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심규열,이정한,Shim, Gyu Yul,Lee, Jung Han 한국잡초학회 한국잔디학회 2018 Weed & Turfgrass Science Vol.7 No.2
잔디는 공익적 기능, 오락 및 휴양 그리고 미적인 측면에서 인간에게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잔디병해는 골프장, 운동장, 공원, 잔디재배지 등에 피해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며 이를 방제하기 위하여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 한국의 잔디병해 연구는 아직 다른 분야에 비하여 관심이 낮은 편이지만 잔디병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매우 높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잔디병 관련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고, 국내 잔디병 연구사를 정리하여 앞으로의 잔디병리 분야의 발전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논문은 국내학술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논문탐색 시스템을 이용하여 잔디병과 관련된 논문을 수집, 분석하였다. 국내 잔디병과 관련된 논문은 약 80여 편이 한국잔디학회지에 게재되어 전체 논문의 50%를 차지하였다. 이 중 잔디병 방제에 대한 논문이 전체논문 대비 50%를 차지하였다. 잔디병해 별로는 라이족토니아마름병(large patch)에 대한 연구가 3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동전마름병(dollar spot) 18%, 피티움마름병(Pythium blight) 10%, 설부병(Typhular blight) 8%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된 잔디병은 15종류이다. 잔디병 방제를 위하여 국내에 등록된 약제의 수는 542개로 갈색잎마름병, 녹병, 누른잎마름병, 동전마름병, 라이족토니아마름병, 설부소립균핵병, 여름잎마름병, 탄저병, 피티움마름병, 흰가루병과 조류에 등록되어 있다. 향후 우리나라에서 미보고된 잔디병해의 학문적 탐색과 병명의 정립이 필요하고, 효과적인 병방제를 위하여 잔디병에 대한 생리, 생태학적인 연구와 더불어 친환경적 방제 방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Turfgrass provides various beneficial effects to our societies such as recreation, aesthetic components, and other public service. Diseases in turfgrass is the major issue, which cause quality problems in golf courses, playgrounds, parks and cultivation areas, and tremendous cost is required to prevent the diseases. Research activity and investigation for turfgrass disease remain to be further attributed when compared to other crops in Korea. In this study, we present previously reported turfgrass diseases researches, especially caused by fungal pathogens, and review the history of turfgrass research activity in Korea to contribute future turfgrass research direction. Research papers were searched and analyzed using Korea Educational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www.riss.kr). More than eighty papers presented turfgrass diseases and among the papers, 50% were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Turfgrass. Half of the papers reported turfgrass diseases control. Research articles about large patch disease were the majority (36%), followed dollar spot (18%), Pythium blight (10%) and Typhular blight (8%). Number of the first disease reports in Korea were total fifteen. Total 542 fungicides have been registered in Korea to prevent turfgrass diseases and most of the fungicides were for brown patch, rust, yellow patch, dollar spot, snow mold, summer patch, anthracnose, Pythium blight, powdery mildew and algae. And we will also need to conduct ecological studies on turf diseases and to develop control methods with improved efficacy and environmentally-friend sound. Researches on epidemiology of turfgrass diseases which deals with the incidence, distribution, and interactions with other factors will be also greatly favored for precise control prescription, timing of control and use of less pesticides.
