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반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지지 지각과학교생활적응 간 관계의 학교 급별 비교

        김동희,박승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8 특수교육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학교 특수학급 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각 학교 급별(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지와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지지 지각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상관관계가 각 학교 급별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고, 나아가, 사회적 지지의 세 가지 하위요인 중 학교생활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각 학교 급별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학생 440명이다. 도구는 김명숙(1994)의 사회적지지 지각 척도와 이유선(1996)의 학교생활적응도 검사를 수정한 것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지지 지각은 각 학교 급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지지 지각과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각 학교 급별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 지각의 하위요인 중, 초등학교에서는 친구지지, 교사지지 순으로 큰 영향력을 갖고, 중학교에서는 모든 하위요인이 낮은 영향력을 보이며, 고등학교에서는 교사지지, 친구지지 순으로 큰 영향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와 비교되면서 논의되고, 통합교육 내실화 시기에 장애학생의 일반 초·중·고등학교에서 학교생활적응의 지원 방안 구상에 있어서 교사 및 친구로부터의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시키며 세 학교 급에 따라서 차별화된 사회적 지지 방안의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특수학급 학생과 장애학생이란 용어는 엄밀하게는 동일하지 않으나, 본 논문에서는 두 용어가 같은 의미로 문맥에 따라서 혼용되었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difference in perceived social supports,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s and school adjustment, and difference in the most influential subfactor of social supports for school adjustment among students in special classe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440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selected by teachers of special classes at each school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o questionnaires including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scale of school adjustment were employed to generate the data for this stud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simple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of 440 students of three school level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followed. First, perceived social suppor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tudents in special classes at three levels, especially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s. Second,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students' school adjustmen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he order of the correlation intensity was followed by first high schools, then,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Third, the most influential subfactor of social supports for students' school adjustment was different in each group. Subfactor called support from friends was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subfactor in elementary students and support from teachers was the most influential subfactor in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the factor of social supports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tial for students' school adjustment in middle schools.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comparing the difference among students at three school level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student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provided.

      • KCI등재

        문화성향과 사회적지지

        홍승범,박혜경 한국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2 No.1

        사회적 지지 추구에 관한 문화 간 비교 연구들은 개인주의 문화권의 사람들이 집단주의 문화권 사람들에 비하여 스트레스를 다루기 위하여 사회적 지지를 더 많이 추구함을 보였다. 반면, 사회적 지지 추구에 대한 문화 내 개인차 연구들은 집단주의 성향이 강한 사람들이 스트레스 해소를 위하여 사회적 지지를 더 많이 추구함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비교문화 연구들과 문화 내 개인차 연구들 간의 차이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 비교문화 연구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회적 지지 추구를 측정하고, 이를 문화성향과 연관 지어 분석하였다(연구 1과 2).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문화성향에 따라 다른 사람들에게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정도 역시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연구 2). 연구 1의 결과, 집단주의 성향이 강할수록 스트레스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를 많이 추구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지의 유용성을 더 높게 지각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 2를 통하여 집단주의 성향이 강할수록 본인의 스트레스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회적 지지를 많이 추구하는 동시에 스트레스를 겪는 지인을 위해 사회적 지지를 많이 제공하는 등, 다른 사람들과 보다 균형적으로 사회적 지지를 교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에 기초하여 문화와 사회적 지지에 관한 후속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Recent cross-cultural research on social support demonstrated that people from individualistic cultural contexts (e.g., European Americans) are more willing than people from collectivistic cultural contexts (e.g., Asians, Asian Americans) to use social support for coping with stressful events. However, within-culture studies conducted in Korea revealed that individuals with a collectivistic self-orientation are more likely to seek social support, compared to those with an individualistic self-orientation. The present study explored whether and how the pursuit and provision of social support in Korean college students would vary as a function of individuals’ cultural self-orientation. It was found in Study 1 that individuals with a stronger collectivistic self-orientation, as compared with those with a weaker collectivistic self-orientation, were more likely to seek social support and to consider the pursuit social support (vs. exerting personal effort) a more effective means for coping with stress. Moreover, Study 2 showed that the more collectivistic, the more balanced individuals became in the pursuit and provision of social suppor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culture and social support are discussed.

