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Correlation Between Response to Induction Chemotherapy and Subsequent Radiotherapy in Previously Untreated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Head and Neck

        박우윤,류성렬,고경환,조철구,박영환,심윤상,오경균,이용식,Park Woo Yoon,Yoo Seong Yul,Koh Kyoung Hwan,Cho Chul Koo,Park Young Hwan,Shim Youn Sang,Oh Kyung Kyoon,Lee Yong Sik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8 No.2

        유도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후 종양 관해의 상호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1986년부터 1989년까지 원자력병원에서 소정의 충분한 유도화학요법과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국소적으로 진행된 두경부 악성종양 환자 60예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유도화학요법은 CDDP를 기본으로한 복합요법을 2 내지 3회 시행한바, 20예에서 Bleomycin+CDDP(BP), 37예에서 5-FU+CDDP(FP), 그리고 3예에서 BP/FP의 교대요법을 시행하였으며, 방사선은 병소에 따라서 65 Gy 내지 75 Gy 또는 그이상을 조사하였다. 유도화학요법에 의한 종양의 관해율은원발병소에서는 $80\%$(48/60), 경부임파절에서는 $79\%$(31/39)였으며, 약제, T-병기, 그리고 N-병기에 의한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방사선조사 6개월후 원발부위에서는 $67\%$(40/60)의 완전관해를, 경부임파절에서는 $77\%$(30/39)의 완전관해를 보인바, 이를 유도화학요법에 의한 관해 유무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원발부위에서는 유도화학요법에 의한 관해(완전관해 또는 부분 관해)를 얻었던 48예중 39예에서 완전관해를 얻었으나($81\%$), 관해를 얻지못한 12예에서는 1예에서만이 방사선 치료에 의해 완전관해를 얻을 수 있었으며 ($8\%$) (p<0.0005), 경부임파절에서는 유도화학요법에 의해 관해를 얻었던 32예중 28예에서 완전관해를 얻은 반면 ($90\%$), 관해를 얻지 못한 8예에서는 2예에서만이 방사선 치료에 의해 완전관해를 얻을 수 있었던바($25\%$) (p<0.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이를 원발부위, T-병기 그리고 N-병기에 따라 분석해본 결과, 특히 T-병기중 T3, 4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나(p<0.0005), T1, 2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 되지 않았다(0.3<p), 따라서 유도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에 의한 종양의 관해 정도는 대체적으로 상호연관성이 관찰되고 있으나, 초기 병변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관찰되지 않는바 유도화학요법에 의해 관해가 없더라도 방사선 치료에 의해 완전관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ponse to induction chemotherapy and subsequent radiotherapy we analyzed the clinical records of 60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retrospectively who had completed a full course ($2\~3$ cycle) of induction chemotherapy and curative radiotherapy in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between 1986 and 1989. Chemotherapy was administeredd with CDDP+Bleomycin (BP) in 20, CDDP+5-FU (FP) in 37, and hybrid of BP and FP in three patients. Radiotherapy was giver conventionally with a dose of 65 to 75 Gy or more over seven to eight weeks according to the size of lesion. Response rates following induction chemotherapy were $80\%$ for the tumors and $879\%$ for the nodes whereas complete reponse rates were $12\%\;and\;13\%$, respectively. Six months after radiotherapy $67\%$ of the tumors and $77\%$ of the nodes achieved a complete response. Among the 48 tumor responders and the 31 nodal responders to chemotherapy,39 ($81\%$) and 28 ($90\%$), respectively, achieved complete response after radiotherapy. Thus, whether or not the tumor and node respond to induction chemotherapy was predictive of the response to subsequent radiotherapy (p<0.0005 in tumor, p<0.0001 in node). By reanalyzing according to disease subsets (i.e. primary site, T-stage, N-stage) this relationship was not observed at T1-T2 disease (p>0.3). Therefore the tumor or node's response to induction chemotherapy is a predictor for subsequent radiotherapy except in T1-T2 tumors, and complete response to radiotherapy can be expected despite the failure of induction chemotherapy in $T_1-T_2$ tumors.

