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발전사와 미래

        임수진(SooJin Lim),고영미(YoungMi Go),서현(Hyun Seo)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2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는 2001년 창립 이후 20년 동안 영유아가 일상 속에서 접하는 책, 그림과 같은 전통미디어에서부터 컴퓨터, 휴대폰 등과 같은 뉴미디어를 교육에서 어떻게 바라보고 활용할 것인지에 관한 학문적 연구와 현장 실천을 위한 노력을 해왔다. 이와 같은 노력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는 영유아교육에서 미디어 교육을 선도하는 학회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이후 시대로 진입하며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최근 상황에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의 책무성은 더욱 중요하게 여겨질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가 추진해 온 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나아가야 할 미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노력이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가 30주년, 혹은 50주년을 맞이할 때 회원에게 존경과 신뢰를 받고, 더 나아가 유아교육의 발전에 공헌하는 학회로 나아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For the past 20 years since its foundation in 2001,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has been working on academic research and field practice on how to view and utilize media; from traditional ones such as books and pictures to new ones such as computers and cell phones. With such efforts,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has established itself as a leading society in media education in infant and child education.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transition to a digital society is accelerating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global pandemic phenomenon of COVID-19 is demanding more accountability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than ever befor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projects that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has been promoting for the past 20 years, and based on this, it suggests the future direction for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for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to not only be respected and trusted by its members on the 30th and 50th anniversaries, but also to further develop into the Korean association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년 발전사와 미래

        고영미,임수진,서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0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0 No.11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는 2001년 창립된 이후 20년 동안 영유아들이 일상 속에서 접하는 책, 그림과 같은 전통미디어에서부터 컴퓨터, 휴대폰 등과 같은 뉴미디어를 교육에서 어떻게 바라보고 활용할 것인지에 관한 학문적 연구와 현장 실천을 위한 노력을 해왔다. 이 같은 노력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는 영유아교육에서 미디어교육을 선도하는 학회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지금 우리 사회는 미디어 환경의 한 변화 속에서 우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에 학회가 추진해온 사업내용과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의 20년 역사의 발자취를 되돌아보고, 현재의 추진사업을 점검하며, 미래의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가 30주년, 50주년을 맞이해서도 회원들에게도 존경받고 신뢰받으며 유아교육의 발전에 공헌하는 학회로 더 발전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의 과거, 현재, 미래: 미디어와 교육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연승(Lee Yeon-Se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의 역사를 사회 및 교육의 변화와 미디어를 중심으로 문헌 고찰함으로써 향후 어린이미디어와 교육의 발전을 위한 역할과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는 지난 20년간 다양한 미디어에 대한 탐구를 토대로 그 시대의 트렌드 미디어(Trend Media)를 선정하여 학문적, 실천적 논의의 장을 적절하게 잘 마련해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학회의 발전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와 미디어, 미디어와 교육의 관계에 대한 미래 연구(Future Studies) 및 네트워크 형성(Networking)의 장(場)이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미디어의 적정 구현을 위한 유아교육기관 내 시스템(체제) 구축연구 및 기존의 아날로그 환경에 기반한 놀이 연구 프레임에서 모바일 환경에 기반한 놀이 연구 프레임으로 연구의 영역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연구를 학회 차원에서 주도하여 한국 유아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이에 적합한 디지털 미디어 매체에 대한 인증기준을 확립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ole and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media and education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history of the Korean Children’s Media Association with a focus on social and educational changes and media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and Education has properly provided a place for academic and practical discussion while reflecting Trend Media of the era based on the exploration of various media over the past 20 years. In this regard, th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is Association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a place for future studies and networking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media as well as media and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proper implementation of various media experienced by young children and to expand the field of research from the existing analog environment-based play research frame to the mobile environment-based play research frame. Lastly, it is necessary to lead the research on digital media literacy at an academic level to identify the digital media literacy competency of korean children and to establish an appropriate certification standard for digital media.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또래애착, 미디어 이용시간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미디어중독에 미치는 영향

