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적 통제 능력의 개인차와 선택적 주의: 대상효과와 위치효과를 중심으로

        권미경,김민식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8 No.2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cognitive abilities and selective attention has implications for both general cognitive mechanisms and characteristics of special populations. Bleckley et al. (2003, 2015) suggested that individuals with high cognitive control ability allocate attention effectively based on an object (i.e., object-based facilitation effect), whereas individuals with low cognitive control ability allocate attention broadly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object. If those with high cognitive control ability use object-based attention for effective information processing, they should not allocate attention to an object, if selection based on the object is not effective.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individuals with high cognitive ability and with low cognitive ability allocate their attention when the selection based on an object is not effective. We also attempted to measure location and object effects more accurately by moving a cued object to another loc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when participants were informed that a target was more likely to occur at the cued location, only those with high cognitive ability showed an inhibition effect at the opposite end of the cued object (separated from its original location). In contrast, the magnitude of location effect (separated from the object) did not differ between the high and low control groups. Our findings not only support the view that object effect is related with cognitive control but also suggest that the direction of object effect varies across tasks. 개인의 인지적 특성과 선택적 주의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기본적인 인지처리 과정의 이해뿐만 아니라 병리학적으로도 의의가 있다. Bleckley 등(2003, 2015)은 인지적 통제능력이 높은 사람은 효율적 선택을 위해 대상을 중심으로 주의를 할당하는 반면(대상에 근거한 촉진 효과), 인지적 통제능력이 낮은 사람은 위치를 중심으로 넓게 주의를 할당한다고 주장하였다. 만약, 인지적 통제능력이 높은 사람에게서 관찰되는 대상에 근거한 촉진효과가 개인의 고정된 주의할당 방식이 아니라 효율성의 산물이라면, 대상에 근거한 선택이 효율적이지 않을 경우 촉진효과가 사라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움직이는 대상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위치효과와 대상효과를 보다 정확히 측정하였으며, 대상에 기반한 선택이 효율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인지적 통제능력의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간에 주의할당 방식의 차이가 나타나는 지를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단서가 주어진 ‘위치’에 목표자극이 제시될 확률이 높다는 사전 정보를 주었을 때, 상위집단은, 하위집단과 달리, (위치와 분리된) 대상으로의 주의 할당을 억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집단 간 (대상과 분리된) 위치효과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효과가 개인의 인지적 통제능력과 관련이 있다는 기존의 이론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대상효과의 방향이 과제에 따라 유동적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기능 자기공명 영상법으로 알아본 한글 단어에 대한 시각적 처리의 특성

        윤효운,조경덕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16 No.3

        Even though the Korean words, Hangul, are characterized as phonemes like other alphabetic languages, their shape resembles more morphemes like Chinese characters.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neural mechanisms of reading Hangul and alphabetic (english) words by Korean native speaker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technique. In the results of our study, the activation pattern of reading english words looked similar to those with other previous studies. The activation pattern of reading Hangul is underlying similar mechanisms with those of english words at the general level. The significanlty different activation was indicated in the BA 8 of the frontal lobe. This area is known to be relevant with nonverbal higher order control or speicific visuospatial analysis and we suggest that the recognition of specific surface form of Hangul might be related with this activation. 기능 자기공명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한국인 피험자들의 한글 및 영어단어 인지에서 나타나는 두뇌활성화 패턴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주목적은 두 언어가 가진 형태적 차이에 의해 뇌의 활성화 영역이 달라지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동일한 의미의 쉬운 단어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뇌영상 정보를 얻었다. 실험 결과, 영어단어 인지의 경우 선행연구(Bookheimer, 2000)와 유사하게 뇌의 전반적인 영역에서 고른 활성화가 나타났다. 한글 단어 인지의 경우 영어 단어 인지와 유사하였지만, 전두엽 부분 중 BA 8 영역이 활성화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 영역은 특수한 시각자극을 선택적으로 인지하는데 관여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Halsband & Passingham, 1982). 본 연구의 결과는 한글이 가지고 있는 형태적 특징 (표음문자이지만 비선형 형태)이 BA 8영역을 활성화 한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조현병 환자와 정상인의 작업기억에서 생물형운동 정보의 부호화와 유지