      • SCOPUSKCI등재

        인체 암세포주에서 방사선감수성의 지표간의 상호관계

        박우윤,김원동,민경수,Park, Woo-Yoon,Kim, Won-Dong,Min, Kyung-So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2

        목적 : 임상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위선암, 폐선암, 망막세포종, 자궁경부 편평상피암의 4가지 인 체암세포주(MKN-45, PC-14, Y-79, HeL)를 이용하여 방사선조사후 세포생존분획 및 세포생존곡선의 모양을 결정하는 지표를 구하고 방사선조사후 손상 회복정도를 측정하여 이들 여러 지표간의 상관관계 여부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실험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각 세포주의 방사선감수성을 보기 위하여 1, 2, 3, 5, 7 및 10Gy의 방사선을 1 회 조사하였고 방사선조사후 준치사손상 회복정도를 보기 위하여 5Gy씩 2회의 방사선조사를 0, 1, 2, 3, 4, 6 및 24시간 간격으로 시행하였다. 세포의 생존분획은 $Sperman-K\"{a}rbor$ 방법으로 세포집락형성능력을 측정하여 산출하였으며 생존곡선의 수학적 분석은 linear-quadratic(LQ), multitarget-single hit(MS) 모형과 mean inactivation $dose(\v{D})$를 이용하였다. 결과 : 방사선조사후의 세포생존 실험결과 2Gy에서의 세포생존분획(SF2)은 0.174에서 0.85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Y-79는 유의하게 낮은 SF2를, PC-14는 높은 SF2를 나타내었다(p<0.05, t-test). LQ model로 분석한 방사선 세포생존곡선의 분석결과 Y-79, MKN-45, HeLa, PC-14에서 ${\alpha}$가 각각 0.603, 0.355, 0.275, 0.102이었고 ${\beta}$는 각각 0.005, 0.016, 0.025, 0.027이었다. MS model로 분석한 결과는 Y-79, MKN-45, HeLa, PC-14에서 Do가 각각 1.59, 1.84, 1.88, 2.52였고 n은 0.97, 1.46, 1.52, 1.69를 보였다. 한편 Gauss-Laguerre방법으로 계산한 $\v{D}$는 Y-79, MKN-45, HeLa, PC-14에서 각각 1.62, 2.37, 2.61, 3.95였다. SF2가 감소함에 따라 ${\alpha}$값은 증가하였고 Do, $\v{D}$값은 감소하였으며 이들간의 Pearson 상관계수는 각각 0.953, 0.993, 0.999였다. (p<0.05). 분할조사에 의한 준치사손상 회복정도는 약 4시간 내외에 포화상태에 도달하였으며 포화상태의 recovery ratio(RR)는 2에서 3.79 사이였다. RR은 방사선감수성의 지표인 SF2, ${\alpha}$, ${\beta}$, Do, $\v{D}$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네가지 인체상피암세포주의 내재적 발사선감수성은 서로 상이하였으며 Y-79가 가장 민감하였고, MKN-45와 HeLa는 각각 중등도의 방사선감수성을 나타냈으며 PC-14는 방사선감수성이 가장 낮았다. 이와같은 감수성의 차이는 SF2, ${\alpha}$, Do와 $\v{D}$의 차이로 나타났으며 띠들간에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방사선에 의한 준치사손상 회복력은 MKN-45와 HeLa에서 높게 나타났고 회복력과 방사선감수성과는 무관하였다. 각 암세포주에 따르는 이와같은 지표들은 향후 방사선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사선생물학 실험의 기초 자료로서 이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 We conducted clonogenic assay using human cancer cell lines (MKN-45, PC-14, Y-79, HeLa) to investigate a correlation between the parameters of radiosensitivity. Materials and Methods : Human cancer cell lines were irradiated with single doses of 1, 2, 3, 5, 7 and 10Gy for the study of radiosensitivity and subrethal damage repair capacity was assessed with two fractions of 5Gy separated with a time interval of 0, 1, 2, 3, 4, 6 and 24 hours. Surviving fraction was assessed with clonogenic assay using $Sperman-H\"{a}rbor$ method and mathematical analysis of survival curves was done with linear-quadratic (LQ) , multitarget-single hit(MS) model and mean inactivation dose$(\v{D})$. Results : Surviving fractions at 2Gy(SF2) were variable among the cell lines, ranged from 0.174 to 0.85 The SF2 of Y-79 was lowest and that of PC-14 was highest(p<0.05, t-test). LQ model analysis showed that the values of $\alpha$ for Y-79, MKN-45, HeLa and PC-14 were 0.603, 0.356, 0.275 and 0.102 respectively, and those of $\beta$ were 0.005, 0.016, 0.025 and 0.027 respectively. Fitting to MS model showed that the values of Do for Y-79. MKN-45, HeLa and PC-14 were 1.59. 1.84. 1.88 and 2.52 respectively, and those of n were 0.97, 1.46, 1.52 and 1 69 respectively. The $\v{D}s$ calculated by Gauss-Laguerre method were 1.62, 2.37, 2,01 and 3.95 respectively So the SF2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pha$, Do and $\v{D}$. Their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cics were -0.953 and 0,993. 0.999 respectively(p<0.05). Sublethal damage repair was saturated around 4 hours and recovery ratios (RR) at plateau phase ranged from 2 to 3.79. But RR was not correlated with SF2, ${\alpha}$, ${\beta}$, Do, $\v{D}$. Conclusion : The intrinsic radiosensitivity was very different among the tested human cell lines. Y-79 was the most sensitive and PC-l4 was the least sensitive. SF2 was well correlated with ${\alpha}$, Do, and $\v{D}$. RR was high for MKN-45 and HeLa but had nothing to do with radiosensitivity parameters. These basic parameters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various in vitro radiobiological experiments.

