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성 불안이 높은 여자대학생의 행동 모니터링에 관한 사건관련전위 연구

        문석현,김명선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0 No.3

        This study investigated action monitoring in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high trait anxiety using event-related potentials (EPRs) and Simon task. Based on the scores of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Y version trait scale and Welsh Anxiety Scale, high trait anxiety (n=24) and low trait anxiety (n=23) groups were determined. The Simon task consists of two conditions-congruent and incongruent conditions. The locations of stimulus and response were the same in the congruent condition, whereas the locations of stimulus and response were different in the incongruent condition.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press one of four buttons assigned to the location of a stimulus. High and low trait anxiety groups showed comparable behavioral performance. In terms of ERPs, high trait anxiety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larger amplitude of error-related negativity (ERN) and correct response negativity (CRN) on Cz electrode site than low trait anxiety group. An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RN/CRN amplitudes on Cz and trait anxiety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high trait anxiety have a different action monitoring pattern from that of low anxiety group and ERN/CRN amplitudes could be used as trait markers of anxiety disorder. 본 연구는 불안장애 환자에서 비교적 일관되게 보고되는 행동 모니터링 특성이 불안장애 고위험군인 높은 특성불안을 가진 여자 대학생에서도 관찰되는지를 알아보았다. 상태-특성 불안 검사의 특성 불안 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rait scale: STAI-Y trait)와 Welsh 불안 척도(Welsh Anxiety Scale: WAS) 점수에 근거하여 높은 특성 불안군(n=24)과 낮은 특성 불안군(n=23)을 선정하였다. 행동 모니터링의 측정에는 사이먼 과제를 사용하였고, 사이먼 과제의 수행 동안 사건관련전위를 측정하였다. 사이먼 과제는 자극 위치와 반응 위치 간의 연합을 기본으로 하여, 자극의 위치와 반응 버튼의 위치가 동일한 일치 조건, 자극의 위치와 반응 버튼의 위치가 서로 다른 불일치 조건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참여자에게는 자극이 제시되는 위치와 상관없이 각 자극에 이미 할당된 반응 버튼을 빠르고 정확하게 누르는 것이 요구되었다. 행동 자료 분석 결과, 반응 오류율과 반응 시간에서 높은 특성 불안군과 낮은 특성 불안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사건관련전위 분석 결과, 낮은 특성 불안군에 비해 높은 특성 불안군이 중앙 전극영역(Cz)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오류관련 부적전위(error-related negativity: ERN) 진폭과 정반응 부적전위(correct response negativity: CRN) 진폭을 보였으며, 이 결과는 우울과 과제 수행 전 상태불안을 통제한 경우에도 관찰되었다. 또한, Cz에서의 ERN과 CRN 진폭이 특성 불안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ERN과 CRN은 행동 모니터링 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높은 특성 불안군이 낮은 특성 불안군과 다른 행동 모니터링 특성을 가지고, 이러한 특성이 불안장애의 특성지표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시험불안과 우울, 특성불안 및 상태불안과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조수철,정영,홍강의,신민섭,성영훈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1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2 No.2

        시험불안은 전세계적으로 학령기 아동 또는 청소년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불안이라고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어느 정도의 시험불안은 학습을 촉진시키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학습을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지난 수십년동안 시험불안의 요인이나 특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들이 있어왔으나 단편적이며, 시험불안의 정확한 특성이나 원인에 대하여 아직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험불안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험불안과 상태-특성불안, 우울증과의 상호관련성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서울시내 한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시험불안, 우울증, 상태-특성불안 간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평가도구를 시용하여 상관성을 검증하였다. 시험불안과 우울증과의 상관성은 상관계수 0.56(p<0.05), 특성불안과의 상관성은 상관계수 0.53(p<0.05), 상태불안과의 상관성은 상관계수 0.75(p<0.05)로서 모두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시험불안은 단순한 시험불안이 아니라 우울증, 상태불안, 또는 특성불안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시험불안에 대한 치료적인 대책을 수립할 때에는 이러한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Introduction : Test anxiety is a pervasive problem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While anxiety in test situations may actually facilitate the performance of some students, more often it is disruptive and leads to performance decrements. Over the past years, many child psychiatrists have become concerned with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est anxiety, but it is not clearly understood yet.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est anx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anxiety and depression, state anxiety, trait anxiety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scores of test anxiety (worry and emotionality) and the subscores of CDI, state anxiety or trait anxiety were examined. Methods : The Test Anxiety Inventory, Chidlren's Depression Inventory,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were administered to 425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relationships between test anxiety and other measures were test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to test the causal ra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est anxiety and depression, state anxiety, trait anxiety were 0.56(p<0.05), 0.75(p<0.05), 0.53(p<0.05)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subscales of test anxiety and depression were all significant. The correlation between subscales of test anxiety and state and trait anxiety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 This study indicates that test anxiety is closely related with depression, state and trait anxiety. In addition, the subscales of test anxiety a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ose of the depress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est anxiety and state-trait anxiety a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in order to develop the preventive and effective methods for treatment, these psych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should be kept in mind.