        이한나,김제중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1 No.2

        Impaired working memory (WM) is the most reliably reported cognitive dysfunction in schizophrenia. Past research have revealed that increased novelty or salience of visual stimuli could facilitate the WM process, which is not clear in schizophrenia yet.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M performance of healthy people and patients with schizophrenia using biological motion (BM), which is unique motion stimulli carrying rich social information. Experiment 1 examined WM accuracy for BM and non-BM stimuli in low- and high-memory load conditions. In experiment 2, we investigated WM for BM, non-BM and static polygon stimuli in three different delay cond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overall performance was worse in the patients group. WM accuracy for BM stimuli did not drop and remained higher than those for the other stimuli regardless of increasing memory load and delay in control group. Patients group also showed higher accuracy for BM stimuli than the other stimuli across the conditions but it decreased with incresing load and delay, unlike controls. Our findings suggest that socially-relevant stimuli such as BM could facilitate WM in schizophrenia and it may provide a clue of target for cognitive remediation strategies. 작업기억의 결함은 조현병(schizophrenia)에서 가장 일관되게 보고되어온 인지장애이다. 작업기억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자극의 새로움(novelty)이나 현저성(salience)에 따라 기억과정이 촉진될 수 있음을 보고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한 운동자극이면서 사회적 정보를 포함하는 생물형운동(biological motion, BM)을 이용하여 정상인과 조현병환자집단에서의 작업기억수행을 관찰하였다. 실험 1에서는 자극종류(BM, non-biological motion: NBM)와 기억부하에 따라 지연반응과제의 수행을 관찰하였고, 실험 2에서는 지연시간에 따른 BM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M, NBM, 도형자극을 짧거나 긴 지연시간 조건에 따라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 조현병환자집단은 정상인에 비해 전체적인 수행정도가 낮았다. 또한 두 집단 모두에서 BM이 다른 자극에 비해 기억정확도가 높았으나, 이 효과는 두 집단에서 다른 양상이었다. 정상인집단의 경우 기억부하 및 지연시간이 증가해도 BM의 효과가 유지되었으나, 조현병집단에서는 효과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환자집단 내에서는 다른 자극에 비해 BM에 대한 정확도가 높게 유지되었다. 이 결과는 조현병환자들은 정상인에 비해 제한적이나, BM자극 특성에 의한 기억촉진효과를 경험한다는 점을 보여주며, 사회적 환경의 적절한 제공을 통해 저하된 인지기능을 다소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창의성과 인지적 유연성의 관계에 관한 개관: 세 가지 관점을 중심으로

        허주연,김초복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4 No.3

        Creativity is the ability to generate original and useful ideas. Although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cognitive flexibility is important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lexibility, as a component of executive function (EF-flexibility), and creativity is largely lacking in the previous studies. In this review, we sought to provide a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basis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F-flexibility and creativity. To this end, we classified various concepts for flexibility into three perspectives (i.e., creative thought, divergent thinking, and executive functions) and analyzed differences in regard of their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Each perspective provides distinct definition of cognitive flexibility such as a trait of cognition that leads to creative findings, an ability to generate ideas from diverse categories, and an ability to shift between mental sets. In particular, empirical studies of EF-flexibility showed that their results were inconsistent with each other due to adopting different operational definitions for EF-flexibility. Finally, we suggest some essential considerations for measuring EF-flexibility and highlight some topics for future research to concretely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EF-flexibility and creativity. 창의성은 독창적이고 유용한 아이디어를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이다. 연구자들은 창의적인 문제해결에 대한 인지적 유연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관련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집행기능의 유연성과 창의성의 관계를 살펴본 경험적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집행기능의 유연성과 창의성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한 개념적, 방법론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관련 연구 결과들을 개관하였다. 이를 통해 창의성 연구에서 나타나는 유연성을 (1) 창의적 사고(creative thought)의 유연성(C-유연성), (2) 확산적 사고(divergent thinking)의 유연성(DT-유연성), (3) 집행기능(executive functions)의 유연성(EF-유연성)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에서 드러나는 개념적, 방법론적 차이를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관점은 인지적 유연성에 대해 창의적인 발견을 이끄는 인지적 특성, 다양한 범주에서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능력 및 심적 세트를 전환하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EF-유연성 관점에서 수행된 경험적 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서로 일치하지 않은 연구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유연성에 대해 상이한 조작적 정의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F-유연성을 측정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창의성과 집행기능 유연성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 주제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성인 ADHD와 우울한 성인의 인지통제 결함: 순행성 통제와 반응성 통제 요구도에 따른 AX-CPT 수행 비교

