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궁경부암 환자의 고선량률 강내치료 시행 시 직장합병증의 예측

        이정은(Jeung Eun Lee),허승재(Seung Jae Huh),박원(Won Park),임도훈(Do Hoon Lim),안용찬(Yong Chan Ah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4

        Purpose Although high-dose-rate intracavitary radiotherapy (HDR ICR) has been used in the treatment of cervical cancer, the potential for increased risk of late complication, most commonly in the rectum, is a major concern. We have previously reported on 136 patients treated with HDR brachytherapy between 1995 and 19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pgrade the previous data and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late rectal complication and rectal dose in cervix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HDR ICR.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for 222 patients with cervix cancer who were treated for curative intent with external beam radiotherapy (EBRT) and HDR ICR from July 1 9 95 to December 2001. The median dose of EBRT was 50.4 (30.6 56.4) Gy with a daily fraction size 1.8 Gy. A total of six fractions of HDR ICR were given twice weekly with fraction size of 4 (3 5.5) Gy to A point by Iridium-192 source. The rectal dose was calculated at the rectal reference point using the barium contrast criteria. in vivo measurement of the rectal dose was performed with thermoluminescent dosimeter (TLD) during HDR ICR.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9 months, ranging from 6 to 90 months. Results Twenty-one patients (9.5%) experienced late rectal bleeding, from 3 to 44 months (median, 13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RT. The calculated rectal dos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patients with rectal bleeding and those without, b ut the measured rectal doses were higher in the complicated patients. The differences of the measured ICR rectal fractional dose, ICR total rectal dose, and total rectal biologically equivalent dose (BE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measured ICR total rectal dose was beyond 16Gy, when the ratio of the measured rectal dose to A point dose was beyond 70%, or when the measured rectal BED was over 110 Gy3, a high possibility of late rectal complication was found. Conclusion Late rectal complication was closely correlated with measured rectal dose by in vivo dosimetry using TLD during HDR ICR. If data from in vivo dosimetry shows any possibility of rectal bleeding, efforts should be made to reduce the rectal dose. 목 적 : 자궁 경부암의 고선량률 근접치료는 근치적 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나 만성합병증 특히 직장합병증의 위험도 증가하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직장합병증과 직장 방사선 선량을 비교하여 합병증과 관련된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7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방사선치료로 외부방사선치료와 고선량률 강내치료를 모두 받은 환자 2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외부방사선치료의 총방사선량 중앙값은 50.4 Gy (30.6˜56.4 Gy)이고 고선량률 강내치료는 이리듐(Ir)-192를 이용하여 pointA에 3˜5.5Gy (중앙값 4 Gy), 조사횟수는 5˜8회(중 앙값 6회)로 주 2회 조사하여 총 15˜32.5 Gy (중앙값 24Gy)를 조사하였다.환자의 중앙 추적기간은 39개월(6˜90개 월)이었다. 결 과: 만성 직장합병증은 21명(9.5%)에서 관찰되었다.이들은 모두 직장출혈을 보였으며 다른 합병증은 나타나지 않았다. 직장합병증이 발생하기까지의 시간은 방사선치료 종료 후 3˜44개 월(중 앙값 13개 월)이 었다.이전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직장합병증을 보인 군의 계산직장선량은 합병증을 보이지 않았던 군과 비슷하고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직장합병증을 보인 군 의 측 정 직 장 선 량의 평균값과 BED는 합병증을 보이지 않았던 군에 비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측정 직장선량이1 6 G y를 넘거나 측정 직장선량과 A point 선량과의 비가 70%를 넘는 경우 또는 측정 직장선량의 BED가 120 Gy3을 넘는 경우는 직장 합병증의 가능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 론: 자궁경부암에서 고선량률 강내치료시 TLD를 이용한 생체 내 선량측정을 하고 이를 조정함으로써 만성 직장합병증을 예측하고 그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후에 발생한 직장출혈과 치료

        전미선,강승희,길훈종,오영택,손정혜,정혜영,유희석,이광재,Chun Mison,Kang Seunghee,Kil Hoon-Jong,Oh Young-Taek,Sohn Jeong-Hye,Jung Hye-Young,Ryu Hee Suk,Lee Kwang-Ja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4