      • KCI등재

        전수면박탈이 정상인의 불안, 기분, 졸리움 및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이헌정,김린,조숙행,서광윤,Lee, Heon-Jeong,Kim, Leen,Joe, Sook-Haeng,Suh, Kwang-Yoon 대한수면의학회 1999 수면·정신생리 Vol.6 No.1

        목 적 : 저자들은 40시간의 전수면박탈을 시행하여 수면 박탈이 정상인의 불안, 기분, 졸리움, 피로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를 평가하고, 동시에 개인의 평소의 불안 성향이 수면박탈에 의한 상태불안, 기분, 졸리움, 피로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대학생 중 정신적, 신체적으로 건강하며 수면각성주기에 이상이 없는 자원자 29명(남:여=22:7, 평균 연령=$24.59{\pm}1.35$)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험자들은 전날 충분한 수면을 취한 후 기상하였으며 이후 다음날 오후 10시까지 총 40시간동안 수면박탈을 시행하였다. 상태-특성불안척도, 일반기분척도, 스텐포드 졸리움 척도, 피로도 설문을 3시간 간격으로 시행하였으며 이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였고, 또한 피험자의 평소 불안성향에 따라서 상태불안, 기분, 졸리움, 피로도의 변화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결 과 : 수면박탈에 따라서 상태불안은 증가하며, 기분은 부정적이 되며, 졸리움과 피로도가 증가하였다(p<.001). 특성불안이 높은 군과 낮은 군을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상태 불안은 특성불안이 높은 군과 낮은 군간에 차이가 있었으나(p<.05) 상태불안의 증가 양상의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었다. 기분은 특성불안이 높은 군과 낮은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p>.05) 기분의 변화의 양상과 특성불안사이에는 교호작용이 있어(p<.05), 특성불안이 높은 군에서 수면박탈에 따라서 기분의 악화가 심하였다. 또한 수면박탈에 의한 상태불안, 부정적 정서, 졸리움, 피로도의 변화는 새벽 4시에서 아침 7시 사이에 심한 악화를 보였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수면박탈이 졸리움을 유발하고, 부정적인 기분과 불안감 및 피로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개인적 특성으로서의 특성불안의 수준에 따라 수면박탈에 의한 일반적 기분상태의 악화가 보여진다. 또한 수면박탈에 의한 상태불안, 부정적 정서, 졸리움, 피로도의 변화는 일주기 리듬의 영향으로 새벽에 심한 악화를 보여 실제생활에서 주의를 요한다. Objectives: A number of studies have shown that sleep deprivation results in reduced vigilance and increased negative affects such as tension, depression and anger.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about effects of sleep deprivation on anx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40 hour sleep deprivation on state anxiety, affects, sleepiness and fatigue. The authors also intended to study the effect of trait-anxiety on these psychological variables after sleep deprivation. Methods: Twenty nine subjects(22 men, 7 women, $24.59{\pm}1.35$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had no past history of psychiatric disorders and physical illnesses, and had normal sleep-waking cycle without current sleep disturbances. All of the subjects completed sleep dairy for two weeks to exclude some who suffered from chronic sleep deprivation or sleep disturbances. Subjects were instructed to get a normal sleep as usual at night before the study. After awakening, subjects remained awake for 40 hours under continuous surveillance. They complete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Index of General Affect, Stanford Sleepiness Scale and Fatigue Questionnaire every three hours, therefore they completed the scales 14 times totally. Subjects were dictated not to take caffeine, alcohol, or any medications on the day of the study. Heavy exercises and naps were restricted too. Results: Sleep deprivation resulted in increased state anxiety, negative general affects, and increased sleepiness and fatigue(p<.001). Dividing into high trait-anxiety group and low trait-anxiety group, there was significant sleep deprivation x traitanxiety interaction effect on general affect(p<.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sleep deprivation x trait-anxiety interaction effect on state-anxiety, sleepiness and fatigue. During sleep deprivation, the highest ratings of scales on anxiety, negative affect, sleepiness and fatigue occurred between 4 : 00AM and 7 : 00AM.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sleep deprivation results in increased anxiety, mood state disturbance and increment of sleepiness and fatigue. These findings also suggest that trait-anxiety is a factor that influences the degree of worsening in general affect caused by sleep deprivation. During sleep deprivation, the rating curves of anxiety, affect, sleepiness and fatigue show rhythmicity that may be related to circadian rhythm.