      • KCI등재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김혜선,김진경 가정과삶의질학회 2023 가정과삶의질연구 Vol.41 No.2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the general background,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f childcare teachers affect happiness. To this end, 300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national, public, workplace, private, home, and corporate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urveyed and analyzed using SPSS 21.0 statistic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happines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teachers, low-care teachers of less than 1 year and middle-care teachers of more than 5 to 7 years had high interpersonal skills, while high-care teachers of more than 7 to 10 years had low interpersonal skills. In terms of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childcare teachers, graduate school and older were higher in happiness, resilience overall, and positivity, while those in their 40s and 50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ir 20s in terms of happiness, resilience, self-regulation, and positiv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ildren of childcare teachers, childcare teachers with three or more children had the highest overall social support and overall happiness information and emo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evaluation support, and resilience sub-factors. In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of teachers, information support, a sub-factor of social support, was high in unmarried teachers, and self-regulation ability and positivity were high in married teachers. The overall resilience, sub-factors, and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preparing to change jobs were higher than those who were not preparing to change job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people in the workplace, people outside the workplace), resilience, and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there wa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all two variables. In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y sub-facto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 sub-factor of resilience, and information support in the workplace, a sub-factor of social suppor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background of childcare teachers (education, age, number of children, preparation for change), social support (people in the workplace, non-workplace), and resilience, the relative explanatory power of childcare teac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childcare teachers, the number of children,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f people in the workplace are important in terms of the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promote teachers’ happiness, various institutional and policy support is needed to provide social support through various networks, and the creation of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harmonizes and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is require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provision of education or programs to foster resilience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care teacher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이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의 국⋅공립, 직장, 민간, 가정, 법인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SPSS 21.0 통계를 이용하여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 행복감을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의경력에 따른 차이에서 1년 미만의 교사와 5년 이상∼7년 미만의 교사가 대인관계능력이 높았고 반면 7년 이상∼10년 미만의 교사가대인관계능력이 낮았다. 보육교사의 학력에 따른 차이에서 대학원 이상이 행복감, 회복탄력성 전체와 긍정성에서 높았으며, 연령에 따른차이에서 40대와 50대 이상이 행복감, 회복탄력성 전체, 자기조절능력, 긍정성에서 20대보다 높았다. 보육교사의 자녀 수에 따른 결과는사회적 지지 전체와 하위요인 정보적지지, 정서적지지, 물질적지지, 평가적지지, 회복탄력성 하위요인인 대인관계능력, 행복감에서 자녀수가 3명 이상인 보육교사가 가장 높았고, 상대적으로 자녀 수가 1명인 보육교사가 사회적 지지 전체와 행복감 전체가 낮았다. 교사의결혼 여부에 따른 차이에서 사회적 지지 하위요인 정보적 지지는 미혼의 교사가 높게 나타났고, 자기조절능력과 긍정성은 기혼의 교사가높게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이직준비 여부에 따른 차이에서 이직준비를 하고 있는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전체와 하위요인 전체 그리고행복감이 이직준비를 하고 있지 않은 교사보다 높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직장 내 사람, 직장 외 사람), 회복탄력성, 행복감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직장 내 사람, 직장 외 사람)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두 변인 전체 간에는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직장 내 사람, 직장 외 사람)와 행복감의 관계, 회복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도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하위요인별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서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 능력과 사회적 지지 하위요인인 직장 내 정보적 지지와의 관계에서두 변인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행복감 있어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학력, 연령, 자녀 수, 이직준비 여부)과 사회적 지지(직장 내 사람, 직장 외 사람), 회복탄력성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학력, 자녀 수, 직장 내사람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이 상대적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있어서 보육교사의 학력, 자녀 수, 직장 내 사람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교사의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여러 관계망을 통한 사회적지지가 제공되도록 다양한 제도 및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며 구성원들 간에 서로 화합하고 소통하는 조직문화 조성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또한 회복탄력성 함양을 위한 교육이나 프로그램 제공 등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문제의 심각도 지각이 일상적 사회적 지지 요청, 상담요청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김태연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7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traits which affect on getting social support from others. For this study, it surveyed 248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we used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posteriori tests(Bonferroni) after analysis of variance, part correlation. As results, seeking social support incereased receiving social support. Seconds, problem-severity perception did not correlate with seeking social support. But problem-severity perception increased likelihood of seeking counseling. Third, avoidance attachment and anxiety attachment decreased receiving social support. But avoidance attachment is a main factor in receiving social support. Fourth, avoidance attachment decreased seeking social support. Those who have high avoidance attachment regarded that they didn't have social support although they sought social support. Fifth, anxiety attachment increased likelihood of seeking counseling. These results imply that lowering avoidance attachment is a way to increase seeking social support to others and exposing a counselor to those who have high anxiety attachment is helpful. 본 연구는 타인으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받기 위해 지지 요청 태도가 필요하다고 보았고, 성인애착이 사회적 지지 요청을 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있는 대학에 재학 중인 24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자료분석은 상관분석과 변량분석 후 사후검증(Bonferroni), 그리고 부분상관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일상적 사회적 지지 요청과 사회적 지지 받기의 유의한 정적 상관을 확인하였고 둘째, 일상적 사회적 지지 요청과 문제의 심각도 지각과의 관계에서 문제를 심각하게 지각하더라도 일상적 사회적 지지 요청이 높아지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문제의 심각도가 높을수록 상담 요청 가능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애착과 사회적 지지 받기의 관계에서 불안, 회피 모두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는데, 회피가 보다 중요한 요인임을 알았다. 넷째, 성인애착과 일상적 사회적 지지 요청과의 관계에서 회피와 일상적 사회적 지지 요청 간의 유의한 부적 상관을 확인하였고, 일상적 사회적 지지 요청을 통제한 회피와 지지 받기의 부분 상관을 산출한 결과, 회피가 높은 사람이 사회적 지지를 적게 받았다고 지각하는 것은 사회적 지지 요청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인애착 불안과 상담 요청 가능성이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상담 및 교육현장에서 시사점을 논하였다.

