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고등학교 국정역사교과서『중외역사강요』의 역사관과 서술의 특징 -『중외역사강요 上』의 3단원을 중심으로-

        권용철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4 사총 Vol.112 No.-

        본고는 중국의 고등학교 국정역사교과서 <중외역사강요 上>의 10~14 세기 중국 역사에 대한 설명을 분석한 글이다. 국가가 역사 서술에 개입 하여 정치적인 의도를 달성하기 위해 만든 것이 국정역사교과서이기 때문에 <중외역사강요>에는 당연히 중국 공산당 당국이 우선시하는 가치관이 들어가 있다. 이러한 가치관과 이념을 정리한 <역사과정표준>의 지침에 따라 만들어진 교과서에서 다룬 10~14세기 중국 역사에 대한 서술에서도 국가가 원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중외역사강요 上>의 3단원이 지향하는 바는 표면적으로 요(거란), 송(한), 하(탕구트), 금(여진), 원(몽골)의 존재가 다민족 통일국가의 기초를 놓았음을 밝히는 것이고, 각 민족 사이의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연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交融’의 추세가 강했음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래야 현재 중국이 내세우는 중화민족 다원일체가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이어져 왔던 현상이었다고 주장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교과서의 실제 내용과 구성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부실하다고 평가할 수 있을 정도로 제시하는 자료나 서술의 양이 너무 제한적이다. 한국과 일본의 세계사 교과서 서술과 자료보다도 질이 낮다고 평가를 내리지 않을 수가 없는 상황이다. 교과서의 내용 자체가 부실하다보니 여러 민족의 交融은 당연히 드러날 수가 없다. 서술의 비중도 송에 비교적 치우쳐 있다는 점이 눈에 띄고, 특히 거란, 탕구트, 여진이 세운 국가의 성격과 통치 체제 등에 대해서는 언급이 전혀 없기 때문에 중화민족 다원일체가 역사적으로 확인될 것이라는 교과서의 목표는 달성되지도 않았다. 그저 티베트의 사꺄 빤디타와 몽골의 쿠텐 사이에 이루어진 회담을 언급하면서 티베트가 중국의 판도에 들어오게 된 발단이 된 것이라고 억지스러운 주장을 하면서 중화민족 다원일체론을 보여주려고 한 것이 그나마 교과서의 목적 달성을 위한 장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런 교과서로 중국사를 배우게 될 중국의 고등학생들은 당연히 중국 공산당이 설정한 이념만을 알게 될 것이다. 그러면서 중국 중심주의적 경향성이 더욱 짙어질 것인데, 필자가 생각하는 <중외역사강요>의 또 다른 문제점은 서술 내용 자체가 부실하다는 점이다. 이는 중국사를 다룬 <중외역사강요 上>은 물론이고, 세계사를 다룬 <중외역사강요 下>에서도 보이는 특징이다. 역사 교육을 국가가 주도해서 실시하겠다면서 이렇게 부실하고 편협한 내용으로 된 교과서가 국가 주도로 발행되었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게다가 중국학계의 수많은 연구 성과들을 고려하면, 세계사 분야는 차치하고 중국사 서술이 이렇게 부실하다는 것에는 큰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된다. 현재 중국의 영토에 있었던 모든 국가의 역사를 중국사로 간주하는 것은 이제 기본적인 전제가 되어 버렸고, 이에 더해 국정교과서의 목적과 내용 모두가 총체적인 ‘난국’이라고도 할 수 있는 상황인데 앞으로도 중국의 역사 교과서 혹은 역사 교재의 내용을 꾸준히 주목하면서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has analyzed the description of Chinese history from the 10th to the 14th centuries in the Chinese national history textbook Zhongwalishigangyao Shang, which covers Chinese history. As the national history textbook was created by the state to fulfill its political intentions by intervening in the narrative of history, Zhongwailishigangyao naturally contains the values prioritized by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uthorities. We found that the narratives of 10th~14th century Chinese history in the textbook, which was crea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that summarized these values and ideologies, also contained the content that the Chinese Communist Party wants. The aim of the Chapter 3 of Zhongwalishigangyao Shang is to show that the existence of the Liao(Khitan), Song(Han), Xia(Tangut), Jin(Jurchen), Yuan(Mongol) ostensibly laid the foundation for a multi-ethnic unified state, and to emphasize that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links between the different ethnic groups were stable and the trend of ‘interaction’ was strong. Only then can it be argued that the ethnic pluralism that China now emphasizes was a long-standing historical phenomenon. However, the actual content and organization of the textbook are too limited in terms of the amount of material and narrative. The quality of the narrative and material in the textbook is even lower than that of Korean and Japanese world history textbooks. High school students in China who learn Chinese history from this textbook will naturally only know the ideology set by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another problem of the textbook is that it is poorly written. It is absurd that such a poor and narrow-minded textbook would be published by the state, which is supposed to take the lead in history education. Moreover, considering the numerous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Chinese studies, it is a big problem that the narrative of Chinese history in textbook is so poor. It will be interesting to see if there will be further improvements, developments, and deepening.