      • KCI등재

        대학생과 노인의 노화불안과 특성불안 및 5요인 성격특성의 관계

        장휘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5 No.1

        이 연구는 남녀 대학생과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화불안에서의 연령차와 성차를 확인하고 연령과 성별에 따른노화불안과 특성불안 및 노화불안과 5요인 성격특성의 관계를 규명하는 동시에 노화불안에 미치는 5요인 성격특성의 상대적 영향력도 함께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은 노인들보다 더 큰 노인에 대한 공포를지니고 여성들은 남성들보다 더 큰 신체 외모에 대한 걱정을 지니며 상실의 공포에서는 노인들이 대학생들보다 그리고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더 크게 경험하였고, 여자 대학생들은 남자 대학생들보다 유의하게 더 큰상실의 공포를 경험하였지만 남녀 노인들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노화불안과 특성불안의 관계는 대학생들과노인들에서 서로 상이하였고 노화불안과 성격특성들은 비록 노화불안의 하위차원에서 차이가 있기는 하였지만, 양자 간에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대학생들은 낮은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높은정서적 불안정성을 지닐 때, 노인들은 높은 정서적 불안정과 낮은 경험에 대한 개방성 및 높은 특성불안을지닐 때 노화불안이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노화불안의 어떤 측면들은 성격특성의 영향을 받는 비교적 안정적이고 변화에 저항적인 경향이 있음이 확인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aging anxiety and in relationships between aging and, trait anxiety and 5-factor personality traits according to age and sex and relative effects of 5-factor personality traits on aging anxiety with college students and older adults. Results revealed college students had higher fear of old people than older adults, female had higher fear of physical appearance than male,and female older adults had highest fear of loss followed male older ones, female and male college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older adults indicated different patterns in relationships between aging and traits anxiety. Also 4 dimensions of aging anxiety were differentially related to personality traits in all participants. On the whole college students' aging anxiety tended to increase as having lower openness to experience and higher neuroticism, while older adults' aging anxiety to increase as having higher neuroticism, lower openness to experience and higher trait anxiety.