      • SCOPUSKCI등재

        The Combined Effect of Fast Neutron and Hyperthermia according to the Sequence and Interval in MKN-45 Cells

        박우윤,류성렬,조철구,Park, Woo-Yoon,Yoo, Seong-Yul,Cho, Chul-Koo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1

        목적 : 온열치료는 엑스선 또는 감마선 등 LET 가 낮은 방사선에 대한 세포 및 조직에서의 반응을 증강시킬 수 있음이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다른 종류의 방사선과 온열치료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속중성자와 온열치료의 순서 및 시간간격에 따른 병용효과를 파악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사람 위암세포주인 MKN-45 세포에서 1.5Gy 의 중성자조사 전후 각 6, 4, 2, 0(5분) 시간 간격으로 41$^{\circ}C$ 또는 43$^{\circ}C$ 에서 30분간의 온열치료 시행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 MKN-45 의 D$_{0}$ 와 n 은 각각 0.8Gy 와 2.5 이었고, 1.5Gy 에서의 생존분획은 0.36($\pm0.34$) 이었다. 시간 간격에 따른 상호작용력은 대부분 1 과 2 사이였으나, 41$^{\circ}C$ 의 온열치료후 4 또는 6시간에 시행한 중성자조사에서는 상호작용력이 각각 3.0 과 2.7 이었다. 결론 : 속중성자와 온열치료의 병용효과는 주로 상가적(additive) 이나, 약온열치료(41$^{\circ}C$, 30분) 가 4 또는 6시간 전에 시행된 경우 후속 중성자조사에 대한 내성이 유발될 수있다. Purpose : It has been well established that the response of cells and tissues to low LET radiations (X- or gamma-ray) can be enhanced by combining with hyperthermia. However, there has been relatively little work of hyperthermia on the possible modification of either cellular or tissue responses to other types of radiation. So, we investigated the combined effect of fast neutron irradiation and hyperthermia according to the sequence and time interval of the two. Materials and Methods : In MKN-45 cells, a human stomach cancer ceil line, suwiving fractions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sequential treatment of 0, 4, 2, 0 hour-intewal for fast neutron irradiation (1.5 Gy) combined with hyperthermia (41 $^{\circ}C$ for 30 min or 43$^{\circ}C$ for 30 min). Results : D$_{0}$ and n of MKN-45 for neutron were 0.8 Gy and 2.5, respectively. The surviving fraction by 1.5 Gy of neutron was 0.36$\pm$0.34. Interacting powers were mostly ranged between 1 and 2, but they were 3.0 and 2.7, respectively for hyperthermia (41 $^{\circ}C$ for 30 min) fellowed by neutron irradiation 6 and 4 hours later. Conclusion : The combined effect of fast neutron (1.5 Gy) and hyperthermia (41 $^{\circ}C$ or 43$^{\circ}C$ for 30min) is largely independently additive. Preceding mild hyperthermia (41 $^{\circ}C$ for 30 min) 4 or 6 hours before neutron may cause decreased sensitivity to subsequent neutron irradiation.

