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릉단오제 主神교체 문제에 관한 고찰 -범일국사의 등장 문제-

        심형준 한국역사민속학회 2013 역사민속학 Vol.0 No.43

        Bumil Guksa is known as the main god in Gangneung-Dano festival. But“Daegwansanshinchan(大嶺山神讚)” written by Heo Gyun shows that Kim, Yu Shin(金庾信) was the main god in 1603 in Gangneung-Dano festival. Therefore, it isinevitable that the main god was replaced from some causes between 17th century and20th century. Questions like why and when this change did occur can arise. Thetheories of scholars who argued the replacement in 18th C. are based on the expression‘Guksa(國師)’. But the expression is not exactly same name of the present main god,so it is not the indisputable grounds for the theories of the replacement in 18thcentury. From the 1st materials, the definitive foundations of the theories are not founduntil 19th century. By the way, a number of records of which the ritual was stoppedduring the late 19th C. and early 20th C. are confirmed. This period can be the timeof ritual inheritance dependent on collective memories. At a time like this, it seems thatverbal memories are interpreted as familiar forms, and that a coined word‘Guksaseonghwanshin(國師城隍神)’ can be made. There seem to be occured memorymodulation by oblivescence. Moreover, according to the record on the festival left byAkiba Takashi(秋葉 隆), he didn’t have attention to the main god of the ritual, thefolk tale on Bumil Guksa recorded by Akiba was not either related to the god. Forthese reasons, I guess that the main god of the festival was fixed by Bumil Guksa while memory modulation by oblivescence and interest in the main god of ritual by effect o fanthropological investigation in the early 20th C. were related each other. This is also an instance of the invention of our tradition. 강릉단오제의 주신은 현재 범일국사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허균의 「大嶺山神讚」(1603)의 기록을 보면 강릉단오제 주신이 김유신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17세기 초에서 20세기 사이에 어떤 계기를 통해서 주신이 바뀌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 어떤 이유에서 그리고 언제 이러한 변화가 이루어졌는지 하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18세기 교체론을 주장한 기존의 학자들의 설은 1차 자료에 등장하는 ‘國師’라는 표현에 근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해당 자료의 표현이정확한 신명이 아니라는 점 때문에 18세기 교체론의 확실한 근거가 되지 못한다. 1차 자료를 살펴본다면 19세기까지 주신 교체론을 뒷받침할 만한 명확한 근거를 찾기 어렵다. 그런데 19세기말과 20세기 초에 걸쳐서 의례가 중단되었다는 다수의 기록이 확인된다. 이 시기는 집단의 기억에 의존한 의례 계승의 시기라 할 수 있다. 이럴 때 언어적 기억이 익숙한 형태로 해석될 개연성이 높아지고 ‘국사성황신’이라는 조어가 가능해졌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바로 망각에 의한 기억 변조가 일어났던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아키바 타카시秋葉隆가 남긴 강릉단오제에 관한 기록을 보면 주신에 대한 관심도 크지 않고 범일국사와 관련된 설화도 단오제 주신과 관련성이 있던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인해서 20세기 초, 망각에 의한 기억 변조 상황과 인류학적 조사의 영향으로 고조된 의례의 주신에 대한 관심이 맞물리면서 강릉단오제 주신이 비로소 범일국사로 규정되었던 것으로보인다. 이것은 20세기에 이루어진 우리의 전통 창출의 한 사례이기도 하였다.

