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사회불안간의 관계 : 긍정적/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 효과

        황인혜,이주영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1 인지행동치료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자기가 생각하는 실제 자 기와 자신에게 부과하는 의무적 자기 간의 불일치 및 타인이 기대하는 의무적 자기 간의 불 일치를 살펴보았다.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방식의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여 2 개의 자기불일치 유형에 따라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실제적 자기와 의무 /자신 간의 자기불일치는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완전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실제적 자기와 의무/타인 간의 자 기불일치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완전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자기의 모습과 기대되는 의무적 자기 모습의 일치 정도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뿐만 아니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도 사회불안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social anxiety and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positive/negative evaluation in college student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actual self and the ought self imposed on oneself and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actual self and the ought self that significant others expect. This study collected data of 300 university students through online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are a follow. The self-discrepancy between the actual self and the ought self imposed on oneself was found to affect the social anxiety through a full mediation of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he self-discrepancy between the actual self and the ought self imposed on significant others was found to affect the social anxiety through a full mediation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 actual self and the ought self has an influence on social anxiety, and that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s well as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re important variables in predicting social anxiety.

      • KCI등재

        개신교 ‘자유케 됨’의 영성에 기초한 기독교 영성교육 모형: ‘자유케 됨의 실천’

        황인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1 기독교교육논총 Vol.- No.68

        Although the interest in Christian education of spirituality has increased recently, the practice of the education of spirituality has been fragmented in the contents and methods without any clear educational purpose of the Protestant tradition. This requires a creative study to seek out the contents and method best suited to realizing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e Protestant tradition, though a rigorous academic methodology. The this study proposes just such a creative model for the education of spirituality with an educational purpose based on the core ethos of the Protestant spirituality, integrating the long tradition of spiritual practices of Christianity. First, I survey the teachings on ‘the life of faith’ of the main leaders of the Protestant church, including Martin Luther, John Calvin, and John Wesley. Through this process, I reveal ‘liberated-ness’ to be the common purpose of the Protestant leaders, and the core of the practices for that purpose are ‘the means of grace,’ which has a different meaning from that of the Roman Catholic tradition. I construct the meaning of ‘liberated-ness’ in a dynamic manner, which begins with the ‘liberating will’ of God, and is followed by the ‘self-giving will’ of the believer as the response to the ‘grace’ of the ‘liberating will.’ The contact point of these two ‘wills’ is what I call the ‘living membrane of faith.’ As a creative synthesis of the above discussions, I propose a model of the ‘practice of liberated-ness’ for an education in spiritual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education is for the learner to become a person who continuously experiences ever-increasing ‘liberated-ness’ through continuous personal ‘encounters’ with God, and to become ever more faithful in carrying out practices for the ‘liberated-ness’ of her or his neighbo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 learner is that of personal ‘encounter’ as put forth by Sherrill, and also incorporates elements of ‘co-authorship’ as conceptualized by Kim. I transform and rename major practices of spiritual discipline according to a principle of ‘liberated-ness’ based on the Protestant tradition, and these comprise the main content of my spirituality education model. They include: ‘lectio divina of encounter,’ ‘prayer facing the Lord,’ ‘service in liberation,’ ‘reflection of liberated-ness,’ and ‘mutual spiritual directio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draws on Dykstra’s methods of coaching and mentoring. The key environment is that of a ‘sacramental community’ as defined by Moore. Evaluation can be performed only by the learner her/himself. The significance of this model is that it creatively inherits and succeeds the tradition of Christian spiritual discipline from the early church onwards by transforming it through a Protestant spirituality of ‘liberated-ness.’ 기독교 영성교육에 대한 관심은 날이 갈수록 증가되는 추세에 있지만, 한국교회 현장의 영성교육은 개신교 전통에 따른 선명한 교육목적의 제시가 없는 가운데 교육내용과 방법이 파편화되어 있다. 그러므로 엄밀한 학문적 방법에 의거하여 영성교육의 목적을 정립하고 그것을 구현하는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찾아내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 필요성에 따라 수행된 본 연구의 목적은 개신교 영성의 핵심정신을 찾아 교육목적으로 삼고 그 목적을 구현할 수 있는 그리스도교 영성수련들을 유기적으로 통합한 하나의 창의적 영성교육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먼저 교육목적의 설정을 위해서 개신교 대표지도자 루터(Luther), 칼빈(Calvin), 그리고 웨슬리(Wesley)의 ‘믿음의 삶’에 대한 가르침을 고찰하였다. 그 가르침 안에서 ‘개신교 영성’의 핵심정신으로서 ‘자유케 됨’(liberatedness)의 정신을 발견하여 교육목적으로 삼고, 로마가톨릭교회의 ‘은혜’ 개념과는 다른 개신교 특유의 ‘은혜의 방편’ 전통을 발견해 내어 교육내용으로 삼았다. 그리고 이 ‘자유케 됨’이 ‘은혜의 방편들’과 연결되는 기전을 다음의 세 개의 창의적 개념으로 설명한다. 신자의 ‘자유케 됨’은 하나님에게서 나오는 ‘자유케 하는 의지’(liberating will)로 시작되며, 신자는 ‘자기를 드리는 의지’(self-giving will)로 이에 응답하게 되는데, 이 두 의지가 만나는 접촉점이 ‘믿음의 생명막’(the living membrane of faith)이다. 이 기전을 핵심으로 하여 구성된 ‘자유케 됨의 실천’ 영성교육 모형의 교육목적은 학습자가 삶 가운데 하나님과의 인격적 ‘만남’을 가지며 점점 더 ‘자유케 됨’을 누리는 가운데 더 충성스럽게 이웃을 자유케 하는 사람이 되어가는 것이다. 학습자와 교사의 관계는 쉐릴(Sherrill)의 인격적 ‘만남’의 관계이며 김현숙의 ‘공유적 권위’를 갖는 관계이다. 교육내용은 개신교 ‘은혜의 방편’의 전통 가운데 쉐릴의 성경묵상과 다익스트라(Dykstra)의 ‘실천들’과 연계된 그리스도교 영성수련들을 채택하여 그것을 개신교의 ‘자유케 됨’의 원리로 변형한 다섯가지 영성수련이다. 이 영성수련들의 새로운 명칭은 ‘만남의 렉시오 디비나,’ ‘주님향함기도,’ ‘자유마중섬김,’ ‘서로영적방향잡기,’ 그리고 ‘자유성찰기도’이다. 교수-학습과정은 다익스트라가 학습자 중심의 ‘실천’을 격려하는 데 사용한 코칭과 멘토링의 과정이다. 교육환경은 무어(Moore)의 ‘성례전적 공동체’를 지향하는 인적 환경에 중점을 두며, 평가는 학습자 스스로 평가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본 교육모형은 그리스도교 영성사의 주요 영성수련 내용들을 명시적으로 개신교의 ‘자유케 됨’의 영성으로 변형하여 초대교회 때부터 이어지는 그리스도교 영성수련의 맥을 개신교 교회에서 창조적으로 계승하여 나갈 수 있게 해 주는 모형이라는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개인 영성의 사회적 확장을 촉진하는 교육 기전에 대한 연구 - ‘탈인습적 기독교인 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

