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와 일반가정 유아의 언어 및 정서․사회성 발달 연구

        구효진,박경란,최진선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3

        For the last decade, the number of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in fishery & agriculture area has increased rapidly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ir atypical development of language and social-emotion. Subjects of 147 children aged 3 to 6 in multi-cultural family in Chung-chung and Jul-la provinces and the compared group of 143 children aged 3 to 6 in normal family in the same location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had significantly lower language development than those in normal family. Next,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had significantly lower self-esteem, self-control, and coping skills than those in normal family, while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had higher aggression than those in normal family, Last,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in relatively low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showed significantly lower self-esteem, self-control, and coping skills than those in multi-cultural family in relatively high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while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in relatively low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showed higher aggression than those in multi-cultural family in relatively high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Therefore, the result confirmed the atypical development of language and social-emotion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in fishery & agricultural area and furthermore it suggested the effects of language delay on social-emotional development delay. 본 연구는 국내 농어촌지역 다문화가정 유아들과 동일지역 일반가정 유아들의 언어 및 정서․사회성발달에 관한 비교를 통해 다문화가정 유아들에게서 나타나는 비전형적인 발달양상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북도 및 전라남북도 농어촌지역에 거주하는 유아 290명(다문화가정 유아 147명과 일반가정 유아 143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언어 및 정서․사회성(공격성, 자아존중감, 자기조절, 대처능력)발달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어촌지역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수준은 동일지역 일반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수준보다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정서․사회성발달 중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능력 및 대처능력은 일반가정 유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공격성은 일반가정 유아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과 정서․사회성발달간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다문화가정 유아들을 대상으로 언어발달 수준에 따른 정서․사회성발달수준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 유아 중 언어발달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집단이 언어발달 수준이 높은 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능력 및 대처능력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낸 반면, 공격성에서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및 정서·사회성발달의 문제점이 시사되었으며, 나아가 이들의 언어발달 지연이 정서․사회성발달 지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 유아의 신체, 인지, 언어, 사회-정서 발달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김기예,박숙희 한국아동보육실천학회 2014 아동보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신체, 인지, 언어, 사회-정서발달과 창의적 표현력과의 관련성을 살 펴보고, 유아의 발달 중 창의적 표현력에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 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J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3, 4, 5세 유아 89명(남아 44명, 여아 45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여아가 남아보다 언어발달점수가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신체, 인지, 언어, 사회-정서발달과 창의적 표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언어, 인지, 사회-정서 발달과 창의적 표현력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 남아는 인지발달 및 사회-정서발달과 여아는 신체발달, 인지발달, 언어발달 및 사회-정서발달과 창의적 표현력이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적 표현력에 대해서는 연령, 인지발달, 사회-정서발달이 유의한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현황