      • SCOPUSKCI등재

        Postoperative Irradiation for Prevention of Heterotopic Bone Formation after 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박우윤,김일한,하성환,박찬일,Park Woo Yoon,Kim Il Han,Ha Sung Whan,Park Charn Il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8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4 No.1

        관절주위 골형성은 고관절치환 성형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0.6\~61.7\%$에서 생친 수 있는 합병증이다. 저자들은 1981년 1월부터 1985년 5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고관절전치환 성형술 후 관절주위 골형성 예방을 위하여 방사선요법을 시행받은 4명의 환자(8개의 고관절)를 분석하였다. 방사선요법은 수술후 $6\~10$일이내 시작하였으며 2,000cGy를 10회 분할 조사하였다. Modified Brooker system에 의하여 7계의 고관절에서는 Grade(1개 의고관절에서는 Grade) 2의 결과를 얻었다. 저자들의 이번 연구결과 및 문헌조사에 의하면 고관절 성형술 후 관절주위 골형성 예방을 위하여 호발군에 있어서의 방사선요법은 효과적이라고 하겠다. Heterotopic bone formation is a complication which occurs in 0.6 to $61.7\%$ of patients after 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We reviewed 4 patients (8 hips) who received postoperative irradiation on their hi ps for prevention of heterotopic bone formation in the Department of Therapeutic of Therapeutic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versify Hospital from January 1981 through August 1985. Radiation therapy was started 6 to 10 days postoperatively with the dosage of 2,000 cGy given in 10 fractions. As a result, 7 hips had Grade 0 and 1 hip had Grade 1 heterotopic ossification according to modified Blocker system. Our resul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s strongly support that the postoperative radiotherapy is effective for prevention of heterotopic bone formation in high risk group.

      • SCOPUSKCI등재

        Correlation Between Response to Induction chemotherapy and Subsequent Radiotherapy in Previously Untreated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Head and Neck

        Woo Yoon Park(박우윤),Seong Yul Yoo(류성렬),Kyong Hwan Koh(고경환),Chul Koo Cho(조철구),Young Hwan Park(박영환),Youn Sang shim(심윤상),Kyung Kyoon Oh(오경균),Yong Sik Lee(이용식)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8 No.2

