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말초동맥질환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연주,이주희,추상희,최동훈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6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6 No.1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llness perception, knowledge about the diseas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Peripheral Arterial Disease (PAD) pati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8 PAD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as an outpatient or an inpatient at the department of cardiology in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o December 2014,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illness perception and knowledge on PAD, health promoting behaviors b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s: The number of subjects who had an awareness of PAD diagnosis was 70 (54.7%) among 128. In this study, knowledge on PA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behaviors (r=0.205, P=0.020). Especially, knowledge on PAD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health responsibility (r=0.353, P<0.001) and exercise (r=0.230, P=0.009). In the regression analysis, knowledge on PAD was a factor that influences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is study subjects (R2=0.212, P=0.032). Conclusions: We could determine the degree of perception, knowledg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participants and the influence of PAD-related knowledge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Conclus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tervention to ameliorate disease perception and PAD related knowledge in order to impro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PAD patients. 연구배경: 본 연구는 말초동맥질환자를 대상으로 질병인식과 질병 관련 지식,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조사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여 말초동맥질환자의 건강증진행위를 도모하기 위한 교육중재를 개발하고 시행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 세브란스병원의 심장내과에서 입원 혹은 통원 치료를 받고 있는 말초동맥질환자 128명으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질병 관련 특성, 말초동맥질환에 대한 인식과 지식, 건강증진행위에 대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14년 10월부터 12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말초동맥질환자 128명 중 말초동맥질환 진단에 대한 자각이 있는 대상자는 70명(54.7%)으로 조사되었다. 말초동맥질환에 대한 인식과 지식, 건강증진행위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말초동맥질환에 대한 지식은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성이 있었다(r=0.205, P=0.020). 특히 말초동맥질환에 대한 지식과 건강증진행위 중 건강책임성(r= 0.353, P<0.001)과 운동(r=0.230, P=0.009)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말초동맥질환에 대한 지식이 예측요인으로 조사되었다(R2=0.212, P=0.032).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말초동맥질환에 대한 인식과 지식, 건강증진행위 수준을 파악하였으며 말초동맥질환에 대한지식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말초동맥질환자의 질병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 KCI등재

        해양경찰의 우울증상,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과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련성

        정승혜,추진아,김혜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21 No.2

        Backgroun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Korean Coast Guards who are exposed to a vulnerable working environment. Methods: A cross-sectional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271 Korean Coast Guards in Gangwon-do. Depressive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ve Scale-Revise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KOSHA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GUIDE H-9-2012. Health-promoting behaviors were measured using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II. Results: Of all the Korean Coast Guards, 17.3% represents the risk of clinical depression, and 43.5% reporte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any body parts. The average score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were 2.4 (range, 1-4 scores). Depressive symptom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respectively. Depressive symptom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spiritual grow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physical activity, and stress management in subscales o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II.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physical activity and stress management in subscales o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II. Conclusions: Among Korean Coast Guards, health-promot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Therefore, nursing strategies to promote health-promoting behaviors may be enhanced psychological health and physical health outcome of Korean Coast Guards. 연구배경: 본 연구는 취약한 근무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해양경찰을 대상으로 우울증상,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 그리고 건강증진행위의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는 중재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지역 D지방해양경찰서 소속으로 근무 중이며 근무경력이 1년 이상인 해양경찰 271명이었다. 우울증상은 한국판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 도구를 사용하였고,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은 KOSHA GUIDE H-9-2012에서 근골격계질환 증상조사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건강증진행위는 건강증진생활양식척도 II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공변량을 보정한 후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해양경찰의 우울증상 수준에서 우울증(≥13점)으로선별된 대상자는 17.3%였으며,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이있는 해양경찰은 43.5%였다. 건강증진행위 수준은 평균 2.4점(범위, 1-4)이었다. 우울증상은 건강증진행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우울증상이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 수준이낮았다. 건강증진행위의 하위영역에서는 우울증상과 영적성장, 대인관계, 신체활동, 스트레스관리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은 건강증진행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이 있을수록건강증진행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의 하위영역에서는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과 신체활동, 스트레스관리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결론: 해양경찰의 우울증상,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과건강증진행위 간의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따라서 해양경찰의 건강증진행위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우울증상과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 수준을 감소시키는 전략이필요하겠다.

