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anagement of white spots: resin infiltration technique and microabrasion

        손정혜,허복,김현철,박정길 大韓齒科保存學會 2011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6 No.1

        현 증례보고는 백색 병소의 치료에 있어 Icon (DMG)을 사용한 레진 침투법과 Opalustre (Ultradent Products, Inc.)를 사용한 미세연마술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현 연구의 결과는 비록 두 치료 방법 모두가 백색 병소를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하였 으나, 레진 침투법이 좀 더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레진 침투법은 백색 병소의 치료에 우선적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이 때 증례 선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case report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resin infiltration technique (Icon, DMG) with microabrasion (Opalustre, Ultradent Products, Inc.) in management of white spot lesions. It demonstrates that although neither microabrasion nor resin infiltration technique can remove white spot lesions completely, resin infiltration technique seems to be more effective than microabrasion. Therefore resin infiltration technique can be chosen preferentially for management of white spot lesions and caution should be taken for case selection. [J Kor Acad Cons Dent 2011;36(1):66-71.]

      • KCI등재

        THE EFFECT OF Er,Cr:YSGG IRRADIATION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

        Son, Jeong-Hye,Kim, Hyeon-Cheol,Hur, Bock,Park, Jeong-Kil 大韓齒科保存學會 2010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Er,Cr:YSGG laser irradiation with hypersensitivity mode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Twenty extracted permanent molars were randomly assigned to six groups, according to the irradiation of Er,Cr:YSGG laser, adhesive system (Optibond FL or Clearfil SE bond) and application time of etchant (15 sec or 20 sec). Then composite resin was build up on each conditioned surface. The restored teeth were stored in distilled water at room temperature for 24 h and twelve specimens for each group were prepared. All specimens were subjected to microtensile bond strength and the fracture modes were evaluated. Also, the prepared dentin surface and laser irradiated dentin surface were examined under S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laser irradiated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no laser irradiated group. 2. Regardless of laser irradiati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Optibond FL was higher than that of Clearfil SE bond. And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20 sec etching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15 sec etching group when using Optibond FL. 3. The SEM image of laser irradiated dentin surface showed prominent peritubular dentin, opened dentinal tubules and no smear layer. 이 연구의 목적은 상아질 지각과민증 모드의 Er,Cr:YSGG 조사가 복합레진 수복물의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20개의 발거된 대구치를 사용하여 Er,Cr:YSGG 레이저 적용 유무와 사용된 접착제 시스템(Optibond FL과 Clearfil SE bond), 산의 적용 시간(15초와 20초)에 따라 여섯 그룹으로 나누었다. 노출된 교합면 상아질에 레이저 조사 후 접착제를 도포하고 복합레진으로 수복하였다. 24시간 동안 실온의 증류수에 보관 후 각 그룹 당 12개의 시편을 준비하였다. 모든 시편의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고 파절 양상을 관찰하였다. 더불어 레이저를 조사한 시편과 조사하지 않은 시편을 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레이저를 조사한 그룹은 레이저를 조사하지 않은 그룹보다 낮은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 2. 레이저 조사 유무와 관계없이, Optibond FL이 Clearfil SE bond보다 높은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나타냈으며, Optibond FL을 사용했을 때 산부식 시간이 20초인 경우가 15초인 경우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3. 레이저를 조사한 상아질의 SEM 사진은 관간상아질보다 관주상아질이 더 두드러져 보이며, 상아세관이 열려있으며 도말층은 관찰되지 않았다.

      • 자궁경부암 환자의 근접치료시 재현성 평가

        김종화,손정혜,정칠,김미화,Kim Jong-Hwa,Son Jung-Hae,Jung Chil,Kim Mi-Hwa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03 大韓放射線治療技術學會誌 Vol.15 No.1