        유도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후 종양 관해의 상호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1986년부터 1989년까지 원자력병원에서 소정의 충분한 유도화학요법과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국소적으로 진행된 두경부 악성종양 환자 60예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유도화학요법은 CDDP를 기본으로한 복합요법을 2내지 3회 시행한바, 20에에서 Bleomycin + CDDP(BP), 37예에서 5-FU+CDDP(FP), 그리고 3예에서 BP/FP의 교대요법을 시행하였으며, 방사선은 병소에 따라서 65Gy 내지 75GY 또는 그 이상을 조사하였다. 유도화학요법에 의한 종양의 관해율은 원발병소에서는 80%(48/60), 경부임파절에서는 79%(31/39)였으며, 약제, T-병기, 그리고 N-병기에 의한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방사선조사 6개월후 원발부위에서는 67%(40/60)의 완전관해를, 경부임파절에서는 77%(30/39)의 완전관해를 보인바, 이를 유도화학요법에 의한 관해 유무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원발부위에서는 유도화학요법에 의한 관해(완전관해 또는 부분관해)를 얻었던 48예중 39예에서 완전관해를 얻었으나(81%), 관해를 얻지 못한 12예에서는 1예에서만이 방사선 치료에 의해 완전관해를 얻을 수 잇었으며(8%)(p<0.0005), 경부임파절에서는 유도화학요법에 의해 관해를 얻었던 32예중 28예에서 완전관해를 얻은 반면(90%), 관해를 얻지 못한 8예에서는 2예에서만이 방사선 치료에 의해 완전관해를 얻을 수 있었던바 (25%)(p<0.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이를 원발부위, T-병기 그리고 N-병기에 따라 분석해본 결과, 특히 T-병기중 T3,4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p<0.0005), T1,2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0.3<p). 따라서 유도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에 의한 종양의 관해정도는 대체적으로 상호연관성이 관찰되고 있으나, 초기 병변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관찰되지 않는바 유도화학요법에 의해 관해가 없더라도 방사선 치료에 의해 완전관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ponse to induction chemotherapy and subsequent radiotherapy we analyzed the clinical records of 60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retrospectively who had completed a full course(2~3 cycle) of induction chemotherapy and curative radiotherapy in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between 1986 and 1989. Chemotherapy was administered with CDDP+Bleomycin (BP)in 20, CDDP+5-FU(FP) in 37, and hybrid of BP and FP in three patients. Radiotherapy was given conventionally with a dose of 65 to 75 Gy or more over seven to eight weeks according to the size of lesion. Response rates following induction chemotherapy were 80% for the tumors and 79% for the nodes whereas complete response rates were 12% and 13%, respectively. Six months after radiotherapy 67% of the the tumors and 77% of the nodes achieved a complete response. Among the 48 tumor responders and the 31 nodal responders to chemotherapy. 39(81%) and 28(90%), respectively, achieves complete response ofter radiotherapy. Thus, whether or not the tumor and node respond to induction chemotherapy was predictive of the response to subsequent radiotherapy (p<0.0005 in tumor, p<0.0001 in node). By reanalyzing according to disease (p>0.3). Therefore the tumor of node's response to induction chemotherapy is a predictor for subsequent radiotherapy except in T1-t2 tumors, and complete response to radiotherapy can be expected despite the failure of induction chemotherapy in T1-T2 tumors.

      • SCOPUSKCI등재

        1)인체 암세포주에서 방사선감수 성의 지표간의 상호관계

        박우윤(Woo Yoon Park),김원동(Won Dong Kim),민경수(Kyung Soo Mi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2

