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라깡, 레비나스, 그리고 베케트의 타자와 문학적 재현

        이수경,이재성 새한영어영문학회 2005 새한영어영문학 Vol.47 No.2

        라깡, 레비나스, 그리고 베케트의 타자와 문학적 재현이수경·이재성라깡의 정신분석의 윤리학과 레비나스의 책임의 윤리철학은 상용되는 의미의 "객체"화를 시킬 수 없는 "실재," 혹은 절대 타자성의 사고에 기초한다. 라깡은 "쥬이쌍스"(jouissance)와 "써블라임"(sublime)의 윤리학을 통해 재현 불가능한 실재계의 타자에 대한 욕망의 실현 가능성을 제시하고, 레비나스는 초월의 이념을 통해 동일자로 환원할 수 없는 타자의 절대성을 논증하며 절대적 타자에 대한 책임 윤리학을 제안한다. 불가능으로서의 라깡의 타자와 레비나스의 절대적 타자에 관한 철학적 사유는 문학적 재현에 대한 포스트모던적 사고와, 문학과 예술의 윤리적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점에서 문학적 논의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특별히 라깡의 『안티고네』 읽기는 불가능한 욕망의 대상, 즉 실재계의 타자를 "사물"(the Thing)의 위엄으로 끌어올림으로써 욕망의 실현을 성취하는 라깡의 써블라임의 윤리학을, 그리고 베케트의 『에이 조』에 나타난 해체적 글쓰기는 "말해진 것"(the said)에 의해서 언제나 잊혀지는 "말하는 것"(the saying)을 드러내기 위해 레비나스가 제시한 끊임없는 "가로막음"(interruption)과 "심화환원"(reduction)의 과정을 통해 타자 윤리학을 향한 문학적 글쓰기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e-Learning 정책 제도 및 운영 실태

        이수경 한국산업교육학회 2001 산업교육연구 Vol.8 No.-

        세계적으로 e-Learning은 시공간적 제약에서 벗어나 누구든지 언제 어디서나 학습이 가능하다는 잇점으로 인해 21세기의 대안적 교육체제로 급부상하고 있다. e-Learning은 디지털사회의 시대적 요구와 정보 통신 기술에 힘입어 비약적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아날로그 시대의 폐쇄적이며 제한된 형태의 교육의 기회, 내용, 형식의 폭을 확대시켰다는 점에서 평생 교육의 이념을 구현할 수 있는 교육 체제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현재와 같이 평생에 걸친 직업능력개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e-Learning은 특히 생업과 학습을 병행해야 하는 성인 학습자들에게 대안적 교육 체제로 크게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도, 현재 e-Learning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e-Learning에 참여하고 있는 기관 및 학습자의 수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우리 나라의 e-Learning은 민간 차원의 계속적인 노력과 국가 차원의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양적 확대를 거듭하여 현재 인적자원개발의 각 영역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각 부처별로 e-Learning을 통한 인적자원개발의 중요성을 표명하고 있으며, 실제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 주고 있다. 그 중에서도 노동부의 경우, e-Learning을 위한 관련 제도 및 법령을 제정함으로써 국민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부여하기 위한 실천 기반을 마련하였다. 현재 노동부는 기업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e-Learning에 대하여 제도적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노동부는 1998년의 시범 사업을 거쳐, 1999년 e-Learning을 새로운 직업교육의 하나로 '근로자직업훈련촉진법'에 명시하였으며, e-Learning 교육비용을 지원하고 있다. 실제로, 노동부의 정책적 지원을 계기로 우리 사회에서 e-Learning에 대한 관심이 크게 고조되었으며, 참여 기업 및 재직 근로자들의 숫자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1998년 시범 사업의 경우 7개 기관이 참여한데 반해, 지원 사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한 1999년의 경우 총 40개의 기관이 참여한 것으로 집계되었다(이수경, 1999). 2000년의 경우 노동부로부터 승인받은 e-Learning 기관수는 133개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앞으로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노동부의 지원 사업을 계기로 우리 나라의 e-Learning은 온 국민의 평생교육 체제로 부상하고 있으며, 실제로 교육현장에 빠르게 스며들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e-Learning은 시행 초기이다 보니 교육의 내실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실제로 현장에서는 e-Learning 운영 전반에 대한 문제들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e-Learning이 우리 사회에 빠르게 확산·보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지금까지의 e-Learning이 디지털 사회의 평생 교육 교육 체제로서 그 역할과 기능을 다하고 있는지 방향 매김을 해 볼 필요가 있다. 즉, e-Learning이 21세기의 국가 인적자원개발의 핵심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는 현재, e-Learning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평생 교육체제의 현 주소를 진단하여 보는 것은 시의적절하다고 생각된다. 다음에서는 현재까지의 e-Learning 운영 실태 및 정부 부처의 제도적 지원 실태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우리 나라 e-Learning의 발전 전략에 대하여 논해 보겠다.