      • KCI등재

        ‘신화적 역사’와 ‘역사적 신화’ - 허구적 내러티브 생성의 일반적 조건과 신화 연구자의 과제 -

        심형준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6 종교문화연구 Vol.- No.26

        The concept of ‘myth’ is an invented thing as if ‘religion’ concept was created in the specific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The ‘myth’ concept doesn’t have an exclusively particular realm. But it is still a common sense that the concept has a unique figure. In this article, I focus on the distance between myth and history so as to expose the limit of those conventional usages. To do that, I pay attention to some fictional narratives which shows several traces of mythical thought. Especially, I show the undivided connection relation between myth and history by mythical narrative cases in the Joseon period establishing legitimacy. At this point, the contrast of ‘historical myth’ and ‘mythical history’ is a noteworthy. ‘Historical myth’ which is discriminated into myth is a mysterious history, ‘mythical history’ which is discriminated into history is a fictional story as demagogy. Both are based on human mythical thought. History and myth have a ‘gray area’ mutually indistinguishable by connecting link of ‘collective memory.’ That characteristic is based on human memory mechanisms and situational condition to determine the relevance of information. This is a central ground to show the generality of mythical thought creating symbols. This understanding of myth or mythical thought implies that mythologists’ task is not restricted to an analysis of myth text as cryptanalysis. ‘신화’라는 개념은 ‘종교’라는 개념처럼 특정 역사-문화적 맥락에서 만들어진 특수한 것이다. 신화의 고유한 영역을 설정하기는 어렵다. 그렇지만 여전히 신화라는 개념은 관성적으로 나름의 특수한 모습을 가진 것으로 이해된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관성적 개념 사용의 한계를 드러내기 위해서 신화와 역사의 거리를 조명해 본다. 그러기 위해서 신화적 사고가 드러나는 허구적 내러티브에 주목한다. 특별히 조선시대의 합법성 정립의 신화적 내러티브 사례(이성계 신이담, 계유정난 기록, 정몽주 선죽교 이야기)를 통해서 신화와 역사 사이의 단절적이지 않은 연결 관계를 살핀다. 이 지점에서 신화로 변별되는 신비로운 역사로서의 ‘역사적 신화’와 데마고기의 허구적 이야기가 덧붙여진 역사로 변별되는 ‘신화적 역사’가 대비된다. 양자는 모두 인간의 신화적 사고에 근거하고 있다. ‘집단기억’이라는 고리를 통해서 역사와 신화는 서로 분간될 수 없는 ‘회색지대’를 가진다. 그러한 특성은 인간의 기억 메커니즘과 정보의 적합성을 결정하는 상황적 조건에 근거한다. 이것이 상징을 구축하는 신화적 사고의 일반성을 보여주는 핵심적 요소로 판단된다. 신화 혹은 신화적 사고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신화연구자의 작업이 단순히 암호해독의 텍스트 분석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1883~1910년 한국의 ‘종교 (宗敎) ’ 용례 특이성: 한국 ‘종교’ 개념 형성사 재고

        심형준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2 아시아리뷰 Vol.12 No.2

        The word ‘Jong-Gyo [宗敎] ’ is known as a concept that was adopted as a translation of ‘religion’ in Japan and spread to East Asia. Because of its novelty, the term ‘Jong-Gyo [宗敎] ’ was considered to contain the meanings of the modern concept of religion in the West. However, if you look at many expression cases of this term, you can see that ‘Jong-Gyo [宗敎] ’ is used in the meanings of ‘the best teaching’ or ‘national religion (teaching) ’ depending on the meaning of each Chinese character. In particular, if you look at the cases used in newspapers and dictionaries from 1883 to 1910, it can be seen that around 1910, ‘Jong-Gyo [宗敎] ’ became dominant as the translated word for ‘religion’. In this respect, ‘Jong-Gyo [宗敎] ’ is an overinterpretation to see that the modern concept of religion was used based on the use of the term ‘Jong-Gyo [宗敎] ’ in the 19th century. In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the concept of ‘Jong-Gyo [宗敎] ’ was understood in light of the concepts of ‘Gyo [敎] ’ or ‘Do [道] ’, which have been used since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although the term ‘Jong-Gyo [宗敎] ’ is used, it cannot be regarded as being used in its modern meanings. This trend is also found in East Asian countries with Chinese character culture (Japan, China, Vietnam) .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history of religion concept formation in Korea. ‘종교’라는 말은 일본에서 ‘religion’의 번역어로 채택되어 동아시아에 확산된 개념으로 알려져 있다. 또 ‘종교’라는 용어는 그 새로움 탓에 서구의 근대적 ‘religion’ 개념을 담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런데 이 용어의 많은 사용례를 보면 그 낱글자의 의미를 따라 ‘최고의 가르침’ 혹은 ‘국교’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특히 1883년부터 1910년까지 신문, 사 전 등에서 쓰인 사례들을 보면, ‘religion’의 번역어로서 ‘종교(宗敎)’가 우세해지는 것이 1910년 전후의 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과거 19세기에 ‘종교’라는 용어가 쓰이는 것을 근거로 근대적 종교 개념이 사용되었다고 보는 것은 그런 면에서 지나친 확대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19세기에서 20세기 초에 ‘종교’ 개념은 조선시대부터 사용되었던 ‘교(敎)’나 ‘도(道)’ 개 념에 비추어 이해되었다. 따라서 ‘종교’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지만, 그 근대적 의미에서 사용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이 러한 경향은 동아시아의 한자문화권의 나라들(일본, 중국, 베트남)에서도 공히 발견된다. 그러므로 한국의 종교 개념 형성 사는 재고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정치적 종교와 종교적 정치: 공유된 현실과 존재 정당화의 종교-정치적 성격

