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인교육대학교의 미래 : 대학의 변화와 발전방안에 대한 시나리오 분석

        허숙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0 교육논총 Vol.30 No.2

        경인교육대학교는 65년의 역사를 가지고 발전하여 왔다. 1946년 개성사범학교로 출발하 여 1962년 2년제의 인천교육대학으로, 1982년 4년제의 학사과정으로 승격되었으며, 2005 년 제2의 캠퍼스를 건설하여 경인교육대학교로 교명이 변경되고 인천과 안양에 두 개의 캠퍼스를 갖는 전국 교육대학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앞서가는 우수대학으로 발전하여 왔 다. 그러나 작금의 상황은 저출산 풍조로 인한 초등교원 수요의 감소, 초등교원 임용 경 쟁의 심화, 그리고 정부의 국립대학 구조조정 압력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대내외 적으로 변화의 압력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글에서는 경인교육대학교가 변화하고 발전할 수 있다고 보는 일곱 가지 가능 성을 시나리오로 제시하고, 그 각각의 장점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결론적으 로 어느 한 가지 방안을 제시하기보다 우선적으로 구성원들이 대학의 변화에 대해 기탄 없이 논의하고 공감대를 형성해 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며, 정부의 교원정책의 방향과 상충됨이 없이 궁극적으로 초등교육의 발전을 선도할 수 있도록 대학의 발전적 방향을 모색해 보도록 제안한다.

      • KCI등재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한 교육대학교 정보 시스템 효율화 방안

        한선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0 교육논총 Vol.30 No.2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의 정보 시스템과 업무 효율화를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적 용 방안과 구체적인 전략을 제안하였다. 우선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과 최근 동향을 고 찰하고 교육대학교 전산업무의 분석을 통하여 개선해야 할 부분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3 가지 관점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적용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클라우 드 컴퓨팅 기술을 적용하면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고찰하고 그에 따른 해결 방안도 제시하였다. 이 논문은 향후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이 교육대학교의 전산업무에 적용되었 을 때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육 목표에 대한 교육대학교 1학년과 4학년 학생의 인식 차이

        주영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05 교육논총 Vol.25 No.1

        이 연구는 예비 초등 교사를 배출하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입학 초기와 4학년 시기에 가지고 있는 학생들의 교육관을 비교해 볼 필요에 의해 시작되었다. 또한 교대 1학년과 4학년 학생들이 초등 교육 목적으로 서 전인 교육의 4요소(인지, 정서, 사회, 신체)중 어떤 측면의 교육에 더 중점을 각각 두고 있는 지를 파악하고 또한 2개 학년 집단 간에 어떤 차이나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내려고 하였다. 이러한 배경 하에 이 연구에서 설정 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육대학교 학생들은 어떤 교육관을 가지고 있으며 1학년 학생과 4학년 학생이 가지고 있는 교육관에 차 이가 있는가? 2. 교육대학교 학생들은 현재의 교육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1학년 학생과 4학년 학생의 인식에 차 이가 있는가? 3. 교육대학교 학생들은 초등 교육의 목적으로서 전인 교육의 4요소(인지, 정서, 사회, 신체) 중 어떤 측면 의 교육에 더 중점을 두는가? 4. 교육대학교 1학년 학생들과 4학년 학생들은 초등 교육 목적으로서의 전인 교육 4요소(인지, 정서, 사회, 신체)에서 중점을 두는 순서에 차이가 있는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경인교육대학교 1학년과 4학년 학생 각각 182명과 140명, 총 32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 연구를 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교 학생의 교육관은 1학년과 4학년 모두 학년에 관계없이 아동 중심과 성인 중심의 중간이면 서 조금은 성인 중심 쪽에 기울어져 있다. 학년 간 관점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교대생들의 교육관이 4학 년이 되어도 별로 변화되지 않고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교대생들은 현재의 교육 상황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상당히 성인 중심의 관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2개 학년 간에도 차이가 나타나 있다. 즉 1학년 학생들이 4학년 학생들보다 더 치우친 성인 중심의 교육적 관점 을 가지고 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이다(t=-2.128, p<.05). 셋째, 교육대학교 학생들이 전인 교육의 4요소 중 어떤 측면의 교육에 중점을 두어 교육하는 것을 바람직하 다고 생각하는지를 알아본 결과 조사 대상 교육대학생들은 정서적 측면의 교육 목적인 「성격 좋은 어린이로 키 우는 것」에 가장 많은 비율로 중요하다고 반응하였으며 다음 사회적 교육 목적인 「사교적인 어린이로 키우는

      • KCI등재

        탈북대학생의 한국 사회와 대학 생활 적응에 관한 생애사연구 -교육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이윤정(Lee, Yun-Jung)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4