      • SCOPUSKCI등재

        성선자극호르몬 및 GnRH agonist을 동시에 중단하는 1$\sim$2일 단기 코스팅이 임신율을 포함한 난소과자극증후군 예방에 미치는 효과

        이수경,주보선,박세희,이수경,김경서,문성은,문화숙,Lee, Soo-Kyung,Joo, Bo-Sun,Park, Sea-Hee,Lee, Su-Kyung,Kim, Kyung-Seo,Moon, Sung-Eun,Moon, Hwa-Sook 대한생식의학회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4 No.1

        목 적: 성선자극호르몬과 GnRH agonist (GnRH)를 동시에 중단하는 1$\sim$2 일간의 단기 coasting이 임신율을 포함한 난소과자극증후군 예방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체외수정시술을 위한 과배란유도 시 15 mm 이상의 난포가 20 개 이상이고 혈중 E$_2$ 농도가 4,000 pg/ml 이상일 때 coasting을 시도한 37 명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Coasting은 성선자극호르몬과 GnRH agonist를 동시에 중단하였으며, 초음파상 난포의 상태와 혈중 E$_2$ 농도 에 따라 1일 또는 2일 동안 시행하였다. 혈중 E$_2$ 농도, 채취된 난자 수, 수정율, 임신율 등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평균 혈중 E$_2$ 농도는 coasting 시작 당일 6,993 pg/ml 에서 hCG 투여일에 3,396 pg/ml로 감소하였다. 평균 채취 난자 수와 수정율은 15.7개와 70%였다. 15명 (40.6%)이 임신을 하였고 착상율은 15.2%였다. 26명 (70.3%)이 1일, 11명 (29.7%)이 2일 동안 coasting 하였다. 평균 혈중 농도의 감소율은 1일 coasting한 군에서 43%, 2일 costing한 군은 15% (첫날)와 81% (둘째날)이었다. 임신율은 두 군간 유사하였고, 중증도 이상의 OHSS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3명 (8.1%)에서 경미한 OHSS가 나타났다. 결 론: 성선자극호르몬과 GnRH agonist의 통시 중단에 의한 1$\sim$2 일의 단기 coasting은 체외수정의 결과에 영향을 주지않고 OHSS 를 예방하는데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ect of short coasting, by withdrawing both gonadotropins and GnRH agonist (GnRHa), on the prevention in severe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OHSS) without compromising pregnancy outcome. Method: Thirty-seven women who had been coasted during COH for IVF were coasted when $\geq$20 follicles > 15 mm with serum E$_2$ level of 4,000 pg/ml were detected. Coasting was initiated for one or two days depending on the status of follicle on ultrasound and serum E$_2$ level. Both gonadotropin and GnRHa were withheld for coasting. Retrospective study was carried and changes of serum E$_2$ levels, number of oocytes retrieved, fertilization rate, pregnancy rate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The mean serum E$_2$ level fell from 6,993 pg/ml on the onset of coasting to 3,396 pg/ml on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The mean number of oocytes retrieved and fertilization rate were 15.7 and 70.0%, respectively. Fifteen patients were pregnant (40.6%) and implantation rate was 15.2%. Twenty-six (70.3%) patients were coasted for one day and 11 (29.7%) were coasted for two days. The mean decrease rate of serum E$_2$ level was 43% in one day coasting group and 15% (1$^{st}$ day) and 81% (2$^{nd}$ day) in two day coasting group. The pregnancy outcome was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coasting, no severe or moderate OHSS occurred in any patients and mild OHSS occurred in 3(8.1%) patients. Conclusions: Coasting for one or two days can be used successfully in the prevention of OHSS without compromising IVF cycle outcome.

      • KCI등재

        신생아에서 발생한 기관내 삽관 후 기도 손상의 주술기 관리-증례 보고-

        이수경,장동진,박은영,임태완,김경미,장성욱,주성민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7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12 No.1

        Tracheal injury in neonates is a rare but serious complication of endotracheal intubation. The morbidity and mortality are associated with early recognition and adequate management. Herein, we reported a case of perioperative management of neonatal tracheal injury following multiple attempts at endotracheal intubation caused by unanticipated difficulty.

