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빈맥을 이용한 심부전 모델에서 회복궤도

        오중환,박승일,원준호,김은기,이종국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5

        배경: 빈맥을 이용하여 심부전을 만드는 방법은 확장성 심근증 모델 중에서 가장 좋은 방법으로 심장에 외과적 손상 혹은 약물의 독성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람의 심부전에 가장 가까우며 조작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새로운 술식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심부전이 진행중인 모델에서 동물실험을 시행하는 것은 결과를 얻기 전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심부전의 진행을 중지시킨 회복궤도의 변화를 비교하는 방법은 심부전 악화에 의한 사망률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지만 빈맥 조작 기술에 따라 저자마다 상당한 차이가 있어 이에대한 자료의 정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21마리의 개(체중 25-35kg)를 대상으로 1)정상의 심장, 2) 심부전 심장, 3) 회복기 4주 4) 회복기 8주 등 4가지로 나누었다. 전신마취하에 우심실첨부에 박동기 전극을 삽입하여 빈맥은 처음 170회/분부터 매주 20회씩 프로그래머를 이용하여 증가시켰다. 4주 후 심부전이 발생하면 8주간의 회복기 동안 회복 궤도를 추적하였다. 심장의 크기와 혈역학적 변화를 관찰하고자 초음파는 2주마다, Swan-Ganz 도자와 열희석법은 4주마다 검사를 실시하여 이완기 말기 좌심실 체적, 수축기말기 좌심실 체적, 심박출율, 중심정맥압, 폐동맥압, 폐동맥 쐐기압, 우심실압, 일회박출량 등을 측정하였으며, 정상과 심부전 심장 상태에서 혈중 카테콜라민을 측정하였다. 그 외 심전도 및 대퇴동맥 도자를 넣어 맥박수, 혈압을 측정하였다. 정상심장, 심부전 심장, 회복기 4주 및 8주에서 측정한 값은 평균$\pm$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결과: 4마리(20%)가 심부전에 의한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 이완기 말기 좌심실 체적은 측정시기에 따라 40.8$\pm$7.4, 82.1$\pm$21.1, 59.9$\pm$7.7, 46.5$\pm$6.5ml로 수축기말기 좌심실 체적과 비슷한 변화양상을 보였으며 심박출율은 50.6$\pm$4.1, 17.5$\pm$5.8, 36.3$\pm$7.3, 41.5$\pm$2.4%였다. 혈압과 맥박은 의의 있는 양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중심정맥압, 우심실압, 폐동맥압, 폐동맥 쐐기압 등은 심부전 시에 의의 있는 증가를 보이다가 회복기에는 감소하는 양상을 볼 수 있다. 일회박출량은 21.5$\pm$8.2, 12.3$\pm$3.5, 17.9$\pm$4.6, 15.5$\pm$3.4ml으로 회복기에 심부전 상태로부터 회복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혈중 카테콜라민은 정상 133.3$\pm$60.0pg/dL에서 심부전 시에는 479.4$\pm$327.3pg/dL로 증가를 보였다(p=0.008). 결론: 빈맥을 이용한 심부전 모델은 외과적손상이 적고, 병의 정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할 수 있는 간편한 방법이다. 회복기에는 심기능 및 심장비대가 회복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향후 새로운 술식의 평가를 위하여 회복 궤도를 이용하는 경우 실험 동물의 심부전 악화에 의한 사망율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다. Background: Tachycardia induced heart failure model would be the model of choice for the dilated cardiomyopathy. This more closely resembles the clinical syndrome and does not require major surgical trauma, myocardial ischemia and pharmacological or toxic depression of cardiac function. When heart failure is progressive, application of new surgical procedures to the faling heart is highly risky. It has been shown that recovery trajectory from heart failure is a new method in decreasing animal mortality. The purpose is to establish the control datas for recovery trajectory in the canine heart failure model. Material and Method: 21 mongrel dogs were studied at 4 stages(baseline, at the heart failure, 4 and 8 weeks after recovery). Heart failure was induced during 4 weeks of continuous rapid pacing using a pacemaker. Eight weeks of trajectory of recovery period was allowed. Indices of left ventricular function and dimension were measured every 2 weeks and the hemodynamics were measured by use of Swan-Ganz catheterization and thermodilution method every 4 weeks. Values were expressed as mean${\pm}$standard deviation. Result: 4(20%) dogs died due to heart failure.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volume at the 4 stages were 40.8${\pm}$7.4, 82.1${\pm}$21.1, 59.9${\pm}$7.7 and 46.5${\pm}$6.5ml. Left ventricular end-systolic volume showed the same trend. Ejection fractions were 50.6${\pm}$4.1, 17.5${\pm}$5.8, 36.3${\pm}$7.3, and 41.5${\pm}$2.4%.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Pressures of central vein, right ventricle, pulmonary artery, and pulmonary capillary wedge showed significant increase during the heart failure period, normalizing at the end of recovery period. Stroke volumes were 21.5${\pm}$8.2, 12.3${\pm}$3.5, 17.9${\pm}$4.6, and 15.5${\pm}$3.4ml. Blood norepinephrine level was 133.3${\pm}$60.0pg/dL at the baseline and 479.4${\pm}$327.3pg/dL at the heart failure stage(p=0.008). Conclusion: Development of tachycardia induced heart failure model is of high priority due to ready availability and reasonable amenability to measurements. Recovery trajectory after cessation of tachycardia showed reduction of cardiac dilatation and heart function. Application of new surgical procedures during the recovery period could decrease animal mortality.