      • KCI등재

        유럽과 비교를 통한 동북아의 ‘역사화해’의 가능성 : 독일-폴란드와 한국-일본을 중심으로

        송규진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5 사총 Vol.86 No.-

        After agreeing to compile a joint history textbook to resolve the issue of “conflictual interpretations of history,” Germany and France succeeded in simultaneously publishing a joint history textbook in 2006. Germany and Poland also agreed on publishing a joint history textbook in 2008. In the case of Germany and Poland, it was the result of steady and tireless efforts spanning about 80 years after the two countries started “historical dialogue” and 36 years after they reached an agreement on a range of recommendations in 1972. Given the reality of Northeast Asia, it would seem much less likely for an “historical dialogue” to be implemented, sustained, and expanded among three countries of South Korea, China, and Japan than in Europe. This is because Japan’s civic groups have strong local networks, while weak on the national level; Korean civic groups are financially weak in maintaining international exchange, and those of China are not entirely free from the control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ompared with the past, however, the exchang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ivic groups seeking a shared interpretation of history and reconciliation have become much more active.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share various opinions, discuss specific issues, and jointly publish history textbooks. The publication of a joint history textbook between Korea, Japan and China, or between Korea and Japan, though on the private level, carries significance, as the controversy over the “conflictual interpretations of history” in Northeast Asia grew intense. Given the cases of Europe, a joint history book between Korea and Japan and one among Korea, Japan, and China can be published, if the “historical dialogues” are conducted patiently and consistent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hoped that this forms the foundation for the “historical reconciliation” of Northeast Asia. 독일과 프랑스는 ‘역사 갈등’ 문제를 매듭짓기 위해 공동역사교과서를 편찬하기로 합의한 뒤 마침내 2006년에 양국에서 동시에 출간했다. 독일과 폴란드도 2008년에 공동 역사교과서를 발간하기로 합의했다. 독일과 폴란드의 경우 ‘역사대화’를 시도한 지 80여 년, 1972년에 권고안에 합의한 지 36년이라는 오랜 시기에 걸쳐 꾸준하게 노력한 결과였다. 한중일 3국간 ‘역사대화’의 진전은 현실을 고려할 때 실행 가능성, 지속 가능성, 확장과 심화 가능성이 유럽에 비해 매우 낮다. 일본의 시민사회단체는 지역네트워크가 강한 반면 전국네트워크는 큰 취약점이 있고 한국의 시민사회단체는 재정이 탄탄하지 못해 국제교류를 지속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중국의 시민사회단체는 중국공산당의 통제에서 아직은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거와 비교해보면 ‘역사 갈등’을 해소하고 공동의 역사인식과 화해를 모색하는 한일 시민사회단체의 교류가 훨씬 활발해졌다. 대화를 통해 역사와 관련된 여러 의견을 교환하고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 논의하며 역사교재를 공유하거나 공동 편찬하는 등의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동북아의 ‘역사 갈등’이 첨예화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비록 민간차원이긴 하지만 한중일 간, 한일 간 공동역사교재 개발의 의미는 적지 않다. 유럽사례를 볼 때 ‘역사대화’를 통해 인내를 가지고 장기간에 걸쳐 순차적으로 ‘역사대화’를 진행한다면 결국 동북아에서도 한일 간, 더 나가 한중일 간 공동역사교과서를 발간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기반으로 동북아의 ‘역사화해’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기대한다.

