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예술치료교육의 개념과 방향에 대한 담론

        김성애(Sung Ae Kim)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15 예술과 인간 Vol.1 No.1

        예술치료교육이 한국인에게 왜 필요한가? 이 물음을 뒤집어 보면 예술치료교육이 한국인에게 꼭 필요하다는 말이다. 이 질문에는 에술치료교육이 가야 하는 방향이 이 시대의 한국인에게 꼭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한다는 요구도 들어 있다. 최근 들어 한국인은 여러 가지 고통과 충격의 도가니에 휘말려 있다. 세월호 침몰과 같은 각종 안전사고, 가난, 실직 등이 원인이 되어 세상을 등진 사람들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극심한 상실감을 앓고 있다. 또한 인터넷, 게임중독, 각종 통신 기기와의 만남으로 많은 한국인이 실존적 혼자상태에 놓였다. 여기에다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생물학적으로 다르다는 이유로 그들의 사회적인 불이익과 소외감은 항상 있어왔다. 그래서 예술치료교육은 일시적으로든지 만성적으로든지 사회로부터 배제되고 불편함을 감수하여 자신의 인생을 살아가야 하는 한국인을 건강하게 할 에너지로 작용해야 할 역학을 감당해야 한다. 예술치료교육이 한국인에게 필요한 또 다른 이유는 그 안에 창의적인 인간을 기를 수 있는 엔지가 있기 때문이다. 지금의 시대는 포스트모던 사회가 주류를 이룬다. 이 사회는 창의적인 인간을 필요로 한다. 예술치료교육은 한국인에게 창의력을 가져다준다. 예술치료교육이 이토록 중요할 진데, 예술치료교육의 개념이 어떻게 정의되어야 하며 그 실행 방향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담론할 필요가 있다. 치료는 교육이어야 하고 교육은 곧 예술이어야 한다. 그렇다면, 예술치료교육은 예술 그 자체이다. 그 예술은 치료와 교육의 개념적 차원에서의 예술이고, 치료와 교육의 실천 차원에서의 예술이다. 즉, 예술치료교육은 행동을 통한 예술적 표현이요, 창의적인 인간을 육성하는 교육적 목표를 가지는 것이요, 인간의 가능성을 의학적인 진단과 처방이 아닌 교육으로 치료적 결과를 얻는 것이다. 예술치료교육은 의학적인 치료가 아니라 예술 그 자체요, 교육적인 본질을 추구한다. 예술치료교육의 대상자들은 의학적인 손상이나 질병 등의 개념 차원으로 이해되고 지원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면 예술치료교육은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그 철학을 어떻게 소화할 것인가? 어떤 방안이 활용되어야 하는가? 등에 관한 해답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실제와 소통을 통해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가 당면한 과제가될 것이다. 위의 관점을 가진 예술치료교육과 그 운영자인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Why is the art therapy needed or Korean? Reverse this question, then the question will state that the art therapy is needs for Korean, The question also includes the demand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art therapy education should contain necessary contents for Korean people of the hour. Recently, People in Korea are in shock and racked with pain by a wide range of social problems such as safety concerns like ferry Sewol disaster, poverty and unemployment. The social problems directly-indirectly impact on people`s emotion that would be fallen into extreme sense of loss. In addition, using internet, doing internet game and using other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isolate people from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people with disabilities already have been isolated from communities and have been faced social disadvantages because of their biological differences. Thus, the art therapy education should take on a role in supporting positive energy for Korean people to overcome social disadvantages and exclusion from their society. One other reason that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needed for Korean is, there is energy which can raise creative human beings. This time, post-modern society is the mainstream society. The society needs creative people. The art therapy education develops people`s creativities. How important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Thus, the concept and the direction of the art therapy should be discussed. Therapy must be education and the education must be art. Accordingly,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art`s self. The art is not only the conceptual dimension of therapy and education but also the practical dimension of therapy and education. In other world,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the artistic presentation through actions, aims to raise creative human beings, and obtains therapeutic results by educations rather than medical diagnosis and prescription.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not medical therapy but the art`s self and it pursues educational essentiality. Thus, the subjects of the art therapy education should not be neither supported nor understood as medical disease and/or impairment. Then, how to practice the art therapy education? How to put its philosophy into practice? What kinds of methods will be used? Theses questions should be answered in future research and discussion on the art therapy education and these will be the tasks that the society of the art therapy education faced 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의 연구동향 분석