        목적 : 자궁경부암의 경우 종양에 충분한 양의 방사선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직장도 고선량의 방사선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직장염을 비롯한 만성부작용이 발생하며 직장 출혈 빈도를 $5\~30\%$ 보고하고 있다. 저자는 완치 목적의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직장 출혈 빈도와 그와 관련된 위험인자들을 분석하고 치료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9월과 1999년 12월 사이에 방사선 단독치료를 받은 213명의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90명이 외부 방사선치료의 일부를 하루 2회씩 받았다(변형된 다분할 방사선치료). 자궁주위조직의 외부 방사선량은 총 $51\~59\;Gy$였고 근접방사선치료로 A점에 총 $28\~30\;Gy$ (4 Gy씩 7회 혹은 5 Gy씩 6회)를 조사하였다. 직장에 조사된 선량은 ICRU 38에서 정한 위치와, 모의촬영필름에서 바리움에 의해 구분되는 직장 앞쪽 벽의 한 점을 선정하여 계산하였다. 직장출혈의 정도는 LENT/SOMA에 따라 분류하였다. 추적관찰 기간은 $12\~86$개월(중앙값 39개월)이었다. 결과 : 27명$(12.7\%)$의 환자에서 직장출혈이 발생하였다(등급 2와 3:각각 16명과 2명, $8.5\%$). 이들 중에서 추적관찰 기간동안 질-직장루 또는 폐쇄로 진행된 경우는 없었다 발생시기는 대부분의 환자에서$(92.6\%)$ 치료 종료 후 2년 이내였다(중앙값 16개월). 단변량분석에서 위험인자로 icruCRBED (직장이 받은 총 생물학적 동등선량), 자궁주위조직의 방사선량, 및 병기였다. icruCRBED가 100 미만인 경우와 100 이상인 경우 $4.2\%$ 대 $19.7\%$, 자궁주위조직에 대한 조사선량 55 Gy 미만과 그 이상인 경우가 $5.1\%$ 대 $22.1\%$, 병기 II 이하인 경우와 III 이상인 경우가 $10.5\%$ 대 $31.8\%$였다. 다변량분석에서는 icruCREED 만이 유의하였다(0=0.0432). 등급 1 출혈은 자연적으로 소실되거나(3명) $1\~2$개월의 sucralfate 관장으로 멈추었다. 등급 2의 환자 6명은 $1\~2$개월 동안 sucralfate 관장으로 출혈의 빈도와 양이 줄어들었고 이 중 4명은 전기응고술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다른 9명은 전기응고술을 먼저 시행하였다(4명; sucralfate 관장 병행). 모두 $3\~10$개월 내에 정지되었다. 등급 3의 출혈은 잦은 전기응고술과 수혈을 요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중등도 이상의 직장출혈빈도가 $8.5\%$로 타 문헌에서 보고된 빈도와 유사한 결과였다. 직장에 조사된 총 생물학적 동등선량이 100 Gy 이상인 경우에 직장출혈이 유의하게 증가하므로, 치료계획시 생물학적 동등선량을 고려함으로써 휴유증 감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직장출혈이 발생한 환자에서 조기에 적극적으로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출혈로 인한 불편함을 신속하게 해결하고 이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삶의 질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Radiotherapy is the main treatment modality for uterine cervix cancer. Since the rectum is in the radiation target volume, rectal bleeding is a common late side effect. This study evaluates the risk factors of radiation induced rectal bleeding and discusses its optimal management. Materials and Methods : total of 213 patients who completed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EBRT) and intracavitary radiation (ICR) between September 1994 and December 1999 were included in this study. No patient had undergon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Ninety patients received radiotherapy according to a modified hyperfractionated schedule. A midline block was placed at a pelvic dose of between 30.6 Gy to 39.6 Gy. The total parametrial dose from the EBRT was 51 to 59 Gy depending on the extent of their disease. The Point A dose from the HDR brachytherapy was 28 Gy to 30 Gy $(4\;Gy\times7,\;or\;5\;Gy\times6)$. The rectal point dose was calculated either by the ICRU 38 guideline, or by anterior rectal wall point seen on radiographs, with barium contrast. Rectal bleeding was scored by the LENT/SOMA criteria. For the management of rectal bleeding, we opted for observation, sucralfate enema or coagulation based on the frequency or amount of bleeding.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9 months $(12\~86\;months)$. Results : The incidence of rectal bleeding was $12.7\%$ (27/213); graded as 1 in 9 patients, grade 2 in 16 and grade 3 in 2. The overall moderate and severe rectal complication rate was $8.5\%$. Most complications $(92.6\%)$ developed within 2 years following completion of radiotherapy (median 16 months). No patient progressed to rectal fistula or obstruction during the follow-up period. In the univariate analysis, three factors correlated with a high incidence of bleeding an icruCRBED greater than 100 Gy $(19.7\%\;vs.\;4.2\%)$, an EBRT dose to the parametrium over 55 Gy $(22.1\%\;vs.\;5.1\%)$ and higher stages of III and IV $(31.8\%\;vs.\;10.5\%)$.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icruCRBED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p>0.0432). The total parametrial dose from the EBRT had borderline significance (p=0.0546). Grade 1 bleeding was controlled without further management (3 patients), or with sucralfate enema 1 to 2 months after treatment. For grade 2 bleeding, sucralfate enema for 1 to 2 months reduced the frequency or amount of bleeding but for residual bleeding, additional coagulation was peformed, where immediate cessation of bleeding was achieved (symptom duration of 3 to 10 months). Grade 3 bleeding lasted for 1 year even with multiple transfusions and coagulations. Conclusion : Moderate and several rectal bleeding occurred in $8.5\%$ of patients, which is comparable with other reports.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for rectal bleeding was the accumulated dose to the rectum (icruCRBED), which corrected with consideration to biological equivalence. Prompt management of rectal bleeding, with a combination of sucralfate enema and coagulation, reduced the duration of the symptom, and minimized the anxiety/discomfort of patient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일반적인 암 인식과 암 생존자의 직장 복귀에 대한 인식