        I. 목적 외부방사선 치료와 같이 근접치료 시에도 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해 bone의 위치와 tandem, ovoid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치료 setting의 재현성을 평가함으로써 자궁경부암 환자의 근접치료시 치료의 재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II. 대상 및 방법 1999년부터 2001년 10월까지 본원을 내원해서 근접치료를 시행한 자궁경부암 환자중 tandem, ovoid을 사용한 52명을 대상으로 근접치료시 촬영한 film(환자1명당 3회촬영)을 가지고 측정하였다. Os을 기준으로 환자의 center축을 잡고 tandem, ovoid의 위치와 pubic symphysis, sacrum, coccyx등과의 거리를 각각 측정하여 치료 setting의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III. 결과 환자 52명에 대한 tandem, ovoid의 위치와 pubic symphysis, sacrum, coccyx등과의 거리에 대한 표준 편차 결과는 다음과 같은 분포로 나타났다. 1) 각 tandem angle 의 표준편차는 $0^{\circ}{\sim}2.89^{\circ}$이다. 2) pubic symphysis에서 Os까지의 높이는 $0cm{\sim}0.79cm$ 3) sacrum에서 tandem tip까지의 거리는 $0cm{\sim}0.9cm$ 4) Os level에서 coccyx까지의 거리는 $0.06cm{\sim}0.76cm$ 5) ovoid tip에서 Os까지의 거리는 오른쪽은 $0cm{\sim}0.53cm$ 6) ovoid tip에서 Os까지의 거리는 왼쪽은 $0cm{\sim}0.45cm$ 7) 첫번째 source위치에서 ovoid사이의 거리는 $0cm{\sim}0.36cm$ 8) tandem에서 ovoid tip까지의 거리는 $0cm{\sim}0.31cm$ IV. 결론 자궁경부암 치료에 있어 근접치료는 중요한 치료 방법이다. 환자 치료간에 재현성을 평가해본 결과 대체로 만족 할 만한 수치를 보였으며 고선량율 근접치료에서 재현성 평가는 중요할 것이고 계속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I. Purpose Brachytherapy is the main component in treatment of patients with uterine cervical cancer. The reproducibility of applicator position in the same patient at repeated treatments was very important for accurate dose delivery. It was aimed to evaluate the change of applicator location between each high dose rate(HDR) brachytherapy insertion in the patients with uterine cervical cancer. II.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9 to October 2001, total 52 patients were treated with external beam radiotherapy and HDR brachytherapy (Microselectron, Nucletron). During six to seven times of brachytherapy, all patients had three treatment plans. From the orthogonal radiographs, we measured the following variables; height from upper border of pubic bone to os (HPO), distance from sacral promontory to tip of tandem (DST), distance from coccyx to os (DCO), distance from tip of right ovoid to os (DRO), distance from tip of left ovoid to os (DLO), and distance from center of the first tandem source to ovoid (DTO).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applicator position, it was calculated the standard deviation of differences between three insertions for the 7 parameters in each patient. III. Results The ranges of standard deviations of interfractional differences for the variables were as follows. 1)HPO : $0{\sim}0.79cm$ 2)DST : $0{\sim}0.9cm$ 3)DCO : $0.06{\sim}0.76cm$ 4)DRO : $0{\sim}0.53cm$ 5)DLO : $0{\sim}0.45cm$ 6) DTO $0{\sim}0.36cm$ IV. Conclusions There was some change in applicator position on repeated implants in our study. But variation of the interfractional differences was minimal; in all parameters, there were less than 1 cm. We are continued to try for reducing the geometric variation between each procedure.

      • Provil과 cerrobend을 이용한 electron 차폐물 제작

        김종화,이강현,손정혜,Kim, Jong-Wa,Lee, Kang-Hyun,Son, Jeong-Hye 대한방사선치료학회 1996 大韓放射線治療技術學會誌 Vol.8 No.1

        The skin cancer is a highly curable disease which frequently occurs in the head and neck region exposed to the sun. When the eyelid is treated usually eye shield made of lead is used to protect the eyeball as a internal shield. For the same reason on internal shield should be used when the nose is treated when electron to protect the nasal mucosa. Our hospital made an internal shield for the treatment of the skin cancer on the nose using provil and cerrobe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shield were examined.