        정하욱,김갑숙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8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의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한국화 매체 활용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8년 3월까지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 총 40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는 첫째,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 연구는 통합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둘째, 일반군의 경우, 유․아동기에 다양한 특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으며, 진단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대부분 노년기에 치매나 뇌 손상과 같은 대상이 많았다. 또한 집단 연구가 개별대상 연구에 비해 많았다. 셋째, 치료목표의 분석 결과 사회성 향상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정신건강 회복, 자아성장 순서로 나타났다. 넷째, 매체의 종류별 사용 정도를 살펴보았을 때, 한지와 동양화 붓, 먹물과 한국화 물감이 많이 사용 되었다. 도구에서는 먹의 사용 빈도가 높았고, 이 외에도 금분, 은분, 배접지 등 다양한 매체가 사용되었으나, 빈도는 낮았다. 다섯째, 활동내용은 그리기 활동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만들기, 매체 탐색, 만다라 순서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효과적이나, 현재까지는 연구방법이 국한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연구 방법을 통해 한국화 매체가 가진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in Art Therapy using the Korean Painting Materials to provide basic data on how to utilize the Korean Painting Materials. First, A total of 40 domestic academic papers and academic journals were analyzed from 2001 to March 2018. The research and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study of Art Therapy using the Korean Painting Materials consisted mainly of integrated research. Second, in general groups,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on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in childhood, and in most old age, studies conducted on diagnostic groups such as dementia and brain damage. There were also more group studies than there were individual studies.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reatment goals, sociality enhancement was the most studied, followed by mental health recovery and self-growth. Fourth, when looking at the degree of use of each type of media, Hanji, Oriental painting brush, ink, and Korean color were used a lot. Various media such as gold flour, silver flour, and backing paper were used in the tools, but the frequency of use was low. Fifth, the activities in therapies was presented in order of creation, media discovery and mandala, with the highest percentage of drawing activity. In conclusion, Art Therapy using the Korean Media is effective in solving the problem if deterrents, but the research method has been limited so far so that it can be effective through various verification methods.

      • KCI등재

        언택트 사회의 예술심리치료 방향

        최주희,문송이,남현우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0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2020년 1분기에 대두된 코로나19로 인해 급속히 다가온 언택트 사회에서 예술심 리치료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언택트 예술 심리치료의 개념과 정의, 적용 방법, 방향과 한계점을 모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언택트 예술심리치료란 진단 및 평가, 치료목표설정, 치료계획, 치료수행, 효과평가를 위해 IT기술과 라이프로그를 활용한 비접촉과 비대면 방식의 융복합연구이다. 둘째, 언택트 예술심 리치료를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은 소통방식에 따라 전이중 통신, 반이중 통신, 단방향 통신으로 분류되고, 원격화상, 애플리케이션, 확장현실 기반의 예술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다. 셋째, 언택트 예술심리치료의 방향은 시공간을 벗어난 진단 및 효과평가와 각각의 IT기술 기 반 프로그램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통합적인 프로그램 시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언택트 예술심리치료 연구는 앞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 심층적 분석과 연구, 사례경험 및 문제점 등을 비교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적절한 근거와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언택트 예술심리치료의 방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언택트 예술심리치료의 적용과 확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arts-psychotherapy in the untact society, which was rapidly approaching by COVID-19 that emerged in the first quarter of 2020.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earched the concept and definition, application method, diagnosis and evaluation method, limit points and directions,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of the Untact Arts-Psychotherapy. First, the Untact Arts-Psychotherapy is non-contact and non-face-to-face psychotherapy using IT technology and the life log include diagnosis and evaluation, setting the goals and plans,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Second, the methods for applying the Untact Arts-Psychotherapy are remote video system, smart phone applications and extended reality(XR). Third, the direction of the Untact Arts-Psychotherapy is to conduct diagnosis and effectiveness evaluations outside of time and space and to implement an integrated program that can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each IT technology-based program. The research on the Untact Arts-Psychotherapy will have to provide appropriate ground and guidelines in the future through the process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various programs, in-depth analysis and research, case experience and problem.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application and spread of the Untact Arts-Psychotherapy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direction.