        한옥미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7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2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child education institution teachers’recognitions and the present conditions of social/emotional assessments of them, and explore needs for such assessments in the educational field. Survey was conducted by 284 teachers in charge of classes of 3-5 years old young children’s in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at Metropolitan areas. First, while teachers agreed on the necessity of assessments of young children’s social/emotional developments,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assessments was low. They recognized that insufficient time for the assessments due to their overworks and high rate of teachers to young children’s are the greatest problems to assessments of young children’s social/emotional developments. Their satisfaction with the assessments was low in the field. They felt that methods to reflect the results of such assessments on the curriculum by interpreting and recording them were necessary. Second, teachers often designed period, content and method of assessments, rather than used the results of assessments, in the preliminary planning of the assessments. In the actual field, anecdote recordings and checklists are more often used for the assessments. Thus, assessment data which specifically guide utilizations and interpretations of the assessments and simple assessments that can be actively applied to the field should be produced and distributed.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시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에 재직하고 있는 만 3~5세 학급 담임교사 284명이 설문지 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들은 개별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수준과 개인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반면에 교사의 과도한 업무로 인한 평가 시간의 부족 및 학급 내 교사 대 유아의 높은 비율을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인식하였으며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 실행하고 있는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의 만족도는 낮았다. 교사들은 유아 사회·정서발달을 평가한 결과를 해석하고 기록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를 위한 사전 계획 시 평가의 시기, 내용 및 방법에 대한 계획 보다 평가의 결과 활용에 관한 계획을 세우고 있는 교사는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는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를 위해 일화기록법, 체크리스트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교사들이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를 활용하기에 용이하고,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간편한 평가 방안과 해석 및 활용방법이 자세하게 안내되어 있는 평가 자료의 제작 및 보급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음악활동이 통합 어린이집 발달지체유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장혜원 국립특수교육원 2012 특수교육연구 Vol.19 No.1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effectiveness of developmental delay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by music activities which made of music elements facilitate social and emotional skills in the inclusion setting. Fort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ttending a inclusive child-care center participated in 16 sessions consist of 30 minutes from september to february. Intervention was music activities to facilitate social and emotional skills. Study design i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s results of this study, music activities which facilitat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improved the developmental delay children'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in the inclusion setting. Music activities which facilitate social and emotional skills improved the developmental delay childrens' social interaction, self concepts, social role, expression of emotion. As study results, music activities improved developmental delay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regardless of sex. Music activities improved developmental delay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related the degree of disability and ages As a conclusion, music activities which facilitat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can be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in inclusion settings. 본 연구는 음악활동이 통합 어린이집 발달지체유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발달지체유아의 개인 변인인 성별, 장애등급, 나이에 따른 음악활동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통합 어린이집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40명의 발달지체유아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 하였다. 연구 기간은 6개월이었으며 중재는 주 1회 30분씩 총 16회기 간 발달지체유아가 생활하고 있는 본래 학급에서 실시되었다. 중재 프로그램은 사회 정서발달을 유도하는 음악의 요소가 삽입된 음악활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설계는 사전-사후 비교집단 실험설계이었다. 연구결과 음악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 정서발달인 타인과의 상호작용 발달, 자아개념 발달, 대처기능 및 사회적 역할 발달, 감정 정서표현 발달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음악활동은 성별에 상관없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장애등급과 나이에 따라 평균점수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비추어 음악활동은 통합 어린이집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 정서발달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것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식재료 감각탐색활동이 만 2세반 영아의 사회정서발달과 놀이성에 미치는 효과

        이은경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1 사회심리발달연구 Vol.2 No.3

        본 연구는 식재료 감각탐색활동이 만 2세반 영아의 사회정서발달 및 놀이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만2세반 영아 28명을 표집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14명씩을 할당하였다. 본 연구는 영아의 사회정서발달과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회정서발달 평정척도와 아동의 놀이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검증을 위해 독립 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재료 감각탐색활동은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식재료 감각탐색활동은 영아의 놀이성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식재료 감각탐색활동이 만 2세반 영아의 사회정서발달과 놀이성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감각탐색활동의 교육적 가치와 중요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식재료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영아의 사회정서발달과 놀이성, 더 나아가 전반적인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nsory exploration activities with food ingredients on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and playfulness of children aged 2 years or old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enty-eight children aged 2 years or older in B-nursery school and D-nursery school located in S-City. Fourteen children in the B-nursery school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Fourteen children in the D-nursery school were assigned to the comparative group.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6.0 Wi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nsory exploration activity using food ingredients was effective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emotions of the toddlers in two-year old class. Second, the sensory exploration activity using food ingredients was effective on infant playfulness of the toddlers in two-year old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ood sensory exploration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and the playfulness of the toddlers in two-year old class. Based o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educational value and importance of sensory exploration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develop and apply programs using various food ingredients continuously.

      • KCI등재후보

        가족건강성이 유아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부모역할지능의 매개효과

        강보미,김경철 한국 영유아 교육·보육학회 2023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6 No.1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health on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social emotions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parent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health and early childhood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 to November 30, 2021, on 228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5 attend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Gangwon and Jeollanam-do using family health, parent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measures. The collected questionnaire data wer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α,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the SPSS WIN 22.0 program and the AMO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mily health, parental intelligence, and early childhood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showed high levels based on averag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health and parental intelligence, family health and infant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and parental intelligence and infant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respectively. Third, in the effect of family health on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social emotions, mother-parental intelligence was found to be a completely mediating variable.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parental education and parental counseling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 healthy family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emotions in children and to improve family health and mother’s parental intelligence,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ocial emotions.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이 유아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부모역할지능의 매개효과 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지역과 전남지역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28명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 어머니부모역할지능, 유아사회정서발달 척도를 사용하여 2021년 11월 1일∼11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 된 설문자료는 SPSS WIN 22.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건강성과 어머니부모역할지능, 유아사회정서발달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과 어머니부모역할지능, 가족건강성과 유아사회정서발달, 어머니부모역할지능과 유아사회정서발달 간에는 각각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건강성이 유아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부모역할지능은 완전 매개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사회정서발달에 있어서 건강한 가족의 중요성과 함께 어머니부모역할지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가족건강성과 어머니부모역할지능의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및 부모상담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촉진을 위한 코칭대화 기법에 관한 사례연구