        황인혜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1

        If Christian spirituality encompasses all areas of a Christian’s life, a Christian’s spirituality must effectively exert influence even on one’s social roles. Until now, most discussions on Christian education for spirituality have tended to remain at the individual level. This study, conducted to overcome this limitation, reveals an educational mechanism that promotes the expansion of a Christian’s spirituality into one’s social relationships, and suggests practical educational plans according to that mechanism. First, as the initial basis of an educational mechanism that can promote the social expansion of personal spirituality, a new dynamic mechanism of personal spirituality called the ‘living membrane of faith’ is presented. As a second basis, Kim Hyun-sook’s concept of ‘postconventional Christian identity,’ which is a medium of social influence of personal spirituality, is introduced. This study goes on to show that both the first and second bases have one thing in common; they function like an open ‘door.’ The educational mechanism by which a person’s spirituality leads to social expansion is through the points of contact of ‘relationship,’ ‘openness,’ and ‘equality’ which these two foundations share. And according to this educational mechanism, the following contents are proposed. The first is the principle of balance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spirituality. The second is the addition of ‘contemplative listening’ as a group activity to each educational content. And the third is the three-dimensional personal network that spreads social influence in the lives of learners as well as practical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that can be practiced in local churches through that network. This study analytically shows with practical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how the relationship with God, which is generally known as the core of personal spirituality, can be effectively extended to social relationships with fellow humans, through two new concepts: the ‘living membrane of faith,’ and the ‘self as authentic person’ associated with the ‘postconventional Christian identity.’ 기독교 영성이 그리스도인의 전 삶의 영역을 포괄하는 것이라면 개인의 영성은 사회적 역할에까지 효과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해야 하는데, 그동안 대부분의 기독교 영성 교육의 논의는 개인적 차원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었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연구는 한 기독교인의 영성이 사회적 관계로 확장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교육 기전을 제시하고, 그 기전에 따른 실용적 교육방안들을 제안한다. 먼저, 개인 영성의 사회적 확장을 촉진할 수 있는 교육 기전의 첫 번째 기초로서 ‘믿음의 생명막’이라는 새로운 개인 영성의 역동적 기전을 제시한다. 두 번째 기초로서는 개인 영성의 사회적 영향력의 매체가 되는 김현숙의 ‘탈인습적 기독교인 자아정체감’ 개념을 소개한다. 그리고나서 이 첫 번째 기초와 두 번째 기초가 모두 열리는 ‘문’과 같은 기능을 하는 공통점을 갖는다는 것을 분석적으로 밝힌다. 바로 이 두 가지 기초가 동일하게 갖고 있는 바, 문과 같은 기능을 하는 ‘관계성,’ ‘개방성,’ ‘평등성’이라는 접촉점들이 개인 영성의 사회적 확장 기전의 통로이며, 이 통로를 교육의 내용과 교수-학습과정으로 활성화하는 것이 교육의 기전이다. 밝혀진 이 교육 기전에 따른 영성교육의 실제 방안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제안한다. 첫째는 영성교육 내용의 영역들을 균형있게 구성하는 것이고, 둘째는 각각의 교육영역에 ‘관상적 경청’ 성격의 통합적 대화모형을 추가하는 것이고, 셋째는 학습자들의 삶에서 사회적 영향력 전파를 가져올 수 있는 입체적인 인격적 관계망을 드러내 주고 지역교회들에서 그 관계망에 따라 실천할 수 있는 실제적 영성교육 내용들과 방법들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이 연구는, ‘믿음의 생명막,’ 그리고 ‘탈인습적 기독교인 자아정체감’을 수직적으로 확장한 ‘인격적 자아’라는 두 가지 새로운 개념을 통해서, 일반적으로 개인 영성의 핵심이 된다고 알려진 하나님과의 관계가 어떻게 효과적으로 동료인간과의 사회적 관계로 확장될 수 있는지를 실제 교육 내용들과 방법들을 통해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 KCI등재

