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역량과 누리과정 예술경험영역의 교수불안과의 관계

        백지혜 ( Baek Jeehea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역량과 누리과정 예술경험영역의 교수불안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 강원도, 충청북도의 140명의 예비유아교사이며, 문화역량 검사도구와 교수불안 도구를 수정 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문화역량은 감수성, 상상력, 관심, 이해, 표현력, 공감, 소통, 관용의 8가지 요인을 측정하였고, 누리과정 예술경험영역의 세 가지 범주인 아름다움 찾아보기, 예술적 표현하기, 예술 감상하기에 대한 교수불안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 Pearson 적률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역량은 보통 이상의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예술경험영역의 교수불안은 보통보다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역량과 예술경험영역의 교수불안은 대부분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회귀분석결과 문화역량의 요인들 중 관심, 이해, 표현력, 공감이 예술경험영역의 교수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양성과정에서 예술교과목의 구성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pre-service teachers’ cultural competence to teaching anxiety in the ‘Art experience’ area of the Korea National Nuri Curriculum. The subjects were 14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around Daegu, Gangwon-do, and Chungcheongbuk-do province.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questionnaires were Cultural Competence Scale and Teaching Anxiety Scale. The Cultural Competences Scale consisted of eight sub factors ‘sensitivity’ ‘imagination’ ‘interests’, ‘understanding’, ‘ability to express’, ‘empathy’, ‘communication’, ‘generosity.’ In addition, teaching anxiety was surveyed by esthetic exploration, artistic expression, and artistic appreciation which were the three categories of ‘Art experience’ area in the Korea National Nuri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hown to have higher cultural competence and to have lower teaching anxiety than average. Second, overall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ultural compet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teaching anxiety. Third, the pre-service teachers with higher ‘interests’, ‘understanding’, ‘ability to express’, and ‘empathy’ in cultural competencies were more likely to express lower teaching anxiety in the area of Art experience.

      • KCI등재

        구체물을 활용한 음악표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 및 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배지은 ( Bae Jieun ),백지혜 ( Baek Jeehea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구체물을 활용한 음악표상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음악적 능력 및 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D광역시에 위치한 유치원 만 5세반 유아 51명으로 한 학급 26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 25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구체물을 활용한 음악표상활동을 10주간 주 2회 총 20회에 걸쳐 실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누리과정에 기초한 음악활동을 실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음악적 능력 측정을 위해 Gordon(1986)이 개발한 PMMA(The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를 사용하였으며, 표상능력 측정을 위해 신은수·권미경(2011)의 점토활동을 위한 표상능력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체물을 활용한 음악표상활동은 음악적 능력 전체 및 하위요인인 음감 능력, 리듬감 능력의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구체물을 활용한 음악표상활동은 표상능력 전체 및 하위요인인 표상적 주제 관련성, 표상적 정교성, 표상적 창의성, 표상적 언어 연계성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구체물을 활용한 음악표상활동은 유아의 음악적 능력 및 표상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sical representation activities utilizing concrete materials on young children’s musical and representational ability. This study recruited fifty-one children of five-year-old classrooms from a kindergarten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y were subdivided into an experimental(n = 26) and a control group(n = 25).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musical representation activities using concrete materials for a total of twenty sessions over ten weeks, two times per week, while the control group experienced musical activities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 (PMMA) by Gordon(1986) in order to measure their musical abilities and the Representational Evaluation Scale for Clay Activities by Shin and Kwon(2011) in order to measure their representational abil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COVA to explore the differences of musical and representational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musical ability and its sub-categories, which were tonal and rhythm cap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using concrete materials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ose of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children’s representational ability and its sub-categories, which were elaboration of representation, creativity of representation, connectedness of representation of language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findings suggest that musical representational activities based on concrete materials are productive in achievement of young children’s musical and representational abilities.

      • KCI등재

        동작을 활용한 음악표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 및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정윤미 ( Jung Yoonmi ),백지혜 ( Baek Jeehea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동작을 활용한 음악표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과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A, B어린이집의 만 3세 학급 4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동수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 동작을 활용한 음악표상활동을 10주간 20회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누리과정에 기초한 생활주제와 관련된 음악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Gordon(1986)의 유동음악소질검사 오디(Audie)와 Laban(1975)의 이론에 기초하여 김은심(1994)이 수정한 창의적 신체표현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작을 활용한 음악표상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아의 음악적성 전체점수 및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동작을 활용한 음악표상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점수 및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동작을 활용한 음악표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과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usic representation activities with movement on musical aptitude and creative body expressiveness of young children. A total of 40 three-year-old children in A and B Day Care Centers located in Daegu City participated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music representation activities with movements during a span of 10 weeks for a total of 20 times, while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music activities related to the subject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music aptitude test(Audie) developed by Gordon(1986) and the creative body expressiveness test modified by Eunsim Kim(1994) based on the theory of Laban(1975).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NCOVA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ing the music representation activities with movements was meaningful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whole score and sub-factors of child’s musical aptitude.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creative body expressiveness score and sub-factors of child.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music representation activities with movements are effective for musical aptitude and creative body expressiveness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흙을 주제로 한 예술-과학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생태적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최영혜 ( Choi Younghye ),백지혜 ( Baek Jeehea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흙을 주제로 한 예술-과학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생태적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I유치원의 만 4-5세 종일반 유아 3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임의배정 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흙을 주제로 한 예술-과학통합 활동을 18회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누리과정에 따른 생활주제에 맞춘 바깥놀이 활동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는 이경민(2000)이 수정·보완한 과학적 탐구능력검사와 김명선(2015)의 생태적 감수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 흙을 주제로 한 예술-과학통합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생태적 감수성에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흙을 주제로 한 예술-과학통합 활동이 유아들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생태적 감수성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soil-themed art and science integrated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ecological sensibility. A total of 36 young children aged 4-5 years old in a full-day class at I kindergarten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for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total of 18 soil-themed art and science integration activities for 9 weeks. The testing of scientific inquiry ability by Lee (2000) and ecological sensibility testing by Kim (2015) were modified and used for research too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variance analysis (AN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upon analyzing the effects of soil-themed art and science integrated activities on the scientific inquiry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post-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total score of the scientific inquiry ability. Secondly, upon analyzing the effects of soil-themed art and science integration activities on the ecological sensibility of young children, the post-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the total score of the ecological sensibilit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oil-themed art and science integration activiti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ecological sen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