        김인용,박태원,김호영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4 No.2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control deficits in adult ADHD from the perspective of Dual Mechanism of Control (DMC), which posits that cognitive control operates via two distinct dimensions, i.e., proactive and reactive control. AX-CPT, including nogo trials, was utilized to tap cognitive control processes in a sample of 27 adults with ADHD, 17 adults with depression, and 29 healthy adults. The performance of adults with ADHD was compared to that of adults with depression as well as healthy adul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pression, which is a common comorbid condition in adult ADHD. AX-CPT is a continuous performance test consisting of four types of cue-probe pairs (AX, AY, BX, BY) and requires participants to respond to a probe based on a preceding cue. AX pairs are target pairs matched with a target response, and other pairs are non-target pairs matched with a non-target response. The proactive control demands were manipulated with the proportion of AX trials(AX-40 vs. AX-70) and the reactive control demands were manipulated with nogo trials(base vs. nogo). The order of the two AX-proportion conditions were counterbalanced, and the base condition and the nogo condition were implemented in order within each AX-proportion condition. The adult ADHD group showed lower accuracy than the depression group and the healthy control group in the performance of BX trials that require proactive inhibitory control. Both the ADHD group and the depression group performed lower than the healthy control group in nogo trials that require reactive inhibitory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ults with ADHD have a deficit in overall cognitive control, including proactive and reactive control, and the reactive control deficit of adult ADHD may be associated with comorbid depression as well as ADHD itself. 본 연구에서는 순행성 통제(proactive control)와 반응성 통제(reactive control)로 구분되는 기제를 통해 인지통제가 작동한다는 인지통제의 이중기제(Dual Mechanism of Control, DMC) 이론의 관점에서 성인 ADHD의 인지통제 결함의 특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ADHD 27명, 정상 대조군 성인 29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성인 ADHD에서 흔히 동반되는 우울이 인지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DHD가 아닌 우울한 성인 17명도 참여하였다. 인지통제 과제로 사용된 AX-CPT는 4가지 유형의 단서-탐색자극 쌍(AX, AY, BX, BY)으로 구성되며, AX에는 표적 반응을 나머지 자극 쌍에는 비표적 반응을 하게 하는 연속수행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표적 반응에 대응하는 단서-탐색자극 쌍인 AX의 비율(AX-40 vs. AX-70)로 순행성 통제의 요구도를, 탐색자극 대신에 반응을 억제해야 하는 nogo 자극이 제시되는 nogo 시행을 이용(기저 vs. nogo 조건)하여 반응성 통제의 요구도를 조작하였다. AX-비율 조건은 역균형화하였으며, AX-비율 조건 내에서 기저 조건, nogo 조건 순으로 실시되었다. 성인 ADHD 집단은 단서를 이용하여 반응을 사전에 준비하는 순행성 통제과정이 전반적으로 저하된 데 비해, 우울 집단은 강력히 편향된 반응을 순행적으로 억제해야 조건(AX-70의 BX)에서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또한 반응성 통제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nogo 시행에서는 ADHD 집단과 우울 집단 모두 정상 집단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 ADHD가 순행성 통제와 반응성 통제를 포함한 전반적인 인지통제의 결함을 가짐을 시사하며, 반응성 통제 결함은 이차적 우울의 영향도 혼재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사이버 인지심리학의 개념적 재구성: 인공물과 인지의 공진화