      • 사회적 지지의 개념과 효과에 관한 이론 및 방법론적 고찰

        김미령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5 임상사회사업연구 Vol.2 No.1

        사회적 지지는 사회복지에서 클라이언트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사회적 지지에 대한 만장일치된 개념정의는 없지만 구조적, 기능적 측면으로 포괄적으로 개념정의를 할 때 방대한 사회적 지지의 다면성을 설명할 수 있다. 사회적 지지는 수혜(receiving) 뿐 아니라 제공(giving), 또한 수혜와 제공의 상호작용이 개인의 심리적 복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를 인지하느냐 혹은 스트레스상황에서 실제로 사용하느냐에 따른 영향도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사회적 지지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지만 부정적인 측면도 갖고 있다. 사회적 지지의 긍정적인 효과는 크게 직접효과와 완충효과로 나뉘며 사회적 지지의 유형과 범주에 따라 이러한 효과가 결정된다. 그러므로 사회적 지지의 다양한 개념정의와 조작정의에 따라, 어떠한 분석방법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유념하여 사회적 지지의 유의미한 효과를 발견하기위해 연구자는 개념정의, 조작정의, 방법론상의 문제 즉 디자인, 샘플, 측정방법 등을 신중히 고려하여야 한다. Social support is an important factor in terms of the enhancement of the client and has been acknowledged widely as an effective component of well-being. In spite of the lack of a unanimous definition of social support,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social support can be used as a framework for designing social support. Not only the receiving social supportbut also the giving social support and the reciprocity of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factors of influencing on individuals'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it is perceived or actually received. The social support transaction is a dynamic process which connects the structure and the function of social support. Perceived and enacted social support are the dimensions of this social support transaction. There are two kinds of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positive and negative. The positive effects of social support are defined as follows: the main or the direct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the moderating effect. Whether social support has a main or moderating effect depends on the types and dimensions of social support. To find a significant effect of social support, especially moderating effect, the methodological issues such as designing, sampling, measurement must be considered.

      • KCI등재

        사회적 지지가 목표달성 의도에 미치는 영향: 판촉 보상물 획득 과정을 중심으로

        정난희 ( Jeong Nan-hee ),박세범 ( Park Se-bum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3

