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당(唐) 선종(宣宗)의 정국 운영과 환관(宦官) 문제

        류준형 ( Ryu¸ Junhyoung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2 사총 Vol.105 No.-

        대중 연간 선종은 정치적 명분의 확대와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 가장 먼저 재상 세력의 인적 쇄신을 추진하였다. 관인 임명의 권한을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형태로 활용하여 이덕유를 중심을 한 기존 세력을 권력의 중심에서 대거 배제했다. 환관에 대한 선종의 통제 노력은 권신에 대한 조치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황제의 관직 임명권을 활용해 호군중위와 추밀사의 인선에 황제의 의지가 반영된 변화를 주어 환관 세력 내의 결속력을 약화시키고자 했다. 환관 문제의 처리는 선종에게 있어 국정 운영의 중요한 현안이었다. 대중 초기 선종과 환관 사이의 관계 양상은 대체로 안정적이었다. 특히 대중 5년을 전후하여 당항 문제의 처리 과정에서 확인되는 환관들의 활동과 그를 배경으로 한 정책 시행의 성공은 황제의 통치가 실현되는데 끼친 환관의 긍정적인 역할을 보여준다. 환관에 대한 선종의 통제력이 일정 수준에서 효과적으로 발휘되고 있었다. 그런데 선종의 집권 중후기, 대략 대중 8년을 전후한 시기에 이르면 환관에 대한 선종의 태도가 강경해진다. 이는 선종 스스로가 환관 세력을 자신의 통제하에 두었다고 인식한 결과의 표현이었다. 그러나 다수의 환관들에 대한 선종의 영향력은 문제되지 않았지만, 상대적으로 지위가 높은 환관 세력에 대한 통제는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환관 세력을 통제하려는 선종의 노력이 궁극적으로 성공하지 못한 것은 환관 문제의 처리 방식에 대한 선종의 인식과 관련이 있다. 선종은 무력을 통해 환관을 주살하는 방식에 관심을 가졌고, 실제 재위 기간 동안 일정하게 이를 추진했다. 그러나 당시 환관들이 각종 활동을 통해 황제의 국가 통치를 수반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상황에서 무력을 통한 환관 문제의 해결은 현실적인 조건과 유리된 방식이었다. 결과적으로 이는 당 왕조의 점진적 쇠락이라는 대세적 흐름을 비가역적 상황으로 지속시키는 데 일조했다. The reign of Xuanzong was one of the last periods of revival in the second half of the Tang dynasty, which attempted political improvements during the decline of the dynasty. In order to strengthen the ruling power and maintain stable state management, Emperor Xuanzong first promoted the member renewal of the prime minister. In addition, by utilizing the anti-Li De Yu forces such as Baek Min-jung, basic conditions were established for the emperor-centered power management. Political stability and expansion of political power could be further consolidated by resolving the problem of the eunuchs, who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process of Xuanzong’s enthronement. Xuanzong’s control efforts over eunuchs proceeded in the same way as measures against the prime minister. It was intended to weaken the solidarity within the eunuch forces by changing the selection of Hujunzhongwei and Shumishi by using the emperor's authority to appoint officials. In this process, the relationship between Emperor Xuanzong and eunuchs in the early days of the Dazhong period was generally stable. In particular, the activities of eunuchs confirmed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the issue of Dangxiang around the 5th year of the Dazhong period and the success of policy implementation against the background show that Emperor Xuanzong’s control over eunuchs was effective at a certain level. Around the time of about eight years of the Dazhong period, Emperor Xuanzong’s attitude toward eunuchs becomes more strict. Emperor Xuanzong recognized that he had placed the eunuchs under his control. However, during the period of Dazhong, Emperor Xuanzong’s control over the eunuchs was not perfect. Control over the relatively high-status eunuchs was incomplete. The unsuccessful failure of Emperor Xuanzong’s efforts to control eunuchs has to do with Emperor Xuanzong’s perception of the way that the eunuch problem is handled. At that time, in a situation where the eunuchs were playing a role that accompanies the emperor's national rule through various activities, the way to solve the problem of eunuchs through military means was a method that was separate from the actual conditions.

      • KCI등재

        선종의 회화(繪畫)와 공안(公案)의 관계

        김대열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2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8 No.3