        이정모,이건효,이재호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16 No.4

        To develope a working framework for cognitive psychology on cyber space, the nature and types of interactions between artifacts and human mind were analyzed. After proposing a perspective of co-evolution of artifacts and human mind, stating a brief summary of the main features of cyber space and lists of topics in psychological research on cyber space, and describing the recent trends in cognitive science on reformulation of the concept of mind, a necessity for a conceptual reformulation of cognitive psychology on cyber space was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pursuing this reformulation through re-conceptualizing the interactions between artifacts and human mind, by employing the frameworks of cognitive ecology, NBIC converging technology, and cyberception, was also discussed. 사이버공간과 인지에 대하여 인지심리학이 어떠한 접근을 하여야 하는가와 관련하여, 사이버공간을 구성하는 인간과 인공물의 상호작용 특성을 진화 역사상에서의 공진화로 개념화하고, 인공물에 의한 매개된-인간-인간 상호작용의 특성을 논하였다. 또한 사이버 공간과 관련된 기본 개념을 다시 정의하고, 사이버인지심리학의 관련 주제들을 기술하였으며, 마음 및 인공물과의 상호작용 개념을 재구성하여야 하는 필요성과 방향을 논의하였고, 둘 간의 상호작용은 새로운 인지생태학 및 인지생태공학의 창출을 시사하는 것으로 논하였다. 끝으로 NBIC 융합과학기술 틀의 본질과 이 틀이 사이버심리학에 시사하는 바를 논하였다.

      • KCI등재

        위험결정에서 인지처리수준이 틀 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나경,이영애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1 No.4

        위험 선택에서 사람들은 문제가 이득으로 기술되면 위험-회피적인 반응을 하고 동일한 문제가 손실로 기술되면 위험-추구적인 반응을 하는 경향성을 보인다. 틀 효과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판단과 결정짓기 연구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 편향 중의 하나이다. 이중사고체계 이론들은 인지처리 수준이 증가하여 분석적 사고체계가 활성화되면 틀 효과는 사라지거나 감소한다고 주장한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우리는 결정자의 인지처리 수준을 변화시킨 후에 다양한 결정 문제들에서 틀 효과를 검증하는 두 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 참가자에게 이유에 근거하여 대안을 선택하도록 요구함으로서 결정문제에서 인지처리 수준을 증가시켰다. 통제집단에서 나타나는 생명문제에서의 유의미한 틀 효과가 이유-기반 선택 집단에서는 사라졌다. 두 번째 실험은 무작위로 제시된 낱자들을 기억하는 작업기억 과제를 선택과제와 함께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정보처리의 부하를 조작하여 결정문제에서의 인지처리 수준을 감소시켰다. 인지부하 조건에서 생명문제 뿐 아니라 자산문제에서도 유의미한 틀 효과가 나타났다. 두 실험 결과들은 이중사고체계 이론의 가설을 지지한다. 인지처리 수준과 틀 효과 사이의 관계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On problems involving risky choices, people tend to act risk-averse when the problem is framed in terms of gains and risk-seeking when the same problem is instead framed in terms of losses. This refers framing effect and is one of most investigated biases in research of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Dual-process theories suggest that when analytical thinking system is activated through increasing cognitive processing levels, framing effects disappear or decrease. In order to test this hypothesis, we performed two experiments in which framing effects were investigated in different decision problems after we altered levels of cognitive processing of decision makers. In first experiment the level of cognitive processing was increased through demanding participants to choice options on the basis of reason. Significant framing effects in lives problems found in control group were disappeared in this reason-based group. The second experiment decreased the cognitive processing levels in decision problems through the manipulation of working memory(WM) load during risky decisions so that the choice was made while maintaining a concurrent WM load of random letters. Under cognitive load, not only lives problems but also property problems showed significant framing effects. The results of two experiments support hypothesis of dual-process theories. The need of further subsequent research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s of cognitive processing and framing effec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신경효율성의 개인차에 관한 고찰: 인지양식과 과제 특성을 중심으로

