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갓생살기’라는 의례화된 행동의 출현과 변화, 그리고 그 시사점

        심형준 한국종교학회 2023 宗敎硏究 Vol.83 No.3

        ‘갓생(갓생)’은 ‘갓’(신)과 ‘생’(삶)이 합쳐진 온라인 신조어다. ‘갓생’은 원래 10대 아이돌 팬이 아이돌 덕질을 벗어나 자신의 삶을 돌보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산적이고 성공적인 삶을 산다는 보다 일반적인 의미로 발전했다(‘갓생살기’). 이 밈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널리 퍼졌다. 팬데믹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불확실성과 불안감을 느꼈고, 특히 10대 후반 청소년들에게 ‘갓생살기’는 이러한 어려움에 대처할 수 있는 한 방법이었다. ‘갓생살기’ 밈은 좀 더 유행하면서 ‘리추얼 라이프’라는개념과 연결되기도 하였다. 이 글은 ‘갓생’의 의미 변화, ‘갓생살기’ 트렌드를 살피면서 ‘갓생살기’가 의례화된 행동으로 이해될 수 있는 측면이 있음을 검토한다. 또한 ‘갓생살기’의 의례화된 행동의 측면이 디지털 네이티브의 종교성 변화를 생각해 볼 수 있는 단서가 된다는 점을 환기시킨다. “갓생” (pronounced “gat-saeng”) is an online neologism that combines the words “갓” (gat, meaning ‘god’, though it is really used to mean ‘best’) and “생” (saeng, meaning ‘life’). It originally referred to teenage idol fans taking care of aspect of their lives that fall outside of idol worship, but it has over time evolved into a more general sense of living a productive and successful life (“갓생살기”, pronounced “gat-saeng-sal-gi”). It became a widespread mem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s the pandemic caused many people to feel uncertain and anxious, “갓생살기” emerged as a way to cope with these challenges, particularly for individuals in their late teens. As the meme became more popular, it became linked to the concept of a “ritual life”. The present article examines the changing meaning of “갓생” and the trend of “갓생살기”, and it then suggests that “갓생살기” can be understood as a ritualized behavior. It also suggests that the ritualized aspect of “갓생살기” provides clues to conceptualizing the changing religiosity of digital natives.

      • KCI등재

        여수 돌산(섬)의 갓 산업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한병세 ( Byung Sae Han )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1