        목 적 : 임상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위선암, 폐선암, 망막세포종, 자궁경부 편평상피암의 4가지 인체암세포주(MKN-45, PC- 14, Y-79, HeLa)를 이용하여 방사선조사후 세포생존분획 및 세포생존곡선의 모양을 결정하는 지표를 구하고 방사선조사후 손상 회복정도를 측정하여 이들 여러 지표간의 상관관계 여부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실험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각 세포주의 방사선감수성을 보기 위하여 1, 2, 3, 5, 7 및 10Gy의 방사선을 1 회 조사하였고 방사선조사후 준치사손상 회복정도를 보기 위하여 5Gy씩 2회의 방사선조사를 0, 1, 2, 3, 4, 6 및 24시간 간격으로 시행하였다. 세포의 생존분획은 Sperman-K rber 방법으로 세포 집락형성능력을 측정하여 산출하였으며 생존곡선의 수학적 분석은 linear-quadratic(LQ), multitarget-single hit(MS) 모형과 mean inactivation dose( )를 이용하였다. 결 과 : 방사선조사후의 세포생존 실험결과 2Gy에서의 세포생존분획(SF2)은 0.174에서 0.85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Y-79는 유의하게 낮은 SF2를, PC-14는 높은 SF2를 나타내었다(p<0.05, t-test). LQ model로 분석한 방사선 세포생존곡선의 분석결과 Y-79, MKN-45, HeLa, PC-14에서 α가 각각 0.603, 0.356, 0.275, 0.102이었고 β는 각각 0.005, 0.016, 0.025, 0.027이었다. MS model로 분석한 결과는 Y-79, MKN-45, HeLa, PC-14에서 Do가 각각 1.59, 1.84, 1.88, 2.52였고 n은 0.97, 1.46, 1.52, 1.69를 보였다. 한편 Gauss-Laguerre방법으로 계산한는 Y-79, MKN-45, HeLa, PC-14에서 각각 1.62, 2.37, 2.61, 3.95였다. SF2가 감소함에 따라 α값은 증가하였고 Do, 값은 감소하였으며 이들간의 Pearson 상관계수는 각각 -0.953, 0.993, 0.999였다 (p<0.05). 분할조사에 의한 준치사손상 회복정도는 약 4시간 내외에 포화상태에 도달하였으며 포화상태의 recovery ratio(RR)는 2에서 3.79 사이였다. RR은 방사선감수성의 지표인 SF2, α, β, Do, 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 네가지 인체상피암세포주의 내재적 방사선감수성은 서로 상이하였으며 Y-79가 가장 민감하였고, MKN-45와 HeLa는 각각 중등도의 방사선감수성을 나타냈으며 PC-14는 방사선감수성이 가장 낮았다. 이와같은 감수성의 차이는 SF2, α, Do와 의 차이로 나타났으며 이들간에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방사선에 의한 준치사손상 회복력은 MKN-45와 HeLa에서 높게 나타났고 회복력과 방사선감수성과는 무관하였다. 각 암세포주에 따르는 이와같은 지표들은 향후 방사선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사선생물학 실험의 기초 자료로서 이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We conducted clonogenic assay using human cancer cell lines (MKN-45, PC-14, Y-79, HeLa) to investigate a correlation between the parameters of radiosensitivity. Materials and Methods : Human cancer cell lines were irradiated with single doses of 1, 2, 3, 5, 7 and 10Gy for the study of radiosensitivity and sublethal damage repair capacity was assessed with two fractions of 5Gy separated with a time interval of 0, 1, 2, 3, 4, 6 and 24 hours. Surviving fraction was assessed with clonogenic assay using Sperman-K rber method and mathematical analysis of survival curves was done with linear-quadratic (LQ), multitarget-single hit(MS) model and mean inactivation dose( ). Results : Surviving fractions at 2Gy(SF2) were variable among the cell lines, ranged from 0.174 to 0.85. The SF2 of Y-79 was lowest and that of PC-14 was highest(p<0.05, t-test). LQ model analysis showed that the values of α for Y-79, MKN-45, HeLa and PC-14 were 0.603, 0.356, 0.275 and 0.102 respectively, and those of β were 0.005, 0.016, 0.025 and 0.027 respectively. Fitting to MS model showed that the values of Do for Y-79, MKN-45, HeLa and PC-14 were 1.59, 1.84, 1.88 and 2.52 respectively, and those of n were 0.97, 1.46, 1.52 and 1.69 respectively. The s calculated by Gauss-Laguerre method were 1.62, 2.37, 2.61 and 3.95 respectively. So the SF2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α, Do and . Their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cics were -0.953 and 0.993, 0.999 respectively(p<0.05). Sublethal damage repair was saturated around 4 hours and recovery ratios (RR) at plateau phase ranged from 2 to 3.79. But RR was not correlated with SF2, α, β, Do, . Conclusion : The intrinsic radiosensitivity was very different among the tested human cell lines. Y-79 was the most sensitive and PC-14 was the least sensitive. SF2 was well correlated with α , Do, and . RR was high for MKN- 45 and HeLa but had nothing to do with radiosensitivity parameters. These basic parameters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various in vitro radiobiological experiments.

