating on situation itself while focussing on each individual world of experience. Considering that the learner’s artistic representation activities are also phenomenological, this study focuses on experience-based empathic consciousness, persistency to carry on intention and meaning, and visual perception based on directivity in relation with esthetics of the Phenomenology. In doing so, problematic characteristics were clarified and understood shown in artistic representation activities. Based on these, differences were made clear from other subject’s and pedagogical solutions were drawn and inferred from them. Acknowledging the fact that learner’s artistic representation activities does not differ from those of Artist’s, this study could provide solutions to daily life problems with activities of representation.

      • 영․유아 그림 표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승옥,최은영,임지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5 再活科學硏究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fer a symbolic characteristic of painting during scribbling period by applying a task condition, to present basic data about effective symbolic painting by analyzing a process of a construct activity, and to examine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in the Korean infant. The one way anova is carried out to find out a symbolic characteristic of painting of Age(4)X group and the two way anova to Group(2)×Age(4), i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of NC performance owing to task presented type upon age bracket. The followings were ostensive purposes of this study. First, there would be differences in symbolic characteristic by tasks and ages(the total score, the score of symbol inside the outline, the score of constituent, the score of pair symbolic). Second, the NC performance would differ in symbolic characteristic by age and painting type(the total score, the score of symbol inside the outline, the score of constituent, the score of pair symbolic). The study participants were randomly selected one - three years old infants (total of 80) who attend in an infant home in northern Daegu. They were divided in four groups. Each age group was presented two type of painting and multivariate analysis was taken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painting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followed. First, the characteristic of painting symbol was different by task and age. The expressive ability in total score, constituent of object, pair symbolic in P task and DC task was increased as aging. Among the group of infants aged 1.5 - 2.5, P task was performed better than DC task, and the score of P task and DC task was equally heightened as they become age of 3. Second, NC performance owing to task presented type upon age bracket would be different (the total score, the score of symbol inside the outline, the score of constituent, the score of pair symbolic). The older has shown more expressive ability in two type of painting. NC task was taken after pre- P task and -DC task, but the symbolic score of NC task differed from. NC task followed by P task represented the more constituents and pair symbols than by DC task. Therefore,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development of symbolic level in infant had close relationship with an age, the symbolic abilities in different painting tasks differed order of P task, DC task, and NC task, and symbolic painting was shown from infant age 1.5-2. 본 연구는 초기 그림 표상 출현과정을 살피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별 연령에 따른 그림 표상의 특성(총점수, 윤곽선 안의 표상의 점수, 대상의 구성요소 표상의 점수, 쌍표상의 점수)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연령별 과제 제시유형에 따른 NC과제 수행(총점수, 윤곽선 안의 표상의 점수, 대상의 구성요소 표상의 점수, 쌍표상의 점수)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은 00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1-3세 유아 총80명을 무선선정하여 연령별로 4집단을 나누고 각 연령집단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서로 다른 유형의 과제를 실시하였다. 즉 한 그룹은 P과제 이후 NC과제를 실시하였고, 다른 한 그룹은 DC과제 이후 NC과제를 실시하였다. 과제실시 이후 각 과제에서 얻어진 표상그림을 채점하였다. 자료처리는 과제별 연령에 따른 그림표상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연령(4)x집단간의 일원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연령별 과제 제시유형에 따른 NC과제 수행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집단(2)×연령(4)에 대하여 2원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별 연령별에 따른 그림 표상의 특성은 차이가 있다. 연령에 따라 P과제 또는 DC과제 모두가 총점수, 대상의 구성요소, 쌍표상의 표현능력은 연령이 높음에 따라 표상능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1.5세-2.5세에서는 P과제가 DC과제보다 훨씬 잘 수행했으며 3세가 되면서 P과제와 DC과제 점수가 같이 높아졌다. 둘째, 연령별 과제 제시유형에 따른 NC과제 수행은 차이가 있다. 연령이 증가 할수록 과제 제시유형에서 과제의 표상 능력도 증가하였다. 연령에 따라 P과제 선행 후 NC과제와 DC과제 선행 후 NC과제의 표상의 점수는 다르다. P과제 선행 후 NC과제가 DC과제 선행 후 NC과제에서 보다 더 많은 대상의 구성요소, 쌍표상을 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표상 수준의 발달은 연령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과제에 따른 그리기 표상능력도 P과제, DC과제, NC과제 순으로 일어나며, 표상적 그리기가 1.5세와 2세경에 시작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표상에서 개념으로, 개념에서 표상으로: 헤겔의 학문 체계의 형성에서 표상의 위상과 기능에 대하여