천연잔디, 인조잔디 및 맨땅 축구장에서 축구 경기력 비교
김두환(Doo-Hwan Kim),박현철(Hyun-Chul Park),이재필(Jae-Pil Lee)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06 Weed & Turfgrass Science Vol.20 No.2
본 연구는 천연잔디, 인조잔디 및 맨땅 축구장이 축구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천연잔디 축구장은 한지형 잔디(켄터키 블루그래스 80%+퍼레니얼 라이그래스 20%)와 중엽형 한국잔디로 조성된 축구장이며, 인조잔디 축구장은 코니그린 DV5000™으로 조성하였고 맨땅 축구장은 마사토로 조성되었다. 축구경기력 분석을 위한 볼 구름거리(m)와 수직 볼리바운드(m)는 2005년과 2006년 건국대학교 스포츠과학타운에서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공은 한국축구협회(Korea Football Association)에서 공인된 Hummel Air Vision #1을 사용하였고 공기압은 1.0 lbs를 유지하였다. 볼 구름거리는 맨땅 축구장(13.6m) > 인조잔디 축구장(11.4m) > 한지형 잔디축구장(7.8m) > 한국잔디 축구장(4.7m)순으로 길었다. 또한 볼 구름거리는 잔디의 사용빈도가 적을수록, 잔디의 직립정도가 강할수록, 잔디의 밀도가 높을수록 짧아지는 경향이었다. 수직 볼 리바운드 역시 맨땅 축구장(1.0m) > 인조잔디 축구장(0.98m) > 한지형 잔디 축구장(0.68m) > 한국잔디축구장(0.4m) 순으로 높았다. 수직 볼 리바운드는 잔디의 사용빈도가 적을수록, 잔디의 직립정도가 강할수록, 잔디의 밀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표준관리가 되는 한지형 잔디 축구장은 조성 연수에 따른 볼 구름거리와 수직 볼 리바운드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 반면 표준 관리가 하지 않은 한국잔디 축구장은 오래 될수록 볼 구름거리는 길어졌고 수직 볼 리바운드 역시 높았다. This study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laying ability among soccer fields established with natural turfgrass, artificial turf and bare ground. The soccer fields with natural turfgrasses were established with cool-season grass(Kentucky bluegrass 80%+Perennial ryegrass 20%) and zoysiagrass. The artificial turf field was constructed with Konigreen DV5000™. Bare ground was sandy soil. Data such as ball rolling distance and vertical ball rebound were collected at the Sports Science Town of Konkuk University from 2005 to 2006. A ball in the study was Hummel Air Vision #1, certified by KFA(Korea Football Association) in ball pressure of 1.0lb. Ball rolling distance was the longest on bare ground(13.6m), followed by artificial grass(11.4m), cool-season grass(7.8m) and zoysiagrass(4.7m). It decreased with lower frequency in use, stronger rigidity and higher density of turfgrass. Vertical ball rebound was the highest on bare ground(1.0m), followed by artificial grass(0.9m), cool-season grass(0.6m) and zoysiagrass(0.4m). It was lower under conditions of low use frequency, strong rigidity, and high density. Both ball rolling distance and vertical ball rebound were not greatly affected by cool-season grass maintained with high intensity of culture by years after establishment. However, zoysiagrass field under low intensity of culture showed longer in ball rolling distance and higher in vertical ball rebound with time after establishment.
Deying Li(다이엥 리),Lei Han(레이 한)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08 Weed & Turfgrass Science Vol.22 No.2