      • SCOPUSKCI등재

        Treatment of Locally Unresectable Carcinoma of the Pancreas

        박우윤(Woo Yoon Park),조문준(Moon June Cho),하성환(Sung Whan Ha),박찬일(Charn Il Park),최국진(Kuk Jin Choe),이건욱(Kuhn Uk Lee),김노경(Noe Kyung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8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4 No.2

        1981년 1월부터 1985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운2명의 극소적으로 절제 불가능한 췌장암 환자를 방사선과 악물요법으로 치료하였다. 방사선은 2주의 간격을 두고 2000cGy씩 총 4000cGy를 조사하였으며 5-FU (5-fluorouracil)는 방사선 조사의 각 course의 첫 3일에 걸쳐 주입하였다. 방사선치료 종료 4주 후부터 FAM (5-FU, Adriamycin, Mitomycin)을 지속요법으로 사용하였다. 통증 완화는 22%(4/18)에서 완전관해를, 39%(7/18)에서 부분관해를 보였다. 생존기간의 중앙치는 31주였으며 치료 전 Performance status가 중요한 예후인자였다. 국소적으로 절제불가능한 췌장암의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과 FAM regimen의 병용은 통증완화 및 생존기간의 연장에 기여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와 고찰이 없어야 차겠다. From January, 1981 to December, 1985, 22 patients with locally unresectable carcinoma of the pancreas were treated in the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adiation was given in two spl it courses; each consisting of 2000 cGy over two weeks sepatated by two-week rest period. 5-FU was administered on the first three days of each radiation therapy course. FAM (5-fluorouracil, adriamycin, mitomycin) was administered for maintenance chemotherapy. For pain control, complete relief was obtained in 22% (4/18) of patients and partial relief in 39% (7/18). Median survival was 31 weeks. Pretreatment performance status was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 SCOPUSKCI등재

        Radiation Therapy of Suprasellar Germ Cell Tumors

        박우윤(Woo Yoon Park),최두호(Doo Ho Choi),최은경(Eun Kyung Choi),김일한(Il Han Kim),하성환(Sung Whan Ha),박찬일(Charn Il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8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6 No.2

        1979년부터 1985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외부 방사선조사를 시행한 15명의 뇌하수체상부 배아세포종(전이송과선종) 환자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생존자의 추적기간은 30~91개월이었다. 10명의 환자는 방사선치료전 조직학적으로 진단되었으며 나머지 5명은 조직학적 진단이 없이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9명중 배아세포종 환자 6명은 전뇌와 척추에 3명은 전뇌 조사를 시행하였다. 혼합 배아세포종 및 종양 marker 양성인 5명의 환자중 2명은 전뇌, 그리고 1명은 원발병소 부위에만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총 방사선량은 원발병소에 5,000~5,500cGy, 전뇌에 3,000~4,400cGy 그리고 척추에 1,300~3,000cGy였다. 상기 그룹 14명의 환자에서 원발병소는 완전 관해 되었으며 척추실패는 관찰되지 않았다. 조직학적 진단이 없고 marker의 상승이 없었던 한 환자에서 전죄 방사선조사를 시행하였으나 원발병소의 완전관해 없이 척추 재발이 발생하였다. 방사선치료는 뇌하수체상부 배아세포종에 유효한 치료방법이며 신경 내분비학적 양상과 함께 조직학적 진단이 불가능한 경우에 있어서 소량의 방사선치료 후 관해정도 관찰은 이후의 치료방향설정에 유요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on 15 patients with suprasellar germ cell tumors treated by megavoltage external beam irradiation between Feb. 1979 and Dec. 1985. Follow-up period of survivors was 30 to 91 moths. Histologic diagnosis was obtained before radiation therapy in 10 patients (9 germinomas and 1 mixed). Five patients were treated without histologic verification. In 9 patients with biopsy-proven germinomas radiation therapy was delivered to the craniospinal axis in 6, to the whole brain in 3. In 5 patients with mixed germ cell tumor or elevated tumor marker, irradiation was delievered to the craniospinal axis in 2, to the whole brain in 2, and to the primary site only in 1. Total doses ranged from 5,000 to 5,500 cGy to the promary site, 3,000 to 4,400 cGy to the whole brain, and 1,300 to 3,000 cGy to the spine. In these 14, local tumor was controlled and primary or spinal failure was not observed. One patient without elevated tumor marker was treated to the whole brain. The tumor was not controlled and he had spinal recurrence. Overall surviva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were 86% at 5 year. It is proven that radiation therapy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suprasellar germ cell tumors. The neuroendocrinologic presentation, tumor marker status, early response to radiation measured on CT seem to be useful means for selecting patients for radiation therapy when tissue diagnosis is not available.