        본 연구는 Mandelbaum의 생애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2명의 교육대학교 탈북대학생을 대상으로, 2019년 3월부터 8월까지 심층 면담을 통해 한국 사회와 대학 생활 적응을 분석한 연구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북한에서의 가정환경과 교육 배경, 탈북 배경과 과정, 국내 적응 과정에서 차이점은 있으나, 한국 사회적응 과정에서는 탈북 이후 제2의 삶에 대한 확고한 의지와 계획, 주변 환경으로부터 흔들리지 않으려는 자제력을 가지고 적응을 위한 적극적인 자세와 노력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건전한 사고가 한국 사회 적응과정에서 생기는 어려움을 잘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의 대학 생활은 초등교사가 되겠다는 목표의식을 가지고 적응에 노력하고 있으나, 일반대학의 탈북대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언어표현과 한국 문화 적응, 사회적 교류, 남북한 교육과정 차이로 인한 기초 지식의 부재, 영어와 발표학습에 대한 어려움 등에서 공통적인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졸업 후 임용고시에 합격하면 초등교사되는데, 초등교사는 전문성과 사명감, 신뢰감이 요구되는 직업으로, 자신들이 북한 출신이라는 신분 때문에 교사 임용 후 학교 당국과 학부모의 신뢰를 받는 것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하였다. 그러나 북한과 달리 한국은 초등담임 교사가 순환제로 이루어지고, 한국 사회는 다양성이 강조되고 있으므로 탈북교사는 북한, 남한에서의 생활과 교육환경에 대한 동시 경험과 그 차이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교육 활동을 전개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고려되었으면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첫째, 교육대학교의 탈북대학생 연구는 남북한 통합교육을 위한 연구와 연계되어 이루어졌으면 하고, 둘째,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는 한국 사회에서 다양성 함양을 위해 탈북교사의 역할이 주어질 수 있도록 각종 제도 지원체계의 구축방안이 검토되었으면 한다. Utilizing Mandelbaum’s life story analysis method, this qualitative research involves interviews conducted between March and August 2019 with two North Korean refugee college students, to gauge how they adapted themselves to the Korean society and life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NUE). According to the study, the interviewees came from diverse family and educational backgrounds in North Korea. Their migration process and domestic adaptation to South Korea and the NUE were also different, although both of them were strong-willing and self-restrained. Their determination helped them overcome the difficulties they faced in their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and life at NUE. Research participants similar to the North Korean refugee college students in other majors or departments also experienced comparable difficulties in the adaptation process, such as language expression and cultural adaptation, social exchange, lack of basic knowledge due to differences in curriculum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s well as challenges in learning English and making presentations. The NUE is a specialized university that trains elementary teachers requiring a high level of professionalism, sense of responsibility, and trust. After graduating from the NUE, they are eligible to become teachers if they clear the employment examination. However,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nxious about parents’ general concerns about entrusting their children to teachers from North Korea. Unlike North Korea, in South Korea, where home-room teachers are rotated and diversity is emphasized, North Korean refugee teachers also have some unique advantages. Since they have seen both sides of Korea, they can perform better than their South Korean peers in introducing the value of South Korea’s democrat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음악교육학의 현대적 동향

        김용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02 교육논총 Vol.19 No.-

        음악교육학이란 음악을 가장 효과적으로 가능한 한 널리 가르치기 위한 학문의 한 분야이다. 음악은 모든 아동 의 삶의 환경과 질을 향상시키며, 이것은 음악을 전공하여 장래 음악가가 되기를 원하는 아동이나 그렇지 않은 아동에게 모두 마찬가지다. 이것이 음악교육학의 기본입장이다. 본고는 음악교육학이 어떻게 발생하여 발전하였 는지, 그리고 20세기 후반에는 어떠한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현대의 새로운 과제와 이슈는 무엇인지 고찰한다. “음악교육학”이라는 용어, 그리고 이 학문은 미국에서 처음 발생되어 유럽으로 전해졌다. 음악교과를 공교육 (公敎育)화하면서, 각 주 교육위원회의 시민대표들에게 학교음악에 소요되는 비용을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처음으 로 음악교육학 혹은 음악교육가라는 용어가 사용되었고, 또 근대적 의미의 음악교육학이라는 학문이 오늘날의 모 습이 있게끔 발전한 곳도 미국이다. 음악교육학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된 것은 대중교육이 보편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19세기 전반이나, 이전의 루소와 페스탈로찌의 영향도 지대하다. 우리 나라의 경우, 공교육의 본격적 발생은 일제강점 이후부터이고 공교육 내에서의 음악교육도 이와 때를 같 이 하여 발생하였다. 일제의 창가교육은 보통학교 의무교육화에 따라 전(全)한국민에게 보급되었다. 따라서 개화 기 이후 일제시대 전반에 걸쳐 창가를 배운 한국인들은 창가를 통하여 학습한 서양식의 음악에만 익숙하게 되었 으며, 또 이런 음악만이 새롭고 진보된 음악이라는 사상을 은연중에 갖게 되었고, 반면에 한국의 전통음악은 낡 고 뒤떨어진 것이라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20세기 이후에는 페스탈로찌 철학의 영향을 받은 스위스의 자끄-달크로즈, 또 페스탈로찌의 영향을 받아 아동 발달에 근거한 음악교수를 개척한 헝가리의 코다이, 무용과 음악을 결합하여 극음악을 통한 음악교육을 추구했던 독일의 오르프, 그리고 1960년대 미국에서 발생한 포괄적 음악성 교수법 등이 음악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20세기 이후 음악교육학에서 강조되고 있는 측면들은 (1) 음악예술의 전체성 강조, (2) 음악의 기본개념 학습, (3) 즐거운 경험을 통한 음악학습, (4) 탐구 및 경험의 강조, (5) 음성과 가창, (6) 음악 레퍼토리의 다양화, (7) 고등사고기술의 강조, (8) 음악을 통한 특수아동의 교육 등을 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음악