      • 중화민족다원일 체론의 등장과 동북공정의 논리적 모순

        김종박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2 사총 Vol.77 No.-

        中國, 於1949年成立中華人民共和國. 同時根據社會主義民族觀宣布其是多民族國家. 倂開始苦慮證樣去統一多民族的中國倂建設成一個統一的多民族國家. 於是,他們通過憲法宣布實施重視民族問題的民族平等權, 民族區域自治制度. 各民族之間是平等的,消除民族間的對立關系, 相互融合, 融洽努力構成一個統一的民族. 所謂的統一民族中華民族就此誕生. 因爲是統一的, 所以卽使實施民族自治制度也不會影響統治體系. 就是所謂的一國內以一個民族形成民族大家庭. 但是, 通過他們的少數民族政策可以得知, 在統一的多民族國家內也無法取得獨立的自治運營權. 換言之就是不許和國家統治權分離, 必須接受國家的統治與命令. 可以看出是與社會主義民族觀是一脈相承的. 無可避免的民族大家庭這一槪念非常據邏輯性. 徹徹底底的輸進了中國的國家觀裏. 但是, 問題出現在民族大家庭是自古以來就存在的, 還是, 中華人民共和國成立之後才出現的. 也不斷地成爲了論點. 這也不得不說是一個與歷史無關的政治問題. 結果, 中國宣布以現在的中國國土領域爲標准, 在此範圍內發生過的所有曆史現象都屬於中國曆史. 從此, 中國果敢的開始了整治編造與曆史歪曲. 可以看出中國在根據社會主義民族觀建立民族大家庭倂要建設一個完美的統一的多民族國家,這就是多磨的苦心積慮的. 處處可以趙出統一的民族國家論在邏輯上的矛盾。不僅, 給他們自己的歷史, 而且, 給其他國家歷史也帶來需要編造, 歪曲的慘劇. 擧一個例子. 蒙古族侵略中國, 打敗宋朝, 在中國領土上建立起元朝. 因此, 蒙古族建立的元朝也可以是蒙古的歷史. 但是, 按照中國現在的邏輯來看此事發生在中國領土上, 所以就是中國歷史。提到成吉思汗, 他從來沒有踏過中國領土. 但是, 就因爲他是蒙古族的祖先, 就可以把他視爲中華民族的祖先瑪?就會有人提出成吉思汗的曆史也是中國歷史的笑話. 如此看來, 中華人民共和國成立當初爲了圓滿的統治而推出的統一多民族國家論這存在著諸多矛盾. 矛盾的中心就是爲社會主義民族觀的民族平等和民族自治制度。而且, 據此爲理論依據, 存在著凡是現國土範疇內發生過的歷史都是中國歷史的詭辯和所謂民族大家庭的詭辯. 而且, 現實就是他們以中華民族多元一體論爲依據支持統一的多民族國家論。東北工程歸根結底也就是統一的多民族國家論指使下的一個歷史詭辯. 純粹的歷史硏究與政治性歷史硏究有著天壤之別. 歷史與政治需要區分開來. 曆史淪落成政治的奴禮是不可取的。還有, 東北工程中所提到的地方政權這一用語, 在歷史當中是聞所未聞過的. 不正好是在强調, 現在所實施的中國少數民族民族自治制度實際上是民族統一名義下的中央集權統治當中的一環磨?難道, 過去皇權統治時期地方政權有著更大的立足之地?朝貢、冊封制度原來自國家與國家之間的外交政策. 所以, 根據朝貢設立地方政權只能說明是邏輯上有錯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도입된 역사과 핵심역량 설정의 현황과 모순

        백은진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5 사총 Vol.86 No.-

        What ought to be the crucial goals of teaching history? This question demands collaboration of historical studies and pedagoy. There are plenty of issues whose satisfactory solutions cannot be achieved with one-sided approach: Which historical knowledge should students acquire? What should be learned from these historical facts? How to train students to practice the methods of historical research? How to guide students to fair understanding of historical texts? How to apply these lessons from the classes to students' real life? In light of these questions, General Guideline of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Key Competencies seems to have less common ground with the inquiries of history researchers and teachers than the needs of labor market. Moreover the Key Competencies of the history curriculum proposed by the draft of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merely follows that of General Guideline without bearing the context of recent discussions and researches in historical studies and pedagogy. What ought to be taught, and why? Researchers and educators have always sought meaningful answers to these questions. What kind of abilities should middle school students obtain through the curriculum? How history teaching is helpful to students' practical life? What can be learned in the history and cannot be learned in the subjects other than history such as language arts, foreign language training or art class? Without interfacing with these endeavors, the national curriculum and its detailed classification of knowledge and abilities will constrict the content and methods of history education.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지의 문제에 관해,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에서는 역사교과서 내용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역사학습 내용 선정의 원리, 역사교육 목적과 목표에 관한 논의, 그 가운데 특히 역사의식과 역사적 사고력에 대한 논의들을 발전시켜 왔다. 또한, 최근에는 역사 문해력이라는 개념에도 주목해 왔다. 그러나 2015년 9월에 고시될 예정인 2015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에서 등장한 역사과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에는, 앞서 말한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의 논의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내용들이 핵심역량으로 강조되었다.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은 국가교육과정의 총론 차원에 우선적으로 도입이 시도된 개념이다. 애초에는 노동시장에 필요한 능력을 가진 인력을 양성하는 데 목적이 있는 직업교육의 맥락에서 연구되어 왔다. OECD의 DeSeCo 프로젝트를 통해 확산된 역량 중심 교육과정 경향은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소홀히 할 수 있고, 역량이 발현되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간과하며, 이론적 지식보다 실제적 지식을 강조함으로써 이론적 지식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하며, 교육을 직업훈련교육으로 전락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그간 많은 연구가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이 총론 우위의 하향식 개발임을 지적해 왔듯, 이번 2015 국가교육과정 개발도 예외는 아니었다. 총론에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이에 맞춰 역사과 핵심역량을 설정하려는 시도는,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가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가’의 문제를 다뤄온 맥락과 별다른 접점을 이루지 못하였다. 게다가 핵심역량, 핵심 성취기준, 핵심개념 등이 왜 핵심적인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왜 중요한가? 이에 대한 물음에 대해 의미 있는 견해들을 내놓으려 하는 연구들은 계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이러한 기존 연구들과의 접점과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역사교사가 가르칠 내용과 방법을, 학생들이 배워야 할 필수적이고 핵심적인 지식과 능력을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선별한다면, 이 자체는 가르칠 내용과 방법에 대한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다.