        정대훈 서양근대철학회 2022 근대철학 Vol.19 No.-

        This study deals with the function and status of representation in relation to concepts, paying attention to the aspect of the formation process of Hegel’s system. It can be widely agreed that the process until the formation of the Science of Logic, the basis of the system, is a process of sublating from representation to concept. In addition to this, this study notes that the formation of the other half of Hegel’s system owes to a process that can be named as the ‘movement from concept to representation’ in various fields of ‘real philosophy’ after the Science of Logic. First, in this paper, ‘movement from representation to concept’ is analyzed from two aspects. First, in Hegel’s system of thought, representation has the dual aspect of being irreplaceable and inappropriate in the process of forming a universal knowledge of the Sache, which leads to a concept (Chapter 2). Second, the inappropriateness of a representation lies in the nature of its synthesis. Because of the flaws of synthesis, the representation has no choice but to proceed to the concept. In this article, I exemplify the synthetic nature of representation in the areas of Phenomenology of Spirit, philosophy of the subjective mind, and aesthetics, respectively(Chapter 3). Next, this paper analyses on the process of forming “philosophical sciences” in each field after Science of Logic, naming it the ‘movement from concept to representation’ process. This analysis has three steps. First, it was through his lectures that Hegel formed a system in each field after Science of Logic. The representation used in the lecture had a systemic aspect in addition to its pedagogical function (Chapter 4). I then argue that the ‘movement from conception to representation’ is important in the formation of the ‘real philosophy’(Chapter 5). Furthermore, in the last chapter of this paper, it is argued that the ‘movement from conception to representation’, which forms the ‘real philosophy’, is once again achieved through a continuous reciprocation between representation and concept, and I illustrate this reciprocating motion through the analysis on the ‘sacrifice’ and ‘Cunning of Reason’ in Hegel’s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f world history(Chapter 6). 본 연구는 헤겔 체계의 형성 과정이라는 측면에 주목하여 개념과의 관계에서 표상이 차지하는 기능과 위상을 다룬다. 체계의 토대인 논리의 학문이 형성될 때까지의 과정은 표상으로부터 개념으로의 지양 과정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널리 합의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여기에 더하여 헤겔의 체계의 나머지 절반의 형성은 논리의 학문 이후 실재철학적 여러 학문 분야에서 ‘개념으로부터 표상으로의 운동’으로 명명될 수 있는 과정에 빚지고 있음에 주목한다. 본고에서는 우선 ‘표상으로부터 개념으로의 운동’을 두 측면에서 분석한다. 첫째, 헤겔의 사상 체계에서 표상은 개념으로 나아가는, 사태에 대한 보편적 인식의 형성 과정에서 부적합하면서도 대체불가능하다는 이중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2장). 둘째, 표상이 갖는부적합성은 그것이 갖는 종합의 성격에 있다. 종합이 갖는 결함 때문에 표상은개념으로 나아갈 수 밖에 없다. 필자는 표상의 종합적 성격을 정신현상학, 주관정신의 철학, 미학의 영역에서 각각 예시한다(3장). 다음으로 본고는 <논리의 학문> 이후 헤겔이 각 분야의 “철학적 학문들”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에 주목하여이를 ‘개념으로부터 표상으로의 운동’ 과정으로 명명하고 이를 분석한다. 이 분석은 세 단계를 거친다. 첫째, 헤겔이 논리학 이후 각 분야의 체계를 형성해 간것은 강의를 통해서였다. 강의에서 사용된 표상은 교육학적 기능 이외에도 체계형성적 측면도 가지고 있었다(4장). 그다음 필자는 ‘개념으로부터 표상으로의 운동’이 실재철학의 형성에 중요하다는 것을 본격적으로 논증한다(5장). 나아가, 본고의 마지막 장에서 필자는 실재철학을 형성하는 ‘개념으로부터 표상으로의 운동’이 다시금 표상과 개념 간의 지속적인 왕복운동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과, 그 실례로서 세계사의 철학 영역에서 ‘이성의 책략’이라는 표상이 어떠한 역동적인자로서 기능하는지를 논증한다(6장).