        The Chinese Song and Yuan Age witnessed the deep penetration and clear influence of the Zen Sect Idea into and on the entire culture and arts, as well as academic circles. The Zen Sect Painting that emerged throughout the period receives a great deal of attention from culture history, art history or general art spheres, as a discussion agenda.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and emergence origin between the Zen Sect Painting and the Text Zen, and to more clearly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its emergence, being concerned about the Zen Sect Painting which was present at the first appearance of the Text Zen. Based on the objective, this author made a discussion about it. After 'Gongan (Buddha's words and actions)' came to the fore, the Zen Sect was meant to reveal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full vitality, putting heavy weight on life. In addition, the emergence of Gongan gave the Zen Sect the boost on much creative cutting edge, but spawned the fixation of the institutional systems. In particular, Suzki emphasized that the emergence of Gongan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the Zen Sect, adding that Gongan was utilized by the Zen Sect scholars for the purpose of passing down their own enlightenment. The spreading of Ganhwaseon (Koan Mediation) provided the direction for the Zen Sect to advance toward the discourse in association with Tagibong (打機 鋒, word to word) and Seoljeoneo (說傳語, words handed down orally), offering the momentum for China to purse a new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No doubt, the massive emergence of Gesongsi (poem and hym of buddhist tenets) is resulted from the influence of the poems and phases of the Dang and Song Dynasty. It can also be interpreted as the same context framework that the Zen Sect religious leaders and literary men tried to deliver Euigyeong (意境, meaning reborn by the combination with objective correlative and intravenous image understood and cognized by writers) in pursuit of the Zen Sect, by drawing pictures, after the Chinse five dynasties. The embodying Euigyeong into vidual language led to the emergence of the Zin Sect Painting, which was utilized as the expression means for Indian ink. Having light and shade with unusual and suggestive characteristics, Indian ink was an extremely appropriate medium for decreasing the concrete meaning of form itself, and expressing the writer's ideal, in other words, Euigyeong, based on such characteristics. The Zin Sect Painting is aimed to actively express artists' own thoughts and emotions, rather than describing objective facts as they were. Taking this into account, it is considered that ink painting and the Zen Sect come to form their close correlation, while shedding a new light on and realizing human ego. 중국의 송원시대는 선종사상이 학술은 물론 문화예술 전반에 깊이 스며들어 그 영향이 확연히 드러난 시기이다. 이시기에 출현한 선종회화는 문화사의 측면이나 미술사학계 혹은 일반미술계에서도 오랜 동안 관심과 토론의 대상이다. 본고는 선종에서 문자선의 출현과 더불어 나타난 선종회화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이 양자 간의 상호 영향관계 및 발생관계를 규명하여 그 출현 의의를 보다 명확히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공안’의 출현 이후 선종은 생활을 중시하고 개인의 개성과 충만한 생명력의 특질을 드러내려 하였다. 그 밖에 공안의 출현은 선종의 많은 창조적 활력을 증가시켰으나 제도형성의 고착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스스끼는 공안의 출현은 선종의 대중화에 공헌했음을 특별히 강조하고 있으며 아울러 선사들이 자기의 깨달음의 경험을 전승하는데 운용하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간화선의 흥기는 선종으로 하여금 타기봉(打機鋒), 설전어(說傳語)의 구두선의 경향으로 발전의 방향을 돌리게 했으며 이와 아울러 중국의 문학, 예술의 방향을 돌리는 계기도 되었다. 선종 게송시의 대량 출현은 의심할 것도 없이 당시(唐詩)와 송사(宋詞)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었다. 오대 양송 이후 선승과 문인들은 그림으로써 선적 의경을 표현하려 한 것 역시 같은 맥락이다. 의경(意境)의 시각언어로의 표현은 선종화(禪宗畵)를 출현시키게 되었는데, 이 선종화는 수묵(水墨)을 표현 수단으로 삼았다. 의경은 사물을 구체화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하고 개괄적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수묵의 농담이 그 역할을 아주 적합하게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출현한 선종회화는 객관사실을 그대로 묘사하기보다는 작가 자신의 사고와 감정 자유롭게 표출하였는데, 이는 곧 ‘선적 사유’ 혹은 ‘깨달음’의 방편 내지 도구였으며 이것은 이후 동양 미술 문화의 근간으로 형성되었다.

      • KCI등재

        선종 발견율과 진행성 선종 발견율의 연관성

        이신영 ( Shin Yeoung Lee ),김남희 ( Nam Hee Kim ),채현범 ( Hyun Beom Chae ),한기중 ( Ki Joong Han ),이태훈 ( Tae Hoon Lee ),장철민 ( Choel Min Jang ),유경모 ( Kyung Mo Yoo ),정윤숙 ( Yoon Suk Jung ),박정호 ( Jung Ho Park ),김홍주 대한소화기학회 2014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4 No.1