톨 페스큐와 한국들잔디의 혼합 조성은 미국의 전이지역에서 두 종간의 장점을 취하고 각종의 단점을 보완하는 실질적 관리기술로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두 종간의 초종 혼합은 관리 상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들잔디와 톨 페스큐의 혼합이 운동장 답압 하에서 예초와 시비에 의해 적절한 수준의 잔디 관리가 가능한지 실험하였다. 한국들잔디는 1996년 6월에 파종하였고 동년 8월에 톨 페스큐를 덧파종하였다. 1996년 11월에 한국들잔디의 피복율은 질소시비수준 0, 50, 100㎏/㏊에서 62.36, 29.88, 30.02%를 나타내었다. 예고 6.5, 5, 3.S㎝에서 23.53, 41.95, 57.40%의 피복율을 보였다. 한국들잔디와 톨 페스큐의 혼합잔디는 1997년 7월에 1996년 늦가을과 큰 차이가 없는 피복율 수준을 보였다. 질소 시비율과 예고 간에는 유의한 수준의 교호작용이 있었다. 1998년 11월에는 한국들잔디의 피복율이 혼파 톨페스큐 두 품종간에 차이가 났는데,'Arid'와 'Grassland Garland' 조성구에서 각각 21.68%와 32.25%의 피복율을 보였다. 한국들잔디 피복율은 낮은 예고, 낮은 질소수준과 저답압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국들잔디에서는 톨 페스쥬 품종간과 질소수준, 톨 페스큐 품종간과 예고, 답압정도와 질소수준에서 교호작용을 보였다. 한국들잔디의 줄기밀도는 1998년도 실험에서 예고 6.5, 5와 3.5㎝에서 7.42, 26.47과 58.96%를 나타내었고, 질소 수준 0, 50, 100㎏/㏊ 에서 47.26, 20.27, 26.26%의 밀도를 보였다. 한국들잔디의 밀도는 질소수준과 예고, 답압정도에서 영향을 받았는데 이것은 잔디 관리 방법에 따라 줄기밀도와 잎의 생장이 적응하는 방식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Managing a mixture of zoysiagrass with tall fescue has been proposed in transitional zone as a practical practice to combine the advantages of the two species and compensate the limitations. To manage the mixture is a challenge because two species are involv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zoysiagrass/tall fescue mixture can be maintained with proper mowing and fertilization under simulated sport traffic at an acceptable quality level. Zoysiagrass was seeded in June and tall fescue was overseeded in August 1996. In November 1996, zoysiagrass coverage was 62.36, 29.88, and 30.02% for 0, 50, and 100 ㎏ ㏊<SUP>-1</SUP> N rates, respectively. At the same time, zoysiagrass coverage was 23.53, 41.95, and 57.40% for the mowing heights of 6.5, 5.0, and 3.5 ㎝, respectively. Zoysiagrass and tall fescue coverage in July 1997 was showing the same trend as in the late season of ] 996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as big.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N fertilization rates and mowing heights. In November 1998, the zoysiagrass coverage was different among the two tall fescue variety mixtures, 21.68, and 32.25% in 'Arid' and 'Grasslands Garland', respectively. Zoysiagrass coverage was favored in lower mowing height, lower N rates, and lower traffic. Interaction effects on zoysiagrass were found between tall fescue variety and nitrogen rate, tall fescue variety and mowing height, and traffic and nitrogen rate. Zoysiagrass shoot density was 7.42, 25.47, and 58.95% for mowing heights of 6.5, 5, and 3.5 ㎝, respectively; and it was 47.27, 20.27, and 26.26% for N rates of 0, 50, and 100 ㎏ ㏊<SUP>-1</SUP>, respectively in 1998. The effects on zoysiagrass shoot density from the interaction of N rate and tall fescue variety was significant in 1998. Shoot density responded to the N rate, mowing height, and traffic differently from the ground coverage, indicating that shoot and leaf growth have different adaptation strategies.