      • KCI등재

        콜센터 남녀 근로자의 감정노동과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련성

        김혜진,추진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20 No.2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emotional labor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among both women and men at call center workers. Methods: A cross-sectional,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among 709 workers (470 women and 239 men) at K call center workplace in Seoul, South Korea. Emotional labor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were measured using the Emotional Labor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II (HPLP-II). Results: Of all the call center workers, the average score of emotional labor was 3.5 out of 5.0. Women had a higher average emotional labor score (3.6 points) than men (3.5 points). The average score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was 2.0 out of 4.0 in the overall workers and each group of women and men workers, respectively. Emotional labor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among each group of women and men. Among women workers, emotional labor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spiritual growth and stress management subscales of the HPLP-II, while among men workers, it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all HPLP-II subscales. Conclusions: Emotional labor may be associated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its associations with the subscales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may differ by gender. Therefore, nursing strategies for reducing emotional labor should be concerned in the context of gender-specific associations with emotional labor. 연구배경: 본 연구는 콜센터에서 근무하는 여성과 남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각각 감정노동 수준과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를 파악하고, 감정노동과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련성을규명함으로써 감정노동 근로자인 콜센터 근로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행위 실천을 향상시키는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2014년 10월에 조사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일개 K 콜센터에 근무하는근로자 709명(여성 470명, 남성 239명)이었다. 감정노동은감정노동 도구로 측정하였으며, 건강증진행위는 건강증진생활양식척도II 도구로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남녀를 구분하여 각각 공변량을 보정한 상태에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감정노동 수준은 전체 3.5점이었고, 여성 근로자(3.6점) 가 남성 근로자(3.5점)보다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건강증진행위 실천정도는 전체 2.0점이었고, 여성과 남성근로자 모두 2.0점으로 차이가 없었다. 감정노동과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련성에서는 여성과 남성 근로자 모두 감정노동 수준이 높을수록 전체 건강증진행위 실천정도가 낮은 것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하지만 감정노동과 건강증진행위의 하위영역 간의 관련성에서 여성 근로자는 영적성장, 스트레스관리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나, 남성 근로자는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결론: 감정노동은 건강증진행위에 성별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미치므로 감정노동 근로자의 건강행위 실천을 향상시키는 중재를 계획시 성별에 따른 특성을 함께 고려되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한국인 35세 이상 여성에서 소득계층과 건강행태: 제6기 1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2013)

        오민정,김윤진,이정규,이유현,탁영진,황혜림,이승훈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7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7 No.1

        Background:Income is a major socioeconomic index, and low household income is known to negatively affect health. Nevertheles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f middle-aged and older women with low-incom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f low-income women, using data representative of South Koreans. Methods:This cross-sectional study used data from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mong the total of 8,018 respondents, 2,713 women aged 35 years or older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by income status based on standard household income quartiles. Results:The low-income group showed the lowest education levels and the highest unemployment rate (P<0.001). The percentage of smokers was the highest, while the frequency of exercise was the lowest in this group (P<0.001). The incidence of hyperlipidemia was highest (P=0.028), and they showed the highest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P<0.001),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glucose (P=0.018), and triglyceride level (P=0.03), as well as the lowest high density lipoprotein level (P=0.039), and the highest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s (P=0.002). Additionally, perceived health status was negative and quality of life was lowest among the groups (P<0.001). Although the enrollment rate for free health check-up services was highest (P=0.007), subscription to private health insurance, adult health check-ups, cancer screening rate were all lowest of the groups. Conclusions:This study confirmed a health gap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of low income, compared to higher income groups. 연구배경: 소득은 대표적인 사회경제적 지표로 가계소득이 낮은 경우 상위 소득계층과 건강수준의 차이를 보인다. 현재까지 저소득층 여성의 건강행동 및 건강상태에 대한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표할 수 있는 자료를 이용해 저소득층 중노년 여성 건강상태에 관한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방법: 제6기 1차년도(2013)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단면연구이다. 조사에 참여한 사람 총 8,018명 중 만35세 이상의 여성 2,71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가구 소득사분위 기준금액에 따라 소득계층을 나누었다. 저소득층여성에 초점을 맞추어 인구 사회학적인 특성, 건강행동, 건강상태 및 의료이용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여성의 소득 하그룹에서 교육수준이 낮고 미취업자비율이 높았다(P<0.001). 흡연자 비율은 가장 높으나 운동실천율은 가장 낮았다(P<0.001). 고지혈증 이환율이 높으며(P=0.028) 검진조사에서 체질량지수(P=0.022), 허리둘레(P<0.001), 공복혈당(P=0.018), 중성지방(P=0.03) 수치가 높고 저밀도단백질이 낮았다(P=0.039). 또한 소득 하그룹의심혈관질환 위험도가 가장 높았다(P=0.002). 주관적 건강을부정적으로 인식하며 삶의 질이 낮고(P<0.001) 무료 건강검진 수진율은 높으나(P=0.007) 민간 의료보험 가입, 성인검진, 암검진 수진율 및 필요 의료서비스 수진 여부는 낮았다. 결론: 본 연구는 저소득층 중노년 여성과 상위 소득계층에서 건강 격차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