        목적: 대장내시경 검사의 질 관리에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선종 발견율과 임상적인 유의성이 높은 진행성 선종 발견율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부터 2010년까지 강북삼성병원에서 건강검진을 위해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45세 이상, 75세 이하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제외 기준으로는 연구 기간 중내시경 의사의 내시경 시행 횟수가 10회 이하인 경우, 이전 대장폴립의 병력이 있는 경우, 부적절한 장 정결도를 보인 경우로 하였고, 최종 5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진행성 선종과 관련된 변수에 대하여 독립표본 T검정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진행성 선종 발견율을 기준으로 내시경 의사군을 나누어 선종 발견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내시경 의사들의 선종 발견율과 진행성 선종 발견율을 변수로 Spearman``s rank order correlation을 사용하여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결과: 총 561명의 환자군 및 18명의 내시경 의사가 선정되었으며, 전체 의사군의 선종 발견율은 38.86%로 18명 중 17명이 20% 이상의 적절한 선종 발견율을 보였다. 전체 의사군의 진행성 선종 발견율은 4.46% 로 최소 0%에서 최대 14.29%의 변이를 보였으며, 내시경 의사의 시술 건수 500회를 기준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1.51% vs. 5.56%, p=0.019). 진행성 선종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연령(교차비 1.07; 95% CI 1.009-1.133, p=0.023) 및 회수시간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교차비 1.191; 95% CI 1.094-1.296, p<0.001), 성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교차비 1.860; 95% CI 0.764-4.529, p=0.171). 진행성 선종 발견율 5%를 기준으로 의사군을 나누었을 때, 진행성 선종 발견율이 5% 이상인 군의 선종 발견율은 46.77%로 진행성 선종 발견율이 5% 미만인 군의 선종발견율 34.72%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09). 내시경의사들의 선종 발견율과 진행성 선종 발견율을 변수로 하여 Spearman``s rank-order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을때 Rho=0.463, p=0.053으로 두 값 사이의 유의성을 찾을 수 없었다. 결론: 이번 연구는 적절한 선종 발견율을 가진 의사라도 진행성 선종 발견율이 낮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내시경 의사들의 진행성 선종 발견율과 선종 발견율 간의 연관성이 없어 현재 대장내시경의 질 지표로 사용되는 선종 발견율의 한계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Aims: Adenoma detection rate (ADR) is widely used as an index of colonoscopy quality management. Although advanced adenomas can be found less frequently than non-advanced adenomas, advanced adenomas have a higher clinical significance during screening for colorectal canc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advanced and non-advanced ADR among colonoscopists. Methods: This study is an observational study of a cohort of patients undergoing screening colonoscopy between 2009 and 2010. We collected the data on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colonoscopic findings. The detection rates of adenoma and advanced adenoma were calculated.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variables on advanced adenoma detection, and spearman`s rank-order correlation was us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vanced ADR and ADR. Results: A total of 561 patients underwent screening colonoscopy by 18 experienced colonoscopists. Most colonoscopists had adequate (>20%) ADRs.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increased patient age (OR 1.07 per 1 year increase, 95% CI 1.009-1.133, p=0.023) and male gender (OR 1.860, 95% CI 0.764-4.529, p=0.171) were associated with advanced ADR. When colonoscopis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 the basis of advanced ADR of 5%, ADR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having higher level of advanced ADR.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advanced ADR and ADR among colonoscopists as an individual. Conclusions: Colonoscopists` advanced ADRs were independent of their ADRs, indicating that advanced ADR could\ be quite low even among colonoscopists with acceptable ADRs. Thus, there seems to be a limitation in using ADR as an adequate index of colonoscopy quality management. (Korean J Gastroenterol 2014;64:18-23)