        심형준 한국평화종교학회 2022 평화와 종교 Vol.- No.13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is a scandal in modern society. Not only because it brings about social conflict, but because it brings back to life the biased old-fashioned frame of distinction between orthodoxy and heresy, religion and pseudo-religion. All of them are considered relics of the past, but they are not disappearing from our reality. The question may be raised as to why such a trend does not disappear. This article examine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through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religion and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politics. The reason why interpenetration characteristics appear at various levels of religion (natural, established, ideological) and in various areas of politics is that it is inevitable to justify the existence of individuals or groups, the violence to maintain the existence of such agents. And it is also because religion is the main product and tool of such justification, and the foundation of politics (the political) is constructed from the justified perception of reality. The honeymoon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does not consist solely of negative collusion. Those who believe in the legitimacy of religious (or politically biased) perception of reality tend to define the cooperation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as right in their consciousness and practice. The honeymoon scandal of religion and politics reveals the intricate interests of various agents in society. 종교와 정치의 밀접한 관계는 근대 사회에서 하나의 스캔들이다. 사회적 갈등을 불러온다는 점에서만이 아니라 정통과 이단, 종교와 사이비라는 과거의 편향적 구분틀을 다시 살아나게 하기 때문이다. 그 모든 것이 구시대의 유물로 여겨지지만, 우리의 현실에서 사라지지 않고 있다. 왜 그런 경향이 사라지지 않는가 하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이 글에서 종교와 정치의 밀접한 관련성을 종교의 정치적 특성, 정치의 종교적 특성을 통해서 살펴본다. 종교의 다양한 층위에서, 그리고 정치의 다양한 영역에서 상호 침투적 특성이 나타나는 이유는 인간 개인이나 집단의 존재 혹은 그 존재를 지속하기 위한 폭력을 정당화하는 것이 불가피한 일이기 때문이다. 또 그 정당화의 주요한 산물이자 도구가 종교이고, 정당화된 현실 인식으로부터 정치의 토대(정치적인 것)가 구성되기 때문이다. 종교와 정치의 밀월 관계는 부정적 결탁으로만 이루어지는 게 아니다. 종교적(혹은 정치적으로 편향된) 현실 인식의 정당성을 믿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의식과 실천에서 양자의 결합을 올바른 것으로 규정하기 마련이다. 종교와 정치의 밀월 스캔들은 사회 내 다양한 행위자들의 복잡한 이해관계를 드러낸다.

      • KCI등재

        인물신 신격화 논의 재고 ―초자연적 행위자와 망자, ‘집단 기억’과 상징화를 중심으로―

        심형준 국립민속박물관 2019 민속학연구 Vol.0 No.44

        When a historical figure becomes a god of village ritual, it is conceptualized as deification. This article starts the discussion from the sense that the concept of deification does not contain the phenomenon actually happening. I could not find any trace of the question such as “How human beings become gods?” in the story of who is the village personal divinity. It is noteworthy that a certain historical figure, rather than ‘god’, is remembered by many people. On the basis of this, I argue that ‘dimension of symbolization’ is more important than deification. First, I will examine the case of person god replacement in a village/district ritual. Through this review, we will confirm that it is a replacement of ‘representation’, not replacement of ‘god’ in the ritual. Then,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explanations in Cognitive Science of Religion, the concepts of supernatural agents (gods, ghosts, souls) which are based on human cognitive systems, I will shed light on that the notion that ‘a person imagined as a god’ is not applied only to a special hero (such as a military hero, a cultural hero, etc.). On the basis of the above descriptions, I will point out that the problem of deification of historical figures is in fact a problem of ‘symbolization’ (meanings, images, narratives, etc. easily remembered by many people) and that it is a matter of social relevance in its society or group. In other words, it is a matter related to how many people share the cultural representation of a divine being (not everyone needs to share it). In this sense, I will point out that the issue of deification of historical figures is a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collective memory formation. 이 글은 역사적 인물이 마을제의 신이 되는 경우에 신격화로 이야기하곤 하는데, 그것이 실제 벌어지는 현상을 제대로 담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에서 논의를 시작한다. 마을제의 신격이 누구인가의 이야기에서 ‘인간이 어떻게 신이 되는가’와 같은 의문의 흔적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이로 미뤄보면 ‘신’보다는 특정 역사적 인물이 많은 사람들에게 기억된다고 하는 면이 더 주목된다. 이를 근거로 해서 본고에서는 신격화보다도 ‘상징화의 차원’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주장한다. 먼저 마을/고을제의 인물신 교체 사례를 검토할 것이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서 ‘신’의 교체가 아닌 ‘표상’의 교체라는 점을 확인할 것이다. 그리고 인간의 인지능력으로부터 초자연적 행위자(신, 귀신, 영혼) 관념이 쉽게 만들어진다는 인지종교학 논의를 토대로 ‘인간이 신으로 상상되는 것’은 특별한 영웅(군사적 영웅과 문화적 영웅 등)에게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라는 점을 이야기할 것이다. 그러한 토대 위에서 ‘인물신의 신격화’의 문제는 사실상 ‘상징성’(많은 사람들이 쉽게 기억하는 의미, 이미지, 서사 등)의 문제이고 그것은 사회 또는 당해 집단에서의 사회적 환기력과 그에 따른 문화적 적합성의 문제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이를 바꾸어 말한다면 신적 존재에 대한 문화적 표상을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공유하고 있는지(모든 사람이 공유할 필요는 없다)와 관련된 문제이며, 이런 의미에서 해당 집단과 사회적 차원에서의 ‘집단 기억 형성 과정’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 문제라는 점을 말하고자 한다.