        국내 중년 여성의 골(骨) 건강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및 건강행위

        오의금,유재용,이정은,고일선,추상희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2 No.2

        연구배경: 최근 고령 인구가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골다공증은 국내 중년 이후 여성의 건강을 위협하는 주요 문제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골다공증의 예방 및관리를 위하여 중년 여성들의 골 건강상태와 골 건강을 위한 지식, 자기효능감 및 건강행위의 수준 등을 파악하는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횡단적 서술조사 연구로, 국내 일 지역의 보건진료소에 등록된 만 40세 이상의 중년 여성 150명을 대상을 임의로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골밀도는 이중 골밀도 X선 흡수법으로 DEXXUM T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인구사회학적특성, 골 건강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및 골 건강행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 150명의 평균 연령은 59.8세로, 74.0%가 폐경 상태였다. 골밀도 측정 결과, 좌측 대퇴골 경부를기준으로 대상자의 22.7%가 골다공증, 42.0%가 골감소증으로 나타났다. 골 건강관련 지식의 평균 점수는 10.35점으로 낮았고, 자기효능감 수준은 47.67점으로 중간수준이었다. 골 건강행위 수준은 칼슘과 비타민 D가 풍부한 식이섭취 영역이 저조하였다. 또한 골 건강행위는 지식 수준(r=0.22, P=0.008)과 자기효능감 수준(r=0.29, P<0.001)이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중년 여성들의 골 건강행위를 실천할 수 있도록 골 건강관련 지식과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적 중재가 필요하다. Background: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elderly population, osteoporosis has become a major health problem worldwide. Although health knowledge and self-efficacy are important assets to facilitate healthy behaviors and disease prevention, such information as it relates to individuals and their bone health is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levels of knowledge, self-efficacy, and health behaviors on promoting bone health in middle-aged Korean women. Methods: This is a cross-sectional survey study. A convenience sampling of middle-aged women (≥40 years)was done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in Korea. Bone mineral density was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with the DEXXUM T. The level of knowledge was measured with the Knowledge of Osteoporosis Scale, and self-efficacy with the Osteoporosis Self-efficacy Scale. A questionnaire for bone health behaviors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methods, independent t-test,analysis of variance,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A total of 150 middle-aged women whose mean age was 59.8±11.5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Most (74%) were menopausal. Less than one-quarter of participants (22.7%) had osteoporosis and less than half (42%) had osteopenia based on the T-score at the left femur neck site. Level of knowledge (mean score,10.35) and self-efficacy (mean score, 47.67) ranged from low to moderate. Intake of calcium and vitamin D-rich foods was insufficient in our subjects. Bone health behaviors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knowledge (r=0.22, P=0.008) and self-efficacy (r=0.29, P<0.001) on promoting bone health.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ducational interventions are needed to enhance knowledge and confidence and to encourage middle-aged women to engage in bone health behaviors.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정보이해능력 및 관련 요인