      • KCI등재

        1960-70년대 파독 인력송출의 미시사: 동원인가, 선택인가?

        윤용선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4 사총 Vol.81 No.-

        The history of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is a model for the countries of the Third World. But she is not a legend, whose main role some heroes, so political leader and big enterprises  played, but a story of the victims and strains of the people. On the contrary, there is also the claim that the development of Korea is a national mobil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Cold War. Nevertheless, almost all perspectives of the topic, from the emphasis on the political leadership to development dictatorship thesis, are history from above. The subject of economic development is the people, politics and business playing olny a supporting role. This is the reason why the story of economic growth needs to be viewed from below. What is the history of economic development from below? Isn’t it an another legend in which occur this time little heroes to replace the existing great heroes? The mass would be neither willing to modernize the fatherland, it was nor forcibly mobilized by the state. During the development period, she was interested in getting committed to maintaining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economically. That was their main interests, to which all everything was subordinate. This work is based on this hypothesis and concludes that Korean Guestworkers in Germany in the 1960s and 1970s, ie during the development dictatorship, almost always put their own interests in the priority, not the state. This paper attempts to validate this claim with many facts. 1960-70년대 한국의 경제성장은 세계가 인정하는 성공의 역사이다. 한국의 경제개발은 저발전 국가의 모델이며, 한국에게는 자랑스러운 기억이다. 그동안 한국의 경제개발의 역사는 정치적 리더십과 기업의 역할을 주로 강조하는 위로부터의 역사로 인식되어 왔다. 또한 냉전의 패러다임에 기초해 동맹국의 원조와 역할이 강조됨으로써 경제개발을 국제정치적 프리즘으로 관찰하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이와 대척을 이루는 비판적 시각도 존재하는데, 경제개발이란 냉전시대의 체제경쟁 상황에서 국가에 의해 기획되고 동원된 ‘개발독재’였다는 주장이 그것이다. 이러한 주장들은 모두 사실에 근거하며 나름의 논리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들은 초점이나 입장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역사를 위로부터 내려다본다는 측면에서는 동일하며, 그러한 의미에서 경제개발의 역사를 절반만 말해준다. 경제개발은 탁월한 리더십이나 기업의 공로를 증명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 아니며, 냉전이 후진국의 경제성장에 효율적인 국제정치 질서였다는 인상을 주기 위한 것도 아니며, 개발은 필연적으로 폭력과 희생을 수반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도 아니었다. 경제개발은 국민 대중의 물질적 생활을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그래서 밑으로부터의 역사가 되어야 한다. 1960-70년대 한국의 대중은 ‘한강의 기적’같은 신화에 어울리는 영웅도, 조국의 근대화라는 고귀한 사명을 위해 어떠한 희생이나 고통도 무릅쓸 각오가 되어 있는 애국자도 아니었다. 그들은 가난한 나라에서 자신과 가족의 생존을 위해, 그리고 불확실한 미래로 인해 고뇌하며 하루하루를 살아야했던 실존적 존재들이었다. 밑으로부터의 역사란 이러한 존재들에 대한 기억이다. 그들이 주목했던 것은 조국의 근대화나 승공(勝共)처럼 추상적이고 모호한 구호가 아니라, 당장의 취업과 다가올 미래에 대한 대비였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파독 노동자의 외화가 경제성장에 요긴하게 쓰였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파독 인력송출은 단순히 경제개발이란 틀로만 정의하기 어려운 다양한 층위가 존재하는 복합적인 역사적 대상이며, 그 다양한 층위는 아래로부터의 역사에 의해서 드러난다. 국가는 경제개발에 필요한 외화벌이를 위해 노동자를 파독(동원)했지만, 개인은 생존과 미래를 위해 독일 취업을 주체적으로 선택했다. 개발시대의 역사는 인식의 지평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프랑스 제3공화정 역사 기념물 정책 -1887년 역사 기념물 보존법을 중심으로-

