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임수진(SooJin Lim),고영미(YoungMi Go),서현(Hyun Seo)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2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는 2001년 창립 이후 20년 동안 영유아가 일상 속에서 접하는 책, 그림과 같은 전통미디어에서부터 컴퓨터, 휴대폰 등과 같은 뉴미디어를 교육에서 어떻게 바라보고 활용할 것인지에 관한 학문적 연구와 현장 실천을 위한 노력을 해왔다. 이와 같은 노력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는 영유아교육에서 미디어 교육을 선도하는 학회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이후 시대로 진입하며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최근 상황에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의 책무성은 더욱 중요하게 여겨질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가 추진해 온 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나아가야 할 미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노력이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가 30주년, 혹은 50주년을 맞이할 때 회원에게 존경과 신뢰를 받고, 더 나아가 유아교육의 발전에 공헌하는 학회로 나아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For the past 20 years since its foundation in 2001,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has been working on academic research and field practice on how to view and utilize media; from traditional ones such as books and pictures to new ones such as computers and cell phones. With such efforts,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has established itself as a leading society in media education in infant and child education.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transition to a digital society is accelerating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global pandemic phenomenon of COVID-19 is demanding more accountability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than ever befor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projects that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has been promoting for the past 20 years, and based on this, it suggests the future direction for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for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to not only be respected and trusted by its members on the 30th and 50th anniversaries, but also to further develop into the Korean association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고영미,임수진,서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0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0 No.11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는 2001년 창립된 이후 20년 동안 영유아들이 일상 속에서 접하는 책, 그림과 같은 전통미디어에서부터 컴퓨터, 휴대폰 등과 같은 뉴미디어를 교육에서 어떻게 바라보고 활용할 것인지에 관한 학문적 연구와 현장 실천을 위한 노력을 해왔다. 이 같은 노력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는 영유아교육에서 미디어교육을 선도하는 학회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지금 우리 사회는 미디어 환경의 한 변화 속에서 우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에 학회가 추진해온 사업내용과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의 20년 역사의 발자취를 되돌아보고, 현재의 추진사업을 점검하며, 미래의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가 30주년, 50주년을 맞이해서도 회원들에게도 존경받고 신뢰받으며 유아교육의 발전에 공헌하는 학회로 더 발전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의 과거, 현재, 미래: 미디어와 교육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연승(Lee Yeon-Se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의 역사를 사회 및 교육의 변화와 미디어를 중심으로 문헌 고찰함으로써 향후 어린이미디어와 교육의 발전을 위한 역할과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는 지난 20년간 다양한 미디어에 대한 탐구를 토대로 그 시대의 트렌드 미디어(Trend Media)를 선정하여 학문적, 실천적 논의의 장을 적절하게 잘 마련해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학회의 발전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와 미디어, 미디어와 교육의 관계에 대한 미래 연구(Future Studies) 및 네트워크 형성(Networking)의 장(場)이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미디어의 적정 구현을 위한 유아교육기관 내 시스템(체제) 구축연구 및 기존의 아날로그 환경에 기반한 놀이 연구 프레임에서 모바일 환경에 기반한 놀이 연구 프레임으로 연구의 영역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연구를 학회 차원에서 주도하여 한국 유아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이에 적합한 디지털 미디어 매체에 대한 인증기준을 확립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ole and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media and education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history of the Korean Children’s Media Association with a focus on social and educational changes and media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and Education has properly provided a place for academic and practical discussion while reflecting Trend Media of the era based on the exploration of various media over the past 20 years. In this regard, th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is Association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a place for future studies and networking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media as well as media and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proper implementation of various media experienced by young children and to expand the field of research from the existing analog environment-based play research frame to the mobile environment-based play research frame. Lastly, it is necessary to lead the research on digital media literacy at an academic level to identify the digital media literacy competency of korean children and to establish an appropriate certification standard for digital media.