        손윤정,김현준,정혜진,황인영,김무영,이수형,박기현,박기호,김채봉,임향,이지영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7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7 No.2

        Background: In September 2016, the number of North Korean refugees living in South Korea was 29,688. They have been struggling with health problems due to their poor health status and the differences in medical system and terminolog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e aim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and its related factors in North Korean refugees. Methods: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42 patients who visited North Korean refugees' counseling center at Seoul Medical Center and National Central Medical Center and 100 South Korean patients who visited outpatient clinics or Health Promotion Center of Seoul Medical Center. General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were survey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health literacy was measured by using ‘Korean Adult Health Literacy Scale’. Results:The average age of North Korean refugees was 48.92±11.49 years old. Almost 95% reported that their monthly income was less than 2 million KRW. The survey showed that North Korean refugees obtain health information mainly through TV, radio, and acquaintances and more than half (54.9%) said their health was bad or very bad. The mean score of North Korean refugees' health literacy was much lower than that of South Koreans (12.42±7.58 vs. 25.3±5.7, P<0.001). This discrepancy was maintained after adjusting related factors such as age, sex, and socioeconomic status with stratified analysis. Conclusions:It suggest the urgent need for policies which support for futher researches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system, which may lead to the improvememt of the health literacy of North Korean regugees 연구배경:2016년 9월 기준 남한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수는 2만 9천 688명으로, 이들은 남한에 정착한이후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질환과 낯선 의료환경, 의료용어로 인해 건강관리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건강정보이해능력은 건강상태를 결정짓는 주요 요인으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필요한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그 수준과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서울의료원과 국립중앙의료원의 북한이탈주민 상담센터를 방문한 북한이탈주민 환자 142명과 서울의료원외래 또는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남한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을 통해 성별, 연령, 교육기간, 직업, 결혼, 동거가족 유무 등을 조사하였고, 한국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건강정보이해능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연구에 참여한 북한이탈주민의 평균 나이는 48.92± 11.49세였고, 여자는 94명(66.2%)이었다. 조사대상 북한이탈주민의 94.4% (134명)에서 월평균 수입이 200만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탈주민은 주로 TV나 라디오, 의료인, 주위 지인을 통해 건강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54.9%에서 본인의 건강의 나쁘거나 매우 나쁘다고 표현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정보이해능력 평균점수는 12.42±7.58점으로 남한 환자의 25.37±5.80점에 비해유의하게 낮으며(P<0.001), 이러한 차이는 층화분석을 통해연령, 성별, 사회경제적 상태와 같은 관련 변수의 영향을통제한 후에도 유지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남한 환자에 비해 심각하게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이들 인구집단에서 건강정보이해능력 향상을 위한 추가 연구 및 자료 개발과 교육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절실히요구된다

      • KCI등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30-50세대의 건강생활 실천 장애요인 탐색: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김민혜,전진호,이윤미,설로마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22 No.3

        연구배경: 고혈압·당뇨병과 같은 만성 질환은 예방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청장년기 성인의 건강생활 실천에 대한장애요인을 파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30-50세대가 만성 질환 발병 취약 환경에 어떻게 노출되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이들의건강생활 실천에 대한 인식과 장애요인을 심층적으로 탐색한 후, 향후 지역사회 만성 질환 예방관리 전략을 수립하기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초점집단면담 방법론을 적용한 질적 내용분석 연구이다. Elo와 Kyngäs가 제시한 귀납적 내용분석방법에 따라 자료에 대한 전반적 이해, 개방코딩, 집단화, 범주화, 추상화의 단계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30-50세대의 건강생활 실천 장애요인의 범주는 개인 내적 영역에서 ‘건강관리에 대한 낮은 관심’, 대인관계영역에서 ‘지지자의 부재’, 조직적 영역에서 ‘건강생활 실천이 어려운 조직 환경’, 지역사회 영역에서 ‘인프라 부족’과‘보건소 이용 제한’이 도출되었다. 결론: 만성 질환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해 30-50대 성인들이건강생활 실천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고 의지를 높여주어야 한다. 건강생활 실천을 위해서는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이 지지자로서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며, 직장에서사업주는 근로자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을 갖고 업무시간 조절과 회식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어 건강생활 실천을 생활화하는 조직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공공체생활화하는 조직 환경을 조성해야 할 체육시설과 같은 인프라를 추가 확충하여 관리하고, 다양한 보건소 사업 내용을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안내하여 건강생활 실천을 촉진할 수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종합병원 직원들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참여 후의 건강지표들의 개선