        WTO체제와 FTA 협상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경쟁력 없는 농산물이나 농업분야는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의 특산물을 중심으로 경쟁력을 강화하여 농업소득과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여수 돌산 갓은 전국 생산량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생산농가의 연간생산액은 약 350여억원, 제조 및 가공업체 판매액은 년 600억에 달하여 단일품목으로는 년 간 약 1,000억여 원에 달하는 지역특화산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돌산 갓 산업의 생산단계에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발전 전략을 제시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생산농가 118호를 직접 설문조사를 통하여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돌산 갓 산업도 이제는 부가가치를 생산지 단계에서 제고할 수 있는 생산, 유통, 가공, 체험, 관광산업과 연계하여 융복합화 산업으로 육성시켜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산지에 현대적인 생산기반 인프라 구축, 고품질과 품질인증제 강화, R&D투자, 전자상거래 시스템 구축, 브랜드가치제고 등 종합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세부적인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를 건립하여 산지유통의 규모화로 생산의 집적화, 관리운영, 마케팅 효율성 제고를 통한 산지단계에서 농산물 부가가치를 제고해야 한다. 둘째. 갓 관련 식품소재기업을 육성하여 다양한 돌산 갓 가공식품(상품)을 개발하기 위해 연관된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돌산 갓 김치의 명품화 마케팅 전략이 추진되어야 한다. 넷째. 돌산 갓(김치) 품질 및 식품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HACCP, GAP등 품질인증사업을 확대 지원해야 한다. 다섯째. 돌산 갓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3차 산업인 지역관광 산업등과 연계된 다양한 체험시스템 및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여섯째. 전국 최대의 갓 주산단지인 여수 돌산지역에 돌산 갓 6차산업화 특구를 조성하여 융복합산업화 기반을 구축하여 육성해 나가야 한다. Although the agricultural industry in Yeosu is relatively less developed, Yeosu Dolsan is well known for its large production of leaf mustard which has also become Yeosu’s representative agricultural product. Yeosu Dolsan’s leaf mustard (kimchi) has become an important income source for farms and its high reputation and brand prestige acts as an invigoration to the local economy. Today, the WTO system and the extension of FTA has facilitated globalization. Thus, domestic products that lack competitiveness can no longer hold their positions since imported foreign agricultural products face less regulation. In addition, the trend of consumption has changed. Consumers are more concerned with quality than quantity, and safety of food, brand prestige, and well-being are taken into large consideration along with convenience in purchas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e and problems related to the Dolsan leaf mustard industry in line with changes in the market environment and to come up with some decent development strategies. Important issues related to the Dolsan leaf mustard industry are the below. First, while the size of products are minimal, the producer are aging. Second, the Dolsan leaf mustard industry lags behind the distribution structure and lacks stable selling stores. Third, modernization of infrastructure in line with production, process, selling, and quality management is required. Fourth, various strategies to enlarge and facilitate the consumption of Dolsan leaf mustard and Dolsan leaf mustard kimchi are necessary. Fifth, the support and system to encourage the Dolsan leaf mustard industry is still insufficient.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Dolsan leaf mustard industry are the following. First, an agriculture product center(APC)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efficiency of production, process, distribution, operation, and marketing. Second, food enterprises related to leaf mustard must be brought in for the various development of Dolsan leaf mustard food products. Third, strategies to improve the brand prestige of Dolsan leaf mustard must be conducted and implemented. Fourth, support for quality certificates such as HACCP and GAP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construct a more reliable and solid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Fifth, active PR and selling must be promoted through developing programs related to the tourism industry. Sixth, Dolsan area must be set as a special area for Dolsan leaf mustard 6th industry, so it can build bases for integration industry. When these strategies ar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Dolsan leaf mustard industry will contribute more to the increase in local farm incomes and the development of local economy.

      • KCI등재

        3D 프린팅을 활용한 펑크 패턴의 갓 디자인 제안

        박용규,김미현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0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4

        Background In this study, we tried to understand traditional Korean Gat, which has become an international issue due to the popularity of the Korean Wave, the Netflix drama "Kingdom," and seek to modernize the gat design that reflects the trend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In particular, the company sought to apply PLA filaments to utilize customizable 3D printing and eco-friendly design during the manufacturing phase. Methods Research methods conduct theoretical research and work production research together.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we understand about the Gat, and seek research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the work. And the production process for producing 3D printed freshly made works using eco-friendly PLA filament materials was carried out with concept planning, design, modeling, 3D printing output, and completion of works.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using 3D printing to explore the modern design of traditional Korean Gat due to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Second, the 3D printed Gat design using eco-friendly materials was found to be capable of applying modern and eco-friendly designs for the globa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gat. Third, 3D printed gat using PLA eco-friendly material filament was derived as a result. Conclusion As a way to globalize Korean culture, differentiated designs that reflect trends that are prevalent by utilizing Korean Wave-based Gat can satisfy consumers' pursuit of individuality, while new designs that apply eco-friendly PLA filament materials suitable for consumers' eco-friendly consciousness can be a product based on the overall social status of pursuing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nsumer needs. And in line with the change in the industrial environm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new design using 3D printing can suggest custom design, which can show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 diversity. 연구배경 본 연구에서는 넷플릭스 드라마 ‘킹덤’이라는 한류의 열풍에 따라 국제적으로 이슈가 된 전통 갓에 대해서 이해하고, 디자인의 관점에서 트렌드를 반영한 갓 디자인의 모던화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제작 단계에서 맞춤디자인이 가능한 3D 프린팅 활용과 친환경 디자인을 위해 PLA 필라멘트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작품 제작 연구를 함께 진행한다. 이론적 연구를 통해 갓에 대해서 이해하고, 작품 제작을 위한 연구 방법을 모색한다. 그리고 친환경 PLA 필라멘트 소재를 활용한 3D 프린팅 갓 작품 제작을 위한 제작 프로세스는 작품 컨셉 기획, 디자인, 모델링, 3D 프린팅 출력, 작품 완성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전통 갓의 현대적 디자인 모색을 위해 3D 프린팅 활용 갓 디자인은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3D 프린팅 갓 디자인은 한국 전통 갓의 세계화를 위한 현대화 디자인과 친환경 디자인의 적용이 가능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과로서 PLA 친환경 소재 필라멘트를 활용한 3D 프린팅 갓을 3작품 도출하였다. 결론 한국 문화의 글로벌화를 위한 방안으로 한류 소재갓을 활용하여 유행하는 트렌드를 반영한 차별적인 디자인은 소비자의 개성 추구를 만족 시킬 수 있으며,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에 적합한 친환경 PLA 필라멘트 소재를 적용한 갓 디자인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사회전반적인 현황과 소비자의 니즈에 따른 제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4차 산업 혁명이라는 산업 환경의 변화에 따라 3D 프린팅 활용한 갓 디자인은 맞춤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어 제품의 다양성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 KCI등재