      • KCI등재

        지역과학교육자원지도(RSM)를 활용한 초등 융합과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안재홍,권난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교육논총 Vol.34 No.3

        융합을 통한 창의성 증진을 도모하는 STEAM 교육에서 학교의 역할은 교육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에 게 지식, 기능, 비판적 사고를 포함하는 지적 능력과 호기심, 성취욕구, 태도, 책임, 협동, 의사소통 등의 정의적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교육과정 운영의 바탕에는 학생들 스스로의 배움중심교육을 통하여 창의성을 길러주는 창의지성교육 안착이 바탕이 되어야 하 는데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의 방향을 교실 안에서의 수업에서 나아가 지역의 과학교육자원을 활 용한 체험으로 확장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계획하며 체험하는 가운데 배움이 일어나며 창의성을 신 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단순 체험에서 벗어나 자연, 시설 등에 대한 체험 활동을 과학과 타 분야와의 연계를 통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전략을 통해 RSM 프로그램을 통 한 과학ㆍ환경체험 교육을 STEAM 교육으로 대변되는 학습 준거와 결합하여 나타날 수 있는 교육 적 함의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교육신경과학적 관점에서 본 포용적 민주시민교육

        오기성(Oh, Ki-Sung)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교육논총 Vol.38 No.3

        Inclusive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cuses on mitigating the political and economic inequities that exist, respecting cultural diversity, and fostering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al awar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not only the theoretical coherence of education but also the meaning of realistic relevance by illuminating the inclusive democratic civic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educational neuroscience. To achieve the aim, this study firstly examines what the educational neuroscience approach means to democratic civic education. Secondly, the main features of educational neuroscience are discussed. Thirdly, the implications that the findings in educational neuroscience have for inclusive democratic civic education are explored. Through these considerations, this study shows that in view of as a self-autopotic process in educational neuroscience, the concept of positive citizenship based on participation in inclusive democratic civic education was very positive. In terms of the interactional characteristics of neurons and human beings in neuroscience, it is necessary to complement the relational view of civic education. his study also suggests that affective aspects such as emotion and empathy should be given due attention as an elements of citizenship. 이 연구는 시민들로 하여금 존재하는 정치·경제적 불평등을 완화하고, 문화다양성을 존중하며, 능동적인 정치참여와 환경의식을 함양하는데 중점을 두는 포용적 민주시민교육을 교육신경과학의 관점에서 조명함으로써 교육의 이론적 정합성 뿐 아니라 현실적 적합성 확보 차원에서의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은 첫째, 우선 교육신경과학적 접근이 민주시민교육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살펴보고, 둘째, 교육신경과학의 주요 특징을 고찰하며, 셋째, 교육신경과학의 연구 결과가 포용적 민주시민교육에 주는 의미를 찾아보았다. 교육신경과학적 연구 결과가 포용적 민주시민교육에 주는 의미를 고찰한 결과, 이 글은 자기생성과정으로서 학습관을 지니는 교육신경과학의 관점에서 볼 때, 포용적 민주시민교육이 지향하는 시민성은 매우 긍정적인 것이라는 점, 신경세포와 인간의 상호관계적 특성이라는 신경과학적 관점에서 볼 때 시민성 교육이 관계론적 시각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 시민성의 요소로서 민주적 판단, 비판적 및 의사결정 기능, 추론, 논쟁, 갈등해결 뿐 아니라 감수성이나 공감과 같은 정서적 측면이 보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유아 창의성 교육의 새로운 방향