        매년 연말 다양한 커피전문점에서는 일정 수 이상의 음료를 마시면 새해 다이어리를 제공하는 프로모션을 실시하고 있다. 이때 스타벅스 다이어리를 받기 위해 노력하는 소비자의 경우 주변 친구들로부터 도움을 받는 동시에 온라인상에서 교환 혹은 나눔 등의 사회적 도움을 받음으로써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타벅스 다이어리 프로모션 상황에서 사회적 지지가 목표달성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세 매개변수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한 개인이 사회적 관계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긍정적 자원을 의미하는 사회적 지지를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의 친밀함 정도(친한 친구 vs. 타인)로 구분해 사회적 지지가 목표달성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하고 두 번의 실험을 통해 이를 입증하였다. 실험 1의 결과에 따르면, 친한 친구로부터 목표달성을 위한 도움을 받는 경우 타인(마케터)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때에 비해 목표달성 의도를 더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목표달성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각된 진정성, 책임감, 압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다음으로 실험 2는 지지자 수의 조절적 역할을 살펴보고자 사회적 친밀함 정도에 따른 사회적 지지를 친한 친구와 온라인 커뮤니티 멤버로 구분하여 목표달성 의도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한 명으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받는 경우 친한 친구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받을 때 온라인 커뮤니티 멤버 조건에 비해 목표달성 의도를 더 높게 평가했다. 반면 다수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받는 경우 친한 친구와 타인(온라인 커뮤니티 멤버), 즉 친밀함 정도에 상관없이 목표달성 의도를 높게 평가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에 따라 목표달성 의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입증하였으며, 소비자들의 성공적인 목표달성을 위한 사회적 지지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goal attainment intention in the context of the Starbucks Planner promotion and to find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sincerity, accountability and pressure. To test our predictions, we conducted two experiments in which consumers were asked to indicate their intention to redeem the Starbucks Planner when social support was obtained from people with different degrees of social intimacy (close friends, Starbucks marketer, or control group) (experiment 1), and when both the degree of social intimacy (more intimate close friends vs. less-intimate online community members) and the number of supporters (one or three) were varied (experiment 2). The results of experiment 1 demonstrated that consumers who received social support from close friends exhibited higher goal attainment intention than those who received social support from the Starbucks marketer. In addition, we found that perceived sincerity, accountability, and pressure mediate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goal attainment intention. The findings of experiment 2 further reveal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degree of social intimacy and the number of supporters. First, consumers who received social support from close friends relative to online community members indicated higher goal attainment intention, replicating the results of experiment 1. Second, the results of experiment 2 showed that consumers who received social support from many people exhibited higher goal attainment intention regardless of whether such social support was provided by more- or less-intimate supporters. However, consumers revealed greater goal attainment intention when such social support was provided by one more-intimate close friend rather than one less-intimate online community member. Overall, the current research offers novel insights into the important role of social support in developing more favorable goal attainment intention and ways to facilitate the process of gaining and providing such social support in the context of sales promotional reward redemption.

      • KCI등재

        다문화가정의 부부갈등과 자녀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서은경,김병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3 청소년상담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ocial suppor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social adjustm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especially,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ocial support group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amined total 285 students, 114 male and 171 female students, from 4th grade to 9th grade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by conducting survey composed of questions including the marital conflict scale, social adjustment scale, social support scale, and Ego-resilience scale.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structural relation of each model above, the direct effect of all four models were statically meaningful on the pathway from marital conflict to social support, from social support to social adjustments, and from social support to Ego-Resilience. However, the pathway from marital conflict to Ego-Resilience in the parent support model and the pathway from Ego-Resilience to social adjustments in the friend support model were not meaningful. Second, the results of mediating effects in four models were as follows; The parent support model was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that affects adjustments throughout only parent support in marital conflict. That had the mediating effects which was throughout parent support to social adjustments and from marital conflict to parent support then to social adjustments throughout Ego-Resilience, and also the model had meaningful mediating effects that was from parent support to social adjustments throughout Ego-Resilience. The friend support, teacher support, and community support model showed that marital conflict had a direct influence on social adjustments and appeared as the partial mediation model that had an effect on social adjustments by mediating throughout each social support and Ego- Resilience. In addition, the four models showed meaningful mediating effects that affected social adjustments in marital conflict throughout social support, therefore, we knew that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support was very important. The mediating effects in the parent support model and teacher support model were meaningful that affects social adjustments from marital conflict to social support and to Ego-Resilience. The mediating effects in the Parent support model and community support model were meaningful that is from marital conflict to Ego-Resilience. Moreover, the mediating effects from marital conflict through Egoresilience to social adjustments were meaningful in the community support model.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부부갈등과 자녀의 사회적응 간에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특히, 사회적 지지원에 따른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자녀 중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남학생 114명, 여학생 171명, 총285명에게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척도, 사회적응척도, 사회적 지지척도, 자아탄력성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각 모형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 면, 네 가지모형 모두 부부갈등에서 사회적 지지로, 사회적 지지에서 사회적응, 사회적 지지 에서 자아탄력성으로 가는 경로에서 정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부모지지모형에서는 부부갈등 에서 자아탄력성으로 가는 경로와 친구지지모형에서는 자아탄력성에서 사회적응으로 가는 경 로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네 가지 모형에서의 매개효과 결과로는 부모지지모형이 완전 매개모형으로 부부갈등에서 부모지지를 통해서만 적응에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지지를 통해 사회적응으로 가는 매개효과와 부부갈등에서 부모지지를 거쳐 자아탄력성을 통해 사회적응으 로 가는 매개효과, 부모지지에서 자아탄력성을 통해 사회적응으로 가는 매개효과가 유의미하 였다. 친구지지와 교사지지, 지역사회지지모형은 부부갈등이 사회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지지나 자아탄력성을 매개하여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친 부분매개모형으로 나타났다. 부부갈등에서 사회적 지지를 통해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친 매개효과가 모두 유의 미한 것으로 보아 사회적 지지원의 매개역할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부모지지와 교사지지 모형은 부부갈등에서 사회적 지지를 거쳐 자아탄력성을 통해 사회적응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부모지지와 지역사회지지모형에서는 부부갈등에서 사회적 지지를 통해 자아탄력성으로 가는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또한 지역사회지지모형에서는 부부갈등에서 자아탄력성을 통해 사 회적응으로 가는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사회적지지가 재가노인의 우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하은호,정준태,류진,송윤정,한현지,한지연,최호정,정소희,차윤희,최정은,여주현,조현식,정유진,정현조 한국장기요양학회 2018 한국장기요양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Vol.2018 No.-