        김종민,최은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ren’s self-esteem, peer attachment, media usage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on media addiction of lower grade children. For the study, data from 1,386 mothers an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Children’s Panel’s 10th year (2017) survey were selected.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using SPSS ver 24.0.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 usage time of children was 1.18 hours per day,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 users and high risk users. Children used the media the most for games and entertainment. The gam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use among general users, potential risk users, and high risk user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self-esteem, peer attachment,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according to media addiction level. The higher the risk of media addiction, the higher the authoritarian and permissive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dia addiction level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self-esteem, peer attachment,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according to media addiction level. The higher the risk of media addiction, the higher the mother’s authoritarian and permissive parenting behavio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dia addiction level. Third, media usage time and mother’s authoritarian and permissive parenting behavior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media addic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for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event media addiction in children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미디어중독에 아동의 자아존중감, 또래애착, 미디어 이용실태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10차년(2017년) 조사에 참여한 1,386명의 어머니와 자녀의 자료를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의 미디어 이용시간은 일일 평균 1.18시간이었으며, 일반이용자와 고위험 이용자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아동은 게임과 엔터테인먼트를 위해 미디어를 이용하는 정도가 가장 높았고, 게임은 일반사용자, 잠재적 위험 사용자, 고위험 사용자간 이용의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미디어중독 수준에 따라 아동의 자아존중감, 또래애착과 어머니의 양육 행동 간에 차이가 있었고 미디어 중독 위험 수준별로 각각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미디어 이용시간과 어머니의 권위주의적, 허용적 양육행동은 미디어중독사용자 발생의 확률을 증가시켰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미디어중독 예방을 위한 중재 및 개입전략에 대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모 양육행동, 유아 전자미디어 놀이시간, 외현화 문제행동 간 구조분석

        배구택,노진형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8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both affectionate and regulatory), children's electronic media playtime an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all of which influence early childhood school readiness. This study selected data of 851 seven-year-old pre-schoolers from the 7th edition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n used the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o conduct furthe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uthor foun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mother’s regulatory parenting behavior has proven to have a direct impact on toddlers’ electronic media playtime. Second, mothers’ regulatory parenting behavior and electronic media playtime have proven to have a direct impact on toddlers’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Thir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have proven to have a direct impact on school readiness. Fourth, in the process of mother’s regulatory behavior impacting toddlers’ school readiness, electronic media play time an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has proven to act as mediating factors. All these conclusions reflect that mother’s regulatory parenting behavior, such as enforcing rules and setting limits, influences toddlers’ electronic media playtime and externalized problem, thereby directly and indirectly impacting their school readiness. 본 연구는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온정적, 통제적)과 유아의 전자미디어 놀이시간,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패널자료의 7차 년도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취학 전 유아 85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은 유아의 전자미디어 놀이시간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전자미디어 놀이시간은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그리고 외현화 문제행동은 학교준비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자미디어 놀이시간과 외현화 문제행동이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규칙준수나 한계설정과 같은 통제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전자미디어 놀이시간과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쳐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을 중심으로

        최유리,유영의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9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간 차이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내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198명으로부터 수집된 질문지 자료를 SPS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교육 영역별 차이 분석 결과 전래동화 지식, 유아 지식, 목적, 선정기준, 교수 방법, 평가 총 6개 영역에서 모두 중요도가 실행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교육 항목별 차이 분석 결과 우선 지원되어야 할 항목은 교수 방법중 다양한 매체로 제작하여 전달하는 방법, 유아의 흥미와 관심을 증진할 수 있는 방법 2개 항목이었으며, 장기적 개선이 요구되는 항목은 동화 지식 중 시중의 다양한 한국 전래동화 작품, 양질의 한국 전래동화 그림책 선정기준, 한국 전래동화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나 정보원 3개 항목, 선정기준 중 문학성이 높은 것, 예술성이 높은 것, 교사의 가치 기준을 반영한 것 3개 항목, 교수 방법 중 환경구성 방법 1개항목, 평가 중 유아에 대한 평가, 유아 관찰법, 유아포트폴리오, 활동에 대한 평가, 작품 내용 및 활동 선정 관련 평가, 교수 매체 관련 평가, 교수방법의 적절성 관련 평가, 유아 발달 수준에 대한 적합성 관련 평가 8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고 해보고자 하였다.

      • 놀이 중심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낙흥,이은정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2 No.6

        본 연구는 생애초기인 유아기부터 미래 사회의 디지털 시민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개정누리과정에서 추구하는 놀이 중심의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국내외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관련 프로그램과 연구물 및 누리과정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그 바탕으로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개발한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해봄으로써 유아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동들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현장에서 유아로부터 발현되는 미디어 관련 놀이 상황을 관찰·분석하여 놀이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Trends in Children's Interactive Media

        Warren Buckleitner,박정선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2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02 No.-