        김미란 ( Miran Kim ),김혜원 ( Hyewon Kim ),한수정 ( Sujeong Ha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6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일반적인 암 인식과 암 생존자의 직장 복귀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인 암 인식은 평균 1.93점이었다. 암환자는 사회적으로 보호받아야 할 약자라고 인식한 경우가 59.6%이었으며 암환자들은 완치 후에도 업무능력이 떨어질 것이라고 인식한 경우는 22.4%이었다.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암 생존자의 직장 복귀는 평균 3.15점이었다. 대상자의 38.4%가 암으로 인한 통증 때문에 작업능력이 떨어질 것이라고 인식했으며 ‘암환자와 일할 때 그들이 사용하는 가발, 모자 등을 보면 거부감이 들 것이다’라는 항목에 대상자의 91.0%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결과 암 생존자의 직장 복귀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인식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비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에게 암 환자의 재활 및 직장 복귀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이론 및 실습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cancer and cancer patients and recognition of cancer survivors returning to work. It was found 40.4% of study participants agreed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be healthy again once a person is diagnosed with cancer, 59.6% agreed that cancer patients deserve to be protected in society, and 25.2% agreed that they would avoid marrying people whose family members have cancer. Also, 48.4% of study participants agreed that pain from cancer will reduce ability to work, and 22.8% agreed that it is desirable for companies to hire healthy new employees rather than experienced cancer pati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ursing educational program for providing a more supportive care for cancer survivors.

      • SCOPUSKCI등재

        대장직장암에서 임상조직학적 소견과 DNA ploidy와의 상관관계

        이석호,김헌정,김우철,조영갑,노준규,우제홍,황태숙,Lee Suk Ho,Kim Hun Jung,Kim Woo Chul,Cho Young Kap,Loh John J K,Woo Ze Hong,Hwamg Tae Soo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3