        ‘킹받다’와 ‘갓생’의 단어 형성 방식 연구 - ‘킹’과 ‘갓’ 형태소의 결합 특징을 중심으로 -

        박우빈,양명희 우리말글학회 2024 우리말 글 Vol.100 No.-

        본 연구의 목적은 ‘킹’과 ‘갓’이 결합된 신조어를 대상으로 결합 양상을 분석하여 형태적·의미적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신조어 파생 접사와 혼성어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바탕으로 ‘킹’과 ‘갓’ 형태소를 다시 자리매김해 보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킹’과 ‘갓’이 결합된 신조어의 유래와 변천을 살펴보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X의 게시물을 대상으로 수집한 신조어의 사용 양상을 분류하였다. ‘킹’과 ‘갓’은 영어 ‘king’과 ‘god’을 차용한 것으로 어기에 선·후행하는데 고유어·한자어·외래어 명사, 비자립 어근, 부사와 결합하기도 하고, 동사·형용사, 그리고 단어 이상의 구성과도 결합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킹’과 ‘갓’이 연어 관계를 형성하여 단어 이상이나 문장 차원에서 함께 쓰이는 독특한 양상도 관찰되었다. ‘킹’과 ‘갓’의 의미적 특징으로는 긍정적 가치의 어휘와 결합 시 그 의미를 강조하고, 중립적 가치의 어휘에는 긍정의 가치를 첨가함을 알 수 있었다. 부정적 가치의 어휘와 결합할 경우 부정의 정도를 강화시키거나 자조적 성격을 첨가하였지만, 인터넷 통신의 특성상 ‘킹받다’와 같이 표현성과 오락성이 고려되어 부정의 강도가 약화되는 의미 변화도 관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ent combination patterns of the neologism formed with morphemes ‘king’ and ‘god’ and to analyze the changed morphologic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Thus, we attempted to reposition the morphemes ‘king’ and ‘god’ based on existing discussions on neologism affix and blends. We looked at the origin and evolution of neologism combining the morphemes ‘king’ and ‘god’, and classified usage patterns collected from posts on social network service X. The morphemes ‘king’ and ‘god’ not only combine Chinese characters and foreign word nouns, but also compound native words, Chinese characters, and foreign word nouns, roots, adverb. And they also clip the first syllable of following word and combine with verb, adjective and phrase. There was also a unique composition in which ‘king’ and ‘god’ formed a sort of collocation with each other in a phrase or a sentence.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king’ and ‘god’ were found to emphasize their meaning when combined with vocabulary of positive value, and add positive value to vocabulary of neutral value. When combined with a vocabulary of negative value, the degree of negativity was strengthened or a self-deprecatory character was added.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Internet communication, expressiveness and entertainment, such as ‘king-batda’,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a semantic change was observed where the intensity of negativity was weakened.