      • 공황장애환자에서 감정표현불능증에 대한 연구

        최영희,장혁진,김민숙,Choi, Young-Hee,Jang, Hyuck-Jin,Kim, Min-Sook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6 정신신체의학 Vol.14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표준화된 한국판 20항목 Toronto alexithymia scale (TAS-20K)을 이용하여 공황장애에서 나타나는 감정표현불능증의 특성 및 감정표현불능증에 영향을 주는 불안과 우울 수준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아 이들 환자군에서의 감정표현불능증이 정상군에서와 어떤 다른 특성을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서울 소재 일 대학병원 신경정신과 공황장애 클리닉에 방문하여 두 명의 정신과 전문의가 DSM-IV 진단기준을 사용하여 진단한 공황장애 환자 167명, 일 대학 병원 직원 및 직장인, 대학원생 등을 포함하는 110명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상 대조군과 공황장애 환자군 간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감정표현불능증과 그 하위 척도, 상태 및 특성 불안, 불안 민감도, 우울 척도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정상대조군 및 공황장애 환자군에서 감정표현불능증과 나머지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감정표현 불능증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수를 찾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공황장애 환자군은 정상 대조군과 비교해서 감정표현불능증, 상태 및 특성 불안, 불안 민감도, 우울, 감정표현불능증의 총점(p<0.001) 및 하위척도의 요인 1(p<0.001)과 요인 2(p=0.001)는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요인 3은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공황장애 환자군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을 설명하는 변수는 특성불안$({\Delta}R^2=0.255)$과 불안 민감도$({\Delta}R^2=0.062)$였고 정상 대조군에서는 우울$({\Delta}R^2=0.144)$과 불안 민감도$({\Delta}R^2=0.033)$였다. 결론: 공황장애가 있는 경우 신체감각이 위험한 결과를 일으킨다고 믿는 정도를 측정하는 불안 민감도가 높으며 이러한 불안 민감도는 특성 불안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점을 고려할 때 불안 민감도와 특성 불안이 공황장애 환자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을 설명하는 적합한 변수가 됨을 알 수가 있었다. 반면, 정상 대조군의 감정표현불능증은 불안 민감도보다는 우울이 좀 더 많은 설명 변량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연구들과는 차이를 보이는데 본 연구와 기존 연구간의 대상군의 균질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좀 더 구체적인 연구로 반복 확인이 필요하겠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difference of the alexithymia between panic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by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of the alexithymia construct and level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panic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Methods The subjects were 167 patients who met DSM-IV criteria for panic disorder and 110 normal controls. They drew up symptom checklists and self-rating scales, and were measured by Anxiety Disorders Interview Schedule-Panic attack & Agoraphobia(ADIS-P & A), Korean version of Toronto Alexithymia Scale (TAS-20K),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te & Trait (STAI-S & T),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Revised Anxiety Sensitivity Index (ASI-R). For statistical analysis, we performed t-test to compare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scores of self reported scales between panic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Pearson correlation was performed between TAS-20K and it's subfactors, STAI-S & T, ASI-R and BDI in panic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reformed to explain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for alexithymia. Results: The panic patients reported more significant alexithymic (p<0.001), more difficulty identifying feeling (p<0.001) and describing feeling (p=0.001) than normal controls. Futhermore, panic patients were more significant anxious, sensitive to anxious feeling and depressive than normal controls. Moreover, the alexithymia of panic patients was explained by trait-anxiety $({\Delta}R^2=0.255)$ and anxiety sensitivity $({\Delta}R^2=0.062)$, that of normal controls was predicted by depression $({\Delta}R^2=0.144)$ and anxiety sensitivity $({\Delta}R^2=0.033)$ Conclusion: The panic patients reported more anxious and sensitive to anxious feeling, and these symptoms predict alexithymia in panic patients. However, the alexithymia of normal controls was explained by depression more than anxiety sensitivity, and such a result isn't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and this may be mainly due to difference of the homogeneity in object of the studies.

      • KCI등재

        동영상 촬영을 활용한 자기평가와 정의적 특성이 발표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안정민(Ahn Jeong min),안수정(Ahn Soo Jeong),유병민(Yu Byeong 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8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발표수업에서 동영상 촬영을 활용한 자기평가가 학습자의 발표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2016년 9월부터 8주간 K대학교의 ‘문제 해결과 의사소통’을 수강한 40명을 대상으로 발표수업 전후에 발표불안 검사를 실시하였다. 정의적 특성은 수업흥미, 발표자신감, 촬영저항감, 노출불안 등 네 개의 하위요인으로 상정하여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수준별 집단 간 발표불안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정의적 특성을 긍정적․부정적정서로 구분하여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발표수업 이후 발표불안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둘째, 정의적 특성 전체는 발표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요인들을 독립변수로 투입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수업흥미와 노출불안이 발표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수준별 집단 간 발표불안 점수 차이는 수업흥미, 발표자신감, 노출불안 집단에서 나타났다. 넷째, 정의적 특성의 긍정적․부정적정서 모두 발표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정서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발표불안 감소를 위해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교수자의 역할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self-assessment by using video recordings affects reducing speech anxiety and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learning on the speech anxiety in class. Questionnaires on speech anxiety were conducted to 40 university students. After presentation, students wrote their speech evaluation essays as self-critique while watching video recordings. The study also explored the effects of interest, confidence, resistance, and exposure anxiety, sub-factors of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n speech anxiety. Specifically, the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level group of these sub-factors in speech anxiety was analyz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which was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ity on speech anxiety. Results showed that firstly, overall scores of speech anxiety of learners decreased after presentation which indicated the significance of correlation. Secondly, interest and exposure anxiety of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indicated the significance of correlation with speech anxiety. Thirdly, the difference between level and group in speech anxiety scores appeared in three sub-factors - interest, confidence and exposure. Fourthly, positive emotionality of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reduced speech anxiety while negative emotionality increased it which shows negative emotionality had a stronger influence than positive emotionality. This paper ends with a suggestion that instructors should play a significant role to alleviate speech anxiety of learners in order to change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positively.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와 불안 및 K-HTP 반응특성에 관한 연구