        구본영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4 사총 Vol.113 No.-

        1887년 3월 30일 역사 기념물 보존법은 7월 왕정 시기부터 이어져 오던 역사 기념물 보존 관행에 최초로 법률적 토대를 제공하고 국가에 보다 확대되고 강화된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프랑스의 역사 기념물 보호 체계를 강화하였다. 1887년 역사 기념물 보존법을 통하여 정부는 “국익(intérêt national)”이라는 명목으로 역사 기념물을 지정하여 정부의 보호 지침을 강제할 수 있게 되었다. 본고는 1887년 역사 기념물 보존법을 중심으로 역사 기념물을 보존하는 것이 소유권을 제한할 수 있는 “국익”을 지닌다는 인식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나타난 국가 행정권의 강화가 어떻게 정당화되었는지를 제3공화정의 정치적・사회적 맥락과 문화정책을 바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과거를 현재의 공간으로 끌어들이는 매개체로서 프랑스 역사의 영광과 문화적 우수성을 드러내는 역사 기념물은 제3공화정이 처한 대내외적인 위기 속에서 애국적 감성을 고양하고 국민을 통합하는 수단으로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프랑스-프로이센 전쟁과 파리코뮌은 위험에 처한 역사 기념물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는 데에 기여 하였고, 이를 계기로 제3공화정은 법안 준비 과정에 들어갔다. ‘소유권’과 '국익'이라는 두 개의 원칙을 둘러싼 의회 논쟁 끝에 사적 소유권을 제외한 법인의 소유권은 국가에 이익을 가져오는 ‘역사와 예술’이라는 상위의 이익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고 결론 내려졌다. 이로써 제3공화정은 역사 기념물 보호에 있어 획기적인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at the conservation of historic monuments has the “national interest” which can limit ownership, and examines how strengthening of state administrative authority was justified in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 under the Third Republic in France. The historic monument serving as a representation of the past obtained importance as a means of raising patriotic sentiment and unifying the nation amid the internal and external crisis during the early Third Republic. Furthermore, the Franco-Prussian War and the Paris Commune contributed to raise awareness about monuments in danger, therefore, the Third Republic prepared the legislation for protecting historic monuments in France. After debate over two competing values, ownership and national interest, it was concluded that the ownership of State, local authorities, public person, factories(responsible for administering the property of churches) could be restricted by the national interest in the matter of historic monuments. The law of 30 March 1887, the first legislative text related to historic monuments, reinforced the protecting system of historic monuments by introducing a legal regime in the measures to protect historic monuments established under the July Monarchy.

      • KCI등재

        미국 정치사(Political History)의 성장과 의회사(Congressional History)