        과학적 정보 학습의 인지부하 감소를 위한 모바일 인포그래픽 형식의 개발

        황인혜,한영애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1 No.3

        Background : Korean MFDA-issued infographic “How the COVID-19 Vaccine Works” is an expository diagram of a biological process, published to encourage people to trust vaccine safety and get vaccinated. Nevertheless, the information is too insufficient to accurately explain what is injected with the vaccines and exactly how they work. Moreover, the graphic’s wide aspect ratio diminishes it on vertical, small screens such as mobile phones. Methods : In response, we propose alternative infographics designed with more accurate and sufficient information, to enable the readers to recognize disinformation on vaccines when they see it. Alternative graphics were designed in different aspect ratios—Exp1(wide), Exp2(tall), and Exp3(slideshow)—to find out the most effective design that can (1) reduce the readers’ cognitive load caused by lengthy information in the alternative graphics, and (2) be effectively displayed as part of mobile news articles. The effectiveness of the infographics was tested in an online survey with 300 participants, by testing five hypotheses. Results : The analysis of data shows that the alternative designs significantly improved the participants’ comprehension(H1) and disinformation discernment(H2) scores. The Exp3(Slideshow) design caused the least cognitive load measured in perceived complexity(H3a)·information length(H3b)·effort(H3c). Participants rated the usefulness of the revised information higher(H4) than the current one, while preferred the Exp2(tall) design the most as a mobile news graphic(H5). Gender differences exist in the participants’ comprehension(H1 & H2)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of the information(H4). Conclusions : Infographics for the public should be composed and designed considering the context where the readers see them, how the readers comprehend them, the goal of communication such as recognizing fake news, and the readers’ cognitive load. An expository diagram published as a mobile news graphic can benefit from a tall aspect ratio design that supports the reader’s serial information processing, or a slideshow design if it contains lengthy information. 연구배경: 식약처 발행 백신원리 인포그래픽은 백신의 안전성을 전달하고 접종을 독려하는 용도로 제작되었으나, 정보를 너무 단순화하여 백신으로 인체에 주입되는 성분과 항체의 역할에 대한 정보를 부정확하게 전달하고 있으므로, 백신의 원리를 왜곡한 가짜뉴스를 접한 독자들이 스스로 가짜뉴스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수준으로 독자들을 교육시킬 수 없다. 또 현 인포그래픽의 가로로 넓은 디자인은 모바일 뉴스 앱에서 그림을 확대하여야만 글과 시각요소의 가독성이 확보된다. 연구방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확하고 충분히 백신원리를 전달하는 개선 인포그래픽을 제작하되, 모바일 뉴스 앱에서 늘어난 정보량이 야기하는 인지적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디자인을 찾는 목적으로 3종의 다른 디자인(가로형/세로형/슬라이드쇼)으로 제작하였다. 이후 온라인 설문조사로 실시된 실험에서는 20대 남녀 300명을 피험자로 모집하여 대조군인 식약처 인포그래픽과 실험조건 1·2·3인 개선 인포그래픽의 효과를 5개의 가설을 검정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 분석 결과, 3종의 실험조건 디자인은 모두 피험자들의 이해도(H1)와 가짜뉴스 식별능력(H2)을 제고하였고 실험조건 2(세로형)로 측정한 이해도 득점 평균이 유의하게 높았다. 인지적 부담(H3) 중 인지된 복잡도(H3a)·정보량(H3b)·노력(H3c)은 모두 실험조건 3(슬라이드쇼)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또 피험자들은 실험조건 디자인의 정보 유용성(H4)을 식약처 디자인보다 높게 평가하였고, 실험조건 2(세로형)의 디자인을 모바일 환경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선호(H5)하였다. 끝으로 이해도(H1 & H2)와 정보의 유용성(H4)에서 성별의 차이가 발견되었다결론 : 정부발행 인포그래픽은 다수 국민이 정보를 접하는 맥락, 시각화된 정보의 이해 과정과 이해도, 가짜뉴스 판별 등 정보 습득의 목적, 인지적 부담을 고려하여 정보량과 디자인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모바일 뉴스그래픽으로 제작하는 경우 정보량을 고려하여 세로형 그래픽 혹은 슬라이드쇼 형식이 피험자의 인지적 부담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