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시아 문화권별 관광객의 한국 방문 전반적 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신용재 ( Yongjae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여행을 목적으로 한국을 방문한 아시아 국가의 관광객이 문화권별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그 차이에 따라 어떠한 관광요소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9 외래관광객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2단계 분석(일원배치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연구결과 중국과 일본은 만족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아 동아시아 문화권으로 구분하였고 반면, 아랍문화권은 동아시아 문화권과 동남아시아 국가들과는 한국 방문 만족도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구분된 문화권역을 기준으로 한국 방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요소를 비교한 결과 동아시아 문화권은 치안과 길 찾기를 제외한 10개 요소, 동남_남부 아시아 문화권은 언어소통과 길안내 서비스를 제외한 모든 요소, 건조문화권(아랍 및 외몽골터키 문화권)은 다른 문화권들과 달리 한국방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요소가 5개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잠재적 아시아 관광객 유치 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from Asian countries who visit Korea for the purpose of travel by culture, and to find out which tourism factors affect th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To this end, a two-step analysis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of the ‘2019 Foreign Tourist Survey’. As a result of the study, China and Japan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satisfaction, so they were classified as East Asian cultures, whereas Arab cultures showed a clear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visiting Korea from East Asian cultures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ourism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visiting Korea based on the cultural regions divided according to this, the East Asian culture includes 10 factors except for security and navigation, and the Southeast_South Asian culture shows all factors except language communication and navigation service. Unlike other cultures, in the element and dry culture (Arab and Outer Mongolia and Turkey), tourism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visiting Korea were found to be less than 5.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important data for establishing strategies to attract potential Asian tourists.

      • KCI등재

        환경으로 본 안데스 전통문화와 동아시아 문화의 관계성의 원리

        박호진 ( Hojin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논문은 안데스 ​​전통문화의 관계성의 원리와 동아시아 문화의 관계성의 원리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이러한 유사점과 차이점이 두 지역의 환경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동아시아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유교의 관계성의 원리를 안데스 전통 문화의 관계성의 원리와 비교하였다. 이러한 비교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특히 환경-문화 관계론, 특히 쌀 문화권 대 밀 문화권이라는 이분법적 문화론을 제기한 이철승의 문화-환경론의 관점에서 동아시아 문화가 안데스 전통 문화와 상대적으로 유사한 이유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본 분석을 통해 강력한 협업 문화는 벼농사 문화뿐만 아니라 불안정한 물 공급과 자연재해와 같은 어려운 환경적 요인을 갖는 안데스 전통 문화에서도 발생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이 논문을 통해 동아시아 학자들이 안데스의 독특한 문화와 환경에 대한 학문적 지평을 넓히기를 바란다. This paper seeks to compare the principle of relationship in the Andean traditional culture and in East Asian culture, and it argues that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should stem from the environments of the two regions. For this purpose, the Confucian principle of relationship,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ast Asia culture, was compared with the Andean principle. On the base of this comparison, this paper analyzes why East Asian culture has relative similarities to Andean traditional culture relying on the viewpoint of the environment- culture relationship especially expounded by Cheolsung Lee (2021). He distinguishes East Asian rice farming culture from wheat farming culture. But this analysis reveals that the strong cooperative culture does not originate only from rice farming culture but other styles of farming is also accompanied with a cooperative culture, as Andean traditional culture proves. In this culture difficult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unstable water supply and natural disasters make Andean farmers keep such a strong cooperative culture as East Asian’s. Based on this paper, I hope that East Asian scholars give an attention to the Andean pecular culture and environment.