        목적 : 여러 종양에 있어 DNA ploidy 양상은 여러 임상조직학적인 소견과의 연관성을 보여주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장직장암에 있어서의 이러한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 직장 5상 결장암에 있어서 치료 실패율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에서는 대장 직장암으로 진단 후,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11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Medley method에 따라 파라핀에 고정 후 flow cytometry를 사용하여 DNA ploldy와 여러 임상조직학적인 소견들과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중 Duke 병기 B, C 직장 5상 결장암 환자 75명을 대상으로 하여 치료실패 양상과 DNA ploidy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았다. 결과 : 종양분석 결과 40예(34.2%)에서 aneupioldy histogram을 얻을 수 있었다. DNA aneuploidy와 나이, 성별, 침범 깊이, 위치 그리고 Dukes' 병기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Dukes 병기 B 직장암에 있어서는 치료 실패율과 DNA ploidy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48). 결론 : 대장 직장암에서 DNA ploi텀는 다른 임상조직학적 소견들과 관련이 없었고 직장 5상 결장암 병기 B에서는 치료 실패율과 연관성을 보였으나 보다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 DNA ploidy pattern was shown to correlate with several clinicohistologic findings in several tumors.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of the clinicohistologic findings in colorectal cancer and the failure pattern in rectosigmoid cancer with DNA ploidy. Materials and Methods DNA flow cytometry using the Hedley methods on paraffin embedded specimen from 117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s after curative resection was peformed. We trie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DNA ploidy and various clinicohistologic findings. And then the correlation DNA ploidy and the failure pattern in 75 patients of rectosigmoid cancer was analized. Results : Forty samples (34.2%) from tumors gave aneuploidy histogra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DNA aneuploidy in terms of age, sex, depth of invasion, location and Dukes stag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NA ploidy and the failure rates in Dukes stage B rectosigmoid cancer (P=0.048).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NA ploidy pattern shows the correlation with the treatment failure rates in Dukes stage B rectosigmoid, but not with many other clinicohistologic findings. However,more patients will be needed to disclose these findings.

      • KCI등재

        직장암의 복강경 저위 전방절제술 후 문합부에 발생한 직장의 착상 낭종 1예

        이희선,송근암,황인혜,이양선,신경화,최보경,김광하,박도윤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0 Clinical Endoscopy Vol.40 No.6

        Rectal implantation cysts can be caused by continued growth in the submucosa of traumatically misplaced columnar epithelium during previous surgery. Cases of implantation cyst occurring at the site of anastomosis have rarely been reported. Rectal implantation cysts occurring at an anastomosis site after a low anterior resection for rectal cancer need to be distinguished from locally recurrent rectal cancer. Here we present a case of rectal implantation cysts in a patient with rectal cancer who underwent laparoscopic low anterior resection 9 months previously. The diagnosis was mad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image findings of endoscopic ultrasonography and enodsocopic ultrasonography-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 of rectal implantation cyst in Korea. 직장의 착상 낭종은 수술 과정 중 손상으로 점막의 원주 상피가 점막하층이나 고유근육층으로 잘못 위치한 상태로 자라면서 발생한다. 직장의 착상 낭종은 드물게 보고되나 최근의 보고들은 직장암의 저위 전방 절제술 후에 발생하였던 경우이다. 직장암으로 전방 절제술 후에 발생한 직장의 착상 낭종은 직장암의 국소 재발과 감별이 필요하며 내시경 검사에서 상피하 종양의 형태로 관찰되는 경우 내시경 초음파 검사 및 내시경 초음파 미세침 흡입술 검사가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저자들은 76세 남자가 직장암으로 복강경 저위 전방 절제술을 시행받고 경과 관찰 중에 문합부에 낭종을 발견하여 내시경 초음파 검사 및 내시경 초음파 유도하 미세침흡인술을 시행하여 확진하였던 직장의 착상 낭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 한다.