      • KCI등재

        예술치료에서 예술의 의미: 프랑스 예술치료의 이론을 중심으로

        김익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9 No.1

        우리는 이 논문에서 치료도구로서의 예술이 지니는 가치와 의미를 찾기 위해 우리나라 예술치료학계에서 진행된 기존의 노력들을 점검해보고 프랑스의 예술치료학이 정립한 ‘치료로서의 예술’에 대한 시각을 소개함으로써 예술치료에 있어 예술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려고 한다. 우리예술치료학계에서 예술치료의 치료기전에 관한 논의는 수차례에 걸쳐 발전적으로 진행된 바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술의 의미에 대한 인식론적 차원의 성찰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1940년대 말부터 예술치료에 대한 이론적 연구가 진행되어왔던 프랑스에서도 치료에 있어서 예술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프랑스예술치료협회AFRATAPEM의 연구진들, 특히 리샤르 포레스티에의 연구는 우리가 다루고 있는 주제와 관련하여 매우 유익한 시사점들을 제공한다. 포레스티에가 제안하고 있는 독창적인 자기평가방식인 ‘3B 이론’과 ‘하모니 큐빅’은 예술치료에서 예술도 그 미학적 가치를 강조할 때 치료의 도구로서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이론적 모델이다. 포레스티에를 비롯한 프랑스에서의 연구와 지금까지 국내의 연구자들의 연구내용을 종합하면 치료에 있어 예술에 대한 시각은 아래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예술은 마음치료과정에서 내담자들에게 표현을 위한 형식의 틀을 제공함으로써 자유롭지만 절제된 방식으로 자기표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안전틀 역할을 한다. 둘째, 예술은 언어적 표현으로 불가능한 것을 가능케 해주는 효율적이고 적극적인 표현양식이다. 셋째, 예술은 그 창조적 과정에서 내담자들로 하여금 통찰을 경험케 할 수 있는 촉매 역할을 한다. 우리는 이와 같은 예술의 효용성에 대한 정의에 한 가지를 덧붙이려한다. 예술은 아름다움의 경험을 제공하는 미적체험의 통로라는 사실이다. 이 네 번째 속성은 치료에 있어서 예술이 지니는 속성 중 가장 핵심적인 것이다. 이 효용가치는 앞의 세 가지 효용들에 예술치료만의 특성을 부여해주기 때문이다. 아름다움을 느끼고 경험하는 일, 즉 미적 체험이 없다면 예술치료행위는 작업치료행위와 구별되지 못한다. 미적 체험이 결여된 예술치료에서의 예술행위는 그저 단순 작업 행위일 뿐이다. What is the art in the art-therapy? The studies on this plan are not really done with the precision up to the present. Even in France where the theological studies of the art-therapy begun since the end of 1940s, finding the answer of this question is always ongoing. So much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art in the art-therapy. Nevertheless it is very useful to us to consult the efforts of the AFRATAPEM, Tout savoir sur l'Art-thérapie in which we can find many interesting points of view concerning the definition of the art in the art-therapy. The theory of 3B and the harmonic cube open the way for us to find the possibility of guarding the aesthetic aspect of the art when we apply the arts to the therapeutic activities. Through the studies which we have consulted, we can seize the ideas which could be useful to define the art in art-therapy. And then, we can define the art in the art-therapy on the functional plan. In the first place, the art offers a formal frame in which the patients can express themselves freely avoiding to fall in rough state. In the second, non-verbal, it allows to express the inner ego which is difficult to show with the language. In the third, it is a means by witch the patients can manage to obtain a insight. And we add another function which is fundamental. It is that the art can be the passage through which we can have the aesthetic experience. This fourth aspect is radical because it is finally the foundation of the previous three functions. Without an aesthetic experience, the art-therapy has no difference towards the ergotherapy.