      • KCI등재

        跨⽂化視野下中國銅官窯陶瓷⽂化特⾊研究

        任群 ( Ren Qun ),金鍾其 ( Jongki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隨著經濟的全球化發展, 各國之間的交流互動變得頻繁, 而陶瓷貿易交流是唐代的中國與國外文化交流的第一個高峰, 也表現出相互影響和融合的特點。中國銅官窯是唐代著名的商業性外銷瓷窯, 其陶瓷產品沿海上絲綢之路遠銷東亞、南亞、西亞、北非等地, 創造了一千多年前藝術與商品結合的典範。本文以跨文化貿易與交流歷史語境中的銅官窯陶瓷文化為研究對象,目的是分析銅官窯陶瓷在造型、紋飾、色彩等方面表現出的跨文化特點。通過文獻研究、對比研究等方法,找到銅官窯陶瓷文化元素的文化淵源、傳播路徑以及內在的關聯。結果證明銅官窯陶瓷在向外傳播的同時,與外銷各國人民進行了文化互動,其產品受伊斯蘭、佛教藝術的影響而獨具特色, 銅官窯成功的秘訣在於其兼收並蓄、大膽創新的跨文化設計, 本文對其跨文化元素進行梳理與研究, 這對於當代跨文化產品設計將提供重要的參考借鑒作用。 With the development of economic globalization, the exchanges and interactions between countries became frequent, and the ceramic trade exchange was the first peak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China and foreign countries in the Tang Dynasty, which also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mutual influence and integration. The Chinese Tongguan kiln was a famous commercial export porcelain kiln in the Tang Dynasty. Its products created a model of the combination of art and commodities more than 1,000 years ago. This paper takes the culture of Tongguan kiln ceramics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cross-cultural trade and communication as the research object, aiming to analyze the cross-cultural characteristics of Tongguan kiln ceramics in modeling, decoration, color and other aspect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comparative study and other methods, the cultural origin, transmission path and internal correlation of the cultural elements of tongguan kiln ceramics are found. It proves that Tongguan kiln ceramics had cultural interaction with the people of export countries while spreading abroad, and its products were unique under the influence of Islamic and Buddhist art. The secret of the success of Tongguan kiln lies in its eclectic, bold and innovative cross-cultural design. This paper combs and studies its cross-cultural elements, which will provide an important reference for contemporary cross-cultural product design.

      • KCI등재

        베트남 특수학교의 학교기반 언어재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상경 ( Sangkyung Lee ),김성수 ( Sungsoo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베트남 특수학교에서 장애학생에게 제공하는 학교기반 언어재활의 의미와 그 영향 요인을 발견하여 특수학교 언어재활의 발전방안 수립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에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기반 언어재활은 ‘직업교육 도구 기능의 학급 언어’에 대한 ‘보충학습’의 의미가 있으며, 여기에는 ‘직업인 양성의 소명 의식’이 함축된 ‘단계형 수준별 전환교육’을 ‘직업 준비’에 중점을 두고 운영한 학교 문화의 영향이 있다. 이 결과는 기능적 교육 문화가 텍스트 문해 및 학생 간 교실담화 경험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에 축소된 학급 언어 기능이 온전한 전환교육 지향을 지니도록 학교 언어재활사와 협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meaning of school-based speech-language services for students at a special school in Vietnam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m and to use it to establish development plans for language rehabilitation. To this end, the study adopted ethnographic methods, and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As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school-based speech-language services mean ‘supplementary lessons’ for ‘classroom language as a tool of vocational education’. This is influenced by the school culture that manages ‘the step-wise level curriculum for transition education’ focused on ‘vocational preparation’ which implies ‘a vocation for fostering work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functional education culture may limit students’ experiences of text literacy and classroom discourses among them, and that the reduced classroom language functions need to be cooperated with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o as to have orientation to a whole transition education.

      • KCI등재

        청년세대의 새로운 문화적 실천과 구별짓기: 인스타그램 ‘전시 관람’을 중심으로

        고명지 ( Myoungjee K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청년들의 문화 소비의 실천 양상과 구별짓기 전략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시 관람’ 영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데이터의 수집은 해시태그 ‘#문화생활’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선별된 인스타그램 게시물 데이터를 인터넷 문화기술지 및 이미지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년세대는 ‘자기 전시’, ‘고급문화의 과시적 소비’, ‘장소성 소비’를 구별짓기 전략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전시 관람 활동이 인스타그램 장에서 중요한 문화적 실천으로 행해지고 있는 원인으로는 경제적으로 쉽게 접근 가능한 고급문화의 영역이자, 동시에 생산 영역인 미술관의 기능적 변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인스타그램에서 생산되고 소비되는 문화적 실천들을 분석함으로써 오늘날 청년세대가 만들어가는 문화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창구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러한 행위를 세대 내 구별짓기 전략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exhibition’ to examine the trend of the practical aspect of the youth generation’s cultural consumption and strategy of distinction on Instagram. Data collected through Instagram posts including hashtags ‘#cultural_life’, was analyzed through internet ethnography and imag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youth generation was using ‘self-exhibit’, ‘conspicuous consumption of high culture’, and ‘consumption of placeness’ as a strategy to distinguish themselves. The reason why exhibition activities are being carried out as important cultural practices on Instagram is that exhibitions are an area of high culture that is easily accessible economically. Along with this, there were functional changes to the art museum.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research on cultural practices produced and consumed on Instagram and provides a deeper understanding of today’s youth generation culture. Furtherm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the basis for viewing the youth generation’s behaviors as a strategy of distinction within generations.