      • KCI등재후보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후에 발생한 직장출혈과 치료

        전미선,강승희,길훈종,오영택,손정혜,정혜영,유희석,이광재,Chun Mison,Kang Seunghee,Kil Hoon-Jong,Oh Young-Taek,Sohn Jeong-Hye,Jung Hye-Young,Ryu Hee Suk,Lee Kwang-Ja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4

        목적 : 자궁경부암의 경우 종양에 충분한 양의 방사선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직장도 고선량의 방사선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직장염을 비롯한 만성부작용이 발생하며 직장 출혈 빈도를 $5\~30\%$ 보고하고 있다. 저자는 완치 목적의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직장 출혈 빈도와 그와 관련된 위험인자들을 분석하고 치료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9월과 1999년 12월 사이에 방사선 단독치료를 받은 213명의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90명이 외부 방사선치료의 일부를 하루 2회씩 받았다(변형된 다분할 방사선치료). 자궁주위조직의 외부 방사선량은 총 $51\~59\;Gy$였고 근접방사선치료로 A점에 총 $28\~30\;Gy$ (4 Gy씩 7회 혹은 5 Gy씩 6회)를 조사하였다. 직장에 조사된 선량은 ICRU 38에서 정한 위치와, 모의촬영필름에서 바리움에 의해 구분되는 직장 앞쪽 벽의 한 점을 선정하여 계산하였다. 직장출혈의 정도는 LENT/SOMA에 따라 분류하였다. 추적관찰 기간은 $12\~86$개월(중앙값 39개월)이었다. 결과 : 27명$(12.7\%)$의 환자에서 직장출혈이 발생하였다(등급 2와 3:각각 16명과 2명, $8.5\%$). 이들 중에서 추적관찰 기간동안 질-직장루 또는 폐쇄로 진행된 경우는 없었다 발생시기는 대부분의 환자에서$(92.6\%)$ 치료 종료 후 2년 이내였다(중앙값 16개월). 단변량분석에서 위험인자로 icruCRBED (직장이 받은 총 생물학적 동등선량), 자궁주위조직의 방사선량, 및 병기였다. icruCRBED가 100 미만인 경우와 100 이상인 경우 $4.2\%$ 대 $19.7\%$, 자궁주위조직에 대한 조사선량 55 Gy 미만과 그 이상인 경우가 $5.1\%$ 대 $22.1\%$, 병기 II 이하인 경우와 III 이상인 경우가 $10.5\%$ 대 $31.8\%$였다. 다변량분석에서는 icruCREED 만이 유의하였다(0=0.0432). 등급 1 출혈은 자연적으로 소실되거나(3명) $1\~2$개월의 sucralfate 관장으로 멈추었다. 등급 2의 환자 6명은 $1\~2$개월 동안 sucralfate 관장으로 출혈의 빈도와 양이 줄어들었고 이 중 4명은 전기응고술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다른 9명은 전기응고술을 먼저 시행하였다(4명; sucralfate 관장 병행). 모두 $3\~10$개월 내에 정지되었다. 등급 3의 출혈은 잦은 전기응고술과 수혈을 요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중등도 이상의 직장출혈빈도가 $8.5\%$로 타 문헌에서 보고된 빈도와 유사한 결과였다. 직장에 조사된 총 생물학적 동등선량이 100 Gy 이상인 경우에 직장출혈이 유의하게 증가하므로, 치료계획시 생물학적 동등선량을 고려함으로써 휴유증 감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직장출혈이 발생한 환자에서 조기에 적극적으로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출혈로 인한 불편함을 신속하게 해결하고 이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삶의 질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Radiotherapy is the main treatment modality for uterine cervix cancer. Since the rectum is in the radiation target volume, rectal bleeding is a common late side effect. This study evaluates the risk factors of radiation induced rectal bleeding and discusses its optimal management. Materials and Methods : total of 213 patients who completed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EBRT) and intracavitary radiation (ICR) between September 1994 and December 1999 were included in this study. No patient had undergon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Ninety patients received radiotherapy according to a modified hyperfractionated schedule. A midline block was placed at a pelvic dose of between 30.6 Gy to 39.6 Gy. The total parametrial dose from the EBRT was 51 to 59 Gy depending on the extent of their disease. The Point A dose from the HDR brachytherapy was 28 Gy to 30 Gy $(4\;Gy\times7,\;or\;5\;Gy\times6)$. The rectal point dose was calculated either by the ICRU 38 guideline, or by anterior rectal wall point seen on radiographs, with barium contrast. Rectal bleeding was scored by the LENT/SOMA criteria. For the management of rectal bleeding, we opted for observation, sucralfate enema or coagulation based on the frequency or amount of bleeding.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9 months $(12\~86\;months)$. Results : The incidence of rectal bleeding was $12.7\%$ (27/213); graded as 1 in 9 patients, grade 2 in 16 and grade 3 in 2. The overall moderate and severe rectal complication rate was $8.5\%$. Most complications $(92.6\%)$ developed within 2 years following completion of radiotherapy (median 16 months). No patient progressed to rectal fistula or obstruction during the follow-up period. In the univariate analysis, three factors correlated with a high incidence of bleeding an icruCRBED greater than 100 Gy $(19.7\%\;vs.\;4.2\%)$, an EBRT dose to the parametrium over 55 Gy $(22.1\%\;vs.\;5.1\%)$ and higher stages of III and IV $(31.8\%\;vs.\;10.5\%)$.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icruCRBED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p>0.0432). The total parametrial dose from the EBRT had borderline significance (p=0.0546). Grade 1 bleeding was controlled without further management (3 patients), or with sucralfate enema 1 to 2 months after treatment. For grade 2 bleeding, sucralfate enema for 1 to 2 months reduced the frequency or amount of bleeding but for residual bleeding, additional coagulation was peformed, where immediate cessation of bleeding was achieved (symptom duration of 3 to 10 months). Grade 3 bleeding lasted for 1 year even with multiple transfusions and coagulations. Conclusion : Moderate and several rectal bleeding occurred in $8.5\%$ of patients, which is comparable with other reports.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for rectal bleeding was the accumulated dose to the rectum (icruCRBED), which corrected with consideration to biological equivalence. Prompt management of rectal bleeding, with a combination of sucralfate enema and coagulation, reduced the duration of the symptom, and minimized the anxiety/discomfort of patients.