      • KCI등재

        노인 심부전 환자의 인지기능 수준이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영향

        손연정,김선희,김선희,송은경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0 No.2

        Background: Elderly patients with heart failure (HF) have impaired cognitive function along with the aging of the population. Therefore, impaired cognitive function may be associated with poor adherence to self care, and lead to negative health outcomes. However,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cognitive function of HF patien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and its impact on adherence to self care in elderly patients with HF.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in Chungnam province for a total of 121 older adults (>65years old) from March to July, 2009. Cognitive function was assess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MMSE-K). Patients completed the European Heart Failure Self-care Behavior (EHScB-9) to measure adherence to self care; higher score means better adherence to self care.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adherence to self care. Results: A total of 29 patients (23.9%) had high risk cognitive impairment. In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patients with lower level of cognitive function had poorer adherence to self care after adjusting for demographic and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β=0.209, P=0.031). Conclusions: These findings show that health care providers need to pay attention to HF patients who experience cognitive impairment. Further,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and implement simple strategies for assessing cognitive function in the clinical setting. Treatments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could reduce adverse health outcomes by improving adherence to self care in elderly with HF. 연구배경: 인구의 고령화와 더불어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사망원인으로 알려진 심부전의 유병률 측면에서 노인 환자의 비율도 점차 증가되고 있다. 심부전의 진행으로 인해 인지기능 손상이 초래될 수 있으며, 인지기능 손상이 동반된 환자의 경우 자가간호에 대한 이행률 저하 및 부정적 건강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심부전 환자의 인지기능 손상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심부전 환자의 인지기능 수준을 확인하고, 인지기능 수준이 노인 심부전 환자의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충남소재 일개 대학 부속병원에서 실시된 횡단적 조사연구로서, 연구대상자는 심부전 진단을 받은 65세 이상의 노인 환자이며 자료수집은 2009년 3월부터 7월까지, 일대일 면접으로 실시하였다. 인지기능 사정은 한국판 MMSE (MMSE-K)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가간호 이행 수준은 EHFScB-9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든 자료분석은 SPSS 17.0 Program을 이용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 121명 중 29명(23.9%)이 치매위험군으로 분류되었으며,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질병관련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인지기능 수준은 노인 심부전 환자의 자가간호 이행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었다(β=0.209, P=0.031). 즉, 노인 심부전 환자의 인지기능 수준이 낮을수록 자가간호 이행 정도가 낮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심부전 환자의 인지기능 수준이 자가간호 이행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임상에서 심부전 환자의 인지기능 수준을 쉽게 사정할 수 있는 도구개발이 필요함을 인식할 수 있었다. 노인 심부전 환자의 인지손상 여부에 대한 확인은 자가간호 이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질환관리 프로그램 및 교육자료 개발 시 유용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말기 심부전의 내과적 치료: 병태 생리에 따른 새로운 치료