      • KCI등재

        표상개입모형을 통한 가정폭력 이혼여성의 자기표상 변화: 표상수준과 특징을 중심으로

        이정희,정소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7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hanging process of divorced women due to domestic violence seen through the representative intervention model. To that end, we had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of those women who experienced the reproduction of maltreatment relationships from their growth period to marriage to divorce and thereafter. The surveyed data were analyzed, reveal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self-representation change process progressed in the following order; self-abuse status making it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 target and the self; being divided into the abusing-self and hopeful-self but partially self-perceived status; having a center self; being partially connected to and integrated into the center self, which led to the description of self-representation. Second, the five self-representation change stages seen in the representative intervention model consisted of the divisive self-representation, impulsive self-representation, defensive self-representation, differentiated self-representation, and integrated self-representation, undergoing sequential and non-sequential changes alike. Change promotion factors included the acquisition of distinction through exploration by the unit of target relationship, a lack of resolution based on moral defense, center-self utilization and consistent self-description. Thus, the representative intervention model for the examination of self-representation changes in divorced women due to domestic violence was proved to be effective in distinguishing the divisive, confused self-representation status, in connecting the target relationships by unit, and in integrating center self, thereby reconstructing the self-representa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reconstructed self-representation through the representative intervention model had to include the internalization process through the repeated training in changing to a stable self-representation from the non-internalized self-representation. 본 연구는 표상개입모형을 통해 나타난 가정폭력 이혼여성의 자기표상의 변화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성장기부터 결혼생활, 이혼 후까지 학대관계의 재연을 경험한 여성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개별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상의 변화과정에서 나타난 자기표상의 내용적 변화는 대상과 자기의 구분이 어려운 학대자기 상태, 학대자기와 희망자기로 분열되었으나 부분적 감별의 상태, 자아도취적인 자기 속에 중심자아가 나타나는 상태, 중심자아로 부분적으로 연결되고 통합되어 긍정적인 자기표상기술의 상태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상개입모형을 통해 나타난 자기표상의 변화단계는 분열적 자기표상, 충동적인 자기표상, 방어적 자기표상, 분화적 자기표상, 통합적 자기표상의 5단계로 순차적, 비순차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가정폭력 이혼여성의 자기표상 변화에 있어서 표상개입모형은 분열되어 혼란스러운 자기표상의 상태를 감별하고 대상관계 단위별로 연결하며, 중심자아를 통해 통합함으로 자기표상을 재구성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표상개입모형을 통해 재구성된 자기표상은 내면화 되기 전의 자기표상이므로 반복된 훈습과정을 통하여 재구성된 자기표상을 내면화하고 안정적으로 구축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중학교 1학년 학생의 대수적 표상 전환 및 정교화 연구

        이경림,강정기,노은환 한국학교수학회 2014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7 No.4