      • SCOPUSKCI등재

        유방암의 접선 조사시 피폭 폐용적

        오영택(Young Taek Oh),김주리(Juree Kim),강해진(Haejin Kang),손정혜(Jeong Hye Sohn),강승희(Seung Hee Kang),전미선(Mison Chu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5 No.2

        목 적 : 유방암의 방사선 치료에서 가장 유의하여 할 사항 중의 하나인 방사선 폐렴 등의 폐합병증은 피폭 폐용적, 방사선량율, 방사선량 등의 영향을 받으며 그 중에서도 피폭 폐용적의 정도가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피폭 폐용적의 정량적인 측정 자료는 매우 드물며 피폭 폐용적의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보고도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대부분이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보고이다. 이에 본 저자들은 본원에서 치료받은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접선조사시의 피폭 폐용적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간접적으로 피폭 폐용적을 예측할 수 있다고 제시되고 있는 여러 인자들의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원 에 서 1995년 1월 부 터 1996년 8월 까지 접선 조사방식으로 방사선 치료를 시행 받은 유방암환자 중 치료 계획용 컴퓨터 단층 촬영을 시행한 25명을 대상으로 폐용적을 측정하였다 . 각각의 환자에서 피폭 폐용적을 예 측 할 수 있는 인자로서 1) 치료 계획 필름의 조사면 중심에서의 후방 접선으로부터 전방 흉벽의 뒷면까지의 수직선상거리인 Central Lung Distance (CLD), 2) 치료계획 필름의 후방 접선으로부터 전방 흉벽의 뒷면까지의 수직선중 가장 긴 수직선의 거리인 Maximum Lung Distance(MLD), 3) 치료 계획용 컴퓨터 단층 촬영 필름의 조사면 중심사진에서의 후방 접선으로부터 전방 흉벽의 뒷면까지의 거리인 Greatest Perpendicular Distance (GPD), 4) 치료계획 필름 상의 조사면의 세로길이(L)를 측정하였고 피폭 폐용적을 구하기 위하여 치료 계획상의 Dose Volume Histogram(DVH) 자료에서 양측 전체 폐용적(EV), 동측 전체 폐용적(IV) 및 피폭 폐용적(RV)을 측정하고, 서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총 25명 대상 환자의 연령은 23-67세로(중앙 연령 41세) 우측 유방암이 14예, 좌측 유방암이 11예 있었다. 전체 환자의 CLD는 평균 2.2cm(1.9-3.3cm), MLD는 평균 2.4cm(1.9-3.3 cm) 그리고 GPD는 평균 2.3cm(1.4-3.1cm)이었으며 L은 16-23cm이었다. CLD 와 L을 곱한 값은 평균 42.4cm2(32-76cm2), MLD와 L의 곱은 평균 45.3cm2(34.2 -75.9cm2)였으며, GPD와 L을 곱한 값은 42.5cm2(26.6-69cm2)였다. 전체 폐용적은 1356-4092cc로 평균 3052cc였으며 우측 폐는 584-2554cc 평균 1671cc였고 좌측 폐는 632-2252 cc로 평균 1379cc였다. 피폭 폐용적은 61-279cc(평균 170cc)로 양측 전체 폐용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RV/EV)은 2.9-13%(평균 5.8%) 이고 동측 폐용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은(RV/IV) 4.9-29.6(평균 12.2%)였다. CLD, MLD, GPD, L, CLD*L, MLD*L, GPD*L 등의 변화에 따른 RV, RV/EV, RV/IV 등의 피폭 폐용적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구할 수 없었으며 CLD가 3cm 이하인 24명의 환자에서 RV/EV는 10% 이내였다. 좌우 폐의 비교에서 RV/IV 이 좌측 유방암 환자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RV/EV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결 론 :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접선 조사방식에서 CLD를 3cm 이내로 제한하는 경우 CLD 등의 변화폭이 작아서 피폭 폐용적과의 상관관계를 구할 수는 없으나 피폭 폐용적의 정도는 다른보고들을 고려할때 적절하였고 좌측 유방암 환자에서의 피폭 폐용적이 동측 전체 폐용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우측 유방암 환자에 비해 높았으나 양측 전체 폐용적에 대한 비율은 동일하였다. Purpose : Radiation pneumonitis is one of the complications caused by radiation therapy that includes a portion of the lung tissue. The severity of radiation induced pulmonary dysfunction depends on the irradiated lung volume, total dose, dose rate and underlying