        많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들은 부모가 되면서 우수한 디자인을 하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Humongous Entertainment 회사를 6000만불 회사로 성장시킨 "Putt Putt" 의 경우, Shelley Day의 아들이 "Putt Put" 이라는 bed time story를 좋아했었는데, Shelley가 자신의 아들이 이 이야기 를 가지고 놀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한 결과 개발하게 된 것이다. Living Books의 Mark Schlichting와 Kid Pix를 개발한 Craig Hickman의 경우도 자신의 자녀들을 위해 현재의 제품을 개선하려고 노력한 결과 오늘날 어린이들에게 사랑 받는 작품들을 제작하게 된 것이다. Schlichting은 3명의 남자아이를 두고 있는데, 아이들이 닌텐도 게임에는 매료되면서 학습용 소프트웨어는 1-2번 사용하고 그만두는 걸 보면서,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놀이와 탐구를 통해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작품들을 고안한 것이다. Hickman도 자신의 아들이 Mac Print를 사용하면서 겪는 좌절감을 보고 1어린이들이 조절할 수 있는 개방적이고 풍부한 미술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었는데, Kid Pix는 현재 12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의 1000만 명 이상의 어린이들이 사용하게 되었다. 지난 15년 동안 6000개 정도의 상호작용적인 어린이용미디어가 개발되었는데, 어린이용 미디어 제작 관련자들은 어린이와 놀이를 하고 어린이의 놀이를 관찰하면서 많은 아이디어를 얻는다.

      • KCI등재

        어린이집 일과의 사진찍기 기자활동이 유아의 언어 표현력과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박나경(NaKyung Park),서현(Hyun Seo)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어린이집 일과의 사진찍기 기자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또래유능성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D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20명과 C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20명이다. 실험집단은 D어린이집 만 5세 유아 20명, 비교집단은 C어린이집 만 5세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누리과정의 생활주제를 선정하여 어린이집 일과의 사진찍기 기자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생활주제에 따른 어린이집 일과활동에 대한 느낌 발표하기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언어표현력을 측정하기 위해 언어능력 측정을 위해 제작한 검사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교사 평정 또래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어린이집 일과의 사진찍기 기자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또래유능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린이집 일과의 사진찍기 기자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또래 유능성 향상을 위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lucidate the effect of photography and reporting activities conducted at a day care center on 5-year-old children s verbal expression and peer competence. For this purpose,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consisted of the 20 Five years old children at D and C kindergarten respectively in G city.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photography and reporting activities at the day care center. The control group had discussions on feelings about the day care center s routine activities based on daily subjects. A linguistic competence assessment tool was used to measure the children s verbal expression. A teacher s rating scale was applied to measure the children s peer competenc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hotography and reporting activities at the day care cente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areas except for children s total verbal expression and creative expression. Second, the photography and reporting activities at the day care center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s total peer competence and its subareas. Therefore, this suggests that photography and reporting activities at day care centers are applicable to early childhood classrooms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 s verbal expression and peer competence.

      • KCI등재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인식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유영의(Yoo, Yung Eui),이성주(Lee, Seong Joo),장은정(Jang, Eun Jung),양선희(Yang, Sun Hee)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이 미디어 및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하여 갖고 있는 인식을 개념도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1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브레인스토밍과 진술문 구조화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으로 37개의 최종 진술문이 생성되었으며, 다차원 척도분석을 통해 ‘미디어 선별 능력-미디어 활용 능력’, ‘유아 대상 미디어 활용-미디어에 대한 태도’의 2개 차원으로 나누었다. 또한 군집분석을 통해 진술문을 ‘미디어 기본 활용 능력’, ‘미디어에 대한 해석과 적응’, ‘유아를 위한 미디어 활용’, ‘새로운 미디어에 대한 태도’, ‘미디어 특성에 대한 이해’,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미디어 활용 윤리’ 등 7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37개의 진술문에 대한 연구 참여자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상위 10개의 진술문에서는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으며, 하위 10개의 진술문에서는 ‘동영상 촬영 및 편집 능력’이 가장 낮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구성 요인 확인 및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개발 연구 등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on media literacy using the conceptual map analysis method. For this purpose, brainstorming and statement structure was conducted by 14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research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37 final statements were generated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media literacy. It was divided into two dimensions by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the ability to select media - the ability to use media’ and ‘media use for young children - attitude toward media’. Also,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the statements were classified into 7 clusters. There were ‘basic media literacy’, ‘interpretation and adaptation to media’, ‘media use for young children’, ‘attitude toward new media’, ‘understanding media characteristics’, and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use and media usage ethic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 of study participants for 37 statements,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in the top 10 statements, and ‘video shooting and editing ability’ in the bottom 10 statements showed the lowest impor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helpful as basic research data for identifying the constituent factors of media literacy and examining media literacy competency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