        박인혁,오범조,이가혜,박재석,이상형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8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8 No.1

        Background: An 8-week health program is achieved for health providers in a general hospital in Seoul to verify whether health parameters are enhanced by improving life habits. We want to examine the effect of this program with measuring health parameters and exercise ability. This study is performed as a pilot study, and the goal is to introduce the outcome of health program with experimental methods. Methods: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consist of 42 health providers who were overweight, and they enrolled an 8-week health program in 2015. They took a class about improving eating habits and recorded daily diet. Moreover, they implemented exercise program with encouraging active participation by rewarding members who attended the program frequently. Results: The result is analyzed with 31 participants who finished the program. There are 4 men whose physical indices correspond with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Otherwise, 27 women have physical indices below the criteria. The result indicates that physical indices would not reveal meaningful changes. However, basal fitness comprised of flexibility, sit-up, and back muscle strength implies meaningful improvement. Conclusions:Even though there were some problems to revise in exercise intervention, it was accomplished systematically while nutrition intervention was not controlled strictly. In addition, factors including inspiring the enrollment of men and extending the period of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next program. The final goal of the health promoting hospital is to improve the health of health providers by sustaining this program with developing exercise and nutrition intervention in detail. 연구배경: 생활습관의 개선을 통해 건강 지표가 호전되는것을 확인하기 위해 서울의 한 종합병원 근무자를 대상으로 8주간의 건강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참여 전후의 건강지표와 운동능력을 측정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pilot study로써 실험적으로 시행된원내 직원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성과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2015년 10월부터 11월까지 서울의한 종합병원에서 실시한 직원 건강 프로그램에 참여한 과체중 이상의 42명의 직원이다.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 신체지표를 측정하고 기초체력을 평가하였다. 사전 평가 이후 참여자들은 8주간 영양 및 운동에 관련된 프로그램을진행하였다. 식습관 개선에 대한 교육을 수강하고 식단을기록하였고 그룹 및 개별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되 우수참여자에게 포상함으로써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결과: 프로그램 참여를 완료한 31명의 참여자에 대해서 결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참여자 중 남성은 4명, 여성은 27명이었으며 사전 신체계측에서 남성은 대사증후군에 부합되었고, 여성은 대사증후군은 아닌 과체중임을 확인하였다. 8주간의 프로그램 전후 변화를 확인한 결과 BMI, 허리둘레를포함한 신체지표들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기초체력평가에서는 유연성, 윗몸일으키기, 배근력 운동에 있어서 유의미한 개선이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있었다. 결론: 운동 능력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난 반면 신체계측상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원인으로 운동 관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졌지만 영양관리는 상대적으로 엄격하게 관리되지 못한 점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 밖에도 추후 개선해야 할 점으로 프로그램 참가자의 지속적참여, 남성의 참여 독려, 프로그램의 지속기간 연장 등을고려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운동 및 영양 측면에서 보완해야 할 점을 고찰해보고, 이러한 병원내 직원건강 프로그램이 지속되도록 하여 젊은 직원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고만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 건강증진병원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 KCI등재

        간호사의 암환자 성건강 간호에 대한 태도와 수행

        정연선,박정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22 No.2

        연구배경: 본 연구는 일 종합병원 간호사의 암환자 성건강간호에 대한 태도와 수행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성건강 간호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2016년 11월 7일부터 10일까지 강원도 일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암환자 간호 경험이 있는 간호사 152명을 대상으로 성건강 간호 태도와 수행 도구(SHCS-A, SHCS-P) 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간호사의 암환자 성건강 간호에 대한 태도는 51점만점에 평균 26.59±6.80점이었으며, 암환자 성건강 간호에대한 수행은 21점 만점에 평균 2.63±3.23점으로 21개 항목중 2-3개 정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 성건강 간호교육을 받은 대상자는 단 3명(2.0%)이었으며, 성건강 상담 공간의 부족과 상담시간 부족을 호소하였다. 성건강 간호 수행은 40세 이상의 군과 혈액종양병동에 근무한 대상자에서 높았으며, 대상자의 성건강 간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0.33, P=0.001).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간호사를 위한 암환자 성건강 간호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며, 시뮬레이션이나 가상현실교육 등의 다양한 교육 방법이 시도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일반건강검진과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제공 의료인의 인식 및 태도 조사