      • KCI등재
      • KCI등재

        포커싱 예술치료의 국내적용을 위한 예비 연구 - 포커싱 예술치료 자격증과정 참여 트레이니의 체험을 중심으로 -

        주은선,조병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2 예술심리치료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미국 포커싱 예술치료 전문교육기관(Focusing & Expressive Arts Institute)의 포커싱 예술치료(Focusing-Oriented Arts Therapy: FOAT) 자격증과정에 참여한 한국트레이니들의 체험을 심층적으로 알아봄으로써 포커싱 예술치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한국에서의 포커싱 예술치료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연구 대상자 체험의 개별적 의미와, 그 개별적 체험을 관통하는 일반적 체험의 구조를 발견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한 결과 4개의 범주에서 18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범주는 포커싱 예술치료에 대한 기대로 1) 막연함과 궁금함, 2) 위축감과 걱정의 주제, 두 번째 범주로는 포커싱 예술치료의 체험으로 3) 부담 없이 다가 옴, 4) 건강한 거리두기와 집중, 5) 몰랐던 내 마음보기, 6) ‘찾기’의 반복, 7) 내 마음 다시보기, 8) 연결감, 9) 내 모습이 달라짐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세 번째 범주는 포커싱 예술치료의 적용가능성인데, 여기에는 10) 치료적 관계의 촉진, 11) 내담자의 자기표현에 도움, 12) 내담자의 통찰 촉진, 13) 내담자의 온전성 경험, 14) 감각느낌(felt sense)을 구체화함이라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마지막 범주는 포커싱 예술치료 적용의 우려와 한계인데, 여기에는 15) 치료자의 태도, 16) 물리적 환경, 17) 치료효과의 검증, 18) 기법상의 한계 및 유의점이라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포커싱 예술치료의 활성화를 위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ho attended Focusing-Oriented Art Therapy (FOAT) offered by Focusing & Expressive Arts Institute, U.S.A.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researchers identified 4 categories and 18 themes. The phenomenological method provides the structure of general experiences based on research participants' individual experience and meaning. The first category was expectation on FOAT and the themes were: 1) ambiguous feeling and curiosity, 2) withering and concern. The second category was named as FOAT lived-experiences and themes were: 3) not so demanding, 4) appropriate distance and concentration, 5) ability to know my inner world, 6) repetitive seeking experience, 7)ability to re-exam inner world, 8) connection, 9) changes. The third category was applicability of FOAT and themes were: 10) facilitating therapeutic relationship, 11) ability to help self-expression, 12) facilitating insight, 13) experience of integrity/wholeness, 14) concretization of felt sense. The fourth category was the limitation of FOAT and the themes were: 15) therapist's attitude, 16) environment, 17) examination of therapeutic effectiveness 18) limitation of skills.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s hope to provide understanding of Focusing-Oriented Art Therapy and the application of the approach in Korea.