        김영훈,박희남,심완주,노영무 제주대학교 인공심장이식연구소 2000 인공심장 연구 Vol.1 No.1

        심장질환의 치료의 개선과 평균 연령의 증가로 인해 심부전의 유병률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심부전으로 인한 사망률은 그다지 줄어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심부전의 병태 생리적 기전을 토대로 한 치료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심부전의 병태 생리 모델로는 혈역학적 모델, 신경체액 모델, 심근 재구도 모델 등이 있다. 혈역학적 모델은 혈압, 혈관저항, 그리고 순환용적을 이뇨제, 강심제, 혈관 확장제 등으로 심장 부하를 최소화하는 치료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는 증상 호전에는 효과가 있으나 심부전의 진행은 늦추지 못한다. 신경체액 모델은 순환 부전에 이차적으로 증가하는 교감 신경 자극이나 호르몬들이 심근기능을 저하시킨다는 모델로서 이들 물질을 차단하는 베타 차단제, ACE차단제, spironolactone 등이 심부전의 진행을 완화시키고 사망률을 줄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최근에는 심부전 진행의 독립적 인자인 심근 재구도 현상을 막아줌으로 심부전으로부터 회복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심근 재구도는 심근세포 기능의 저하 심근 세포 수의 감소와 세포 간질의 섬유화, 그리고 좌심실 입체 구조의 변화로 설명할 수 있는데 베타 차단제와 좌심실 보조기구 등이 이를 억제할 뿐 아니라 역재 구도를 일으켜 심부전을 호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최근에는 심근세포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세포 간질 섬유화를 억제하는 유전자 치료들이 시도되고 있다. 향후 심부전의 치료는 역재 구도 치료와 유전자 치료를 이용한 심근 기능의 회복에 초점이 맞추어질 것이다. The prevalence of heart failure (HF) has increased due to improvement of treatment modalities of cardiac disease and prolonged life span of general population, but the mortality of HF does not decrease. For this reason, it has been attempted to develope the treatments based on the pathophysiology of HF. The pathophysiologic models include hemodynamic model, neurohormonal model and myocardial remodeling model. The hemodynamic model resulted in therapies with diuretics, intropes and vasodilators to minimize cardiac load by modulating blood pressure, vascular resistance and circulating volume. These therapies improve HF symptoms, however, they cannot delay the progression of HF. The neurohormonal model states that the sympathetic activation or diverse hormones secondarily increased by circulatory failure deteriorate myocardial functions. It has been known that certain drugs intercepting these neurohormones, such as, beta-blocker, ACE inhibitor and spironolactone, mitigate the progression and decrease the mortality of HF. Recently, some researchers try to restore failing hearts by stopping myocardial remodeling which is the independent factor of HF progression. Myocardial remodeling gives the depression of myocardial function, the decrease of myocyte number and fibrosis of interstitial matrix and the change of left ventricular geometry. Beta-blocker and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LVAD) have been known not only to suppress the remodeling but also to induce the reverse remodeling and improve the condition of HF. Gene therapies has also attempted which improve functions of myocytes and suppress interstitial fibrosis. It is expected that the future studies for the treatment of HF will be focused on the anti-remodeling and the recovery of heart muscle by gene therapy.