      • KCI등재

        南宋代 牧谿 筆 禪宗畵에 대한 一考察

        신광희 불교미술사학회 2023 불교미술사학 Vol.35 No.-

        Zen Painting, Seonjonghwa or Seonhwa in Korean is a general term for paintings related to Buddhist Zen Sect. Zen monks place a great deal of importance on Zen meditation and the venerable monks who teaches them how to do it. And they also used Zen paintings, which intuitively visualized the state of enlightenment, as a means of handing down Buddhism. In other words, Zen painting originally started as a medium to inherit the method of practice leading to enlightenment in Zen monks and Zen temples. And since then, as the Zen sect became prevalent and spread, and the literati loved these paintings, the category gradually expanded.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Zen paintings, the unique ink-and-wash painting techniques were recognized as suitable for revealing the secular character and momentary enlightenment of Zen monks, and it became one of the main styles of painting. In particular, the Zen paintings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1127-1279) are an early group of works that have an important meaning enough to be called the norm of East Asian Zen paintings. This paper reviewed the Zen Buddhist paintings by Muqi(牧谿), one of the representative painters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He is a painter from Sichuan who was active in the 13th century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and is closely related to Zen Buddhism. He belonged to the family of Zen master Wuzhun Shifan(1178-1249), and his main temple was Liutongsi Temple near West Lake in Hangzhou.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Muqi's paintings in the past, and as a result, many aspects and meanings of the paintings have been revealed. However The Practice of Meditation (禪僧入定圖) from the Seikadobunko(靜嘉堂文庫) Collection Japan, is a work that has not been analyzed in detail. For that reason, this paper focused on the painting style and iconography of this work. In particular, this thesis analyzes the expression technique of the Practice of Meditation, and based on this, similarity of technique was found by comparing it with Guanyin, Gibbons, and Crane (觀音 猿鶴圖), and Laozi (老子圖) among his works.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iconography of the Practice of Meditation specifically reflected the contents of the biographies of old high priests such as Liang-Gao-Seng-Zhuan(梁高僧 傳), and that the wearing of the ‘bokduui’(覆頭衣), a form of wearing a monk's robe covering over the head was closely related to Zen monks. Based on these points, this thesis suggests that it is reasonable to give this painting a specific name, 'the Practice of Meditation', even though this painting was vaguely called 'Arhat painting' in the past. 禪宗畵는 불교 禪宗과 관련된 회화의 총칭으로, 일명 ‘禪畵’라고도 부른다. 禪 宗은 敎外別傳, 不立文字, 見性成佛, 直指人心을 표방한다. 따라서 선종계 승려들은 참선 수행과 사유법을 傳受하는 스승과 傳燈에 큰 의미를 두었고, 때론 以心傳 心의 경지를 직관적으로 ‘시각화’한 禪宗畵를 傳法의 수단으로 삼기도 했다. 이렇듯 선종화는 본래 禪家에서 깨달음과 전법의 매개체로 출발했다. 그리고 이후 선종이 성행하고 文人들이 본인들의 사유 방식과 선의 이념을 연계시켜 감상용으로도 제작하면서 선종화의 범주가 점차 확대되었다. 그 결과 선종화는 禪宗과 관련된 회화 전반을 의미하게 되었으며 세부적으로 그 유형도 매우 다양해졌다. 그뿐만 아니라 선종화는 전개 과정에서 水墨 減筆法 혹은 潑墨法이 禪門 수행자의 탈속적 성품과 찰나의 깨달음을 드러내는데 적합한 화법으로 인식되면서 인물화의주요 양식 중 하나로 자리잡게 된다. 특히 南宋代(1127-1279) 선종화는 동아시아선종화의 규범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초기 작품군이다. 본 논문은 당시 대표적인 화가 牧谿의 선종화를 중심으로 검토했다. 목계는 南 宋 말에 활동한 蜀, 즉 四川 출신의 화가이다. 목계의 法諱는 法常이다. 그는 臨濟 宗 禪師 無準師範(1178-1249)의 門派에 속하며 주석 사찰은 杭州 西湖 六通寺로 알려져 있다. 목계의 작품은 기존에 많은 연구성과가 발표되었고 그 양상과 의미가 많이 밝혀져 있다. 하지만, 일본 靜嘉堂文庫미술관 소장 <禪僧入定圖>는 목계를 연구할 때 언급되기는 했지만 구체적인 분석이 미진했던 작품이다. 그러한 이유로 본고는 이 작품의 화풍과 도상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특히 <선승입정도> 의 표현기법을 분석하고, 이를 그의 작품 중 ≪관음원학도≫ 및 <노자도>와 비교해 기법의 유사성을 찾아 제시했다. 그리고 <선승입정도>의 도상이 역대 고승전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반영한 것이며 覆頭衣 착용이 禪僧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내용을 근거로 이 그림이 기존에 막연히 ‘나한도’라고 불렸지만, 선종화의 범주에서 이해해야 하며 ‘선승입정도’라는 구체적인 명칭을 부여하는 것이 타당함을 제시했다.

      • KCI등재

        선종(禪宗)문화에 기초한 현대 차 가구 융합 디자인에 관한 연구

        웨이쯔강,최경란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1 No.3

        본 연구는 "현대 생활의 빠른 리듬"이 슬로우 라이프를 요구함을 탐구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선종(禪宗) 문화는 슬로우 라이프의 중요한 이념을 보여주며, 차문화도 슬로우 라이프 요소를 갖고 있어 "선차(禪茶)" 는 일체성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현대 차가구 디자인에서 선종문화의 이식 과정을 조사하고, 선종문화의 디자인 원리를 반영하는 차 가구의 상태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차 가구에서 선종문화의 이식과정을 분석하고, 선종문화의 디자인 원리를 반영하는 "선의(禪意)" 상태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차가구의 재질, 색상, 조형 등을 선종문화의 원리와 함께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차 가구 디자인에서는 자연과 소박함을 표현하는 "선의"가선호된다. 선종문화의 영향을 받은 차 가구는 자연적인 원재료와 조화로운 색상, 심플하고 우아한 조형을갖추고 있다. 둘째, 차 가구 간의 조화와 차 가구와 차실의 조화에서는 "물과의 일체화(物我合一)"를 반영하는 "선의(禪意)"를 추구한다. 차 가구의 배치와 차실의 디자인은 차와 사람, 자연과의 조화를 표현하며, 차를 즐기는 공간에서의 조화로움과 평온함을 강조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대 차 가구의 디자인은 선종문화의 이념을 반영하여 "선의" 상태를 구- 262 - 현해야 한다. 이를 통해 경제사회의 신속한 발전과 물질적 생활수준의 증가에 대응하면서도 슬로우 라이프를 추구하는 사람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을 것으로기대한다. 차 문화를 조성하거나 부각하는 중요한 매개체인차 가구에 있어서는 선종문화의 디자인 원리를 기반으로 현대 차 가구가 가져야 할 상태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선종문화의 영향을 받은 현대 차 가구는자연적이고 소박한 미를 반영하며, 차와 사람,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디자인 이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KCI등재