한국잔디에 한지형잔디 덧파종에 따른 잔디품질, 녹색기간 및 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상욱,소호섭,최병열,원선이,이상덕,강창성 한국잔디학회 2017 Weed & Turfgrass Science Vol.6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cool-season grass overseeding on the green period, turf quality and density in zoysiagrass lawn. Treatments were perennial ryegrass (PR) overseeding (60 g m-2) on medium-leaf type zoysiagrass, Kentucky bluegrass (KB) overseeding (20 g m-2) on medium-leaf type zoysiagrass and narrow-leaf type zoysiagrass, and no overseeding on medium-leaf type zoysiagrass. Overseeding of KB or PR effectively provided quality improvement of zoysiagrass lawn by extending green-period about one month in spring and two months in fall season. PR overseeding showed quick green cover within 2-3 weeks but decreased the quality of overseeded zoysiagrass lawn during the summer season. Whereas, KB overseeding showed slow green cover taking two to three month after seeding but provided stable and good turf quality throughout the years. KB or PR overseeding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urf density of zoysiagrass lawn except the period of summer depression of PR. The ground coverage of cool-season grasses ranged from 30 to 80% with considerable seasonal variation. As a result, KB and PR have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s an overseeding material. Thus, the use of KB and PR as a mixture would provide better overseeding performance in zoysiagrass lawn. 본 연구는 녹색유지 기간이 6-7개월에 불과한 한국잔디로 조성된 잔디밭에 한지형잔디 종자를 덧파종하여 잔디밭의 녹색기간 연장, 잔디품질, 잔디밀도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처리내용은 대조구로 한국잔디(중엽형)를 포함하여 퍼레니얼 라이그래스(60 g m-2)를 중엽형 한국잔디에 덧파종 처리와 켄터키 블루그래스(20 g m-2) 를 중엽형과 세엽형 한국잔디 ‘세밀’에 덧파종 처리를 두어 2014년 부터 2016년까지 조사하였다. 한국잔디에 켄터키 블루그래스 또는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덧파종으로 월동 전 2개월, 월동 후 봄철 녹화기에 1 개월로 총 3개월 정도의 녹색기간 연장으로 품질유지 효과를 보였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를 덧파종 하였을 때 발아 및 초기생장이 빨라 덧파종 후 2-3주만에 녹색기간 연장효과를 볼 수 있었으나, 고온 다습한 여름철 기간 동안에는 하고현상으로 품질 저하가 나타났다. 이에 반해 켄터키 블루그래스로 덧파종한 경우에는 발아 및 초기 생육이느려 가을 파종시 당년에 뚜렷한 월동전 녹색기간 연장 효과를 볼 수 없었으나, 이듬해부터는 하절기를 포함하여연중 안정적인 품질 및 녹색 유지 효과를 보였다. 세엽형 한국잔디에 켄터키 블루그래스 덧파종 처리가 중엽형 잔디 처리에 비해 균일도가 좋아 품질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덧파종은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의 하고현상 발생시기를 제외하고는 한국잔디의 잔디밀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덧파종한 한지형잔디의 피복률은 계절과 초종에 따른 변화를 보였고 약 30-80%의 피복률을 나타냈다. 본 시험결과 퍼레니얼 라이그래스는 덧파종 후 빠른 피복도와 뚜렷한 녹색기간 연장효과는 있으나 하절기 품질저하를 보였고, 켄터키 블루그래스 덧파종은 초기 생육은 느리나 연중 안정적인 품질유지가 가능한 특성을보여 덧파종시 2종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축구경기장의 캘리포니아 지반에서 켄터키 블루그래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및 톨 훼스큐의 생육특성 및 투수속도
김경남(Kyoung Nam Kim),김세은(Se Eun Kim)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20 Weed & Turfgrass Science Vol.9 No.4
본 연구는 캘리포니아 지반에서 주요 한지형 잔디의 생육특성 및 투수속도 변화를 연중 계절별로 비교해서 잔디그라운드 설계, 시공 및 관리에 활용하고자 시작하였다. 처리구는 공시 초종 KB, PR 및 TF 3종류이었으며, 잔디 초종과 계절에 따라 잔디밀도, 뿌리생장, 근계발달, 대취축적 및 투수속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잔디밀도는 KB>TF>PR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KB 밀도가 가장 높은 것은 R-type의 생육형 특성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PR의 밀도가 가장 낮은 것은 하고 현상으로 인해 잔디밀도 저하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뿌리생장은 봄철인 5월 초순 조사 시 TF>PR>KB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여름 고온기에 뿌리생장은 하고 현상으로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하지만 6월 하순 및 10월 초순 조사 시 뿌리생장 결과는 지하경이 있는 KB가 가장 양호하였다. 근계발달도 전반적으로 뿌리생장과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연중 초종별 대취축적은 11.93-14.12 mm 사이로 차이가 2.19 mm로 짧게 나타났는데, 이는 계절에 따라 초종 간 우열관계가 일정치 않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투수속도는 계절에 관계없이 KB>PR>TF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잔디 생육 특성 및 토양공극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여름 고온기 KB의 투수속도는 PR에 비해 2.70배, 그리고 TF 초종보다 5.49배 정도 더 빠르게 나타났다. 