      • KCI등재

        갓 (Brassica juncea) 품종구분을 위한 ITS 영역 및 MITE Family 정보를 이용한 분자표지 개발

        양기웅(Kiwoung Yang),이고은(Go-eun Yi),아리프 하산 칸 로빈(Arif Hasan Khan Robin),정남희(Namhee Jeong),이용혁(Yong-Hyuk Lee),박종인(Jongin Park),김회택(Hoyteak Kim),정미영(Mi-Young Chung),노일섭(Ill-Sup Nou) 한국원예학회 2016 원예과학기술지 Vol.34 No.2

        갓(Brassica juncea; 2n = 4x = 36, AABB genome, 1,068Mb)은 U’s triangle의 배추와 흑겨자 사이의 복이배체 작물로 구분한다. 본 연구는 갓 15 품종의 ribosomal DNA ITS 영역과 MITE를 이용하여 갓의 유연관계 및 품종구분 분자표지를 확인하였다. Ribosomal DNA ITS 영역은 종 및 품종의 유연관계를 알아보는 연구로 많이 사용되고 있어서, 이를 이용하여 갓 15 품종의 유연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MITE는 매우 많은 copy 수를 가지고 있고, 유전적으로 안정적이기 때문에 유전체 및 진화연구에 매우 적합한 재료이다. MITE를 이용한 갓의 품종구분 분자표지를 확인하기 위해 MITE super-families 중 Stowaway(BraSto) 관련 70점, Tourist(BraTo) 관련 79점, hAT(BrahAT) 관련 6점, Mutator(BraMu) 관련 5점으로 품종구분 표지를 알아보았다. 총 160점의 분자표지 중 32점이 갓 15 품종에서 뚜렷한 다형성을 보였다. 특히, 흑갓은 표현형뿐만 아니라 유전자형도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8점의 MITE 분자표지를 활용하여 47점의 유전자원에서 다형성 및 품종구분 표지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다형성 표지들은 갓의 품종구분 및 품종 보호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Brassica juncea (2n = 4x = 36, AABB genome, 1,068 Mb) is a U’s triangle species and an amphidiploid derivative of B. rapa and B. nigra. Fifteen varieties were used to study the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s of ribosomal DNA and MITEs (miniature inverted-repeat transposable elements) with a view of developing specific molecular markers. ITSs and MITEs are an excellent resource for developing DNA markers for genomics and evolutionary studies because most of them are stably inherited and present in high copy numbers. The ITS (ITS1 and ITS2) sequence was compared with the consensus sequence of B. rapa and B. nigra. Variation in ITS1 created two separate groups among 15 varieties, with 10 varieties in one group and 5 in the other.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wo major clusters for those 10 and 5 varieties. Among the 160 different MITE primers used to evaluate the selected 15 varieties of B. juncea, 70 were related to the Stowaway, 79 to the Tourist, 6 to the hAT, and 5 to the Mutator super-families of MITEs. Of 160 markers examined, 32 were found to be polymorphic when fifteen different varieties of B. juncea were evaluated. The variety ‘Blackgat’ was different from the other mustard varieties with respect to both phenotype and genotype. The diversity of 47 additional accessions could be verified using eight selected molecular markers derived from MITE family sequences. The polymorphic markers identified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varietal classification, variety protection, and other breeding purposes.