      • 직장암 환자에서 전자조사문영상장치를 이용한 준비오류 측정

        김원동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15 忠北醫大學術誌 Vol.25 No.1

        연구목적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치료시 고정과 자세 유지가 힘든 직장암 환자에서 전자조사문영상장 치(electronic portal image device; EPID)를 이용하여 3차원적 준비오류(setup error)를 측정하 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4년 8월부터 2015년 2월까지 본원에서 직장암으로 3차원 입체조형치료를 받은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 치료기간 동안 환자당 평균 5번의 EPID를 찍었으며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인 Coherence Oncologist WorkspaceR를 이용하여 planning CT로부터 얻은 digitally recontructed radiography(DRR)와 비교하였다. 3차원 각 방향(anterior-posterior;△AP, left-right;△LR, superior-inferior;△SI)의 평행이동(translational) 준비오류를 측정하고 EPID isocenter의 무방향성 총 오류(△iso)를 수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결과 : 전체 그룹 직장암 환자군에서의 EPID로 측정한 각 방향 평행이동 평균값은 △AP에서 0.16 cm, △LR에서 -0.15 cm, △SI에서 0.07 cm으로 모든 방향에서 0.2 cm보다 작았으며 표준편차는 0.5 cm 정도 되었다. △iso의 평균은 0.84 cm 이었으며 표준편차는 0.25 cm이었다. 직장암 환자 각 개인에서 분석시 총 10명의 환자중 7명에서 적어도 한 방향 이상에서 t-test상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nonzero 평행이동 변이가 있어 이들 각 환자들에서 체계적 오류(systemic error) 개입 가능성을 제 시하였다. 결론 : 준비오류의 각 방향 평행이동 평균값은 zero에 근접하였고 표준편차가 0.5 cm 정도였다. 따라 서 직장암 환자에서는 임상표적체적(clinical target volume; CTV)에 준비오류의 표준편차 값인 약 0.5 cm의 추가적인 여유 마진(margin)을 주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직장암 환자 각 개인의 방사 선치료 전에 매일 EPID를 찍어 환자 자세를 검증하고 재위치시키다면 개인 특이적인 체계적 오류를 제거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CTV에 더욱 작은 추가 마진 사용을 가능케 하여 방사선 부작용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방사선치료 Patterns of Care Study 개발을 위한 2002년 한국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들의 직장암 방사선치료 원칙 조사연구

        김종훈(Jong Hoon Kim),김대용(Dae Yong Kim),김용호(Yong Ho Kim),김우철(Woo Cheol Kim),김철용(Chul Yong Kim),성진실(Jinsil Seong),송승창(Seung Chang Sohn),신현수(Hyun Soo Shin),안용찬(Yong Chan Ahn),오도훈(Do Hoon Oh),오원용(Wong Yo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1