        禪宗美學硏究의 初步的 探索

        김대열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30 No.-

        종교와 미 · 예술 사이에는 모종의 은밀하게 분리될 수 없는 내재적인 연결 고리가 있다. 종교와 예술은 우리의 생활과 생명에 커다란 고무와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 있으며 인류의 정신적 문화적 영역에서 기본적으로 변화를 낳게 하데, 이는 ‘상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선종은 그 어느 종파보다도 생명의 진제(眞諦)를 강조하고 있다. 선종미학은 기실 이론규범이 완벽한 미학사상은 아니지만 거기에는 미학적요소를 다분히 포함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다. 선종미학의 기본이론 문제를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전망하여 보았다. 연구의 대상과 범위를 설정하고 선종과 미학의 접점, 사상체계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면서 선종미학 연구에 있어서 필수적인 기초를 세우고자 했다. 선종미학은 선사(禪師)들의 독특한 심미적 활동이 연구대상이다. 선종미학은 인간 생명의 존재, 의의, 가치에 대한 심미적 사고를 다루는데, 그것은 본질상 일종의 생명의 자유를 추구하는 생명미학이다. 선사(禪師)들 제기한 “도유심오(道由心悟; 도라는 것은 마음으로부터의 깨달음이다)”라는 명제는 선종사상과 미학의 근간이다. 다시 말하자면 ‘깨달음’의 과정이 바로 심미인식의 과정이며 진여, 자성이 바로 미적 본질이라 하겠다. 우리는 선종미학의 연구에 있어서 과거의 문헌기록에 나타난 그 대응관계에서 역사의 흔적을 찾는데 그쳐서는 안 된다. 당연히 선종사상자료에 대하여 더욱 연구, 발굴, 정리, 분석해 내야할 것이며, 나아가 이에 대한 연구는 현대미학과의 조화를 이루어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현실적인 논의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re is a certain inseparable and inherent inter-connectedness between religion, esthetics and art. It is because that both religion and art are based on 'imagination' which gives new values and a big encouragement to our life and living, resulting basic changes of the spiritual and cultural aspect of human life. Seon school, especially, emphasizes the ultimate truth of life. The theory of Seon Buddhism esthetics is not a perfect esthetics one but there is no denying that Seon Buddhism esthetics contains, to some extent, certain elements of esthetics. I presented the basic theory of Seon Buddhism esthetics systematically and foresaw it's future prospect. I tried to set up the basic foundation of Seon Buddhism esthetics studies by establishing the objects and scope of Seon esthetics and dividing the system of thought,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Seon and esthetics and etc. The object of Seon Buddhism esthetics is Seon master's distinctive activities of esthetics. Seon Buddhism esthetics is about the existence, meaning, and value of human life. It is, essentially, life esthetics that seeks a sort of freedom of life. Tao is from the enlightenment of Mind (道由心悟) is the main theme of Seon thought and esthetics which was proposed by many Seon masters.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enlightenment is the process of esthetics realization or cognition. True nature (眞如) and self-nature (自性) are the very nature of esthetic essence. In the study of Seon Buddhism esthetics, we should not stop in seeking only the historical trace corresponding to the bibliographic records. It is quite natural for us to examine, excavate, organize, and analyze the philosophical materials of Seon school. Further more, our study should be focused to the realistic and practical discussions understood by every modern people where Seon Buddhism esthetics be in harmony with modern esthetics.

      • 부인암 환자에서 발견되는 대장 선종의 특징

        전정현,정성애,김성은,이종수,남승현,신정은,문혜성,김승철,유권 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 醫科學硏究所 2003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6 No.1