      • KCI등재

        유채로부터 갓으로 유전자이동에 의한 교잡종의 휴면에 따른 잡초화 가능성

        임연화,육민정,장전걸,나경주,박수형,김도순 한국잔디학회 2015 Weed & Turfgrass Science Vol.4 No.1

        To assess the dormancy associated weedy risk of the F1 hybrid generated by hybridization between Brassica juncea(maternal) and Brassica napus (paternal), seed germination, dormancy and longevity were examined sequentially after seedharvest. The F1 hybrids exhibited the intermediate characteristics of their parents in seed germination and dormancy withrelatively high dormancy rate of 41.1%. In summer, F1 hybrid seeds buried in the 3 cm soil exhibited greater viability (52.4%) thanthose in the soil surface with greater seed longevity (74.6%) than its maternal (63.3%) and paternal (33.7%) parents at 100 days ofover-summering in soil. In winter, F1 seeds buried in the soil surface were more viable than those in the 3 cm soil with greater seedlongevity (83.5%) than its maternal (39.0%) and paternal (71.7%) parents at 100 days of over-wintering in soil. Therefore, it isconcluded that F1 hybrid resulted from gene flow from OSR to mustard has high seed dormancy and longevity during summerand winter, suggesting its weedy risk potential.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xamine the reproductivity and fitness cost of F1hybrid to make a clearer conclusion of its weedy risk. 본 연구는 유채의 화분이동으로 근연종 갓과의 교잡을통해 형성된 교잡종의 발아휴면특성과 월하 및 월동성을 평가하여 교잡종의 잡초화 가능성을 예측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잡종은 부본인 유채와 모본인 갓에 비해전반적인 발아특성이 갓에 근접한 중간적인 특성을 보여주었으며, 휴면성도 41.1%로 갓에 근접한 높은 휴면성을보여주었다. 수확 직후 종자를 토양에 매립하여 월하특성을 평가한 결과 표토보다는 3 cm 토심에서 월등히 높은 월하특성을 보여주었으며, 월하기간과 상관없이 3 cm 토심조건에서 부본인 유채에 비해 매우 높고 모본인 갓에 비해약간 높은 월하특성을 보여주었다. 반면 종자의 월동특성은 월하특성과 반대로 표토조건에서 교잡종이 부모종보다높은 월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유채-갓교잡종은 휴면성이 비교적 높고 월하 및 월동성이 높아 잡초화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유채-갓 교잡종의 보다 명확한 잡초화 가능성 평가를 위해서는 교잡종의 종자생산가능성 및 자연 생태계 적응성 여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만국성결교회(International Holiness Union, 1897) 전통의 성령세례 이해: 마틴 냅(Martin Wells Knapp)과 윌리엄 갓비(William B. Godbey)를 중심으로

        오성욱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5 영산신학저널 Vol.35 No.-

        This article is aiming at investigating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understood by Martin Wells Knapp (1853-1901) and William B. Godbey (1833-1920) of the International Holiness Union & Prayer League (1897) and International Apostolic Holiness Union (1900). To do this, this article surveys five theological paradigms of the Pentecostal-Holiness movement in the 19th revival era of the North America suggested by Donald Dayton, and then strives to find which one of Dayton’s paradigms can match Knapp and Godbey’s hermeneutics of the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In addition to this broad approach, this article will move to focus on the analysis of the nature of the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perceived by Knapp and Godbey. Dayton categorizes the 19th Pentecostal-Holiness movement in America as follows: (1) the exact equality between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and Holiness, suggested by the mainline holiness movement, (2) Threefold blessing movement, (3) interpretation of the Holy Spirit as receiving the power from God, (4) Keswick movement, and (5) A. B. Simpson’s Fourfold Gospel. Of these five classification, Knapp and Godbey’s interpretation of the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belongs to the mainline holiness movement. In more detail, Knapp and Godbey’s understanding of the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both reveals the Trinitarian, soteriological, eccle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mphasizes the fruit of the Holy Spirit. 본 논문은 만국성결교회의 마틴 냅(Martin Wells Knapp, 1853-1901)과 윌리엄 갓비(William B. Godbey, 1833-1920)가 이해했던 성령세례의 특징과 의미를 탐구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냅과 갓비의 성령세례를 분류하고 규정함에 있어서, 도날드 데이턴(Donald W. Dayton)이 제출한 19세기 북미 오순절-성결운동의 다섯 가지 패러다임을 고찰해 보고, 냅과 갓비의 성령세례는 데이턴의 분류 중에서 어디에 소속될 수 있는지를 규명해 볼 것이다. 이러한 원시적(遠視的)인 차원에서 냅과 갓비의 성령세례의 특징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고 난 후, 근시적(近視的)으로 냅과 갓비의 저서를 주밀하게 탐색하여 이들이 이해하고 있는 성령세례에 대한 세밀한 특징들을 밝혀 볼 것이다. 데이턴은 19세기 북미 오순절-성결운동을, 성령세례를 성결과 능력으로 간주했던, 전통적인 성결파 패러다임, 성결을 성결과 성령세례로 분리해서 사유한 세 가지(삼중) 축복 패러다임, 성령세례를 봉사를 위한 능력으로 이해했던 개혁교회 부흥운동 패러다임, 케직 운동의 패러다임, 그리고 심슨의 사중복음 패러다임으로 분류했다. 이 중에서 냅과 갓비의 성령세례 이해는 전통적인 주류 성결파 패러다임으로 묶을 수 있다. 즉, 냅과 갓비는 성령세례를 성결로 이해했고, 이는 곧 능력이라고 이해했다. 이러한 주류 성결파의 성령세례 이해는 보다 구체적으로, 심위일체론적 시각, 구속론적 시각, 교회론적 시각, 그리고 성령의 열매론적 시각을 담보하고 있다.