      • SCIE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심부전 모델에서 실험적 심근성형술의 단기 혈역학적 효과에 관한 연구

        정윤섭,염욱,이창하,김욱성,이영탁,김원곤,Jeong, Yoon-Seop,Youm, Wook,Lee, Chang-Ha,Kim, Wook-Seong,Lee, Young-Tak,Kim, Won-Go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3

        배경: 역동적 심근성형술에서 골격근 수축에 의한 단기 혈역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이에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를 위해 20-30kg 사이의 한국산 잡견 10마리를 두 그룹으로 나눠 심장 상태를 정상과 심부전 상태로 구분하였고 골격근 상태도 활성도 및 수축력의 차이가 나도록 구분하였다. 그룹 A에서는 5마리의 정상 심장상태의 실험견에 심근성형술을 시행한 뒤 8주후 혈역학 검사를 실시하였고, 그룹 B에서는 5마리의 실험견에 8주동안 매주 1 mg/kg의 doxorubicin을 주입하여 만성 심부전 상태를 만들면서 동시에 좌측 광배근의 사전 조건화를 위한 근육훈련을 한후 심근성형술을 시행하고 바로 혈역학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그룹 A의 정상 심장 상태에서 광배근 수축으로 평균 우심방 압력을 제외한 나머지 좌심실 혈역학 지수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그룹 B에서는 광배근 수축으로 심박출량(cardiac output; CO)은 16.7$\pm$7.2%, 좌심실 압력발생 속도(positive pressure development rate of left ventricle; dp/dt)는 9.3$\pm$3.2%, 일회 심박출량(stroke volume; SV)은 16.8$\pm$8.6%, 좌심실 박출작업량(left ventricular stroke work; SW)은 23.1$\pm$9.7% 증가하였고, 좌심실 이완기말압(left ventricular end-diastole pressure; LVEDP)은 32.1$\pm$4.6%, 평균 폐동맥쐐기압(mean pulmonary capillary wedge pressure; mPCWP)은 17.7$\pm$9.1% 감소하였다(p<0.05). 그러나 그룹 A에서 imipramine을 7.5 mg/kg/hour의 속도로 34$\pm$2.6분 투여하여 CO이 17.5$\pm$2.7%, 좌심실 수축기압(left ventricular systolic pressure)이 15.8$\pm$2.5% 감소하고 LVEDP가 54.3$\pm$15.2% 증가한 일시적 급성 심부전 상태를 유도한 뒤(p<0.05), 이 상태에서 광배근을 자극하였더니 CO은 4.5$\pm$1.8%, dp/dt는 3.1$\pm$1.1%, SV는 5.7$\pm$3.6%, SW는 6.9$\pm$4.4% 증가하였고, LVEDP는 11.7$\pm$4.7% 감소하였다(p<0.05). 그룹 A의 급성 심부전 상태와 그룹 B의 만성 심부전 상태에서 모두 광배근 수축으로 변화한 CO, dp/dt, SV, SW, LVEDP 같은 좌심실 혈역학 지표들의 변화의 폭을 비교하면 그룹 B에서 그룹 A에서보다 더 컸다(p<0.05). 그룹 A에서 유도된 급성 심부전 상태와 그룹 B의 만성 심부전 상태가 CO, dp/dt, SV, SW, LVEDP 같은 좌심실 혈역학 지표들 면에서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고(p>0.05), 육안적으로 광배근을 관찰하였을 때 그룹 A에서는 광배근의 유착 및 염증소견이 모두에서 있었고 그중 2마리에서는 광배근의 수축을 목격할 수 없었던 반면, 그룹 B에서는 5마리 모두에서 광배근이 활발하게 수축하였다는 점을 함께 고려하면 그룹 B에서의 더 큰 증폭 효과가 광배근의 활성도 및 수축력의 차이로부터 기인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결론: 이상에서 역동적 심근성형술의 수축기 혈역학적 변화는 심부전 상태에서만 긍정적인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그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근육의 수축력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Background: To evaluate the short-term effect of dynamic cardiomyoplasty on circulatory function and detect the related factors that can affect it, experimental cardiomyoplasties were performed under the state of normal cardiac function and heart failure. Material and Method: A total of 10 mongrel dogs weighing 20 to 30kg were divided arbitrarily into two groups. Five dogs of group A underwent cardiomyoplasty with latissimus dorsi(LD) muscle mobilization followed by a 2-week vascular delay and 6-week muscle training. Then, hemodynamic