        강서영,이정아,김영식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7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7 No.4

        Background:Current National Health Examination (NHE) in Korea provides health examination to the public throughout the entire life course; however, management after NHE is not sufficiently deliver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knowledge and attitude of health care providers in order to revise result forms and counseling manual of NHE. Methods:We recruited 30 doctors, who undergo NHE, and conducted survey from January 7, 2016 to January 26, 2016. Participants answered questionnaires regarding difficulty of explaining each items of result forms, difficulty of counseling each items of NHE, and ways of improvement. Furthermore,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regarding pros and cons of NHE and improvements needed. Results:The average Likert score for difficulty of explaining items of result forms was lowest (3.8/5.0 points) for blood test due to its graphic format. Difficult counseling items were mental heal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and healthcare for the elderly. The proportions of doctors, who often counsel these items, were less than 40%. In the in-depth interview, health care providers suggested that examinees’ knowledge for result forms decreases because it is hard to interpret, and management after NHE should be improved by undertaking NHE in primary health care facilities. Conclusions:The graphic format of blood test result form should be revised into readable format, and contents of counseling manual for mental heal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and healthcare for the elderly should be improved. Financial support for doctors should be provided, and NHE should ultimately be reinforced in primary health care facilities. 연구배경: 우리나라의 현행 국가건강검진 제도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생애 전 주기에 걸쳐 건강검진을 국가 부담으로 제공하고 있으나, 검진 후 사후관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국가건강검진의 질을 향상시키고 양질의 사후관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검진을 담당하는 의사들의 상담 역량 함량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국가건강검진 제공 의료진의 건강검진 상담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조사하여 국가건강검진 서식 및 상담 매뉴얼 개정을 위해필요한 사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일반건강검진 및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을 시행하는검진 의사 30명을 대상으로 2016년 1월 7일부터 1월 26일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일반건강검진 결과지 각 항목에 대해 수검자를 이해시키기 어려운 정도, 이유 및 개선방안에 대해 설문하였다. 또한,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상담분야별 설명하기 어려운 정도, 이유, 개선점에 대해 설문하였다. 매뉴얼 활용도와 매뉴얼에서 내용 보강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국가건강검진의장단점, 사후관리에 대한 의견, 생활습관 상담에 대한 의견, 전반적인 개선점 등에 대해 면담하였다. 결과: 일반건강검진 결과지 설명시 수검자를 이해시키기어려운 정도에 대한 5점 리커트 척도에서 혈액검사 항목의평균점수가 3.80점으로 가장 낮았다. 혈액검사 항목을 이해시키기 어려운 이유로는 그래프 형식이 이해하기 힘들기때문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상담이어려운 분야는 정신건강상담, 경도인지기능장애 및 치매상담, 노인상담 분야였으며, 해당 분야들은 상담비율 또한40% 이하로 낮았다. 심층면담에서는 결과지 해석이 어려워 수검자들의 이해도가 떨어진다는 점, 사후관리가 안 되는 점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며 일차의료기관을 중심으로검진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결론: 그래프 형식의 혈액검사 결과지 서식을 전체 수검자가 이해할 수 있는 형식으로의 개정이 필요하며, 상담이어렵고 잘 이루어지지 않는 정신건강상담, 경도인지기능장애 및 치매상담, 노인상담 분야에 대한 매뉴얼 내용 보강이필요하다. 효율적인 사후관리를 위해 검진 의사에 대한 시간적, 재정적 지원이 제공되어야 하며, 궁극적으로 일차의료기관을 중심으로 검진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