      • 통합적 예술탐색놀이가 만 2세 영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이수경,심혜영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한국조형교육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

        통합은 아동 중심적인 철학에서 기초하며 전인적인 인격체로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하여 보다 의 미 있는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단순한 지식 전달 형태의 의미 없는 학습보다는 다양한 활 동의 경험 속에서 더 잘 이해하게 되므로 통합적인 교육과정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Read(1958)는 ‘예술을 통한 교육’에서 교육의 기초를 미술에 두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영아들이 놀이에 있어서 지각·감각·직관·사유의 4가지 기본적인 심적 기능에 상응하면서 함께 통합되기도 하고, 드라마·디자 인·무용·음악·만들기의 4가지 방향으로 각각 발전 되며, 4가지면의 교육이 근본적으로 추구해야 하 는 방향으로 놀이 속에서 서로 합쳐져 조화롭게 발전할 때 하나의 통일적인 인격을 형성한다고 하 였다. 이에 통합적 예술탐색놀이는 미술·음악·동작·극놀이의 예술 활동이 서로 연관성을 지니면서 통합되고 자유롭게 창의적인 놀이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영아의 발달과 행복한 삶을 위하여 통합적 예술탐색놀이는 미술, 음악, 동작, 극놀이가 탐색을 통해 예술적 요소로 서로 연결되고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하며 영아의 사고와 창의성 표현능력을 확장시 켜 놀이성을 증진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 KCI등재

        민화감상과 연계한 유아예술통합프로그램의 효과

        이수경,박부숙 한국조형교육학회 2014 造形敎育 Vol.0 No.52

        Current curriculum emphasizes Korean traditional culture. However, the research on appreciation of western masterpiece has been actively promoting whereas the research on appreciation of folk paintings has been relatively isolated. Folk paintings are through sentiment with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lk painting on the child through the integrated art projects that consist of music, dancing, drawing and dramatic play after the appreciation of folk painting. The study was carried on twenty-five selected early children in a full day class of age three to five of Kindergarten K in S city for eight weeks. The result is as below. Firstly, it was able to compose integrate art program in different areas through folk paintings. Secondly, the interests in the symbol’s meaning of folk painting has been raised. And, excitement and passion for drawing folk painting was shown from the project which is ‘I am the folk painter’ Particularly, creative artistic expression remarkably appears. Thirdly, embellishing stories for dramatic play took forms of short story, poem, and story. Fourthly, based on the creative expressions of musical and artistic inspirations of the writers, it was assumed that early children would be able to think of music which would match the movement in the story. Fifthly, even the teachers who found integrate art program difficult showed interest in creative ideas of early children, and started to compose different integrate art activities. Above all, the children started to find folk paintings interesting. They enjoyed folk painting puzzles and appreciation at free play, using folk painting subjects at free drawing, and even their expression in drawings was improved. 현재 교육과정에서 전통문화를 강조함에도 불구하고 서양의 명화 감상은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반면 민화 감상은 소외되고 있다. 민화는 일반 서민들이 제약 없이 자유롭게 그린 옛 그림으로다양한 동물과 화조, 곤충 등 소재와 표현이 친숙하여 유아들과 정서가 통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민화감상을 통해서 음악, 춤, 미술, 극놀이 등으로 예술통합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S시에 위치한 K유치원 3-5세 혼합연령 종일반 25명을 선정하여 2014년 4월 첫째주부터 주2회 8주 동안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화감상을 통해 다양한 영역으로 예술통합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었다. 다양한 미술표상활동과 동작활동이 이루어졌으며 음악 감상과 극놀이가 함께 이루어졌다. 둘째, 민화의 상징적 의미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나도 민화 작가’가 되어 민화 그리기에 흥미와 열정을 보였으며 창의적 그림 표현이 나타났다. 셋째, 민화 감상 후 이야기 짓기를 할 때 짧은 글이나 동화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민화의제목과 소재에서 내용을 찾았다. 특히 자신의 흥미와 경험에서 창의적인 생각을 떠올렸다. 또한연령별로 지은 이야기의 내용이 달랐지만 서로 도와가며 이야기가 구성되었다. 넷째, 민화를 감상하고 민화와 어울리는 음악을 고르는 과정에서 다양한 음악을 감상할 수 있었고, 음악을 고를때 회기가 지날수록 민화에 어울리는 음악을 찾으려고 집중했다. 다섯째, 예술통합프로그램을어려워하던 교사도 점차 유아들의 창의적인 생각에 흥미를 보였고, 다양하게 통합적 예술 활동을 구성했다. 무엇보다도 유아들이 민화에 흥미를 갖게 되었다. 자유놀이 시간에도 민화 감상과민화 관련 활동을 즐겼고, 자유롭게 그림을 그릴 때에도 민화가 소재가 되었으며 그림 표현력도향상되었다.