잔디생육 특성 중 – 특히 잔디생육형 및 뿌리특성이 배수성능에 크게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잔디밭 관리 시 초종에 따라 생육형 및 뿌리생장 패턴이 다르고, 동일한 환경 및 관리 조건에서 직근성 B-type 잔디의 투수성능이 R-type에 비해 더 빨리 저하될 수 있음으로 잔디 생육특성 및 배수기능을 연계해서 효율적인 잔디관리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growth characteristics and infiltration rate in major cool-season grasses (CSG) under California soil system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sports turf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Treatments were comprised of Kentucky bluegrass (KB, Poa pratensis L.), perennial ryegrass (PR, Lolium perenne L.) and tall fescue (TF, Festuca arundinacea Schreb.).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CSG and season. Turfgrass density increased with PR<TF<KB in order. Greatest density in KB was associated with a rhizomatous-type growth habit, while lowest density in PR was considered to result from a growth habit of bunch-type and a summer drought stress. Root growth in early May was ranked with an order of TF>PR>KB, and it did not increase in summer due to summer drought. KB, however, produced greatest root growth in late June and early October. Evaluation on rooting development showed the similar results as root growth. Overall thatch accumulation ranged from 11.93 to 14.12 mm, being 2.19 mm in differences among CSGs. This resulted from inconsistent, seasonal raking among turfgrass entries. Infiltration rate was greatest in order of KB>PR>TF, regardless of season. It was highly related to turfgrass growth-type and soil pore. There were consistent responses to growth characteristics, being greatest in May and lowest in early October. Growth habit and rooting characteristics had a great effect on drainage capacity. Shoot-growth type and root growth pattern are variable with turfgrasses. Water infiltration rate more easily decreased with a B-type TF and PR as compared with an R-type KB.
파라핀오일 처리가 한국잔디의 녹색기간 연장에 미치는 영향
이동운,이석준,이채민,최태혁,이상훈,최대홍,장태현,Lee, Dong-Woon,Lee, Suk-Jun,Lee, Chae-Min,Choi, Tae-Hyuk,Lee, Sang-Hoon,Choi, Dae-Hong,Chang, Tae-Hyun 한국잔디학회 2012 한국잔디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파라핀 오일 처리가 한국잔디의 녹색기간연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0월 초순에 파라핀 오일(순도 98%)을 50배와 100배, 200배로 희석하여 경남 합천과 경북 상주지역의 광엽형 한국잔디(Zoysia japonica)와 부산 금정 및 경기도 안성의 중엽형 한국잔디(Zoysia matrella)에 처리한 결과 50배액 처리시 엽색 감소 효과가 높았다. 광엽형 한국잔디에서는 처리 후 60일 후에까지 엽색도가 무처리에 비하여 높게 유지되었다. 파라핀 오일10월 중순 처리 시에도 경기 안성과 경남 합천, 경북 상주 지역의 엽색도가 60일째까지 높게 나타났다. 파라핀 오일 10월 초순 처리 시 엽록소 함량은 무처리에 비하여 높았다. 파라핀 오일 처리 후 절단한 잔디의 지상부 무게 감소율은 10월 초순 부산 금정처리와 10월 중순 경기 안성지역 파라핀 오일 처리에서 낮았다. 미국 켄터키주 렉싱턴의 들잔디에서 동일 농도의 파라핀 오일 처리시, 처리 물량이 많아질수록 엽록소 함량이 높게 유지 되었다. 따라서 파라핀 오일은 가을철 들잔디의 녹색기간 연장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s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ascertain the effects of paraffin oil on prolongation of the green leaf color period in Zoysiagrass. Fifty-fold diluted 98% paraffin oil treatment obtained the lowest reduction rate of green color. In early October we sprayed 50-fold, 100-fold and 200-fold diluted 98% paraffin oil in a Zoysia japonica field in Hapcheon of Gyeongnam and Sangju of Gyeongbuk and in a Z. matrella field in Gumjung of Busan and Anseong of Gyeonggii. Leaf color maintained for 60 days after treatment in Zoysia japonica. Leaf color remained for 60 days after treatment in Anseong, Hapcheon and Sangju when treated in the mid-October. Chlorophyll content was higher in paraffin oil treatment areas than in control areas in early October. Weight reduction rate was lower in the paraffin oil treated than in untreated leaves of Zoysiagrass when sprayed in Gumjung and Anseong in early October and mid-October, respectively. The chlorophyll content in leaves of Z. japonica wa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spray volume of paraffin oil in the same dose treated in Lexington, Kentucky, USA. Paraffin oil can be used to prolongate of Zoysiagrass leaf color.