        김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6 교육논총 Vol.3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과 관련된 문헌분석을 통해 창의성, 창의적인 유아와 교사,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창의성 교육이 어렵다 고 지레 포기하거나, 교육 효과에 대한 가시성이 없다는 이유로 창의성 교육을 실시하는 것을 주 저하지 않도록 하며, 모든 유아를 대상으로 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포괄적인 교육으로서 창의 성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하였다. 창의성에 대한 새로운 방향으로는 창 의성을 포괄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점과 창의성 연구의 관심이 개인에서 사회?문화적 환경으 로 확장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창의적인 유아와 교사에 대한 새로운 방향으로는 창의적인 사람 들의 공통적인 특징을 토대로 하여 교실 상황에서 창의적인 유아와 교사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밝 히려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새로운 방향으 로는 플로우 경험을 하게 하는 진짜 놀이하기, 아름다운 물리적 환경과 편안한 심리적 환경 제공 하기, 교사와 유아가 함께 만드는 창의적 수업하기를 강조하였다.

      • KCI등재

        교육실습협력학교 교사의 교육실습지도에 대한 인식: A도교육청을 중심으로

        김민조,이재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3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how teachers of partner schools perceive their training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and what implications could be provided for the teaching practice policy direction. Survey research was used with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researchers. As for data analysis, independent-sample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the Scheffe post-hoc test, and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were conducted.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eachers mainly perceive teaching practice as a pre-experience of teachers’ educational activities, on the one hand, and a process to learn and formulate the competencies required to be a teacher, on the other hand. Secondly, improving professionalism in teaching is recognized less positively tha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teaching practice guidance of both trainees and trainers, while their training of teaching practice is positively perceived to be effective. Thirdly,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both trainees and trainers in the training is positively affected by the way of the lesson plan to be guided. However, both “training on school administrative affairs” and “teachers’ meeting after classroom instruction” influence more positively improving professionalism in teaching than lesson plan guidance according to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urthly, providing a manual for the training of teaching practice is perceived to be the most prioritized. Also, primary school teachers think “teaching practice evaluation to be reflected upon the selection process of teacher recruitment” is at a higher level than that in middle schools. 본 연구는 교육실습협력학교 교사의 교육실습지도에 대한 인식을 드러내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실습지도 및 정책 방향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도교육청 교육실습협력학교 교사들(업무담당교사와 지도교사)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연구방법은 연구자들이 개발한 조사 도구를 활용한 설문조사 방법을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사후검증 Scheffe), 다변량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실습의 의미를 ‘교사로서 수행하는 교육활동 및 교직생활 경험’과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배우고 형성하는 과정’이라고 보는 경향이 컸다. 일부 문항에서 학교급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육실습지도 개선과제의 우선 순위를 살펴보면, ‘매뉴얼 제공’이 높게 나타났고 ‘교사임용시험 평가 요소에 실습평가 결과 반영’은 초등학교 교사가 중학교 교사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실습지도의 성과와 관련하여 교사 전문성 향상, 실습생과 지도교사의 만족도 차원에서 분석하였는데, 교육실습지도 교사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사의 전문성 향상’ 항목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실습생 만족도와 교사 만족도 항목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넷째, ‘수업지도안 지도’ 측면이 교사 만족도와 실습생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 전문성 향상을 종속변수로 설정한 회귀모형에서는 ‘수업지도안 지도’의 영향력은 사라지고 ‘행정업무지도’와 ‘수업협의회 진행’이 교사 전문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지도 및 교육실습학기제의 목적 및 실시 학년 등 정책 방향 설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컴퓨팅 사고 신장을 위한 디자인중심 코딩교육 프로그램 연구

        한선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교육논총 Vol.39 No.1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design-based coding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learner’s computational thinking. Design-based coding education programs include design thinking processes such as needs analysis, design, prototyping, and testing to solve a given problem. First, we constructed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design-based coding education and developed 13 modules for a Python coding education program.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34 pre-service teachers for one semester.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 we conducted a validity test of the model, a test of computing thinking awareness, and a coding ability t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osed design-based instructional model was more effective than the demonstration-based instructional model.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design-based coding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recognition of software education and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of teaching and learning ability. 본 연구는 디자인 중심의 효과적인 코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하고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를 신장하기 위한 것이다. 디자인중심 코딩교육 프로그램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요구분석, 디자인, 프로토타이핑, 테스트의 디자인 사고 과정을 포함한다. 우선 디자인 기반 코딩 교육 수업 모형을 구성하고 13차시 분량의 파이썬 코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예비교사 34명에게 한 학기동안 적용하였다.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모형의 타당성 검사와 함께 컴퓨팅 사고 이해, 코딩 역량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제안된 디자인기반 수업모형이 시연중심 수업모형보다 학습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컴퓨팅 사고의 인식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가 예비교사로서 현장의 소프트웨어교육의 인식 개선과 교수학습 능력의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