studies were conducted. In group B, doxorubicin was given to 5 dogs in an IV dose of 1 mg/kg once a week for 8 weeks to induce chronic heart failure, and simultaneous muscle training was given for preconditioning during this period. Then, cardiomyoplasties were performed and hemodynamic studies were conducted immediately after these cardiomyoplasties in group B. Result: In group A, under the state of normal cardiac function, only mean right atrial pressu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pacer-on(p<0.05) and the left ventricular hemodynamic parameter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However, with pacer-on in group B, cardiac output(CO), rate of left ventricular pressure development(dp/dt), stroke volume(SV), and left ventricular stroke work(SW) increased by 16.7${\pm}$7.2%, 9.3${\pm}$3.2%, 16.8${\pm}$8.6%, and 23.1${\pm}$9.7%, respectively, whereas left ventricular end-diastole pressure(LVEDP) and mean pulmonary capillary wedge pressure(mPCWP) decreased by 32.1${\pm}$4.6% and 17.7${\pm}$9.1%, respectively(p<0.05). In group A, imipramine was infused at the rate of 7.5mg/kg/hour for 34${\pm}$2.6 minutes to induce acute heart failure, which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cardiac output by 17.5${\pm}$2.7%, systolic left ventricular pressure by 15.8${\pm}$2.5% and the elevation of left ventricular end-diastole pressure by 54.3${\pm}$15.2%(p<0.05). With pacer-on under this state of acute heart failu e, CO, dp/dt, SV, and SW increased by 4.5${\pm}$1.8% and 3.1${\pm}$1.1%, 5.7${\pm}$3.6%, and 6.9${\pm}$4.4%, respectively, whereas LVEDP decreased by 11.7${\pm}$4.7%(p<0.05). Comparing CO, dp/dt, SV, SW and LVEDP that changed significantly with pacer-on, both under the state of acute and chronic heart failure, augmentation widths of these left ventricular hemodynamic parameters were significantly larger under the state of chronic heart failure(group B) than acute heart failure(group A)(p<0.05). On gross inspection, variable degrees of adhesion and inflammation were present in all 5 dogs of group A, including 2 dogs that showed no muscle contraction. No adhesion and inflammation were, however, present in all 5 dogs of group B, which showed vivid muscle contractions. Considering these differences in gross findings along with the following premise that the acute heart failure state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e chronic one in terms of left ventricular parameters(p>0.05), the larger augmentation effect seen in group B is presumed to be mainly attributed to the viability and contractility of the LD muscle.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ositive circulatory augmentation effect of cardiomyoplasty is apparent only under the state of heart failure and the preservation of muscle contractility is important to maximize this effect.