      • KCI등재

        Antioxidant Activity,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Leaf and Seed Extracts of Brassica juncea L. Czern.

        Jeong-Eun Lee,Ae-Jung Kim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0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8 No.3

        목적: 본 연구는 갓의 잎과 종자 추출물의 생리활성 평가를 실시하여 화장품 소재로써 이용가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생리 활성 평가를 위해 갓의 잎, 종자 추출물(EtOH)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tyrosinase 저해활성,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농도에 따른 항산화 효능 및 효소 저해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 추출물 의 농도(50, 100, 200 mg/mL)를 다르게 하여 상관관계를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갓의 잎, 종자 추출물(50, 100, 200 mg/mL)의 총 폴리페놀 함량의 최대치는 각각 15.03 mg TAE/g, 27.72 mg TAE/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8.84 mg QE/g, 126.75 mg QE/ g, DPPH radical 소거능은 65.26%, 83.17%, ABTS radical 소거능은 47.06%, 60.57%로 확인되었다. 항산화 관련 생리활성 평가 결 과, 대체로 seed가 leaf 보다 활성이 높았으며, 모두 200 mg/mL 농도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여 양의 상관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의 최대치는 각각 22.33%, 36.58%, elastase 저해활성은 33.45%, 40.21%였다. Leaf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저해활성과 elastase 저해활성이 높아진 반면, seed의 경우 e lastase 저해활성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높아졌으나 tyrosinase 저해활성에서는 추출물의 농도가 일정수준 이상이 되면 오히려 활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로 갓(Brassica juncea L. Czern.)의 잎과 종자 추출물은 항산화 효능, tyrosinase 및 elastase 활성 억제 효능의 우수성을 규명할 수 있었으며, 향후 화장품 소재로써 그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is to evaluate biological activity of leaf and seed extracts of Brassica juncea L and examine their utility value as cosmetic ingredients. Methods: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ies of tyrosinase and elastase were measured to evaluate biological activity of leaf and seed extracts of Brassica juncea L. Czern.(EtOH). In addition,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 and enzyme inhibition activities in relation to concentrations, correlation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50, 100, and 200 mg/mL of each extract were comparatively analyzed. Results: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leaf and seed extracts of Brassica juncea L (50, 100, and 200 mg/mL) were 15.03 and 27.72 mg TAE/g, respectively, while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58.84 and 126.75 mg QE/g, respectively. The DPPH scavenging effect was confirmed as 65.26% in leaf extracts and 83.17% in seed extracts, while the ABTS radical scavenging effect was confirmed as 47.06% in leaf extracts and 60.57% in seed extracts. As a result of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y analysis on antioxidant effect, the activity in seed was higher than the activity in leaf, and a positive correlation was indicated as highest activities were shown in the concentration of 200 mg/mL for both leaf and seed. The highest inhibition activities of tyrosinase were 22.33% and 36.58%, respectively, while the inhibition activities of elastase were 33.45% and 40.21%, respectively. In leaf extracts, the inhibition activities of tyrosinase and elastase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while in seed extract, the inhibition activities of elastase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but the inhibition activities decreased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reached above a certain leve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leaf and seed extracts of Brassica juncea L. Czern. have excellent antioxidant effect and inhibition effect on activities of tyrosinase and elastase, and their utility value as cosmetic ingredients would be high.