        오영인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4 사총 Vol.81 No.-

        This study is for understanding and introducing congressional history in the development of American political history since the 1980s. Under the milieu of Civil Rights movement in the 1960s, the New Left criticized the liberal consensus view of American history. Within the historical discipline, in addition, a social and cultural history revolution took place that pushed scholars to emphasize the history from the bottom up such as class formation, gender relations, and cultural consciousness. Therefore. political history, which focused on not ordinary people but political elites who represented peoples, was loosing it’s place in the realm of American history. However, during the 1980s, a group of political scientists, sociologists and historians brought historical institutionalism back into the study of politics since they shared the fact that politics was profoundly historical. Bringing together the new institutionalism and sociocultural history, since the 1980s, political history has been reemerging as sociocultural political history for revisiting the study of politics. And it was the time when congressional history emerged in American political history. When most social and cultural historians minimized the study of government institutions, policymakers, and policies, Congress was characterized an insulated haven for white male elites who subverted the democratic process in favor of vested interest groups or as an archaic institution that functioned as a roadblock from mass social movements. However, recently, historians and historical social scientists are interested in learning more about this important branch of government. A renewed interest among historians in the modern Congress has emerged form two ways. The first approach is the new historical institutional analysis emphasizing how and in what relations Congress itself had been reformed. The second approach which congressional history has emerged is the debate over how gender and race influenced policy development particularly the Social Security Policy. Unlike social scientists or political scientists, historians provide a more dynamic history of Congress by integrating a history of social conflict and nonelite groups into the analysis of politics and considering categories such as gender and race as well as factors such as symbols, ideology and rhetoric. Given the distrust of Congress in history, a stronger understanding of how the institution related to the people and its condition seems more important ever. 본 논문은 1980년대 이후 미국 정치사의 성장과정에서 특히 의회사의 등장과 그 배경, 그리고 연구경향 등을 연구사적으로 정리하고 소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960년대 미전역을 휩쓸었던 민권운동의 영향으로 역사학계는 기존의 역사연구방법론에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미국의 역사경험에 대한 장밋빛 그림을 그려주었던 전통의 합의사학에 반기를 들고 등장한 신좌파 역사학자들은 미국의 번영 뒤에 가려졌던 일반 대중들과 희생자들을 역사의 주인공으로 회복시키기 시작했다. 이후 1970년대 ‘밑으로부터의 역사’를 강조했던 사회문화사적 역사연구방법론의 등장은 일반 대중의 역사 경험에 깊은 관심을 표명하며 계급, 젠더, 문화, 종교 등 역사연구대상을 크게 넓혀주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소수 정치엘리트 특히 대통령이라는 행정수반에 집중했던 미국의 정치사는 역사학계에서 서서히 그 위치를 잃어가고 있었다. 그런데 1980년대 이후 21세기 전환기에 접어들면서 정치학계는 물론이고 경제학, 사회학 등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자들과 역사학자들의 학제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신제도주의 연구방법론이 역사학에 도입되기 시작했고 미국의 정치사는 새로운 부활의 과정을 경험하고 있다. 특히, 역사학계는 일반 대중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정부의 공공정책에 다시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고, 정책 형성에 있어서 결정적 역할을 담당하는 입법기관인 의회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미국의 사회복지정책의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했던 사회문화사가들이 예컨대 젠더와 인종이 정부정책 결정에 있어서 어떤 영향을 서로 주고받았는가에 주목하게 되면서 복지정책의 확대와 축소에 있어서 의회의 역할은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되었다. 의회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접근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다양한 기관들, 즉 여러 정부기관과 사적기관들과의 관계 속에서 의회라는 입법기관 자체의 성격과 그 변화를 설명하는 접근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정부의 공공정책 속에서 드러나는 의회의 역할을 단순히 정책사(policy history) 연구의 한 주제로 취급하는 것을 넘어 실질적 수혜자들인 일반 대중들과의 역동적 상호관계 속에서 조망하는 접근방식이다. 정부공공정책에서 의회의 역할에 대한 연구 중 특히 본고는 지금까지 많은 성과물을 발표하고 있는 주제인 젠더와 인종연구를 중심으로 논의를 풀어내었다.

      • KCI등재

        민주시민 형성을 위한 역사교과서의 형식적 요건 모색-‘『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 백서』’를 중심으로-

        구경남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3 사총 Vol.110 No.-

        이 연구의 목적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가 박근혜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의 진상을 조사하여 발간한 백서를 중심으로 역사교과서 국정화와 그 폐기가 시사하는 역사적 가치와 교육적 함의를 톺아보면서 민주시민 형성을 위한 역사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형식적 요건을 모색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박근혜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과정에서 일어났던 위법성을 추적했으며,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다름 아닌 ‘역사 쿠데타’ 임을 밝혔다. 다음으로 민주주의 국가에서의 위법성과 비민주성이 동전의 양면과 같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서 박근혜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과정에서 일어났던 민주주의의 제도적 절차나 민주주의의 본질적 가치를 훼손한 역사를 추적했다. 역사교과서가 민주주의의 진전과 궤를 같이 할 수 있도록 역사와 교육의 정치화를 경계해야 할 것이다. 민주주의의 근간을 무너뜨렸던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국정 농단의 주요 사건으로 기록되었고, 그 과정에서 저지른 위법과 비민주적 행위는 역설적으로 역사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합법성과 민주성을 요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value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nationalization of history textbooks and their abolition, focusing on the white paper published by the Committee to Investigate the Nationalization of History Textbooks under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and to explore the formal requirements of history textbooks for the forma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traced the illegality of the Park Geun-hye government's push to nationalize history textbooks and revealed that the nationalization of history textbooks was nothing less than a "historical coup". Next, keeping in mind that illegality and undemocratic in a democracy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we traced the history of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push to nationalize history textbooks, which undermines the institutional processes of democracy and the essential values of democracy. To ensure that history textbooks are in line with the progress of democracy, we need to be vigilant against the politicization of history and education. The nationalization of history textbooks, which undermined the foundations of democracy, was recorded as a major event of the state farm, and the illegal and undemocratic acts committed in the process paradoxically demand legitimacy and democracy as requirements for history textbooks.