      • KCI등재

        Catalase Induced by All-Trans Retinoic Acid Is Involved in Antiproliferation of 36B10 Cells

        Woo-Yoon Park(박우윤),Jae-Ran Yu(유재란)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8 No.4

        목 적: 레티노인산(All-trans retinoic acid, ATRA)은 뇌종양 세포의 증식을 억제한다. 최근 ATRA에 의한 카타라제의 유도가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ATRA의한 카타라제의 유도가 ATRA의 세포증식 억제 효과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6B10세포를 0∼50μM ATRA로 24, 48시간 처리한 후 카타라제의 mRNA, 단백질 및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반응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2',7'-dichlorofluorescin diacetat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세포사는 clonogenic assay로 측정하였다. 결 과: 카타라제의 mRNA, 단백질 및 활성도는 ATRA의 농도 및 처리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ATRA에 의해 증가한 카타라제의 활성도는 3-amino-1,2,4-triazole (ATZ)에 의해 감소하였다. ATRA에 의해 증가한 ROS는 ATZ에 의해 감소하였다. ATRA에 의해 감소한 세포 생존분획은 ATZ에 의해 부분적으로 증가하였다. 결 론: ATRA에 의해 유도된 카타라제는 ROS의 과생산과 관련 있으며 이는 36B10세포의 증식 억제를 가져온다. Purpose: All-trans retinoic acid (ATRA) has antiproliferative effects against brain tumor cells. Recently, ATRA has been reported to induce catalase. We investigated whether catalase induction by ATRA is associated with its antiproliferative effects. Materials and Methods: 36B10 cells were exposed to 0∼50μM ATRA for 24 or 48 hours and mRNA, protein, and activity of catalase were measur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ere measured using 2',7'-dichlorofluorescin diacetate. A clonogenic assay was used to confirm the cytotoxic effect. Results: The mRNA, protein, and activity of catalase were found to increase in a concentration- and incubationtime-dependent manner. The increase in catalase activity induced by ATRA was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3-amino-1,2,4-triazole (ATZ). ROS was also increased with ATRA and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ATZ. The decrease in cell survival induced by ATRA was partly rescued by ATZ. Conclusion: Catalase induction by ATRA is involved in ROS overproduction and thus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36B10 cells.

      • SCOPUSKCI등재

        Postoperative Irradiation for Prevention of Heterotopic Bone Formation after 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Woo Yoon Park(박우윤),Il Han Kim(김일한),Sung Whan Ha(하성환),Charn Il Park(박찬일)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8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4 No.1

        관절주위 골형성은 고관절치환 성형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0.6~61.7%에서 생친 수 있는 합병증이다. 저자들은 1981년 1월부터 1985년 5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고관절전치환 성형술 후 관절주위 골형성 예방을 위하여 방사선요법을 시행받은 4명의 환자(8개의 고관절)를 분석하였다. 방사선요법은 수술후 6~10일이내 시작하였으며 2,000cGy를 10회 분할 조사하였다. Modified Brooker system에 의하여 7계의 고관절에서는 Grade(1개 의고관절에서는 Grade) 2의 결과를 얻었다. 저자들의 이번 연구결과 및 문헌조사에 의하면 고관절 성형술 후 관절주위 골형성 예방을 위하여 호발군에 있어서의 방사선요법은 효과적이라고 하겠다. Heterotopic bone formation is a complication which occurs in 0.6 to 61.7% of patients after 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We reviewed 4 patients (8 hips) who received postoperative irradiation on their hi ps for prevention of heterotopic bone formation in the Department of Therapeutic of Therapeutic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versify Hospital from January 1981 through August 1985. Radiation therapy was started 6 to 10 days postoperatively with the dosage of 2,000 cGy given in 10 fractions. As a result, 7 hips had Grade 0 and 1 hip had Grade 1 heterotopic ossification according to modified Blocker system. Our resul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s strongly support that the postoperative radiotherapy is effective for prevention of heterotopic bone formation in high risk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