        연구목적: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우리나라는 2020년 65세 이상 노인이 전체 인구의 20%를 초과하는 초고령사회를 앞두고 있으며 노인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와 우울도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노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우울, 사회적지지 정도를 파악하는 것은 노인의 건강한 삶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토대가 될 수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국 시도에 거주하는 재가노인 101명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9∼10월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우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단순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우울은 생활수준(F=5.416, p=.006), 건강상태(F=7.583, p=.001)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생활수준이 보통이거나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건강하지 않은 집단이 좋거나 보통인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는 현재 동거인(F=3.896, p=.011), 생활수준(F=6.687, p=.002), 건강상태(F=7.742, p=.001)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분석 결과 혼자 또는 기타거주 집단, 생활수준이 보통이거나 낮은 집단,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집단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건강상태(F=7.742, p=.001), 정부지원 유무(t=2.578, p=.011)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건강상태가 낮은 집단이 보통인 집단보다 사회적지지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우울과 스트레스는 양의 상관관계(r= .864, p<.001)가 있었고 우울과 사회적 지지(r= -.374, p<.001),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r= -.404, p<.001)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우울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는 높게, 사회적지지는 낮게 나타났으며,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사회적지지는 낮게 조사되었다. 단순회귀분석결과 사회적 지지는 노인의 우울(β=-.374, p=<.001)과 스트레스((β=-.404, p=<.001)에 미치는 영향 변수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각각 13.1%, 15,4% 이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적지지는 재가노인의 우울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므로 체계적이고 개별화된 사회적지지를 제공하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맞춤형 사회복지 정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간호학부과정에서부터 노인의 사회적지지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전략을 학습하고 임상실습을 통해 적용해 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남녀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발달

        김은정,김혜숙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1 교육논총 Vol.3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남녀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발달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사회적 지지와 진로발달 및 두 변인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성별 차이를 알아보되, 사회적 지지를 지지원과 지지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인천시의 4개 초등학교 6학년 37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사회적 지지 척도 검사, 진로발달 척도 검사를 실시한 후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과 상관분석을 한 결과, 여아가 남아보다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하였는데, 사회적 지지원에서는 아버지 지지와 친구지지를, 그리고 사회적 지지유형에서는 정보지지, 도구지지, 평가지지를 더 높게 지각으며, 여아는 남아보다 진로발달의 수준도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남아와 여아 모두 사회적 지지원과 진로발달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여, 사회적 지지원과 진로발달의 관계에서나 사회적 지지유형과 진로발달의 상관관계에서도 성별의 차이는 없었다. 즉, 여아가 남아에 비해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하고 진로발달 수준도 높으나,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진로발달은 성별에 따라 어떤 특정한 지지유형이나 지지원과 상관이 있는 것 이 아니라 다양한 지지원으로부터 다양한 유형의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진로발달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