        허민영,김초복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6 No.3

        Neural efficiency is a characteristic of the brain tending to process given information with a minimum amount of the neural resources. It has been difficult to integrate the results from the various studies related to neural efficiency since observed patterns of the neural efficiency were different between the studies. These previous studies tried to explain these different patterns based on the variables such as intelligence, gender, age, cognitive style, and so on. The present study reviews the related studies, focusing on the cognitive style and the task-related features. Some of the studies reported that brain regions, showing the neural efficiency, varied depending on the stimulus modalities included in the tasks. Furthermore, the brain regions which were directly engaged in the task-related processes and the other regions showed different activation patterns depending on the task difficulty. We propose the possibility that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neural efficiency could be explained not only by intelligence, sex, or age, but also by individuals’ preferences on the cognitive styles. In conclusion, this review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stimulus modalities and task difficulty in order to draw consistent results in a relevant studies, and that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neural efficiency could be explained in terms of cognitive style. 신경효율성은 최소한의 신경 자원을 활용하여 주어진 정보를 처리하고자 하는 뇌의 특성으로, 많은 연구들에서 서로 다른 형태의 신경효율성을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신경효율성 발생 패턴에서의 개인차를 지능, 성별, 연령, 인지양식 등의 참가자 변인으로 설명하고자 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 혼재된 연구 결과들로 인하여 통합이 어려운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지양식이라는 참가자 변인과 연구마다 제시한 과제의 특성 차이를 중심으로 하여 관련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많은 연구들은 과제에서 주어진 자극 양상에 따라 신경효율성이 발생하는 뇌 영역이 달라지는 것을 보고하였다. 또한 과제 난이도에 따라 참가자들이 자극 처리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에서의 신경 자원을 활용하는 패턴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지능, 성별, 연령 등의 변인으로 설명하였던 신경효율성 발생 패턴에서의 개인차를 선호인지양식으로도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신경효율성의 발생 패턴을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들이 일관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과제의 자극 양상과 난이도를 고려하는 것의 중요함을 제시하고, 지능, 성별, 연령 등의 다른 참가자 변인들로 설명하였던 신경효율성 발생 패턴의 개인차를 선호인지양식의 관점으로 재해석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한국인과 일본인의 영어 자음 지각 비교

        배문정,김정오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1 No.2

        Twenty two Koreans and twelve Japanese living in South Korea have been examined for their perceptual identification of an initial consonant in English syllables with or without white noise. A confusion matrix was then subject to analyses of additive clustering, individual difference scaling, and the probability of transmitted information, the results of which were compared to those of four English speakers living in South Korea. Koreans were confused with sounds which have the same place of articulation but the different manner of articulation (closure and continuant) like /ʤ/-/z/, /s/-/ɵ/, /b/-/v/, /d/-/ð/ pairs. Japanese were confused with the sounds which have the same manner of articulation but the different place of articulation like /l/-/r/, /s/-/ɵ/, /z/-/ð/, and /f/-/ɵ/ pairs. The overall results showed that Korean and Japanese who were assumed to have the same difficulties in perceiving English consonants actually have the quite different error patterns with English consonants. These difference might be caused by their perceptual structure with mother languag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thod for acquisition of English phonology should be modified depending on learner's phonology of mother language. 한국인 22 명과 한국에 거주하는 일본인 12 명을 대상으로 영어 초성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고, 두 언어민들이 영어 자음을 범주화하는 심리적 구조를 비교하였다. 통제 비교를 위해, 영어민 4 인의 지각 혼동을 함께 조사, 분석하였다. 음성 자극은 영어 19 개 자음이 ‘a’ 모음과 함께 발음된 개음절이었다. 실험에서 음성 자극은 백색 소음에 중첩되어 제시되거나 소음 없이 정상적으로 제시되었다. 청취자들이 음성 자극을 판단한 반응 결과는 자음들 간의 혼동 행렬로 구성되었으며, 이 행렬에 대해 가산군집분석, 개별차이척도법 및 정보전달율을 계산하였다. 가산군집분석 결과, 한국인이 가장 많이 혼동하는 영어 자음쌍은 /ʤ/-/z/, /s/-/ɵ/, /b/-/v/, /d/-/ð/로 조음 위치가 같은 폐쇄음과 마찰음 쌍이었으며, 일본인은 /l/-/r/, /s/-/ɵ/, /z/-/ð/, /f/-/ɵ/로 조음 방법은 같으나 조음위치가 다른 소리 쌍이었다. 소음 조건의 혼동 결과에 개별차이척도법을 적용하고, 각 언어민에서 4 개의 유의한 기저 차원을 추출하였다. 이 차원 구조를 영어민 자료와 비교한 결과, 영어민의 경우, 차원 구조에서 음운적 부류가 뚜렷하게 드러나는 반면, 한국인과 일본인의 차원 구조는 분산적이고 경계가 모호하였다. 이는 모국어와 외국어 음운 지각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소음 조건에서 한국인과 일본인의 심적 차원 구조는 거의 유사하였다. 구체적인 음운 자질들의 심리적 사용을 조사하기 위해, SPE(Sound Pattern of English) 자질들(Chomsky & Halle, 1968)의 정보 전달율을 분석하였다. 한국인과 일본인, 영어민의 비교에서 특이한 점만을 열거하면, 첫째, 한국인 자료에서는 조음 방법의 자질들인 지속성(continuant)과 방출 지연(delayed release)의 정보전달율이 상당히 낮았다. 둘째, 일본인들은 다른 언어민에 비해, /l/의 변별 자질인 설측성(lateral)의 전달율이 낮았고, 조음위치를 전방성(anterior) 자질을 중심으로 판단하였다. 셋째, 영어민 자료에서 특기할만한 점은 유성성(voiced) 자질의 정보전달율이 낮게 나타난 것이다. 이는 현대 영어에서 /ð/-/ɵ/의 음운적 대립이 약해진 것을 반영하는 듯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과 일본인은 모두 영어 음운을 지각할 때 큰 어려움을 겪지만, 그 구체적인 양상은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외국어 음운을 지각할 때, 모국어의 음운 구조가 큰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외국어 음운 학습을 위한 전략은 학습자의 모국어 음운 구조에 따라 달라져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관계추론의 복잡성과 명사구의 유사성이 문법적 복잡성 처리에 미치는 영향