      • KCI등재

        역사서술의 변천으로 본 中國의 티베트와 西藏-3종 『西藏通史』들의 출판을 중심으로-

        김한웅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3 사총 Vol.109 No.-

        China’s “Reform and Opening-up” policy in the late 1970s ushered in a new era for the academic activities of Tibetan people, and its development has experienced the vicissitude of times. Such changes in academic activities can be observed in the field of historical studies. This paper attempts an analytical examination of three discrete publications (1991, 2003, and 2016) of General History of Tibet in order to appreciate the development. The first General History of Tibet(Bod kyi lo rgyus rags rim), written in Tibetan by Tibetans and representing the atmosphere of the 1980s, signified revival of the tradition of Tibetan historiography. The second General History (Xizang tongshi), written in Chinese for the first time of such a kind, made Tibetan history a part of Chinese border history. The third General History (Xizang tongshi), published in 13 volumes, was a result of a large-scale project for which a hundred of experts had worked for fourteen years. It solidified the status of Tibetan history as a part of Chinese history. Altogether, the development of these three publications indicates that historical studies of Tibet have reached its unprecedented level, but Tibetan history now exists only as a component of larger Chinese history for China. 1970년대 말 중국의 개혁개방 이래 티베트 민족의 학술활동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였으며, 이후 시기별 상황에 따라 그 각각의 발전상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학술활동의 변천은 역사학 분야에도 확인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1991년과 2003년, 그리고 2016년에 각각 출간된 세 가지 『西藏通史』들의 분석적 검토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1980년대의 분위기를 대표하는 첫 『西藏通史(티베트 역사 대강)』는 티베트인에 의해 티베트어로 집필되었으며, 티베트의 역사서술 전통의 부활을 알리는 표지였다. 2003년에 출간된 『西藏通史』는 중국어로 저술된 첫 티베트 통사로 티베트 역사를 변경화와 중국화의 방향으로 이끌었다. 2016년의 『西藏通史』는 14년에 걸쳐 100명에 가까운 인원이 동원된 대규모의 공정을 통해 13권 분량으로 완성된 통사 저술이었으며, 이는 티베트 역사를 중국역사의 일부로 더욱 공고히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과정은 중국내 티베트 역사학이 공전의 발전 이루고 있으나, 또한 중국의 역사의 일부로 자리잡아가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 KCI등재