pulmonary function. It also depends on whether chemotherapy is done or not. The irradiated lung volum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predict the pulmonary dysfunct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following radiation therapy. There are some data that show the irradiated lung volume measured from CT scans as a part of treatment planning with the tangential beams. But such data have not been reported in Korea. We planned to evaluate the irradiated lung volume quantitatively using CT scans for the breast tangential field and search for useful factors that could predict the irradiated lung volume. Materials and Methods : The lung volume was measured for 25 patients with breast cancer irradiated with tangential field from Jan.1995 to Aug.1996. Parameters that can predict the irradiated lung volume included; (1) the perpendicular distance from the posterior tangential edge to the posterior part of the anterior chest wall at the center of the field (CLD); (2) the maximum perpendicular distance from the posterior tangential field edge to the posterior part of the anterior chest wall (MLD); (3) the greatest perpendicular distance from the posterior tangential edge to the posterior part of anterior chest wall on CT image at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field (GPD); (4)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field (L). The irradiated lung volume(RV), the entire both lung volume(EV) and the ipsilateral lung volume(IV) were measured using dose volume histogra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rradiated lung volume and predictors was evaluated by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RV is 61-279cc (mean 170cc), the RV/EV is 2.9-13.0% (mean 5.8%) and the RV/IV is 4.9-29.6% (mean 12.2%). The CLD, the MLD and the GPD are 1.9-3.3cm, 1.9-3.3cm and 1.4-3.1cm respectively. The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the irradiated lung volume such as RV, RV/EV, RV/IV and parameters such as CLD, MLD, GPD, L, CLD×L, MLD×L and GPD×L are not found with little variances in parameters. The RV/IV of the left breast irradiation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the right but the RV/EV s do not show the differences. There is no symptomatic radiation pneumonitis at least during 6 months follow up. Conclusion :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irradiated lung volume and predictors is not found with little variation on parameters. The irradiated lung volume in the tangential field is less than 10% of entire lung volume when CLD is less than 3cm. The RV/IV of the left tangential field is larger than that of the righ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V/EVs. Symptomatic radiation pneumonitis has not occurred during minimum 6 months follow 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