        문자 기호 사용으로 대표되는 대수는 수학 전반에 그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요한 도구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러한 대수를 적절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주어진 문제 상황 을 적합한 대수적 표상으로 전환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그러나 문장제에 관한 몇 가지 연구 로부터 이러한 전환의 어려움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주어진 문장 표상과 기하 표상 각각을 대수적 표상으로 전환 및 정교화하는 과정을 살펴보는데 초점을 두었다. 중학교 1학년 학생 29명을 대상으로 하여 문장으로 기술된 상황과 도형 표현이 추가된 상황 을 제시하고 각 상황에서 요구하는 바를 대수적 표상으로 전환하는 능력을 조사한 결과 도 형 표현을 대수적 표상으로 전환하는 하나의 문항을 제외하고 나머지 3개의 문항에서 10% 내외의 학생이 부적절한 응답을 하였다. 나아가 그 중 임의 추출한 네 명을 개별 면담함으로 써 사고 특징 및 대수적 표상 정교화를 돕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수 표상 정교화 과정은 급진적이 아닌 점진적 개선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대수적 표상 정교화 를 요하는 문제에 대해 문제 요구 사항에 대한 오해가 있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한 자신의 대수적 표상에 대한 설명과 구체적 수치 상황 제시가 정교화에 도움이 되는 요인 으로 작용하는 것을 목격하였으며, 아울러 정교화의 경험은 전이력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변수에 관한 오개념 등식 설정에 고착된 사고는 표상 전환의 방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대수적 표상 전환 및 정교화를 돕기 위 한 몇 가지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algebra is an important tool influencing on a mathematics in general. To make good use of the algebra, it is necessary to transfer from a given situation to a proper algebraic representation. But some research in related to algebraic word problems have reported the difficulty changing to a proper algebraic representation. Our study have focused on transformation and elaboration of algebraic representation. We investigated in detail the responses and perceptions of 29 Grade 7 students while transforming to algebraic representation, only concentrating on the literature expression form the problematic situations given. Most of students showed difficulties in transforming both descriptive and geometric problems to algebraic representation. 10% of them responded wrong answers except only a problem. Four of them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to show their thinking and find the factor influencing on a positive elaboration. As results, we could find some characteristics of their thinking including the misconception that regard the problem finding a functional formula because there are the variables x and y in the problematic situation. In addition, we could find the their fixation which student have to set up the equation. Furthermore we could check that making student explain own algebraic representation was able to become the factor influencing on a positive elaboration. From these, we also discussed about several did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구체물을 활용한 음악표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 및 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배지은 ( Bae Jieun ),백지혜 ( Baek Jeehea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구체물을 활용한 음악표상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음악적 능력 및 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D광역시에 위치한 유치원 만 5세반 유아 51명으로 한 학급 26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 25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구체물을 활용한 음악표상활동을 10주간 주 2회 총 20회에 걸쳐 실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누리과정에 기초한 음악활동을 실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음악적 능력 측정을 위해 Gordon(1986)이 개발한 PMMA(The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를 사용하였으며, 표상능력 측정을 위해 신은수·권미경(2011)의 점토활동을 위한 표상능력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체물을 활용한 음악표상활동은 음악적 능력 전체 및 하위요인인 음감 능력, 리듬감 능력의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구체물을 활용한 음악표상활동은 표상능력 전체 및 하위요인인 표상적 주제 관련성, 표상적 정교성, 표상적 창의성, 표상적 언어 연계성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구체물을 활용한 음악표상활동은 유아의 음악적 능력 및 표상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sical representation activities utilizing concrete materials on young children’s musical and representational ability. This study recruited fifty-one children of five-year-old classrooms from a kindergarten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y were subdivided into an experimental(n = 26) and a control group(n = 25).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musical representation activities using concrete materials for a total of twenty sessions over ten weeks, two times per week, while the control group experienced musical activities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 (PMMA) by Gordon(1986) in order to measure their musical abilities and the Representational Evaluation Scale for Clay Activities by Shin and Kwon(2011) in order to measure their representational abil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COVA to explore the differences of musical and representational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musical ability and its sub-categories, which were tonal and rhythm cap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using concrete materials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ose of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children’s representational ability and its sub-categories, which were elaboration of representation, creativity of representation, connectedness of representation of language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findings suggest that musical representational activities based on concrete materials are productive in achievement of young children’s musical and representational abilities.