      • KCI등재후보

        공압식 심실보조기의 실험을 위한 돼지에서의 심부전 모델의 개발

        박성식,서필원,이상훈,강봉진,문상호,김삼현 대한흉부외과학회 200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6 No.3

        Establishment of the Heart Failure Model in Swine for the Experiment of the Pneumatic Ventricular Assist DeviceSeongsik Park, M.D.*, Pil Won Seo, M.D.*, Sang Hoon Lee, Ph.D.**, Bong Jin Kang, M.D.***Sang Ho Moon, M.D.*, Sam Hyun Kim, M.D.* 배경: 공압식 심실보조기의 실험을 위한 심부전 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사람의 심장구조와 유사하고 저렴하며 일관되게 반복적으로 급성심부전을 유발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본 연구진은 사람의 심장구조와 가장 유사하며 저렴한 돼지를 사용하여 관상동맥의 좌전하행지를 결찰하는 방법으로 급성심부전을 유발시키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성인의 몸무게에 해당하는 5마리의 돼지를 사용하여 전신마취 후 좌측개흉술을 통하여 심장을 노출시키고 관상동맥의 좌전하행지의 원위부에서 시작하여 근위부로 올라오면서 결찰, 재관류, 결찰의 방법으로 심부전을 유발시켰다. 각 과정의 전,후에 좌심실확장기말기압력, 동맥압, 심박출계수를 측정하였고, 심외막 심에코도를 통하여 좌심실확장기내경, 좌심실수축기내경, 분획단축, 심구혈률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좌전하행지의 원위부부터 근위부까지 충분한 심부전이 달성될 때까지 반복하였으며 목표달성 후 심실보조기를 장착하여 구동시켰다. 결과: 5마리 중 3마리에서 안정적인 심부전을 달성할 수 있었으며 3마리 모두에서 심외막 심에코도상 심구혈률을 기준으로 관상동맥 결찰 전에 비하여 50% 정도의 심기능 저하를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결찰, 재관류, 결찰의 방법을 통하여 심근에 대해 허혈성 전처치를 시행한 후 완전 결찰을 시행하였을 때 대동물의 관상동맥 결찰 시 흔히 발생하는 심실성 부정맥이나 심근기절에 의한 심정지도 관찰되지 않았으며 병리조직학적 소견상 심근허혈을 유발시킨 좌, 우심실의 심첨부에서 중간부위까지 광범위한 허혈성 손상을 입은 심근세포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허혈성 전처치의 개념을 관상동맥 결찰을 통한 심부전 모델에 적용하여 좌전하행지의 원위부에서부터 근위부 까지 순차적으로 결찰, 재관류, 결찰을 시도한 결과 안정적이고 반복 가능한 급성 심부전 모델을 얻을 수 있었다.

      • 이식형 심실 보조 장치와 베타 차단제의 병합 요법이 양의 심부전 모델에서 좌심실의 기능 및 심근에 미치는 영향

        민병구,오세일 제주대학교 인공심장이식연구소 2000 인공심장 연구 Vol.1 No.1

        새로운 약물 치료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심장질환 환자들은 결국 울혈성 심부전으로 진행하는데, 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50% 미만이다. 심부전 환자들에서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약물로는 ACE억제제나 베타 차단제 등이 있다. 하지만 진행된 심부전 환자에서의 베타 차단제 사용은 negative inotropic effect로 인해 투여나 그 투여 용량에 제한을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아직까지는 말기 심부전 환자에서의 베타 차단제 효용성은 입증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부전이 유발된 동물 모델에서 이식형 VAD의 시술을 통해, 베타 차단제의 negative inotropic effect를 극복하면서 심실 구조와 기능의 개선 등 심부전 호전과 관련된 각종 변수들의 변화 양상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말기 심부전 환자들에 대한 치료 방법 중의 하나로 VAD와 베타 차단제 병합 요법의 임상 적용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Despite of introduction of .new pharmacological therapeutics, many types of cardiac disorder progress toward heart failure. Five-year survival of patients with heart failure is less than 50%. Angl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and beta blockades are well-known agents with survival benefit. However beta blocker administration is limited in end-stage heart failure due to negative inotropic effect, and survival benefit in these patients group has not been proved. In this experiment, we use ovine heart failure model and evaluate the effects of combination therapy of ventricular assist device and beta blocker on cardiac function and myocardial structure. The results will provide the basic concept and applicability of future novel therapeutic modality in end-stage heart failure management.