      • KCI등재
      • 지역 협력을 통한 공공 도서관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 : 평택시립안중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이수경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인문과학논집 Vol.19 No.-

        본 연구는 평택시립안중도서관과 지역 주민의 적극적 참여로 이루어진 정보 서비스, 독서 및 문화 프로그램 추진 사례를 통해 지역 공동체 중심 공간으로써 공공도서관과 사서의 역할을 되짚어보고 시민들과 함께 추진한 공공도서관 프로그램의 세 가지 방향을 중심으로 지역 도서관 프로그램의 서비스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present paper Using Pyeongtaek city AnJung Library as an example, this study focuses on successful information services, programs and efforts improving relationship with local community. Also, this study is to outline the role of public library and librarian through best practices of information services, reading programs and other various kinds of culture programs which co-worked with community members at Pyeongtaek city Anjung Library.

      • KCI등재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를 위한 개정 「도로교통법」에 대한 소고- 미국 NTSB의 보고서를 활용하여 -

        이수경 한국재산법학회 2022 재산법연구 Vol.38 No.4

        바야흐로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시대가 가까이 왔다. 전 세계적으로 유명 자동차 제조사들이 레벨3단계의 자율주행자동차의 생산을 위한 준비를 마쳤고, 우리나라도 ‘자율주행자동차규제혁신 로드맵2.0’을 마련하며 자율주행자동차 시대를 열어갈 준비를 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의 언론을 통해 우리에게도 전해진 여러 건의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충돌 사고는 자율주행자동차 시대에 앞서 우리가 어떤 점에 대하여 고민해 보아야 할 것인지 시사하는 바가 있다. 우선자율주행자동차는 고도의 인공지능 기술이 통신기술, 자동차 공학기술과 집약되어 일반 자동차의 구동적 특성 외에도, 인공지능 기술 자체로서의 특성으로서 머신러닝이 적용되어 인간과 같은 사고의 과정을 통해 결과값을 도출해 내므로 그 생래적인 특성으로 ‘예측불가능성’의 특성을 지닌다. 인간의 편리를 위하여 개발된 인공지능 기술이 한편으로는 그로 인해 발생한 손해의 책임법적 논의에 대하여는 모호성을 제공하게 될 가능성도 존재하는 것이다.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 시대를 앞둔 지금, 자율주행자동차와 관련한 민사법적 책임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연구의 첫 걸음으로, 미국에서 있었던 테슬라의 2017모델X P100D의 사고 사례 (이하 ‘마운틴 뷰 사례’)에 대한 미국 교통안전위원회의 보고서를 토대로, 실제로 도로위에서 자율주행시스템의 보조를 받게 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사고와 운전자보조 시스템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볼 수 있다. 마운틴 뷰의 사례는 비록 레벨 2단계의 ‘부분’ 자율주행자동차의 기술단계였으나, 테슬라 자동차의 운전자 보조 시스템인 오토파일럿 기능이 적용되었고, 사고 당시에 운용이 되었던 점을 바탕으로 우리가 아직까지 경험하지 못한 자율주행자동차의 운전자 보조시스템과 관련한 사고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레벨2단계에서는 운전자가 핸들의 제어권을 유지했어야 하지만, 테슬라의 마운틴 뷰 사건에서는 그와 같은 주의의무가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자율주행자동차의 운용에 있어서 기술수준에 따른 자율주행레벨단계는 이처럼 중요한 기준임에도 자율주행자동차와 관련한 특별법 조문으로서의 「도로교통법」의 개정조문(2022년 4월 20일 시행 예정)에는 규정되지 않았다. ‘자율주행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을 ‘운전’의 개념에 포함시킨 것이나, 자율주행자동차 운전자의 준수사항 등에 ‘자율주행시스템의 직접 운전 요구에 지체 없이 대응’하도록 개정된 것은 분명 반길 일이다. 그러나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에 대비하여 법 개정을 하면서도 자율주행자동차만큼 기술수준에 따른 특징이 뚜렷한 고성능의 인공지능 제조물에게 운전자의 과실을 판단하는 데 기준이 될 만한 사항이 법규에 제대로 명시되지 않음은 아쉬움을 남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