        중세 무슬림 이베리아의 ‘Convivencia’ 연구-갈등과 공존의 상호보완적 관계 구도를 중심으로-

        김정하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9 사총 Vol.98 No.-

        중세 무슬림 이베리아의 역사에 대한 연구는 평화적 공존의 중세적 실험이었다는 주장과 문명 간 갈등과 충돌의 키워드로 요약된다. 두 논지 모두 연구자의 문화적 배경, 인종, 종교 등의 정체성과 관련이 깊다. 마치 중세 이베리아 문화 구성요인들 간 실제관계의 연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의 핵심은 상호 대조적인 두 주장을 비판적으로 보완하는 것이다. 즉,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두 주장이 관계의 양단(兩端)에 위치하고 있어 표면적으로는 대립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인식의 관점을 달리하면 상호보완의 구도를 간주 할 수 있다. 새로운 제안의 이론적 배경은 음양오행론이다. 이에 따르면, 공존과 갈등의 연구 키워드는 중세 이베리아 역사의 두 이질적인 측면이면서, 상반응합(相反應合)의 원리에 따라 협력과 경쟁의 구도로 작용한다. 새로운 해석을 위해서는 연구의 관점, 즉 연구방법론 상의 역사철학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직선적(또는 기독교적) 역사철학을 대신해 순환론적 역사철학을 채택한다. 역사는 순환의 과정이며, 상보성 구도에 따라 다양한 관계구도를 연출하면서 역사요인들 간의 궁극적인 균형을 지향하는 복수 요인들 간 관계의 유기적인 전체이다. 서고트 왕국의 이베리아 정복은 로마제국이 주도했던 유럽-지중해 세계의 통일성과 Intercommunication 체제의 붕괴에 따른 것처럼 보인다. 이 경우, (로마제국에 의한)통일은 이전 시대의 구도에서 전체를 구성했던 부분들이 새로운 합(合)의 차원으로 변화된 것이며, 상호간 이질적인 복수 요인들이 협력과 경쟁의 작용을 지속적으로 반복한 결과이다. 이후 통일성의 와해도 그 분열의 과정을 통해 새로운 통일성을 향해 나아간다. 서고트의 이베리아 지배는 로마에 의한 지중해-게르만 유럽의 통일이 보다 풍부한 요인들로 구성된 새로운 통일성을 지향하는 역사의 한 흐름에 해당한다. 변화를 자극하는 주요 동기들은 대개의 경우, 내부에서 발견된다. 지배-피지배 간 일방적인 관계, 교리와 이념 등의 차이에 의한 갈등 등과 같은 비(比)상보성의 불균형이 그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지적은 8세기 초반 이슬람의 이베리아 정복을 가능하게 만든 요인들로 작용했다. 무슬림의 지배는 딤미제도, 즉 딤미(Dhimmi)에 대한 법적 규정을 고려할 때 로마제국의 공존적 통치정책과 별반 다르지 않다. 지배세력이 유일신 종교 문화였다는 점에 있어서도 4세기 말에 기독교를 국교로 선포한 로마제국에 비유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무슬림의 역사적 중재를 지적한 이유는 이것이 이후의 역사적 흐름에서 상보적 교류의 연속성과 공존의 구도를 보장하는 기능이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세 유일신 신앙은 한편으로는 대립적 구도로 보이지만, 이들 간 큰 차이는 (차별이 아닌)다양성의 시각에서 볼 때 오히려 관계의 역동성을 자극하는 동기로 작용하였다. 중재의 언급에 따른 또 다른 이유는 무슬림의 등장이 게르만의 유입으로 단절되었던 유럽지역의 농업권과 지중해의 교역활동을 재차 연결하는 결과를 동반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우리는 스스로의 종교,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타자의 현실에 의한 영향을 수용한 사례들을, 예를 들면, 모사라베와 유대인들의 폭넓은 사회적, 경제적 활동과 번역으로 상징되는 지적 교류와 그 결과들에서 찾을 수 있다. The study of the history of medieval Muslim Iberia is summarized as the subject of conflict and conflict among the civilizations, and claims that it was a medieval experiment of peaceful coexistence. Both theories are deeply related to the cultural, racial and religious identity of the researcher.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is is an exten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eval Iberian cultural components. The key to this study is to critically complement the two contrasting arguments. In other words, in this paper, the two existing arguments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relationship, and on the surface, they appear to be in opposi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new proposal is Yin and Yang and Five Elements. According to this, the research key-words of coexistence and conflict are two heterogeneous aspects of medieval Iberian history and act as a structure of cooperation and competition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hase reaction synergy. The Iberian conquest of the Visigoths seems to be due to the collapse of the European-Mediterranean unity and intercommunication regime led by the Roman Empire. In this case, the unification (realized by the Roman Empire) is the result of the change of the parts that made up the whole in the structure of the previous era to a new level of unity, and the result of the continual repetition of cooperation and competition between different and heterogeneous factors. Afterwards, even if unity falls, it progresses toward new unity through the process of division. The Western Gothic rule over the Iberian Peninsula is a trend in history that aims for a new unity of Roman-German European unification by Romans. The main motivations for stimulating change are usually found internally. This is an imbalance of non-complementarity, such as a un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dominant-to-dominant control and conflict by differences in doctrines and ideologies. This set of points served as a factor in making Islamic conquest of Islam possible in the early eighth century. Muslim rule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coexistent ruling policy of the Roman Empire, given the legal provisions for the Dhimmitude system. Even though the ruling power was the only religious culture, it can be compared to the Roman Empire, which declared Christianity as the state religion at the end of the 4th century. The reason for pointing out the historical mediation of Muslims in this study is that it is a function of ensuring the continuity of complementary exchanges and the composition of coexistence in later historical flows. The three monotheistic beliefs, on the one hand, appear to be oppositional compositions, but the great difference between them acts as a motive for stimulating the dynamics of relationships, from the perspective of diversity (not discrimination). Another reason for the mention of arbitration is that the rise of Muslims was accompanied by a re-connection between the agricultural rights of Europe and the Mediterranean trade, which were cut off by the Germanic influx. And in this process, we maintain examples of our own religious and cultural identities, while embracing the influences of others' realities, for example, intellectual exchange, symbolized by the broad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and translations of Mozarabs and the Jews. You can find it in th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