      • KCI등재

        Atomic and Electronic Structures of the Ni-induced Phases on Si(111):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and Spectroscopy Study

        심형준,이근섭,김도환,홍석륜,김세훈 한국물리학회 2011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59 No.6

        The atomic and electronic structures of Ni-induced phases formed on a Si(111) surface were investigated using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STM) and spectroscopy (STS). STM images show the presence of two kinds of the ring clusters ('1x1'-RCs and √19-RCs) which are related to the known '1x1' and √19×√19 phases, respectively. In addition, a new ordered structure having a √7×√7 periodicity with a considerable domain size was also observed to form on the surface. Islands of the √7×√7 structure embedded in the surface of the √19×√19 structure are found to be made by regular packing of the '1x1'-RCs. High-resolution, dual-bias STM images reveal unprecedented atomistic details of both the ring clusters forming the ordered √19×√19 and √7×√7 structures. STS data indicate that the local √7×√7 phase is semiconducting with a gap of about 1 eV. The √19×√19 structure is either metallic or semiconducting with a gap smaller than 0.2 eV. The peaks in the (dI/dV)/(I/V) curves were attributed to the density of the states expected from the existing atomic models of the two ordered structures.

      • KCI등재

        안면신경마비로 발현한 측두골의 전이성 폐 선암종 1예

        심형준,전병석,박수찬,김성희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6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49 No.11

        Metastatic lesions in temporal bones were rare in the past, however, nowadays, they seem to be increasing. The primary sites ofmetastases to the temporal bones are known to be the breasts, lungs, kidneys, gastrointestinal tract, prostate gland, larynx, andthyroid gland. We present a case with peripheral facial paralysis as the only symptom of a metastasis to the temporal bone in a73 year-old woman, and that peripheral facial paralysis was the first and only metastatic symptom in that case. This patient wasinitially diagnosed with Bells palsy. However, based on the pathologic findings, a further study revealed an adenocarcinoma ofthe lungs which spread to the temporal bone. Any metastatic diseases to the temporal bone should be considered as possibleetiology in patients with a clinical history of malignant neoplasms presenting with common otologic or vestibular symptoms,especially with facial nerve paralysis. (Korean J Otolaryngol 2006;49:1130-3)

      • KCI등재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 자립화를 위한 청정개발체제(CDM)사업 적용방안

        심형준,김성근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6

        A total of 57 anaerobic digesters in 357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MWTPs) were operated as of end of 2007. However,the rate of operation efficiency has been low.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of digestion ga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plans to execute CDM projects in the targeted 26 MWTP in energy independence plan for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by 2015. For the previously stated reasons, this research carried out feasibility study of CDM project to have don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mparison analysis of Bundling CDM and Programme CDM for the 26 MWTP. The result of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mparison shows that both alternatives have the potential to be effective ways of CDM projects for the 26MWTP, and Programme CDM is much better than Bundling CDM. 국내 공공하수처리시설은 2007년 말 현재 전국 357개 소에서 2,382만톤/일의 하수처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중 57개의처리시설에서 소화조가 운영되고 있으나 운영 효율이 저조한 상황이다.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기본계획에서는 이를 보완하고자 소화가스를 활용한 에너지 이용 및 생산을 계획하여 2015년까지 일 소화가스 발생량이 2,000N㎥/일 이상인 26개소를대상으로 소화가스 에너지 활용 사업 및 CDM사업 등록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화가스 활용 대상인 26개소하수처리시설을 대상으로 CDM등록을 위한 다수의 소규모 CDM사업 방식인 Bundling CDM과 Programme CDM을 정성적,정량적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여 대상 시설의 CDM사업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두 대안 모두 정성적, 정량적인 타당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rogramme CDM으로 진행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