유아기 미디어 이용이 초등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유능감의 매개효과
이상희(Lee Sanghee),오새니(Oh Saenee)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유아기 미디어 이용과 초등학교 적응과의 관계에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아동패널 7차와 8차년 연구에 참여한 972명 아동을 대상으로 상관관계 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미디어 이용 놀이시간은 초등학교 적응 및 사회적 유능감과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초등학교 적응과 사회적 유능감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의 미디어 이용 놀이시간과 초등학교 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감의 부분매개가 확인된 반면, 미디어 이용 교육시간과 초등학교 적응, 사회적 유능감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로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놀이목적으로 미디어 이용 시 유아의 사회발달 측면에 부정적 영향이 강화되기 때문에 유아기 미디어 이용 지도 시 미디어 사용 목적과 적절한 이용에 대한 지도가 강조되어야 함을 시사했다. 또한 미디어 이용 놀이시간과 초등학교 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감의 부분매개효과는 과도한 미디어 사용으로 인한 초기 초등학교 적응의 어려움을 사회적 유능감 향상을 통해 해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at the mediated effects of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in relation to infantile media use and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972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7th and 8th years of the Children s Panel.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The media play usage time showed the social competence and inadequacy of elementary school, while the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and Social competence mediated effects showed the static correl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dia use education time and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and social competence. Second, while partial matching of Social competence mediated effects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media play use time and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the medium effect of Social competence mediated effects did not appe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e time as a whole and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을 중심으로
최유리,유영의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9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간 차이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내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198명으로부터 수집된 질문지 자료를 SPS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교육 영역별 차이 분석 결과 전래동화 지식, 유아 지식, 목적, 선정기준, 교수 방법, 평가 총 6개 영역에서 모두 중요도가 실행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교육 항목별 차이 분석 결과 우선 지원되어야 할 항목은 교수 방법중 다양한 매체로 제작하여 전달하는 방법, 유아의 흥미와 관심을 증진할 수 있는 방법 2개 항목이었으며, 장기적 개선이 요구되는 항목은 동화 지식 중 시중의 다양한 한국 전래동화 작품, 양질의 한국 전래동화 그림책 선정기준, 한국 전래동화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나 정보원 3개 항목, 선정기준 중 문학성이 높은 것, 예술성이 높은 것, 교사의 가치 기준을 반영한 것 3개 항목, 교수 방법 중 환경구성 방법 1개항목, 평가 중 유아에 대한 평가, 유아 관찰법, 유아포트폴리오, 활동에 대한 평가, 작품 내용 및 활동 선정 관련 평가, 교수 매체 관련 평가, 교수방법의 적절성 관련 평가, 유아 발달 수준에 대한 적합성 관련 평가 8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고 해보고자 하였다.
노보람,김정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2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ubgroups of digital media usa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dentified the influence of factors related to the teacher, such as age and media literacy competencies as well as the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on different subgroups. Participants were 330 teachers from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Kyungnam province. A latent class analysis, χ2-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conducted.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classes of digital media usage were classified into four subgroups: Creating digital contents, Utilizing digital contents, Searching digital contents, and Limited use of digital contents. Second, the following predictors jointly predicted latent classes of digital media usag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ge and media literacy competencies and the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digital media usag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육 및 업무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활용을 유형화하고, 이에 대한 교사 연령, 재직 기관,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의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만 3, 4, 5세반 및 유아 혼합연령반을 맡고 있는 담임교사 3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잠재계층분석,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 그리고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잠재계층분석 결과, 유아교사의 디지털 미디어 활용 잠재집단은 4개 집단(제작중심형, 활용중심형, 검색중심형, 최소활용형)으로 분류되었다. 교차분석 결과 유아교사의 연령과 근무 기관 유형에 따라 잠재집단 소속 비율에 차이가 있었다. 일원변량분석 결과, 디지털 미디어 활용 잠재집단에 따라 미디어 리터러시 하위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교사의 연령이 20대에 비해 30대인 것, 교사의 재직기관이 공립유치원에 비해 사립유치원, 국공립어린이집, 직장어린이집인 것, 그리고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중 미디어자료생산역량, 정보검색및공유역량, 미디어윤리준수역량이 잠재집단 소속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디지털 미디어 활용이 질적으로 다른 집단으로 구분되며, 집단 구분에 대한 교사(연령 및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및 기관 유형의 영향력을 밝힘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 디지털 미디어가 활용되는 데 함의를 제공하였다.
한유진(Han, Yu-Jin),최인숙(Chio, in-Suk),정승준(Chung, Seung-Jun),이대균(Lee, Dae-Kyu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영아전담어린이집에서 만 3세 유아반을 맡은 교사들의 이야기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교사들의 애환이 무엇인지를 알아봄으로서 영아전담어린이집에서 만 3세 유아반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보육교사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보육교사로 현재 영아전담어린이집에서 영아반을 맡고 있는 교사이거나 이전에 유아반을 맡았던 경험이 있는 보육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2012년 5월 19일부터 2012년 10월 15일까지 5개월 동안 심층 개별 면담, 전화 면담, 연구자 E-mail 저널, 보육일지, 월간보육평가, 관찰일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생성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영아전담어린이집에서 만 3세 유아반을 맡은 교사의 어려움은, 혼자라서 ······. / 많은 아이들, 그리고 학부모 / 부담스런 크기의 보육실로 나타났으며, 보람으로는, 잘 키워서 졸업시키기 / 아이들의 형님 노릇 / 선생님과 소통하는 아이들 / 지지해 주는 많은 학부모, 믿어주시는 원장님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ose who run infant daycare center by qualitative analysis of teachers’s difficulties and joys who take care of 3 years old nursery in infant daycare. The 10 participants consist of current and past infant daycare teachers who posses teacher certification. During the period of 5 months from May 19th, 2012 to Oct 15th 2012, w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telephone interviews, E-mail journals for researcher, nursery diaries, and monthly child care assess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generated data, the difficulties for teachers taking care of 3 years old are : alone, so / too many children and parents / the size of the nursery burdensome. For rewards, it appeared that : graduation to well-bred / children of brother landscaping / children communicating with teachers / many parents who support me / center director who supports teachers.