      • 심부전 환자에서 비동기화의 정도와 대조군과의 비교연구

        전현수,박시형,박진한,박상율,김현주,김모세,이영진,김대경 仁濟大學校 白病院 2010 仁濟醫學 Vol.31 No.-

        Background and Objectives Congestive heart failure remains a major and growing public health problem despite recent developing of therapy. Cardiac resynchronization can reduce the LBBB-induced mechanical interventricular dyssynchrony and intraventricular dyssynchrony. QRS duration is useful but is not the sine qua non indicator of mechanical dyssynchron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mechanical dyssynchrony by using echocardiography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nd compare it with that of normal subjects. Subjects and Methods: 74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y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30 patients served as normal subjects. 29 patients had HF and narrow QRS complexes. 15 patients had heart failure and wide QRS complexes. We assessed the time from the onset of QRS to the onset of the aortic and pulmonary flow using pulsed wave Doppler echocardiography on the apical three-chamber view and parasternal short-axis view, and measured the time from the onset of QRS to the pea(c myocardial velocity using tissue doppler imaging at each basal four segment in the apical two and four-chamber views. Results: The mean difference between right ventricle and left ventricle was prolonged in the wide QRS group compared with those of narrow QRS group and normal controls.(controls 4.5±11.1㎳, narrow QRS group 13.5±5.0msL, wide QRS group 46.5±20.4㎳) The prevalence of interventricular dyssynchrony was 3.4% in the narrow QRS group, 53.3% in the wide QRS group. Intraventricular delay between septal and lateral wall was prolonged in the narrow and wide QRS group compared with one of normal controls.(controls 18.7±14.0㎳, narrow QRS group 55.6±83.5㎳, wide QRS group 78.2±70.0㎳) The prevalence of intraventricular dyssynchrony was 27.6% in the narrow QRS group, 53.3% in the wide QRS group. Intraventricular delay between anterior and inferior wall was prolonged in the narrow and wide QRS compared with one of normal subjects.(controls 19.2±14.0㎳, narrow QRS group 45.5±50.0㎳, wide QRS group 69.3±51.1㎳) The prevalence of intraventricular dyssynchrony was 27.6% in the narrow QRS group, 33.3% in the wide QRS group. Conclusion: Wide QRS duration has been mainly used to predict the interventricular and intraventricular dyssynchrony. we can also find the intraventricular dysynchrony even in the patients with HF with narrow QRS complexes. Our results revealed that intraventricular dyssynchronyis may be more related LVEF than QRS duration. 새 로운 기전의 규명과 약제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심부전의 유병률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심장 재 동기화술 (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이 심장의 기능을 개선시키는 기전이 완전히 이해되지는 못하였지만 약물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심부전 환자, 특히 넓은 QRS 폭의 좌각차단 (left bundle branch block, LBBB) 을 가진 심부전 환자에서 우심실과 좌심실 사이의 비 동기 화 (interventricular dyssynchony) 와 좌심실내 의 비동기화 (intraventricular dyssynchrony) 를 감소시킴으로서 심장기능을 개선하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Leslie 등은 심장 재동기화술 이 BNP(brain natriuretic peptide) 및 혈장 norepinephrine을 정상화하고 autonornic balance를 회복시켜 심박수의 변동성을 개선하고 좌심실 재형성 을 regres sion 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실제 중증 수축 기능 장애를 가진 심부전 환자에서 넓은 QRS 폭 좌각차단을 가진 환자는 20~30 % 에 불과하고 이들 환자 중에서 도 상당수는 심장 재동기화술에 반응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QRS 폭이 심실 간 비 동기화와 심실내 비동기화를 모두 반영 하지 못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여러 연구들은 넓은 QRS 폭을 가진 우각차단 (right bundle branch block, RBBB) 환자나 심지어 좁은 QRS 폭 을 가진 심부전 환자에서 조차도 심실 내 비 동기화가 증명된 경우 심장 재동기화술이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QRS 폭보다 기계적인 비동기 화 (mechanical dyssynchrony) 를 바로 직접적으로 평가하고자 하는 여러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심부전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QRS 폭에 따른 심실 간 및 심실내 비동기화의 정도를 심초음파를 이용하여 평가해보고 이것을 대조군과 비교 해 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 를 앞으로 한국인에서 심장 재동기화술이 필요한 환자를 선택하거나 연구할 때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중추성 수면 무호흡이 동반된 심부전 환자에서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 적용 1례

