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협력적 계획 접근법에 따른 독도관리시책의 발전방향 고찰

        이문숙,남성모 한국도서(섬)학회 2019 韓國島嶼硏究 Vol.31 No.3

        As national attention on Dokdo has increased for various reasons, for example, due to the basis of Korean sovereignty for Dokdo, the establishment of facilities on Dokdo, aligning the management of Dokdo with Ulleungdo, and the value of marine resources around Dokdo, the demand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Dokdo is rising. Thu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enacted the Act on the Sustainable Use of Dokdo, established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Dokdo, and promoted policy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interdepartmental Basic Plan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Dokdo based on this law. Various authorities are jointly deriving inter-departmental Basic Plans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Dokdo every five years. The third basic plan is underway from 2016 to 2020, with 13 government departments and 32 implementing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the plan. The most important task in managing Dokdo under this Act is the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of related agencies in all stages of planning,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management based 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between departments. In the third Basic Plan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Dokdo, management principles were established to achieve the goal, and strategies, tasks, and various projects were based on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This study is to apply the cooperative planning model which is the only model that can manage modern splitting values and conflict of interest, and promotes creative production to the fourth Basic plan to be established in 2020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the success of the Basic Plan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Dokdo as a cooperative plan. For the study,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to analyze 14 factors of cooperative planning and to derive four key factors applicable to the Basic Plan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Dokdo, namely: understanding the diversity of essence and relationships; the structuring an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cooperative ecosystem; developing beliefs to solve problems and achieve goals; and the process of debate(providing information, explaining, critical reviewing, and disputing). Finally, this paper draws several directions for improvements Dokdo Basic Plan in new phase by examining the meaning of cooperative planning as the basic plans have developed from first to third planning period, and by reviewing the way key factors of cooperative planning applied to the third Dokdo Basic Plan. First,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nature and relationship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etails of individual projects, the problems caused by changes in circumstances, and the efforts to respond to them.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categorize each single implementation project in the proper section of the Basic Plan.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structure the ecosystem components (organizations) for Dokdo management and prepare a cooperative institutionalization pla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s and flows between the components. Third, decision-makers should set common critical mind and trust as mid- to long-term goals through discussion and consultation, and give shape the plan with detail targets that can be recognized by individual project body. Encourage belief building activities strategically to induce trust between subjects and even self-organization efforts. Fourth, the consultation procedure should share and explain information on specific issues and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bating process to make critical review and objection rather than gathering opinions perfunctorily. 독도가 우리 영토인 근거, 독도 안 시설물의 설치, 울릉도와 연계한 독도 관리, 독도 해양자원의 가치 등과 관련한 국민의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독도에 대한 체계적 관리가 요구되어왔다. 이에 「독도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이 법을 기반으로 독도기본계획 수립 등 독도에 대한 통합관리체계가 구축·추진되고 있다. 독도기본계획은 5년 주기로 관계기관이 공동으로 수립한다. 현재 제3차 독도기본계획(2016∼2020)이 시행 중이며, 13개 관계기관과 32개 실행기관이 참여한다. 독도기본계획에서는 계획수립-이행-성과관리 등 모든 단계에서 관계기관의 협력과 참여가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며, 제3차 독도기본계획에서는 이에 대한 관리원칙과 추진전략, 추진과제를 반영하고 다양한 제도 및 시책을 도입한 바 있다. 본 연구는 현대의 가치 분열과 이해갈등을 관리할 수 있는 유일한 모델이면서 창의적 생산까지 가능케 하는 협력적 계획 모형에 독도기본계획을 적용해 보고, 협력적 계획으로서 성공하기 위한 독도기본계획 체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를 통해 협력적 계획에 대한 14가지 요소를 분석하고 4가지 핵심 요소 1) 본질과 관계의 다양성 이해 2) 협력 생태계의 구조·제도화 3) 문제해결과 목표 달성을 위한 신념 형성 4) 논쟁(정보제공-설명-비판적 검토-이의제기)의 과정화를 도출하였다. 이후, 독도기본계획의 발전과정(제1차∼제3차)에서의 협력적 계획 의미를 검토하고 협력적 계획의 핵심요소에 대한 제3차 독도기본계획의 내용 및 운영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다음의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첫째, 본질과 관계의 다양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개별 실행사업의 세부 내용과 여건변화에 따른 문제, 대응노력 등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본계획 내에서 실행사업의 위치와 관계를 설정하여야 한다. 둘째, 독도 관리에 대한 생태계 구성요소(구성체)를 확대하여 구조화하고 구성 요소간 관계 및 흐름을 고려한 협력 제도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논쟁과 협의를 통해 공동의 문제의식과 신념을 중장기 목표로 설정하고, 개별 실행사업 주체가 인식할 수 있는 세부 목표로 구체화한다. 또한 전략적으로 주체간 신뢰를 이끌어내고 자기 조직화 노력까지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신념 형성 활동을 구상한다. 넷째, 절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의견수렴이 아니라 특수한 안건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설명하여 비판적 검토 및 이의제기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논쟁 과정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