국내 지상파 방송사의 어린이 프로그램제작 접근방식 변화 연구
한상균(Han Sang-Gyun),이정환(Lee Jung-Hwa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9 No.2
국내 지상파 방송사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한 어린이 프로그램의 편성대비 광고수익에 관한 효율성 제고의 논란은 이들 내부에서 수년간 지속되어왔다. 이러한 논란은 국내외 전체적인 경기침체와 이로 인한 방송사의 가장 큰 수입원인 광고수익의 격감을 경험하고 있는 요즈음 좀 더 구체적으로 논의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산 어린이 프로그램의 지상파 방송편성은 방송총량제의 그늘 아래에서 근근이 그 명맥만을 유지하게 되었고, 어린이 프로그램 장르는 이들의 미운 오리새끼로 전락하게 될 운명적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이 시기에 등장한 프로그램이 바로 KBS의 〈후토스-하늘을 나는 집〉이다. 이는 KBS 최초로 어린이 프로그램제작을 위한 제작위원회를 결성하고, 대형 어린이 테마파크 형 방송프로젝트를 자처하며 전남 함평군에 오픈세트를 건립하여 2007년 7월 5일에 첫 촬영에 돌입했다. 이후 다소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국내 시청률에도 불구하고 해외수출 및 국내외 부가사업을 통해 성공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2010년 5월부터 속편인 〈후토스2-잃어버린 숲〉을 제작하여 방송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BS 〈후토스-하늘을 나는 집〉의 사례 분석을 통해 KBS를 포함한 국내 지상파 방송사들의 어린이 프로그램 활용방안 및 접근방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지상파 방송사가 주축이 된 제작위원회방식의 도입을 통해 국내 어린이 프로그램제작산업 활성화 가능성을 예상하고자 한다. Korean terrestrial television companies have been calculated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children's TV programs, compare to its incomes from the advertisement through their channels for years. Recently, the issue is being treated more seriously since they are facing global economic recession and experiencing suddenly the fallen advertisement revenues. Under the situation, broadcasting the children's programs through the terrestrial television is being prohibited by them, and normally the viewing rates of the genre have not been made them satisfied. By the reasons, only the Korean Cap system has been forced them to broadcast children's TV programs at least minimum hours. Due to the results, children's programs couldn't be welcome by them so far. At the moment, KBS presents 〈HUTOS-The Flying House〉 to the industry. 〈HUTOS〉 was starting its first shooting in Jeollanam-do, Hampyeong-gun in July 5th, 2007 to aim to be a children's theme-park project by KBS for the first time. In spite of unsatisfied domestic viewing rates, 〈HUTOS〉 could be succeeded in its business through the export its rights to the global markets. Thanks to the success of the first attempt, KBS produced the serial series of 〈HUTOS〉 with the title of 〈HUTOS-The Lost Forrest〉, and started its broadcasting since May 2010. This study aims to forecast the changes of approach to children's program production of Korean terrestrial television companies by analyzing the successful example of KBS 〈HUTOS-The Flying House〉, and presents the industry possibility of activate the children's program production by adopting the production committee system, which terrestrial television companies lead.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유영의,장은정,양선희,이성주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1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1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1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초점 질문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진술하였으며, 연구자들이 정리한 진술문들을 범주화하고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생성한 자료를 토대로 다차원 척도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으로 37개의 최종 진술문이 생성되었으며, 다차원 척도분석을 통해 ‘미디어 윤리-미디어 활용 능력’, ‘유아 대상 미디어 활용-미디어에 대한 태도’의 2개 차원으로 나누었다. 또한 군집분석을 통해 진술문을 ‘미디어 기본 활용 능력’, ‘미디어에 대한 해석 및 적응’, ‘유아를 위한 미디어 활용’, ‘새로운 미디어에 대한 태도’, ‘미디어 특성에 대한 이해’, ‘미디어 활용에 대한 비판적 이해’, ‘미디어 활용 윤리’ 등 7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구성 요인 확인 및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개발 연구 등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