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생태계에서 주요 GM작물과 근연종 간의 자연 교잡 가능성

        육민정,김도순 한국잔디학회 2022 Weed & Turfgrass Science Vol.11 No.4

        Natural hybridization between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and their relatives is the first gateway for introgression to the ecosystem and consequent environmental risk. Therefore, we review the related information on transgene flow from GM crops to their relatives in the Korean ecosystem, such as introduced traits,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endemic relatives, and the gene flow occurrence of major GM crops. Besides non-GM cultivars, wild soybean, seven Brassicaceae species, and weedy rice are distributed nationwide in Korea. The maximum gene flow rate from GM to wild soybean was reported at 0.292%. The maximum gene flow rates from GM oilseed rape to Brassica juncea and Brassica rapa were 0.076% and 1.2%, respectively. The hybridization rate from GM to weedy rice was generally less than 0.05% but ranged up to 4.2%. Because there are no wild or weedy relatives of GM maize and cotton in Korea, the gene flow to their relatives is expected to be relatively low. Our review suggests that the transgenes of GM soybean, oilseed rape, and rice can be introgressed into their cultivated, wild or weedy relatives by pollen-mediated gene flow, and may persist in the ecosystem depending on the fitness of the hybrid progenies. 본 연구는 주요 GM작물의 유전자이동에 의한 환경위해성에 대한 이해와 관리 전략 수립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수행되었으며, 세계 4대 GM작물인 콩, 유채, 옥수수, 면화 및 국내 주곡 작물인 벼의 도입형질, 생식 특성, 교잡가능 근연종 및 국내 분포하는 근연종과의 교잡율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고찰하였다. 콩은 국내 원산인 작물로서 일년생 야생종인 돌콩이 전국적으로 자생하고 있으며, 국내 포장조건에서 GM콩과 돌콩 간 교잡은 최대 0.292%이었다. GM 유채는 종간 교잡이 가능한 갓, 양배추 및 배추와 속간 교잡이 가능한 모래냉이, 소래풀, 서양무아재비 및 무 등 7종의근연종이 국내에서 재배 또는 자생한다. 국내 농업환경 조건에서 수행한 실험에서 GM유채와 근연종 간 최대 교잡율은 갓, 배추에서 각각 0.076% 및 1.2%에 달하였다. GM벼는 교잡이 가능한 재배벼가 광범위하게 재배되고 있으며, 잡초성벼가 자생한다. 야외 포장에서 GM벼로부터 잡초성 벼(앵미)로의 유전자 이동율은 대체로 0.05% 미만이었으나, 최대4.2%의 교잡율이 보고되기도 하였다. GM옥수수 및 면화는 국내에 교잡 가능한 야생 근연종이 분포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유전자이동에 의한 생태계 침투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종합적으로 GM콩, GM유채, GM벼의 경우 도입유전자가 국내 생태계에 분포하는 근연 재배종, 야생종 또는 잡초종으로 이동 가능하며, 교잡후대종의 적응성에 따라 국내 생태계에 지속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GM콩 및 야생콩 간 교잡후대의 잡초화 가능성

        육민정,김도순 한국잔디학회 2023 Weed & Turfgrass Science Vol.12 No.4

        Natural hybridization between genetically modified (GM) soybean and wild soybean may result in the transgene dispersal into the ecosystem and consequently leads to genetic pollution in wild soybean. In this study, we reviewed studies on transgene flow from GM to wild soybeans and fitness of their hybrid progeny to estimate potential weedy risk of hybrids resulted from gene flow between GM and wild soybeans. In the interspecific hybridization of GM soybean and its direct ancestor, wild soybean, the maximum gene flow rate was reported to be 0.73% and the maximum distance of pollen dispersal was 8 m. The hybrids exhibited the intermediate fitness of the parental soybeans in their seed dormancy, vegetative growth, and reproductive growth, while their seed production was greater than the parents. The fitness of hybrids is relatively higher than GM soybean and increased with generation advancement compared to earlier generations. Although their relative competitiveness depending on the vegetation composition of the natural and agricultural ecosystem, the hybrid progenies may persist by subsequent selfing or transgene flow to another wild soybean in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where wild soybean inhabits naturally.