      • KCI등재

        표현예술치료를 위한 가이디드 이미저리의 적용가능성 고찰

        정형철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7 No.1

        가이디드 이미저리는 의도적인 백일몽의 기법으로서 건강과 정서적 안녕을 증진시키기 위해 강력한 이미지들을 이용하는 심리치료의 방식이다. 가이디드 이미저리가 치유, 행복, 창조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입증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표현예술치료도 가이디드 이미저리와 마찬가지로 이미지와 상상력의 힘을 활용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 연구는 표현예술치료를 위해 가이디드 이미저리의 기법을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 보려는 의도에서 시도된 것이다. 이 연구는 먼저 가이디드 이미저리의 역사적 배경과 종교적 토대에 대해 개관하고, 표현예술치료의 한 형식인 비블리오테라피와 가이디드 이미저리 기법을 비교한다. 그 다음에 벨루스 나파르스텍이 만든 가이디드 이미저리 스크립트를 표현예술치료의 실제적 방법들과 관련하여 논의함으로써 가이디드 이미저리와 표현예술치료가 상응한다는 점을 주장한다. 무용, 음악, 드라마, 시각예술, 시 등을 이용하는 표현예술치료는 이미지와 은유의 언어를 활성화한다. 특히 이미지의 치유적 활용이라는 점에서 표현예술치료와 가이디드 이미저리는 유사하다. 우리의 몸은 마음 속에서 창조된 이미지들과 외부세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들을 분간하지 않는다. 이미지들은 우리의 생리적 변화를 자극할 수 있다. 가이디드 이미저리와 표현예술치료는 이미지와 상상력의 그와 같은 치유적 양상들을 강조한다. 표현예술치료사들의 예술의 심리치료적 사용과 가이디드 이미저리 심리치료사들의 치유적, 감각적 이미지의 활용은 억압되거나 은폐된 욕망과 감정을 발견하기 위해 우리의 내면을 탐색한다. 우리 자신을 치유하기 위해, 표현예술치료의 “치유적 미학”은 “미학적 치유”인 가이디드 이미저리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표현예술치료는 가이디드 이미저리를 하나의 대안적 방식으로 사용함으로써 보다 더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Guided imagery is a psychotherapeutic technique that uses powerful images to improve our own health and emotional well-being. The effectiveness of guided imagery has been proved by researchers who demonstrate its positive impact on healing, happiness, and creativity. This study intends to find ways to apply guided imagery technique to the expressive arts therapy. After survey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religious underpinnings of guided imagery,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guided imagery technique with bibliotherapy. And then, we discuss a guided imagery script in comparison with practical tactics of the expressive arts therapy. The expressive arts therapy also engages in the therapeutic use of images. Both guided imagery and the expressive arts therapy put an emphasis on the healing aspects of these images and imagination. The expressive arts therapists' psychotherapeutic use of arts as well as the guided imagery psychotherapists' production of healing sensory images means exploring our inner realms to discover unresolved desires and feelings. Expressive arts therapy as the therapeutic aesthetic can adopt guided imagery technique as the aesthetic therapy to cure ourselves. Expressive arts therapy can be carried out more effectively using guided imagery as an alternative method.

      • KCI등재

        예술치료의 매체로써 VR/AR/MR 콘텐츠 사례분석 및 제언

        나정조 한국예술치료학회 2023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VR/AR/MR의 특징을 살펴보고 예술치료에 사용된 VR/AR/MR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추후 어떠한 방향으로 VR/AR/MR를 예술치료의 매체로 사용할지에 대한 방향성을 논의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VR/AR/MR은 사용하는 디바이스, 콘텐츠 구현 환경과 콘텐츠 등의 특징으로 분야가 나뉘며, VR은 AR과 MR에 비해 예술치료에 비교적 적용이 많이 되었다. 이에 VR/AR/MR을 예술치료에 적용한 사례를 살펴보고, 각각의 특징 및 콘텐츠에 대한 논의를 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VR/AR/MR과 예술치료와의 관계를 살펴보 기 위하여 데이터 분석을 하였으며, 논문과 뉴스 두 가지 기준으로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국내 논문은 학술연구 정보서비스(Riss)와 누리미디어(DBpia)를 기반으로 검색하였으며, 국외 논문은 구글스콜라(Google Scholar), 뉴스와 언론은 빅카인즈(BIG KINDS)를 활용하였다. 국내 논문 분석 결과 예술치료 분야에서 AR, MR에 비해 VR을 활용한 예가 많았으며, 코로나 이후부터 현재까지로 범위를 제한하고 빅카인즈에서 분석한 결과. 워드 클라우드에서는 VR과 인공지능, 관계도 분석 결과에서는 장소는 미국이, 키워드는 코로나19가 가상현실이 관계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 분석의 결과로 VR/AR/MR이 적용된 예술치료의 특징 5가지와 VR/AR/MR을 활용하여 예술치료의 매체로 활용할 때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의 4가지 제언을 하였다.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의 제언이 상담사와 치료사, 내담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고, VR/AR/MR 특징을 이해하여 활발하게 예술치료의 매체 로 사용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VR/AR/MR and analyze cases where VR/AR/MR has been used in art therapy in order to discuss the direction in which VR/AR/MR can be used as a medium in art therapy in the future. VR/AR/MR can be categorized based on the devices used, the content implementation environ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Among these, VR has been relatively utilized more in art therapy compared to AR and MR. Therefore, examining cases of applying VR/AR/MR to art therapy and discussing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and content would be meaningful.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R/AR/MR and art therapy, data analysi s was conducted using two criteria, which were academic papers and news articles. Domestic acade mic papers were searched on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and Nurimedia (DBpia), while international academic papers were found on Google Scholar. News and media sources were accessed through BIG KINDS. The analysis of domestic papers revealed that there were many exampl es of VR being used in the field of art therapy compared to AR and MR. As a result by BIG KINDS while limiting the research period from the post-coronavirus period to the present, VR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the word cloud analysis, United States from relationship analysis, and the COVID-19 from keywords analysis showed a strong correlation with virtual reality. Based on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five characteristics of VR/AR/MR on art therapy and four propositions in the content producti on process when using VR/AR/MR as a medium in art therapy were identified. These propositions are expected to be beneficial for counselors, therapists, and clients alike, promoting the active use of VR/AR/MR as a medium in art therapy, given a better understanding of its characteristics