        최수아 한국예술치료학회 2013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전북 J 시에 위치한 119안전센터에 근무하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소방 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와 불안 및 K-HTP 반응특성을 연구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 의 대상은 J시에 위치한 119 안전센터 3곳을 정하여 현장출동과 구급·구조 분야에서 근무하는 소방공무원을 59명을 표집대상으로 정하여 설문지를 배포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소방공무원의 재직기간이 높을수록 외상후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상태· 특성 불안 및 K-HTP 반응특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소방공무원의 K-HTP 반응에서 외상후 스트레스와 상태·특성 불안을 의미하는 K-HTP 반응특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K-HTP 반응특성의 형식적 요소와 내용적 요소에서 불안과 스 트레스를 의미하는 그림반응의 특성이 보여졌으며 K-HTP를 통해 외상후 스트레스와 불안 성향을 밝힐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소방공무원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정서 상태에 대한 정보 와 K-HTP 반응특성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추후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과 관련된 연구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기적인 심리치료와 상담을 통해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완화를 목표로 하여 심리적·정서적 안정을 위한 심리치 료관련 상담 및 치료프로그램 개발에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 KCI등재

        장애인댄스스포츠 선수들의 경기 참여에 따른 경쟁상태불안과 특성불안

        이미지,정연택,최연재 한국특수체육학회 2017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competitive anxiety and trait anxiety among dance sports players with disabilities. Participants of the study participated in the 36th national athletic competition for the disabled. 122 questionnaires. Survey tool is Using the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 (CSAI-2), Martens et al. (1990) use the Sport Competition Anxiety Test (SCAT). Statistical analysis was cared on through SPSS 23.0K statistics program. All significance levels .05. Conduct frequency analysis of research participants, Analysis of the form factor and the reliability (Cronbachś α) analysis conducted. T-test (Independent) and one-way ANOVA Perform Correlat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ace anxiety and trait anxiety according to gender, age, skill level, and participation experience of disabled dancers. Second, cognitive state anxiety, physical state anxiety, and trait anxie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disability type and disability level of disabled athletes. Third, physical state anxiety and cognitive state unstable correlation, state self - confidence and cognitive state anxiety, physical state anxiety negative correlation, trait anxiety and cognitive state anxiety, physical state instability, trait anxiety, Respectively 이 연구는 장애인댄스스포츠 선수들의 경쟁상태불안과 특성불안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2016년 대한장애인댄스스포츠연맹에 등록 선수 중 제36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참가한 선수 전체 122명을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경쟁상태불안(CSAI-2: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 검사지와 Martens 등(1990) 특성불안(Sport Competition Anxiety Test: SCAT)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통계프로그램 SPSS 23.0K Ver.을 사용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지의 신뢰도(Cronbachś α)분석, t-test(Independen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경쟁상태불안의 하위요인과 특성불안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장애인댄스스포츠 선수들의 성별, 연령, 기술수준, 참가경력에 따른 경쟁상태불안과 특성불안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장애인댄스스포츠 선수들의 장애유형과 장애등급에 따른 인지적 상태불안, 신체적 상태불안, 특성불안 유의한 차이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상태불안과 인지적 상태불안 정적상관관계, 상태자신감과 인지적 상태불안, 신체적 상태불안 부적상관관계, 특성불안과 인지적 상태불안, 신체적 상태불안 정적상관, 특성불안과 상태자신감 부적상관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연주불안과 특성불안과의 관계

        배수영(Su Young Bae)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1 음악교육공학 Vol.- No.47