      • KCI등재

        팬데믹 시대 무장애 전시 콘텐츠 및 서비스에 관한 사례 연구 -「아시아의 표해록」전을 중심으로

        안재연 ( Jaeyeon Ah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시대 강화된 디지털과 온라인 기반 전시에서 무장애(배리어 프리) 서비스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아시아의 표해록(漂海錄)」(2019; 2020) 전시에서 시도되었던 무장애 전시 콘텐츠와 서비스이다. 연구방법은 크게 무장애 전시 공간 및 콘텐츠 제작과, 무장애 서비스 둘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연구내용은 첫째, 점자 체험존을 도입하여 시각장애인의 전시 감상을 도왔다. 둘째, 평면 2D 회화인 「범사도(泛槎圖)」를 디지털 동영상으로 제작, 공감각적인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셋째, 점자 리플렛과 도록 제작, 수어 전시해설 동영상 및 VR 영상 배포, 장애인 관람 서비스, 촉각형 배 모형과 책갈피 문화상품 개발, 오디오북 제작 등과 같은 무장애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표해록」전이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하면서도 장애인과 상호작용함으로써 향후 배리어 프리 전시의 발전 방향을 시사하는 한 사례로 제시하였다. 제언은 첫째, 디지털 매체와 문화의 융합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새로운 배리어 프리 전시의 개발 필요성이다. 둘째, 무장애 상호작용성(barrier-free interactivity)에 기반한 배리어 프리 서비스의 확장과 재정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barrier-free services in enhanced digital and online-based exhibitions in the pandemic era.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barrier-free exhibition content and services that were attempted in the exhibition Asian Drifting Records (2019; 2020). The research method was largely divided into two; barrier-free exhibition zone and content production, and barrier-free service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roduction of the Braille experience zone helped the visually impaired to appreciate the exhibition. Second, a flat 2D painting, Beomsado (The Drifting Boat), was produced as a digital video to help the synesthetic appreciation. Third, barrier-free services such as production of Braille leaflets and catalogs, an distribution exhibition videos in sign language and VR video, viewing services for the disabled, tactile ship models and bookmarks, and audio books were provided. As a result of the study, Asian Drifting Records was presented as an example suggesting the future direction of barrier-free exhibitions by actively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and interacting with the disabled. Overall, two conclusion are suggested; first, the need to develop a new barrier-free exhibition that actively reflects the convergence of digital media and cul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redefine barrier-free services based on barrier-free interactivity.

      • KCI등재

        저승의 의미에 대한 『신곡』과 『신과 함께』 비교 연구

        정영찬 ( Youngchan Jung ),성신형 ( Shinhyung Se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저승의 의미를 탐구하기 위해서 문헌 고찰을 통한 비교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서구 유럽 문화를 대표하는 단테의 『신곡』과 동아시아에서 큰 주목을 받은 주호민의 『신과 함께』를 연구한다. 서구문화는 영육이원론을 바탕으로 이승과 저승의 분리를 말하고 있으며, 이는 연옥 교리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한편 동아시아 문화는 윤회사상을 바탕으로 이승과 저승의 연결을 말하고 있고, 이는 사구제(중유)에서 잘 드러난다. 본 연구는 내세는 종교적인 차원의 불연속적인 세계가 아니라, 민중들의 삶의 현실이 반영되어 현실 삶에 대한 정당한 심판과 새로운 삶에 대한 희망의 장소임을 논증하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후 연구의 발전 과제로 조금 더 다양한 세계의 저승관에 대한 인문학적 탐구를 제안한다. This study compares Dante’s La Divina Commedia with Ju Homin’s Along with the God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afterlife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research method. Western culture speaks to the separation of this world from the afterlife based on the dualism of soul and body, which is well expressed in the doctrine of purgatory. Meanwhile, East Asian culture refers to the connection between this world and the afterlife based on the idea of Samsara and the principle of Saguje (Joongyu). This study argues that the afterlife is not a discontinuous world in the religious dimension, but a place of fair judgment and hope for a new life by reflecting the reality of people’s lives. Finally, this study proposes a humanistic exploration of the afterlife, which is more diverse as a development task for subsequent research.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한 대학생의 문화예술향유 지속력 탐색 -문화예술향유 교양수업을 중심으로-