        목 적 : 한국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암의 하나인 직장암의 치료에 있어 전국의 각 병원 치료방사선과(방사선종양학과)에서 시행하고 있는 치료 형태를 세부 항목별로 파악하여 방사선종양학 전문의 간의 치료원칙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Patterns of Care Study를 위한 연구의 기본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경인지역 소재 18개 대학병원 및 방사선종양학과가 있는 병원들의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들이 모여 직장암의 방사선치료 원칙 분석을 위한 consensus committee를 구성하고, 회합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각 의사들의 방사선치료 원칙을 파악하기 위한 세부 항목 설정과 이를 토대로 직장암 환자 개개인의 치료 내용을 측정하는 구체적인 항목들을 개발하였다. 이 항목들을 이용하여 직장암의 방사선치료를 담당하고 있는 전국의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후 각 전문의들의 의견이 일치하는 부분과 상이한 부분들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전문의 별 치료원칙의 측정에 사용된 항목들은 1) 치료대상환자의 선정기준 8개 항목, 2) 수술 전후 병기 및 예후 인자 검사 20개 항목, 3) 수술 및 항암화학요법과의 병용기준 7개 항목, 4) 환자의 setup 및 처치 9개 항목, 5) 모의치료시 조사야 결정 19개 항목, 6) 치료계획 5개 항목, 7) 치료 중 상태 확인 위한 이학적/병리학적 검사 4개 항목, 8) 치료 후 추적 관찰시 검사할 10개 항목 등 총 82개의 항목이 개발되었다. 이 항목들은 전국 각 병원들의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되어 치료원칙에 대한 분석이 항목별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 결과 전국의 각 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시행되고 있는 직장암의 방사선치료 형태는 일정 범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일부 항목에 있어서는 치료자 간 의견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전체 응답자의 50% 이상에서 합의가 되지 못한 항목들은, 1) 치료환자의 선정 기준 중 수술 전 방사선치료 대상, 2) 병기 결정 검사 중 직장내 초음파(EUS, endorectal ultrasound), 흉부 CT, 뼈 스캔 등의 시행 여부, 3) 항암제와의 병용 원칙, 4) 모의치료시 소장 위치 확인을 위한 조영제 사용, 5) 조사야의 경계선 결정, 6) 치료 후 추적 관찰 시 CEA와 대장내시경의 시행여부 등이었다. 결 론 : 이견이 많은 항목들에 대해선는 향후 담당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consensus meeting등을 통한 체계적인 분석 및 합의의 도출이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본 연구에서 밝혀진 각 병원들의 치료 내용을 토대로 향후 표준화된 치료 모델 개발을 위한 Patterns of Care Study가 진행될 예정이다. Purpose : To conduct a nationwide survery on the principles in radiotherapy for rectal cancer, and develop the framework of a database of Korean Patterns of Care. Study. Materials and Methods : A consensus committee was established to develop a tool for measuring the patterns in radiotherapy protocols for rectal cancer. The panel was composed of radiation oncologists from 18 hospital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committee developed a survey format to analyze radiation oncologist's treatment principles for rectal cancer. The survey items developed for measuring the treatment principles were composed of 1) 8 eligibility criteria, 2) 20 items for staging work-ups and prognostic factor, 3) 7 items for principles of combined surgery and chemotherapy, 4) 9 patient set-ups, 5) 19 determining radiation fields, 6) 5 radiotherapy treatment plans, 7) 4 physical/laboratory examination to monitor a patient's condition during treatment, and 8) 10 follow-up evaluations. These items were sent to radiation oncologists in charge of gastrointestinal malignancies in all hospitals (48 hospitals) in Korea to which 30 replies were received (63%). Results : Most of the survey items were replied to without no major differences between the repliers, but with the following items only 50% of repliers were in agreement : 1) indications of preoperative radiation, 2) use of endorectal ultrasound, CT scan, and bone scan for staging work-ups, 3) principles of combining chemotherapy with radiotherapy, 4) use of contrast material for small bowel delineation during simulation, 5) determination of field margins, and 6) use of CEA and colonoscopy for follow-up evaluations. Conclusion : The items where considerable disagreement was shown among the radiation oncologists seemed to make no serious difference in the treatment outcome, but a practical and reasonable consensus should be reached by the committee, with logical processes of agreement. These items can be used for a basic database for the Patterns of Care Study, which will survey the practical radiotherapy patterns for rectal cancer in Korea.

      • SCOPUSKCI등재

        1)대장직장암에서 임상조직학적 소견과 DNA ploidy와의 상관관계

        이석호(Suk Ho Lee),김헌정(Hun Jung Kim),김우철(Woo Chul Kim),조영갑(Young Kap Cho),노준규(John J K Loh),우제홍(Ze Hong Woo),황태숙(Tae Sook Hw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3

        Purpose : DNA ploidy pattern was shown to correlate with several clinicohistologic findings in several tumors.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of the clinicohistologic findings in colorectal cancer and the failure pattern in rectosigmoid cancer with DNA ploidy. Materials and Methods : DNA flow cytometry using the Hedley methods on paraffin embedded specimen from 117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s after curative resection was performed. We trie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DNA ploidy and various clinicohistologic findings. And then the correlation DNA ploidy and the failure pattern in 75 patients of rectosigmoid cancer was analized. Results : Forty samples (34.2%) from tumors gave aneuploidy histogra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DNA aneuploidy in terms of age, sex, depth of invasion, location and Dukes stag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NA ploidy and the failure rates in Dukes stage B rectosigmoid cancer ( p=0.048).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NA ploidy pattern shows the correlation with the treatment failure rates in Dukes stage B rectosigmoid, but not with many other clinicohistologic findings. However, more patients will be needed to disclose these findings. 목 적 : 여러 종양에 있어 DNA ploidy 양상은 여러 임상조직학적인 소견과의 연관성을 보여주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장직장암에 있어서의 이러한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 직장 S상 결장암에 있어서 치료 실패율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에서는 대장 직장암으로 진단 후,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11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Hedley method에 따라 파라핀에 고정 후 flow cytometry 를 사용하여 DNA ploidy 와 여러 임상조직학적인 소견들과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중 Duke 병기 B, C 직장 S상 결장암 환자 75명을 대상으로 하여 치료실패 양상과 DNA ploidy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았다. 결 과 : 종양분석 결과 40예(34.2%)에서 aneuploidy histogram을 얻을 수 있었다. DNA aneuploidy 와 나이, 성별, 침범깊이, 위치 그리고 Dukes’ 병기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Dukes 병기 B 직장암에 있어서는 치료 실패율과 DNA ploidy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48). 결 론 : 대장 직장암에서 DNA ploidy 는 다른 임상조직학적 소견들과 관련이 없었고 직장 S상 결장암 병기 B에서는 치료 실패율과 연관성을 보였으나 보다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자궁경부암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 후의 직장 합병증