국내 잔디 주 생산지역에서 수집된 한국잔디류의 형태적 특성 및 생육속도
최준수,양근모,오찬진,배은지,Choi, Joon-Soo,Yang, Geun-Mo,Oh, Chan-Jin,Bea, Eun-Ji 한국잔디학회 2012 한국잔디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국내 잔디 주 생산 단지인 전라남도 장성군 지역에 재배되고 있는 한국잔디의 형태적 다양성 평가 및 상기 지역에서 수집된 잔디의 생육속도 등 이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총 101개 개체를 수집하였다. 수집개체를 온실에 포트 상태로 생육시킨 후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형태적 특성으로는 엽폭, 초장, 잎각도, 잎집 길이, 털 유무, 포복경 길이, 엽색 등의 변이를 비교하였으며, 특이성 개체 7개를 선발하였다. 생육속도를 조사하기 위해 한국잔디 기존 대조품종 8개와 국내 주 생산단지에서 수집된 계통 7개 그리고 육종계통 3개를 비교하였다. 장성징역 수집 잔디 101개체의 평균 엽폭은 3.4 mm로 나타났으며, 잎각도는 45.8도, 초장은 21.6 cm, 최하위 엽의 높이는 5.0 cm 그리고 엽장은 14.1 cm의 특성을 보였다. 피복속도 조사결과 CY6097, CY6069 등이 스프리그 식재 5개월 후 각각 70%, 68.3%의 피복률을 나타내었다. 가장 느린 생육속도를 보인 금잔디의 31.7% 대비 약 2배 빠른 피복속도였다. CY6069의 경우는 피복속도가 안양중지 60.0% 보다 빠르면서도 마디간 길이가 5.1 cm로 짧게 나타나 고품질 계통으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특성 평가를 통해 잔디재배 주 생산단지인 장성 지역에서 생육속도가 빠르며, 고품질의 계통의 대표종을 선발할 수 있었다.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rates of 101 medium-leaf type zoysiagrasses (Zoysia spp.) collected at the major sod production area (Jang Seong Gun) in South Korea. Collected lines with distinctive morphology and visual growth rate were planted in plastic pots and measur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under the plastic house conditions. Variation of leaf width, plant height, leaf angle, length of leaf sheath, trichome, stolon length, and color were measured. Six lines were selected by evaluating growth rates from one hundred one collected lines. Eight standard cultivars and three other superior lines previously collected were compared to 7 selected lines form Jang seong area by checking growth rate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verage leaf blade width was 3.4 mm, leaf angle was 45.8 degree, plant height was 21.6 cm, height of lowest leaf was 5.0 cm, and length of leaf blade was 14.1 cm. Ground cover rates of selected lines 'CY6097' and 'CY6069' were 70% and 68.3%, respectively. These are believed to be faster than 60% ground cover rate of zoysiagrass 'Anyang', and also, twice as faster than the 31.7% ground cover rate of Z. matrella. Selected line 'CY6069' showed fast growth rate with shorter internode length (5.1 cm) compared to zoysiagrass 'Anya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uld select useful fast growing zoysiagrass breeding lines from the major sod production area (Jang Seong Gun) in Korea.