        이정숙 ( Jeongsook Lee ),박진영 ( Jinyoung Park ),김동진 ( Dongjin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이 문화예술 교양수업 경험을 통해 인식하고 있는 문화예술향유 지속력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분석자료는 광주광역시 A대학의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 릴레이 특강으로 진행되는 교양수업을 수강한 184명의 13회차 성찰일지를 수집하였다. 빅데이터 기반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화예술향유 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은 수업(강의)을 통해 문화예술 및 작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신기하고 흥미로운 생각과 느낌을 갖게 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양수업 후 대학생이 인식하는 문화예술향유 지속력의 변화는 문화예술 작품에 대한 관심을 넘어 참여와 집중, 노력 등 문화예술 일상화를 위한 적극적인 향유 의지를 보인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향유 교양수업을 통해 대학생은 문화예술향유 지속력을 갖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대학생의 문화예술 일상화를 위한 대학교양교육의 방향과 정책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persistence in cultural and artistic enjoyment that university students had perceived through their experience in cultural arts classes. The analysi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13th reflection diary of 184 students who took a special lecture on the relay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of culture and arts at A university in Gwangju. The analysis method used a text mining technique based on big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the culture and arts enjoyment classes, it was confirmed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increased their interest in culture and arts and works through classes (lectures). they have confirmed that they will have amazing and interesting thoughts and feeling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 in persistence of cultural and artistic enjoymen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was not only interested in cultural arts, but also confirmed participation, concentration, and efforts. This study confirmed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the ability to enjoy culture and arts through arts class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direction and policy of university education for the everyday use of culture and arts for university students were suggested.

      • KCI등재

        1인가구 문화예술 소비의 양과 폭의 결정요인

        최순화 ( Soonhwa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1인가구는 문화예술 시장의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하였으나, 이들의 문화소비를 분석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2019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1인가구 문화소비의 양과 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문화자본, 경제자본, 환경요인이 문화예술 관람 빈도와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모형 분석 결과, 문화예술 교육 경험과 학력은 소비의 양과 폭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가구소득과 거주지역의 경우 문화소비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1인가구에 초점을 맞춰 문화예술 소비의 양과 폭을 동시에 분석함으로써 이론의 체계적 발전에 기여하고 1인가구의 문화소비를 향상하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심리적 변수 사용 등 후속 연구 방안을 제시하였다. One person households have emerged as a major segment in the culture market;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ir cultural consump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terminants of amount and breadth of their culture consumption, using data from ‘2019 National Art and Culture Activity Survey.’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test effects of cultural capital, economic capital, and environmental factor on frequency and diversity of cultural attendances, and 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and education were found to influence both frequency and diversity of consumption. Household income and residence had effects on consumption diversity. By analyzing amount and breadth of cultural and art consumption of single household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oretical development and provides implications to enhance their cultural consumption. Finally,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such as using psychographic variables, were proposed.

      • KCI등재

        휴먼서비스 전공 학생의 공감과 문화적 역량의 관계에서 수용 및 비판적 사고의 다중매개효과

        이재경 ( Jaekyeong Lee ),박은아 ( Euna Park ),조혜정 ( Hyechung Ch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휴먼서비스 전공 학생의 공감, 수용, 비판적 사고가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다중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휴먼서비스 전공 중인 20대 대학생 32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공감 수준이 높을수록 수용 및 비판적 사고가 증가하였다. 둘째, 공감은 비판적 사고를 매개로 문화적 역량을 증가시켰다. 셋째, 공감은 수용과 비판적 사고를 매개로 문화적 역량을 증가시켰다. 즉 공감 수준은 문화적 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았으나, 공감은 수용과 비판적 사고를 연속 매개하여 문화적 역량을 증가시켰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감, 수용, 비판적 사고의 순차적 교육과정 설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공감, 수용, 비판적 사고 능력 제고를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between empathy, acceptance, critical thinking and cultural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elds of human services. 322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were utilized by analyz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more empathy increased, the more acceptance and critical thinking increased. Secondly, the empathy increased cultural competency by the critical thinking mediation effect. Third, the empathy increased cultural competency by the acceptance and critical thinking mediation effect. The empathy had no direct impact on cultural competency significantly, but the empathy increased cultural competency by the mediation effect of acceptance and critical think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emphasized that the order of education is very important, and practical strategy was proposed to improve empathy, acceptance and critical thin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