      • KCI등재

        협상의 미학과 <킹덤> 시즌1의 갓 디자인: 포스트콜로니얼리즘 문화 교류

        김주현,연은영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2 No.1

        This paperstudiesthe designs of gatsin a Netflix original drama, <Kingdom> season 1. In chapter 2 we critically explore the ontology of art of Davies and Currie. Also, we argue a concrete strategy for postcolonial crossing according to Homi Bhabha. In chapter 3 we analyze the designs of gats in <Kingdom>. In section 1 we find out that gats’ designs in <Kingdom> don’t fit the history of costume in the Joseon Dynasty. In section 2 we research for the reaction of global/domestic amateurs/professional SNS users/criticsto gats. Whereas global viewers are thinking about crossing culture, Korean critics are indifferent to it. Unless the drama makers and the critics explore and specify these conjunctions in-between others, it will be hard to guarantee the aesthetic achievements in <Kingdom>. Global cultural crossing requires a strategy for the hybridity, the overlapping, the translation, and the negotiation. We hope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improve gats’ designs in the subsequent seasons of <Kingdom>. 본고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킹덤> 시즌1에 등장한 갓 디자인을 중심으로 글로벌 문화 교류의 성과와 발전 방향을 논의한다. 2장에서는 갓 디자인분석의 비평틀로 데이비스와 커리의 예술 존재론에 근거하여 OTT 플랫폼 드라마 제작과 감상의 시공적 유동성과 미적 내용의 재구성 과정을 살핀다. 또한 호미 바바의 포스트콜로니얼리즘 문화 위치를 토대로 글로벌 문화 교류의 혼종, 전이, 협상 전략을 탐구한다. 3장에서는 2장의 비평틀을 적용하여 제작의 측면에서는 <킹덤>의 갓 디자인이 복식사에 부합하지 않고, 국내외 시청과 비평의측면에서는 혼종, 중첩, 전이의 위치가 간과되고 있음을 밝힌다. 글로벌 시청자가 좀비물의 공포를 증폭하는 낯선 장치로 <킹덤>의 갓에 환호할 때 이 타자들의 접합을 세밀히 탐구하지 않는다면 후속 시즌의 미적 성과는 보증하기 어렵다. <킹덤>의 후속 시즌에서 갓 디자인의 발전을 기대한다.

      • KCI등재

        제주 복식의 다름이 조선의 ‘갓’문화에 끼친 영향

        이민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한국학 Vol.4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s of how various hats of Jeju influenced the ‘Gat’ culture of Joseon. First of all, it was possible because Jeju had an access to different raw material, horsehair, as a by‒product from herding horses compared to the main land of Joseon. Because Jeju served horses as tributes, it was confirmed that Jeju people had freely used horsehair. Secondly, Jeju people already had hat manufacturing techniques due to shepherds who developed their skills to make hats that they use such as ‘gajuggamti(가죽감티)’, ‘tulbulps(털벌립)’, ‘jeongdong bulps(정동벌립)’, and ‘deparangi(대패랭이)’. Due to abundant raw materials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there were cultures of making ‘Chongmoja(총모자)’, which is part of ‘Chorip(초립)’, using horsehair instead of using bamboo in Jeju. Also, they made ‘Manggun(망건)’ using horsehair, too. Lastly, the natural geographical environment of Jeju, where the port developed, enabled Jeju’s culture to affect “Gat” culture of Joseon more easily. In summary, abundant horsehair as a by‒product from cattle ranchers, the skills of Jeju people who made various hats, and the natural geographic environment of Jeju to speed the spread of culture influenced the Joseon men’s hat, “Gat”. 본 연구는 제주의 다양한 모자가 어떻게 조선의 갓문화에 습합될 수 있었는지 그 원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제주의 다양한 모자가 만들어질 수 있었던 배경에는 육지와는 다른 제주만의 생활환경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중에서도 제주 목축업의 발달은 말총이라는 부산물을 이용한 다양한 생활용품을 생산했다. 특히 목자들이 주로 사용한 가죽감티를 비롯해 털벌립, 정동벌립, 대패랭이 등을 만드는 제작기술의 발달과 함께 말총을 이용한 새로운 총모자, 망건의 제작은 조선의 ‘갓’문화에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하고 다양한 제주 모자의 특징과 제주의 자연지리적 생활환경에 대해 살펴 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제주의 풍토를 기록한 제주풍토록, 제주풍토기, 탐라지초본 등을 통해 제주의 고유복식은 자연지리적 생활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제주의 가죽감티, 털벌립, 정당벌립, 대패랭이 등 다양한 모자와 말의 부산물인 말총으로 만든 총모자, 망건 등은 조선의 갓문화 확산에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제주에서 생산하는 총모자, 양태, 망건 등이 조선의 ‘갓’문화로 쉽게 습합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제주 장인들의 기술력과 모자를 수출입하기에 적당한 항구의 발달이 크게 작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