        김원동(Won Dong Kim),박우윤(Woo Yoon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4 No.1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late rectal complications in cervix cancer patients following treatment with external beam radiotherapy (EBRT) and high dose rate intracavitary radiation (HDR ICR). The factors affecting the risk of developing late rectal complications and its incidence were analyzed and discussed. Materials and Methods: The records of 105 patients with cervix cancer who were treated with radical radiotherapy using HDR ICR between July, 1995 and December, 2001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an dose of EBRT was 50.4 Gy (41.4∼56.4 Gy) with a daily fraction size of 1.8 Gy. A total of 5~7 (median: 6) fractions of HDR ICR were given twice weekly with a fraction size of 4~5 Gy (median: 4 Gy) to A point using an Ir (Iridium)-192 source. The median dose of ICR was 24 Gy (20~35 Gy). During HDR ICR, the rectal dose was measured in vivo by a semiconductor dosimeter.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2 months, ranging from 5 to 84 months. Results: Of the 105 patients, 12 patients (11%) developed late rectal complications; 7 patients with grade 1 or 2, 4 patients with grade 3 and 1 patient with grade 4. Rectal bleeding was the most frequent chief complaint. The complications usually began to occur 5∼32 (median: 12)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radiotherapy.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easured cumulative rectal BED over 115 Gy3 (Deq over 69 Gy) and the depth (D) of a 5 Gy isodose volume more than 50 mm were the independent predictors for late rectal complications. Conclusion: With evaluating the cumulative rectal BED and the depth of a 5 Gy isodose volume as predictors, we can individualize treatment planning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late rectal complications. 목 적: 자궁경부암의 치료에 있어서 고선량률 강내치료를 포함하는 근치적 방사선치료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 한다. 저자는 근치적 방사선치료 후 발생하는 만성 직장 합병증의 빈도와 이에 연관된 여러 치료요인들을 분석함 으로써 합병증과 관련된 예후인자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7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방사선치료로 외부 방사선치료와 고선량률 강내치료를 모두 받은 환자 1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외부 방사선치료의 총 방사선량 중앙값은 50.4 Gy (41.4∼56.4 Gy)이고 고선량률 강내치료는 이리듐(Iridium)-192를 이용하여 A point에 4∼5 Gy (중앙값 4 Gy), 분할 횟수는 5∼7회(중앙값 6회)로 주 2회 조사하여 총 20∼35 Gy (중앙값 24 Gy)를 조사하였다. 강내치료 도중 반도체 선량계를 이용하여 직장선량을 직접 측정하였다. 환자의 중앙 추적기간은 32개월(5∼84개월)이었다. 결 과: 만성 직장 합병증은 12명(11%)에서 관찰되었다. 7명은 grade 1, 2, 4명은 grade 3, 1명은 grade 4였다. 이들은 모두 직장출혈이 주 증상이었다. 직장 합병증이 발생하기까지의 기간은 방사선치료 종료 후 5∼32개월(중앙값 12개월)이었다. 다변량 분석상 측정 누적 직장 BED (Gy3)가 115 Gy3 (Deq로는 69 Gy)를 넘는 경우, 5 Gy 등선량 체적깊이(D)가 50 mm가 넘는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만성 직장 합병증의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결 론: 자궁경부암에서 고선량률 강내치료시 반도체 선량계를 이용한 측정 누적 직장 BED와 5 Gy 등선량 체적 깊이를 계산함으로써 만성 직장 합병증을 예측하고 그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