        도미향,윤진희,김병은 한국코칭학회 2009 코칭연구 Vol.2 No.2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서 발달을 위한 유아코칭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가정 및 보육시설에서 부모나 보육교사들에게 유아코칭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코칭 적용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코칭과 사회․정서에 대한 특징을 논의 하고, 둘째, 코칭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유아가 자기 자신뿐 아니라 다른 사람과도 효과적으로 행동하고 상호작용하며 반응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데 이것을 사회․정서발달이라고도 불리운다. 따라서, 코칭대화법에 따라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의 내용을 보건복지부에서 발행한 표준보육과정 보육프로그램 총론을 기초로 자기존중, 정서인식과 조절, 사회적 관계, 사회적 지식 4개의 범주로 나누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전문가협의회, 대화관찰 등을 활용하였다. 유아가 성인 또는 또래와 유능하게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고, 타인과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사회 ․정서 능력의 향상을 위해 사회․정서발달의 4개의 범주별 내용에 따라 가정에서 부모가 할 수 있는 코칭의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자료 분석을 통하여 유아 사회·정서 발달을 위한 코칭 사례가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의 자기존중, 정서인식과 조절, 사회적 관계, 사회적 지식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n child coaching for parents and childncare center teachers at home and nursery facilities by presenting child coaching cases fornthe development of social emo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applying child coaching. Tonthat end,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oaching and social sentiments were discussed, andnsecond, the cases of coaching were analyzed. According to Stowell, coaching is to developnthe capabilities of the members and motivate them and give them feedback frequently byncommunicating with them verbally and behaviorally. This includes enhancing the ability ofninfants not only to behave by themselves but also to be interactive and responsive withnother people effectively, which is also called the development of social emotion. Accordingly,naccording to the methods of coaching communication based on the introduction to thenstandard curriculums of nursery programs issued by the nursery policy development center,nthe contents of the development of social emotion of infants were divided into 4 categoriesnself-esteem, emotion recognition and control, social relationship, and social knowledge. Asn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on literatures, experts associations, and observation ofndialogues were utilized.nThe cases of coaching which parents can do at home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snof 4 categories of the development of social emotion so that infants can acquire skills toninteract competently with adults or their peer group and can enhance social sentimentsncapabilities to form relationship with others. According to this research, child coachingncases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emotion by presenting self-esteen, sentimentsnrecognition and control , social relationship, and social knowledge.

      • KCI등재

        문학활동이 유아의 사회ㆍ정서발달에 미치는 효과분석: 메타분석방법의 적용

        황윤세,김언진,김경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1

        본 연구는 문학활동이 유아의 사회ㆍ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2001년부터 2015년까지 발행된 29편의 논문으로 유아의 문학활동이 사회ㆍ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석ㆍ박사 학위 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본 연구의 자료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자료로부터 유아의 문학활동에서 중재변인에 따라 종속변인인 사회ㆍ정서 발달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변인별 평균 효과 크기와 변인 간 평균 효과 크기의 차이를 밝혀 봄으로써 문학활동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확률효과모형에 의한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 유아의 문학활동이 사회ㆍ정서 발달에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1.27로서 큰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문학활동이 유아의 사회ㆍ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는 중재변인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ㆍ정서 발달의 검사구인별로 분석해 본 결과 검사구인 간의 효과 크기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문학활동이 유아의 사회ㆍ정서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효과 크기를 고려하여 유아의 사회ㆍ정서 발달을 위한 전략 및 도구를 개발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literary activity in the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Analysis of data selection criteria for this study of papers published in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s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29 children of the literary activity i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in papers published by 2015. Since 2001, It was included in this study. These data according to the moderator variables in children’s literature from the activities reveal an average effect siz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effect size with variables specific variables influence the dependent variable to some extent how the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is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n literary activities in the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results of calculating the effect size due to the effect of probability model showed a large effect size as 1.27. Second, the effect of size on the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in children by moderator variables literary activity all showed large effect sizes. Third, the average effect size of the literary activity of the dependent variable on the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showed a greater effect siz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literary activities so substantially affect the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ffect sizes development? strategies and tools for the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 KCI등재