      • 전래놀이를 활용한 집단표현예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강민진 한국표현예술치료학회 2018 표현예술치료 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using a traditional play on self-efficacy and social skills improvement of the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ies. The subjec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 a total of eight 1-3 graders of single-parent families utilizing K local children center, who volunteer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and whose parent agrees upon it. The control group include eight 1-3 graders of single-parent families utilizing J local children center. The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using a traditional play was conducted 15 tim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from January 2015 to March 2015 for the duration of a hundred minutes for each session. As for the research instrument, the survey through questionnaires on self-efficacy and social skills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WIN 22.0 program, applying a non-parametric test and Wilcoxon’s singed-ranks test. For the contextual analysis, Kinetic House-Tree-Persons Drawings(K-HTP) and Kinetic School Drawings(KSD) were conduct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and the changes in the group were observed in the course of the therapy session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using a traditional play is significantly effective on improving the self-efficacy of the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ies. Secondly, the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using a traditional play is significantly effective on improving the social skills of the children of single-parent faimilies. Third, the self-confidence and the sense of achievement of the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ies were gradually improved as the session was carried on and the children showed positive changes, attempting to interact with the group. Given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using a traditional play is effective to improve the self-efficacy and social skills of the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and that the program can possibly enhance the therapeutic effects by expressing dynamic creativity and artistry.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developing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s which can be applied for the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so as to prevent their psychological,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s well as to help their psychosocial adaptation. 본 연구는 전래놀이를 활용한 집단표현예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기 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상은 인천시에 소재한 K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1-3학년에 해당하는 한부모 가정 아동으로, 집단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에 자 발적인 참여 의사를 밝히고 부모의 동의를 얻은 8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통제집단은 같은 시에 위치한 L지역아동센터를 다니는 초등학교 1-3학년인 한부모 가정 아동 8명으로 선정하였으 며, 실험집단을 상으로 2015년 1월부터 2015년 3월까지 1회기 100분씩 총 15회기의 전래놀 이를 활용한 집단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전래놀이를 활용한 집단표현예술치료로 구성하였으며, 연구도구로는 자기효능감 과 사회적 기술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위한 통계적 분석은 SPSS WIN 22.0 프 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비모수 검증과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을 실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 한 통계 검정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검사(K-HTP)와 동적 학교생활화 (KSD)를 실시하였으며, 집단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 과정에서 관찰되는 집단의 변화를 통해 내용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전래놀이를 활용한 집단표현예술치료는 실험집단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전래놀이를 활용한 집단표현예술치료는 실험집 단 한부모 가정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전래놀이를 활용한 집 단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 과정에서 한부모 가정 아동들은 회기가 진행될수록 자신감과 성취감이 향상되고 적극적인 태도로 집단과 상호작용하려는 긍정적인 변화의 모습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한부모 가정 아동의 심리⋅정서⋅행동적 문제를 예방하고 심리사회적 적응에 활용할 수 있는 표현예술치료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