        본 연구는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연주불안과 특성불안의 관계를 성별, 전공별로 분석하여 연주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에 위치한 2개의 4년제 대학교 음악학과에 재학 중인 음악전공 대학생 170명이다. 연주불안은 Bae(2020)가 개발한 K-MPA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특성불안은 Spielberger, Gorsuch, & Lushene(1970)이 개발한 STA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89.4%)의 음악전공 대학생들은 중위 수준 이상의 연주불안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47%는 상위 수준 이상의 연주불안을 경험하며 13.5%는 최상위 수준의 연주불안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특성불안에 있어서는 대부분(81.8%) 그다지 높지 않은 수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연주불안이 음악전공 대학생들에게 만연한 문제이나 연주상황과 같이 삶의 특정 부분에만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인 현상임을 시사한다. 둘째, 성별에 따라 연주불안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 .01) 특성불안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여학생의 연주불안 수준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셋째, 전공별 연주불안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 .001) 특성불안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현악 전공생들의 연주불안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성악 전공생들의 연주불안 수준이 가장 낮았다. 넷째, 성별, 전공별 변수와는 별개로 특성불안은 개인의 연주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연주불안에는 개인적·환경적 요인 모두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Music Performance Anxiety(MPA)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PA and trait anxiety among college music majors by gender and major. The subjects were 170 college music majors who were enrolled in music department at two universities in Busan. MPA was measured by K-MPAS developed by Bae(2020) and trait anxiety was measured by STAI developed by Spielberger, Gorsuch, & Lushene(1970).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students (89.4%)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experienced MPA above the middle level, of which 47% experienced MPA above the upper level and 13.5% experienced the highest level. However, in terms of trait anxiety, most (81.8%) were found to be at a not very high leve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PA is a prevalent problem for college music major students, but it is an independent phenomenon that affects only a specific part of life, such as a performance situation. Second,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PA (p< .01), but not in trait anxiety, and the level of MPA in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Third, according to majo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PA (p< .001), but not in trait anxiety, and string majors had the highest level of MPA and vocal majors had the lowest level of MPA. Fourth, it was found that, apart from gender and major variables, trait anxiety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an individual s MPA.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both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important to the MPA of college music major students.

      • KCI등재

        특성불안과 정서조절 전략의 관계: 습관적, 지시적 정서조절 전략 유도에 따른 차이

        이다현,이종환,곽호완,장문선,구본훈 한국건강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1 No.3

        Emotion dysregulation is known vulnerability factor for anxiety disorders. However, few empirical studies have focused on this concept. In this study,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trait anxiety is related to difficulties with emotion regulation by comparing anxiety-prone participants (n=40) and low anxiety participants (n=40). In the first phase,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o assess standard use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second phase, fear mood was induced using a film clip, and the participants were assessed for employing spontaneous suppression versus reappraisal to regulate their emotion. In the third phase, participants received suppression or reappraisal instructions prior to watching a second fear-inducing film. As predicted, suppression was ineffective for down-regulating negative emotions, and high-anxiety participants reported spontaneous used this strategy during the first fear-inducing film more often than low anxiety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provoked suppression versus reappraisal on negative mood indicated that the high-anxiety participant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emotional response during the film as compared to low-anxiety participants. These results provided evidence for a role for spontaneous suppression and indicated a reduced effectiveness of instructed reappraisal as a functional strategy in anxiety-prone individuals. 정서조절 문제가 불안장애의 취약성 요소이며, 이러한 명제의 관련성이 입증되어 왔으나 실증적인 근거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특성불안이 높은 집단의 정서조절 전략 사용을 정상 대조군과비교하기 위하여 1) 특질적 정서조절 전략의 차이를 알아보고, 2) 영상자극을 통해 유발된 정서를조절함에 있어 습관적인 전략 사용의 차이를 알아보고, 3) 집단 간 실험적으로 유도된 억제 및 재평가 전략에 따른 정서반응성의 차이를 파악하여 특성불안과 역기능적 정서조절 전략의 관련성을실험적 비실험적인 방법 모두 사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416명을 대상으로 특성불안척도 절단점을 기준으로 특성불안 집단(40명)과 대조집단(40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첫번째로, 정서조절 전략을 평가하기 위해 자기보고식 평가를 수행하였다. 두 번째로, 공포영상을사용하여 정서를 유발시킨 후 참가자들에게 영상시청 동안의 억제 재평가 전략 사용을 자발적으로 평가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참가자별로 할당된 억제 또는 재평가 조건의 지시를 내리고 집단 간 정서반응성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특성불안 집단은 대조집단에 비해 높은 비수용성을보고했고 공포 영상을 보는 동안 습관적으로 억제 전략을 많이 사용했음을 보고하였다. 또한 억제와 재평가 조건의 상이한 효과가 나타났으나 특성불안 집단이 대조집단에 비해 높은 정서반응성을 보고하였으므로, 이는 특성불안 집단에서 기능적인 전략 지시에 의한 효과가 감소한 것으로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불안과 관련된 정서를 조절함에 있어 불안수준이 높은 개인들은습관적으로 역기능적인 전략을 사용하고, 재평가와 같은 적응적 전략 사용 자체에 대한 결함으로인해 높은 부정정서를 경험함을 입증하여 특성불안 증상에 대해 정서조절 측면의 결함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