권일우,이동희,최병만,태현숙,신동현,Kwon, Il-Woo,Lee, Dong-Hee,Choi, Byuong-Man,Tae, Hyun-Sook,Shin, Dong-Hyun 한국잔디학회 2011 한국잔디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는 잔디 생육에 따른 그린스피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실제 골프장그린의 잔디밀도, 토양수분, 표면경도, 예고를 6개월 동안 매일 조사함으로써 그린스피드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그린관리 방법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잔디밀도, 토양수분, 표면경도 그리고 잔디예고와 그린스피드 사이의 신뢰도는 각각 0.4742, 0.5690, 0.4632, 0.2806로 측정되어 토양수분이 그린스피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 사료된다. 따라서, 잔디 생육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라면 토양수분을 조금 낮게 유지하는 것이 그린스피드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한 환경이 될 것이다. 잔디밀도의 경우 그린업 시기이며 가장 활발한 생육기인 5~6월에 충분한 밀도를 확보할 경우 빠른 그린스피드를 내는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표면경도는 롤링과 같은 관리 작업을 통해 경도를 높이는 것이 상당히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롤링은 잔디에 높은 스트레스를 주는 작업이므로 정기적인 배토작업을 병행하는 관리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겠다. 그린예고와 그린스피드 신뢰도는 0.2806으로 토양수분이나 표면 경도에 비해 낮았다. 본 결과를 통해, 예고를 3.0 mm 이하로 낮게 관리하는 것은 그린스피드 향상에 도움이 되며, 시기적으로는 벤트그래스의 생육이 왕성한 시기에 예고를 조절하여 그린스피드를 관리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예고의 범위가 2.9~3.4 mm로 다양하지 못했던 상황을 고려하여 향후 좀 더 다양한 예고에서 그린스피드를 조사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잔디예고를 제외한 다른 세 가지 요소 잔디밀도, 토양수분, 표면경도는 그린스피드와 상당 수준의 신뢰도는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잔디의 상태와 시기에 따라 각 요소가 독립적으로 그린스피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관리자가 연중 높은 그린스피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기별로 잔디생육 상태를 고려해 각 요소별로 집중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hange of green speed according to growth of grass, for this, the method of effective green management for improvement of green speed was searched by investigating green density, soil moisture, surface hardness, and mowing height every day for 6 months. As the result of the study, reliability between, green density, soil moisture, surface hardness, mowing height and green speed were measured to be respectively 0.4742, 0.5690, 0.4632, 0.2806, i.e. soil moisture is considered as the factor which affects green speed the most. Therefore, it will be an advantageous environment to maintain soil moisture a little bit low to improve green speed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disrupt the growth of green. In case of green density, it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to get a fast green speed when obtaining enough density during May~June, the most vigorous growth period and at the same time green up period. Surface hardness was confirmed that management work as rolling is a considerably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hardness. However, rolling gives high stress to the green, combining another management work as regular hilling could be a good alternative. Reliability of green preview and green speed was 0.2806, lower than soil moisture or surface hardness. Through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management of mowing height to be low less than 3.00 mm is helpful to improve green speed, timely, and it is advantageous to manage green speed when adjusting mowing height during the vigorous growth period of bent grass. However, considering the range of mowing height was not various, being 2.9~3.4 mm, henceforth research on investigation of green speed at more various mowing heights would be necessary. Consequently, except mowing height, other three factors, i.e. green density, soil moisture and surface hardness were investigated to have considerable level of reliability on green speed, and it is considered that each factor affects green speed respectively according to green condition and time. Accordingly, in order for the manager to maintain high speed all year round, intensive care for each factor per time unit considering green growth condition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