      • KCI등재

        식민지시대 시에 나타난 ‘얼굴’ 표상 연구

        신용목(Sin, Yong-Mok) 한국문학회 2019 韓國文學論叢 Vol.82 No.-

        이 논문은 식민지시대에 쓰여진 시들의 ‘얼굴’ 표상에 관한 연구이다. 얼굴은 ‘자아’라는 내면과 ‘세계’라는 외부의 접점을 형성한다는 측면에서 ‘표상적 실재성’을 가장 뚜렷하게 보여주는 대상이고, 은유와 환유는 시적 대상이 출현하고 배치되는 양상이다. 이 논문은 얼굴 표상이 시 속에서 구조화되는 방식을 살핌으로써 식민지시대 시인들의 시적 인식의 한 측면을 조망하고자 한다. 세계와 자아에 대한 성찰과 고뇌를 이어가거나 당대 현실을 유이민적 과정으로 체험했던 정지용, 윤동주, 백석, 이용악의 시에 얼굴 표상이 많이 등장한다. 또한 언어 실험을 통해 세계의 분열의 징후들을 보여줬던 이상과 세계의 이상에 자아의 목표를 일치시켰던 임화의 시에서도 자주 등장한다. 반면, 현실 동인과 자아에 대한 질문을 뒤로 물린 채 관념적 세계와 미적 언어에 탐닉했던 청록파 시인 등에게는 ‘얼굴’ 표상이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정지용과 이용악 시에서 ‘얼굴’ 표상은 세계와 관계하는 화자의 내적상태를 직접적으로 대리한다. 그들 시에서 얼굴은 세계와 자아의 만남에서 비롯된 주체의 외상 자체를 표상한다는 점에서 은유적 표상으로 나타난다. 이는 얼굴 표상이 내적 상태와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등장한다는 것으로도 설명 가능하다. 은유적으로 등장한 ‘얼굴’ 표상은 불우한 시간의 연속성 속에서 주체의 내력을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통시적’ 성격을 띤다. 이는 외적 폭력의 강도를 더욱 선명하게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윤동주와 백석 시의 경우 ‘얼굴’ 표상이 병렬적 배치를 통해 세계를 연쇄적 과정으로 지시한다는 점에서 환유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얼굴 표상이 주체의 외상을 주체 외부에 배치한다는 점에서 환유의 특징인 인접성을 띠고 있는 것이다. 즉 자신의 얼굴을 분리시켜 그 진의를 묻거나 얼굴 옆에 또 다른 얼굴을 배치함으로써 세계와 자아의 실체에 닿고자 한다. 환유적으로 등장한 ‘얼굴’은 화자의 사유나 인식을 일관되게 전개시켜 현실 또는 정념과의 유비적 연결망을 만들기보다는, 오히려 그 연결망을 저지하고 대상화시킴으로써 현실 또는 정념의 정체를 되묻는 역할을 한다. 환유적으로 등장한 얼굴 표상은 그 공시적 성격을 통해 외적 폭력이 가진 비극의 폭을 확장시킨다. 이상 시의 ‘얼굴’ 표상은 은유와 환유의 과정이 중첩되어 등장하고, 임화 시에서는 그 과정이 무화되어 나타난다. 이상의 시는 세계와 자아의 관계가 단일하게 포착되지 않기 때문이며, 임화의 시는 세계와 자아의 관계가 이미 결정된 상태로 등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결합된 ‘동일성의 원리’와는 다르다. 그러나 이는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결합된 ‘동일성의 원리’와는 다르다. 은유와 환유는 시어 출현 방식에 따라 시의 구조를 형성한다. 이상의 시의 ‘얼굴’ 표상은 구조적 맥락을 지움으로써 세계의 비결정성을 표상하고, 임화 시의 ‘얼굴’은 그 자체로 세계의 표상을 구조화한다. 그로써 이상의 시는 세계의 분열을 드러내고, 임화의 시는 단일한 세계를 지향한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face’ representation of poems written during the colonial period. Facial representations are the objects that show the representational “reality” in terms of forming the interface of inner ‘self’ and outer ‘world’, and metaphors and metonymy are the aspects in which the poetic objects appear and place. Therefore, this study is a study that reveals one aspect of the poetical perception of poets in the colonial period by examining the way facial expression is structured in the poem. Many face representations appeared in the poems of Ji Jung Yong, Yoon Dong Joo, Baek Seok, and Yong Aak who experienced the reflection of the world and the self and the reality of the time through the immigrant process. It also appeared frequently in Im Hwa s poems, which matched the goal of the self with the ideal of the world, and Lee sang s poem which showed the splitting of the world by the technique of self-targeting. On the other hand, “face” representations rarely appeared in the poets from Pure Green Color school who indulged in the ideological world and aesthetic language but rejected the questions about reality motif and egos. In the poems by Jung Ji-yong and Lee Yong-ak, the ‘face representation directly represents the inner state of the speaker who is related to the world. Shortly, it is metaphorical in that it represents the trauma itself originated from the meeting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This can also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facial expressions appear based on their internal state and similarities. At this time, the “face” representation by Jung Ji-yong and Lee Yong-ak is of a “diachronic” nature in that the subject s internal strength is positioned in a series of unhappy times. This plays a role to clearly reveal the intensity of external violence. In the poems by Yun Dong-ju and Baek-seok, ‘face’ has a metonymic nature in that it directs the world in the manner of chain process through parallel arrangement. This can be explained that the facial representation has a proximity in that the trauma of the subject is placed outside the subject. That is, it questions the true intention by separating own s face, or it intends to reach out to the whole world by placing another face next to the face. Face , which appeared in metonymy, plays a role of reclaiming the identity of reality or emotions by blocking the connection and objectifying it through objectification, rather than consistently developing the speaker s thoughts and perceptions to make the organic connection between reality or emotion. This expands the tragedy of external violence through its public nature. In the poem by Lee Sang, the process of metaphors and metaphors is overlapped in face, and in the poem by Imhwa, the process becomes blurred and appeared. This is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is not captured in a single way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has already been determined in the poem by Imhwa. But this is different from the “principles of homogeneity,” in which the original and auxiliary concepts are combined. Metaphors and metonymy are classification of the structure of poetry depending on the way the words appeared. Thus, the “face” of the poem by Lee Sang represents the world s non-determinism by erasing the architectural context, and the “face” of the poem by Imhwa in itself constructs the world s repres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