        연구목적 : 2형 Lynch 증후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부인과 종양 환자에게 대장암과 대상 선종의 검사 필요성이 언급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본원의 부인과 종양 환자에서 병기 결정을 위해 시행되어지는 S상 결장경 검사에서 발견되는 대상 선종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3년 9월부터 2001년 3월까지 본원에서 부인과 종양을 진단받고 대장 증상 없이 병기 결정을 위해 S상 결장경검사를 시행한 18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자궁경부암 139명, 난소암 35명, 자궁 내막암 13명) 정상대조군으로는 대장 증상 없이 건강 검진 목적으로 대장경 검사를 시행한 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부인과 종양 환자 187명 중 21명에서 대장 선종이 발견되었고(11.2%) 다발성 선종이 있어 모두 26예의 선종이 관찰되었다. 정상 대조군 58명에서는 3명에서 선종이 발견되었고(5.2%) 다발성 선종은 없었다. 부인과 종양 중 자궁 내막암 환자군에서 선종의 빈도는 38.5%로 정상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 진행성 선종의 빈도도 자궁 경부암 환자 12.5%, 난소암 환자 25.5%, 정상 대조군 33.3%에 비해 자궁 내막암 환자 83.5%로 유의하게 많았다. 부인과 종양의 선종 위치는 직장이 23.1%, S상결장이 76.9%였다. 결론 : 부인과 종양 환자의 대장 선종 빈도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그러나 자궁 내막암 환자군에서는 다른 부인과 종양 환자나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은 선종과 진행성 선종의 빈도를 부였다. 따라서 부인과 종양 환자에게 대장경 검사를 통한 대장 선종 유무 검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s : In Lynch syndrome Ⅱ, colon cancer was associated with endometrial and ovarian cancer. The aim of this study was an evaluation for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rectosigmoid adenomas on preoperative sigmoidoscopy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Methods : A total 187 gynecologic cancer patients(139 cervical, 35 ovarian, 13 endometrial cancer) and 58 normal controls were reviewed sigmoidscopic finding and pathologic reports retrospectively from September 1993 to March 2001. Results : The mean age of gynecologic cancer patients was 54(38-82) year-old and normal controls was 50(20-68) year-old. Total 26 adenomas were in 21 patients(11.2%) and 3 adenomas were in 3 normal controls(5.2%). The incidence of adenomas was 9.4% in cervical cancer, 8.6% in ovarian cancer and 38.5% in endometrial cancer. Multiple adenomas were in 5 gynecologic cancer patients and 0 normal controls. The incidence of advanced adenoma was 12.5% in cervical cancer, 25.5% in ovarian cancer, 83.5% in endometrial cancer and 33.3% in normal controls. The location of adenoma was 23.1% in rectum and 76.9% in sigmoid colon. Conclusion : The incidence of adenomas and multiple adenomas were higher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than normal controls but not significantly. The incidence of advanced adenoma and adenoma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ndometrial cancer than normal controls. Colonoscopic evaluation of whole colon will be recommanded in gynecologic cancer than sigmoidoscopy.

      • KCI등재

        담낭선종 혹은 선종연관 병변의 조직 병리학적 분석

        이승호 ( Seung Ho Lee ),이달식 ( Dal Sik Lee ),유일영 ( Il Young You ),전원중 ( Won Joong Jeon ),박선미 ( Seon Mee Park ),윤세진 ( Sei Jin Youn ),최재운 ( Jae Woon Choi ),성노현 ( Ro Hyun Sung ) 대한소화기학회 2010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5 No.2

        목적: 담낭 선종에서 암종으로 진행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담낭 절제술을 시행한 검체에서 담낭 선종과 선종 연관병변의 조직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847예의 담낭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담낭 선종 26예, 상피내암 9예, 침윤성 선암 28예를 포함한 63예의 담낭 절제 조직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 명의 병리 의사가 선종과 선종의 바탕 위에 국소적인 악성화 혹은 선암에서 발견되는 선종 잔류조직 등 선종 연관 병변을 조사하였다. 담낭 선종은 형태학적으로 관형, 관유두형, 유두형으로 분류하고, 구성하는 표피세포에 따라 담상피, 위상피화생, 장상피화생으로 분류하였다. 양성 선종과 암성 선종에서 환자의 나이와 병변의 크기를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담낭 절제술에서 선종 연관병변은 1.8%에서 발견되었다. 상피내암 9예와 침윤성 암종 28예 중에서 선종 연관 병변은 각각 7예, 1예가 있었다. 선종에 동반된 암종 8예는 모두 고분화암이었고, 단일 병변이었다. 암성 선종은 양성 선종에 비하여 종양의 장경이 컸고(1.8 cm 대 0.9 cm, p=0.01), 환자들의 나이가 많았지만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57세 대 47세, p=0.09). 선종을 구성하는 상피 세포 및 형태학적 분류에 따라 양성 선종 혹은 암성선종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 담낭 선종에서 악성 변화를 보인 선종은 23.5%였다. 결론: 담낭 선종은 드문 질환이나 악성화 진행은 자주 발견되었다. 암성 선종은 상피내암이 많고, 고분화암이며, 단일 병변이었다. 담낭 선종은 전암성 병변으로 담낭 선종-선암 연속은 담낭암 병인 중의 하나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In order to determine the malignant potential of gallbladder adenoma for progression to carcinoma, we evaluated the histopathologic features of adenoma and adenoma-related lesions on cholecystectomized specimens. Methods: Among 1,847 cholecystectomized specimens, 63 specimens from 26 benign adenomas, 9 carcinomas in situ (CIS), and 28 invasive carcinomas were selected. A pathologist reviewed all specimens and selected benign adenomas, CIS in the adenoma, and adenoma residue in invasive carcinomas. Adenomas and adenoma- related lesio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morphology (tubular, tubulopapillary, and papillary) and the consisting epithelium (biliary, pyloric metaplasia, and intestinal metaplasia). The age and the size of the benign adenomas and carcinomas in the adenoma were also compared. Results: Adenoma and adenoma-related lesions were found in 34 out (1.8%) of all resected gallbladder. Among 9 CIS and 28 invasive carcinomas, adenoma-related lesions were detected in 7 and 1 case, respectively. All eight carcinomas arising in the adenoma were well-differentiated solitary tumors. The diameters of the carcinomas in the adenoma were, on average, larger than that of the benign adenomas (1.8 cm vs. 0.9 cm, p=0.01). The patients with carcinomas in the adenoma were, on average, older than those with benign adenoma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insignificant (57 years vs. 47 years, p=0.09). The morphology and consisting epithelium did not differ between the benign adenomas and carcinomas in the adenoma. The malignant transformation occurred in 23.5% of adenomas. Conclusions: Gallbladder adenoma is a rare disease, although malignant transformation occurs frequently. Adenoma is a precancerous lesion and the adenoma-carcinoma sequence is one of the gallbladder cancer carcinogenesis. (Korean J Gastroenterol 2010;55: 119-126)