        아동의 언어능력과 사회정서발달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김영태,강진경,김정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2

        배경 및 목적: 사회정서는 아동의 발달에 중요한 요인이며, 언어능력은 사회정서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하여 아동의 언어능력과 사회정서발달의 관계를 살펴보고, 두 변수의 하위영역 간에도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언어능력은 수용언어, 표현언어, 초기 문해능력으로 나누고, 사회정서발달 변수는 외현적 행동, 내재적 행동, 사회적 기술, 자기조절로 구분하였다. 방법: 9개의 국내외 데이터베이스(Academic Search Complete, PsycINFO, Eric, PubMed, CINAHL Plus, ScienceDirect, RISS, DBpia, Kyobo Scholar)를 통해 포함 및 제외 기준을 적용하여 총 12편의 문헌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Fisher’s Z를 사용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결과: 아동의 언어능력과 사회정서발달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각 하위영역에서는 수용언어능력과 내재적 행동 및 자기조절, 표현언어능력과 내재적 행동 및 사회적 기술, 초기 문해능력과 사회적 기술 및 자기조절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정서발달의 하위영역 중 외현적 행동은 언어능력의 전 하위영역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아동의 언어능력이 사회정서발달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언어중재를 통해 부정적인 사회정서는 감소시키고, 긍정적인 사회정서는 발달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말늦은 아동의 사회 정서 발달 종단연구

        이수향,김수진,홍경훈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言語治療硏究 Vol.27 No.1

        Purpose: Language development is closely related to physical,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late talkers are at increased risk for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during childhood. Methods: The subjects were 1,493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both the 4th and the 8th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late talkers vs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ccording to scores on an expressive vocabulary test conducted when they were 3 years old (on average). Late talkers were defined as toddlers who scored at or below the 10th percentile on the expressive vocabulary test.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was used to measure problem of child behavior. It Checklist was conducted when they were 7 years old (on average). The CBCL score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Potential confounders included characteristics of parenting environment (family income, maternal education etc.).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aternal education was different in LT (n=279) and TD (n=1,214) groups. Maternal education level of LT was lower than TD. 2) Late talkers had higher Child Behavior Checklist scores (representing poorer behavior)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total problem behaviors, internalizing behaviors, and externalizing behaviors. 3) In detail, LT showed higher scores in social immaturity, attention problems, rule violation, and aggressive behavior than TD.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fficulty of early language development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socio-emotional development in early school-aged children. They also suggest that early intervention for late talkers is important. 목적: 언어 발달은 신체, 인지, 정서 및 사회성 발달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이루어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유아기 언어능력이 학령초기 사회 정서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4차 년도와 8차 년도 연구에 모두 참여한 1,493명의 아동들이다. 먼저 아동패널 4차 년도 자료(평균연령 3세)에서 표현어휘발달검사(REVT-E) 점수로 말늦은 아동과 일반 아동으로 나누었다. 말늦은 아동은표현어휘발달검사 결과 10%ile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로 정하였다. 사회 정서 발달 측정으로는 아동행동평가척도(Child Behavior Checklist: CBCL)를 사용하였다. 8차 년도 자료(평균연령 7세)에서 두 그룹 아동들의 아동행동평가척도 점수를 비교하였다. 가계소득 및 어머니 학력과 같은 양육환경 요인을 사회 정서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으로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사회 정서적 발달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양육환경 요인 중 말늦은 아동(N=279)과 일반 아동(N=1,214)은 어머니의 학력에서만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말늦은 아동 집단의 어머니 학력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CBCL 점수 분석에서 문제행동총점, 내재화, 외현화 3개 광역 점수 중 말늦은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문제행동총점, 외현화 점수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고,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8개 증후군 척도로 나누어 보았을 때 말늦은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사회적 미성숙, 주의집중 문제와 규칙위반과 공격행동에서 차이를 보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유아기 느린 언어발달이 학령초기 사회 정서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말늦은 아동에 대한 조기 중재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