        홍영지,이윤형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inference complexity and the representational similarity on understanding of the syntactically complex sentences. More specifically, the current experiments tested whether the processes of the syntactic complexity share resources with the other general cognitive processes such as reasoning and similarity processes. The current experiments also focused on the generality of the representational similarity effect and clarifying the locus and nature of the representational similarity by testing whether the representational similarity interact with the demands of conscious reasoning processing or the demands of syntactic complexity. To do so, Korean and English monolinguals were performed the self-paced reading tasks with sentences varying syntactic complexity, representational similarity and the complexity of the inference processing. In both of the Korean and English experiments, representational similarity and the syntactic complexity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while the inference complexity did not interact with other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Korean and English experiments suggested that processes of the representational similarity and syntactic complexity come first and share resources while they do not share resources with reasoning processing demands. 본 연구의 목적은 관계추론과 문법구조의 복잡성이 조작된 관계추론 문장의 이해 시 문장 안에 담겨있는 명사구의 유사성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 언어 이해의 기저에 있는 인지정보처리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문법구조의 분석과정이 관계추론 및 명사구의 유사성의 처리와 같은 일반적인 처리기제를 사용하는지를 살펴보고 만일 문법구조의 분석 과정과 추론 과정이 구분된다면 문법구조의 분석과정과 추론 과정 중 어떠한 처리 단계에서 명사구의 유사성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어 화자들과 한국어 화자들을 대상으로 영어와 한국어에서 문법구조의 복잡성, 문장 내 명사구 유사성 정도 및 관계추론의 복잡성을 달리하는 문장들의 읽기 시간과 이해도를 측정하였다. 실험1에서는 영어 화자들을 대상으로 영어 문장에 대한 문장 읽기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실험2에서는 한국어 화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문장에 대한 문장 읽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1과 실험2에서 공통적으로 추론의 복잡성은 문법구조의 복잡성 및 명사구의 유사성과 상호작용을 보이지 않았으나 명사구의 유사성과 문법구조의 복잡성은 상호작용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문법구조의 복잡성에 대한 처리가 일반적인 인지처리 특성인 유사성의 처리와 공통된 처리 기제를 사용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관계추론의 처리는 문법구조의 복잡성 및 명사구의 유사성에 대한 처리와는 구분되는 다른 기제를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