      • KCI등재

        중국과 일본선종 공양 의례의 실제와 특징 이해 - 행호율의· 선원청규· 영평청규를 중심으로 -

        한수진 한국불교학회 2021 韓國佛敎學 Vol.99 No.-

        In Chinese Buddhism, the explanation of the alms-bowl offering ritual of the Vinaya school is organized according to the same precepts as those of the Vinayapiṭaka. However, it is complicated compared to the Zen school’s rules of purity (Qinggui, 淸規), which describes its ritual rules more clearly. However, in both the Vinaya and Zen schools, the importance of respect for seniors, accepting Indian Buddhist culture as a priority, worshipping the statues of the Buddha or eminent monks, chanting, keeping the alms-bowl, distributing food by means of (kappiyakā, 淨人), mind concentration, and control, are similarly applied. The rituals of Zen have been accepted by Vinaya and have spread to the Japanese Zen schools. The ritual of Japanese Zen is similar not only to Chinese Zen but also to the Vinaya school. However, Japanese Zen explains the steps and methods of the rules more specifically and tries to maintain consistency and unity. Also, Japanese Zen has less chanting than Chinese Zen. Furthermore, the similarity between the alms-bowl offering rituals of Chinese and Japanese Zen indicates that the Japanese Zen school adopted the ritual rules of Chinese Zen and the Vinaya school. Perhaps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Chinese and Japanese Buddhism and its philosophy affected how the ritual developed. Most importantly, the main purpose of the ritual is to cultivate a thankful mind for food, remove gluttony, and manage life smoothly so monks can reach their aim of becoming a bhikku. 중국 선종의 공양 의례는 한국과 일본불교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일본 선종에서는 중국 선종의 청규 규정을 대부분 수용하는 형태를 취하였다. 이러한 중국과 일본 선종 공양 의례의 실제와 특징을 중국 선종 청규인 선원청규 및 일본 조동종의 영평청규 의 규정을 토대로 고찰하면서, 중국 율종의 신참 수행자의 생활 규정을 담은 행호율의 와의 비교를 통해 선종의 공양 의례와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중국불교에서 율종의 불상과 선종의 성승상 예경 모습, 염불과 범패, 발우 보관법, 출생식, 정인의 공양 배분, 정인이나 행자의 제공되는 공양물 알림, 공양 관법(觀法) 등은 율종과 선종에서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율종의 공양 작법을 선종에서 수용하여 의례로 발전시켰음을 의미한다. 한편, 중국 선종 공양 의례에서 나타난 다수의 게송 · 진언 · 다라니 등은 율종보다는 공양을 의례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일본 선종 청규에서는 중국 선종의 공양 의례 절차를 대부분 수용하여 중국 선종과 유사함을 보이며, 중국 선종의 공양 의례를 전승하였다. 그러나 추가로 중국 율종의 규정도 따르며 중국의 율종과 선종의 공양 의례를 종합적으로 수용하였다. 그러면서도 일본 선종에서는 공양 의례의 세밀한 설명과 함께 공양 절차와 방법에 있어서 통일성 · 일관성을 더욱 엄격하게 유지하고자 하였다. 무엇보다도 공양 의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공양 의례가 추구한 의례의 본래 목적은 음식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식탐을 제거하며, 원활한 공동체 생활과 운영으로 수행자의 출가 목적을 달성하는 것에 있었다.