        안지영,김신범,강현희 대한수면의학회 2017 수면·정신생리 Vol.24 No.2

        일반적으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이 중추성 수면 무호흡보다 발생 비율이 높지만 심부전 환자에서는 체인-스토크스호흡이 동반된 중추성 수면 무호흡이 흔하며, 실제로 심부전환자에서 25~40%까지 중추성 수면 무호흡이 발생한다고한다. 저자들은 호흡곤란으로 내원하여 심부전으로 진단된환자가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하고 난 이후 추적 시행한심초음파 결과에 비해 주관적인 호흡곤란이 해결되지 않은경우, 의료진의 자세한 병력 청취를 통해 환자가 평소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이 심하다는 소견을 바탕으로 조기에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했다. 환자는 체인-스토크스 호흡을 동반한중추성 수면 무호흡으로 진단 되어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을적용 후 호흡곤란 및 주간 졸림증이 호전 되었다. 심부전 환자에서 중추성 수면 무호흡이 동반된 경우, 피로감, 주간 졸림증 등과 같은 수면 무호흡의 일반적인 증상이 심부전 자체로 인한 증상으로 오인되어 중추성 수면 무호흡의 진단이늦어 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환자의 예후에 나쁜 영향을 끼칠수 있다. 본 증례의 경우와 같이 심부전 환자의 치료 시 수면무호흡을 의심할 만한 증상이 있는 경우 중추성 수면 무호흡의 동반 가능성을 염두해 두고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중추성 수면 무호흡을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증상 호전 및 예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바이다. Central sleep apnea (CSA) is a highly prevalent comorbidity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nd may present in 25 to 40 percent of heart failure patients.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is the primary therapeutic option and effective in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OSA). In heart failure patients with CSA, several trials of CPAP showed a number of positive effects in heart failure treatment. A 58-year-old male visited the hospital because of dyspnea and he was diagnosed as heart failure with ischemic heart disease. He underwent coronary angiography and received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due to stenosis at the middle of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However, dyspnea was not completely improved after treatment with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The patient also experienced snoring and sleep apnea which worsened with symptom of dyspnea in the recent year. We suspected CSA and the patient underwent polysomnography to confirm whether sleep apnea was present. During the polysomnography, CSA with Cheyne-Stokes respiration (CSR) was observed and apnea-hypopnea index was 45.9/hr.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CPAP. After CPAP treatment, hypoxemia and CSA were resolved and dyspnea was improved with reducing NYHA class. We report a case successfully treated with clinical improvement by presuming CSA in a patient with heart failure.

      • KCI등재

        증례 : 내분비-대사 ; 가역 심부전을 동반한 원발성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1예

        김선영 ( Sun Young Kim ),이자영 ( Ja Young Lee ),이지명 ( Ji Myoung Lee ),김미정 ( Mi Jung Kim ),임동준 ( Dong Jun Lim ),한제호 ( Je Ho Han ),문성대 ( Sung Dae Moon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7 No.3

        호흡 곤란 및 전신 강직증, 감각 이상을 주소로 내원한 65세 여자 환자에서 혈청 칼슘 및 부갑상선 호르몬의 감소와 함께 심장초음파 검사 결과 좌심실 부전이 있었다. 환자는 갑상선수술 혹은 심부전의 과거력이 없었으며 칼슘 교정 및 심부전에 대한 약물 치료 후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본 증례는 원발성 부갑상선 기능저하증에 의한 저칼슘혈증으로 심부전이 발생한 예로써, 심근 수축에 칼슘 이온이 중요하며 드물지만 심부전의 원인으로 저칼슘혈증이 동반될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될 예로 생각되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또한 심부전 환자에서 원발성 부갑상선 기능저하증에 의한 저칼슘혈증은 가역적이며 심부전의 진단에 반드시 고려하여야할 인자라고 생각된다. A 65-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cute pulmonary edema, generalized tetany, and paresthesia. She had severe hypocalcemia, a low intact parathyroid hormone level, and her echocardiogram revealed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She had no history of heart failure or thyroid surgery. The heart failure improved after calcium replacement and conventional heart failure management. She was diagnosed with hypocalcemia-induced heart failure caused by idiopathic hypoparathyroidism. Despite the crucial role of calcium in myocardial contractility, hypocalcemia is rarely reported as a cause of heart failure. In conclusion, plasma calcium should be measured in the initial workup of all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nd corrected if hypocalcemia is seen. Idiopathic hypoparathyroidism is a rare cause of reversible heart failure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tiologic assessment. (Korean J Med 77:353-358, 200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