      • KCI등재

        고려 선종대의 대외정책 연구

        류채영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5 한국문화연구 Vol.9 No.-

        In the latter half on the 11th century,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of Koryŏ was very much complicated. This thesis examined the specific changes of the diplomatic relations of King Seonjong's(宣宗) reign. Based on it, I explained the foreign policy under King Seonjong's rule. In the 25th year of King Munjong's(文宗)reign, Koryŏ, which was connected with Liao(遼) to the tribute system, started to resume itself diplomatic relations with Sung. Then the tri-relationship among Koryŏ, Sung(宋), and Liao had become destroyed the balance. complex. The statues of Koryŏ in the international order established much higher than before. In the chang of international political order. for King Seonjong made king, it was an important problem by which he was confronted how to use the nationalship between Sung and Liao. Specially, Sung and Liao of King Seonjong period changed internal politics. And their changes influenced their foreign policy that Koryŏ had to establish proper foreign policy. When the New Policies Party(新法黨) which was most favorable to Koryŏ lost power and Old Policies Party(舊法黨) hold the political power, anti-Koryŏ movement was raised by So Shih(蘇軾) etc. in Sung. On the other hands, Liao continued to maintaining peace and keep the friendly attitude towards Koryŏ, while attempting the border dispute. In such situation, King Seonjong choose to give priority to Liao in the foreign policy. And King Seonjong tried to keep going cultural exchanges between Sung and Koryŏ by exploiting a situation, Uicheon entered Sung. Under the late years of King Seonjong's rule, Koryŏ and Liao maintained the friendly relation. Based on this, Koryŏ attempted to recover the diplomatic relations with Sung. Therefore, Koryŏ dispatched embassies to Liao and Sung every year. As a result, Koryŏ could lead amicable foreign relationships with Sung and Liao. Through these sent envoys trading by diplomats became prosperous that many embassies who have been dispatched from Koryŏ to Sung and Liao were able to participating in buying lots of books, gold foils, luxurious goods and so on. 본 논문은 고려의 대외관계가 복잡해지는 11세기 후반 중에서 특히 선종대에 초점을 맞추어, 선종대의 대외관계 추이를 구체적으로 살피고 그것을 토대로 대외정책의 성격을 설명하고자 했다. 문종 25년 요와 조공관계를 맺고 있던 고려가 송과 국교를 재개하면서, 송과 요ㆍ고려 연합이 이루고 있던 균형이 흔들리는 계기를 만들었고, 고려의 국제질서 내에서의 입지는 이전보다 커졌다. 이와 같은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화 속에서 즉위한 선종에서 송ㆍ요 양국의 관계를 어떻게 이용하는가의 문제가 중요한 외교상의 과제로 대두되었다고 할 수 있다. 선종의 길지 않은 치세 기간 동안 의천의 입송, 각장 설치 문제, 소식의 고려배척론 등의 굵직한 외교 현안들이 등장하고 있는 점은 선종대에 의미있는 외교정책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선종이 즉위한 시기의 송과 요는 국내정치의 변화로 그들의 대외정책에도 영향을 미쳤고, 고려는 그에 대응하는 적절한 외교정책을 수립해야만 했다. 송에서 친고려정책을 추진하던 신법당이 물러나고 구법당이 집권하면서 소식 등에 의한 고려배척론이 적극적으로 제기되었다. 요는 고려를 더욱 후대하는 한편 각장 설치를 도모하여 국경 문제를 야기했다. 이 과정에서 고려는 요와의 관계를 우선적으로 안정화시키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는 한편 의천의 도송을 이용하여 송과의 문화적 교류를 계속적으로 이어가고자 하였다. 선종은 각장 개설 문제를 잘 해결한 뒤 고려는 요와의 안정적 우호관계를 지속하였고, 요의 정세를 예의 주시하며 송과의 관계를 회복하였다. 이러한 선종의 중립외교는 성과를 거두어 고려는 매년 송과 요에 꾸준히 사신을 파견하며 송ㆍ요 양국과의 외교관계를 원만히 유지하였고, 사신왕래를 통한 사행무역으로 경제적 이익을 꾀하였다. 당시 송에 파견된 고려 사신들은 서적ㆍ금박ㆍ사치품 등을 구입하는 등 활발한 매매활동을 함으로써 단절된 송상의 활동을 대신하였다. 이와 같은 선종대 대외정책은 유홍ㆍ박인량ㆍ소태보 등의 외교에 밝은 인물들이 중심이 되어 추진하였다. 이들은 선종 후반기 대요관계 안정과 송과의 관계 회복을 기반으로 경제적 실리를 얻고자 하였고, 북방지역 방어에도 뜻을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 이러한 선종의 중립외교를 통한 대외관계 안정화는 숙종대에 지속적으로 송과 문화교류를 하는 기반이 되었고, 여진족에 대한 북방정책을 고려하는 기반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