      • KCI등재

        지베렐린 처리에 의한 억새(Miscanthus Spp.)의 종자 발아 향상

        육민정,임지수,정지훈,김도순 한국잔디학회 2019 Weed & Turfgrass Science Vol.8 No.4

        Miscanthus spp. is a perennial rhizomatous C4 grass and used to be considered as a weed in orchard and riparian areas. Due to its unique phenotypic characteristics, it has also been considered as a promising multifunctional plant for biomass, gardening, and conservation. However, its propagation is mainly been made using rhizomes rather than seeds due to its improper seed propagation method.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xogenous chemicals, GA3, KNO3, NaClO and prochloraz, to improve seed germination. Miscanthus seeds placed on petri dish were treated with GA3, KNO3, NaClO and prochloraz solutions at a range of concentrations and daily germinated seeds were recorded. Among the tested chemicals, GA3 showed the best performance in improving seed germination of both Miscanthus species (Miscanthus sacchariflorus, dkwlMiscanthus sinensis ) with particular increase in germination rate. In the cases of the other chemicals, seed germination was slightly improved at lower concentrations of KNO3 and NaClO, while decreased at higher concentrations and with increasing prochloraz concentration. Our study concluded that 50 mg/L GA3 and 10 mg/L GA3 are the most eff ective chemical treatments for improving seed germination of M. saccharifl orus and M. sinensis, respectively. Our fi ndings can be used for the mass propagation of Miscanthus spp. by their seeds and for seed germination study of other grass species. 억새는 다년생 화본과 식물로서 조경용, 바이오매스용, 생태복원용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이 기대되는 식물이다. 그러나 종자 발아 및 번식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근경을 통한 번식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어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는 억새 중에서도 산업적 가치가 높은 참억새 및 물억새의 원산지로서 종자번식이 가능한 억새 품종 개발에 유리한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억새 종자의 발아특성 최적발아조건 연구 등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종의 발아촉진제(GA3, KNO3)와 2종의 종자소독제(NaClO, Prochlaz)의 처리가 억새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억새의 발아 향상을 위한 최적 화합물 및 농도조건을 확립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다음과 같다. KNO3 및 Prochloraz 처리는 발아 촉진 효과가 미미하고 고농도에서 발아율 및 발아 속도가 모두 저해되므로 억새 종자 처리 방법으로 부적합하다. NaClO 처리 시 0.3% 용액에 침지 후 파종한 물억새의 초기 발아 속도가 가장높았으며, 부가적으로 종자 소독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억새 종자 처리방법으로 고려해봄직하다. GA3 처리 시 초기발아 속도는 물억새 50 mg/L, 참억새 10 mg/L 조건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는 다른 화합물 처리의 최적 결과보다 양호하여 억새 종자 발아 향상을 위한 최적 처리 조건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억새의 종자를 통한 대량 번식법 확립에도 활용될 수 있으며, 다른 화본과 식물의 종자 발아 및 증식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학술적 글쓰기에서 대학원 유학생의 발견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내용 제안

        민정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6

        본 연구는 학술적 글쓰기가 읽기와 쓰기가 결합된 ‘융합적 과제(Hybrid task)’의 성격을 갖지만 읽기를 고려한 연구가 부족함을 전제로 ‘읽기’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그래서 학술적 글쓰기 ‘저자성’에서 ‘발견(Discovery)’ 국면을 ‘쓰기를 위한 읽기’로 정리하고, 이 국면에서 ‘이해(comprehension)’를 ‘상황 모형(situation model)’과 ‘텍스트기저(textbase)’로 나누고 ‘발견 능력’을 구체화했다. 우선 ‘텍스트기저’ 차원에서의 교육 내용은 ‘발견 능력’ 향상을 위해서 텍스트의 수사적 구조에 대한 지식, 그리고 동일 화제를 다른 수사적 구조로 구성한 텍스트를 읽고 쓰는 것 등을 제안했다. 또한 ‘상황 모형’ 차원에서는 ‘응집성(coherence)’이 결핍된 텍스트를 통해서 추론 능력을 향상하도록 하고, 이때 떠오른 배경지식 등을 ‘자유글쓰기(free writing)’를 통해 표현하도록 제안했다. 또한 이와 같은 ‘발견’한 내용들은 ‘개요 쓰기’로 종합할 것을 제안했다. This study developed a discussion around 'reading'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re have been little studies on it, though the academic writing is characterized by a ‘hybrid task’ combining reading and writing. It, therefore, arranged the aspect of ‘discovery’ as ‘reading for writing‘ in academic writing ‘authority’, dividing comprehension into situation model and textbase and specifying 'discovery ability' at the aspect. At first, it suggested knowledge for the rhetorical structures of texts and both reading and writing of texts in which the same issues are constructed with different rhetorical structures, as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enhancing 'discovery ability' at the level of ‘textbase’. In addition, it encouraged foreign graduate students to enhance their inferential ability by using texts without coherence and express the emerging background knowledge through free writing, at the level of ‘situation model’. Moreover, it recommended to synthesize such ‘discovered’ contents to ‘outline writing’.

      • KCI등재

        코칭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민정,박종우 글로벌경영학회 2023 글로벌경영학회지 Vol.20 No.2

        To secure competitiveness by responding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s, the core agents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performance creation, became more important than ever. In this study, coaching leadership as an effective leadership strategy and psychological safety as an emotional and psychological factor were noted for facilitating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each sub-variable of coaching leadership on employees’ psychological safety and innovative behavior. As a result of this empirical analysis following the survey conducted on 358 employees, it was identified that the direction and relationship of coaching leadership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but development and feedback didn’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 sub-variables of coaching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s on employees’ psychological safety in the order of relationship, feedback, development, and direction. Psychological safety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between direction and relationship of coaching leadership and innovation behavior. This study identified the theoretical model by expanding the simple causal relationship study on the effect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from the two perspectives of coaching leadership by sub-factors and psychological safety. This study is meaningful, first in that the result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coaching leadership execution and perceived psychological safety to improve corporate competitiveness. Secondly,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n-depth implications to enhance effectiveness of coaching leadership by identifying its detailed operating mechanism to facilitate innovative behavior, eventually reinforcing corporate competitiveness to create perfomance, to improve human resource quality, and to conduct innovation strategy. Based on this research findings,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급변하는 초경쟁 환경에 대응하여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조직혁신과 성과 창출의 주체인 구성원의 혁신행동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구성원의 혁신행동 촉진에 주효한 리더십 전략으로서 코칭리더십과 정서적심리적 요인인 심리적 안전감에 주목하였으며, 코칭리더십의 각 하위변인이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변수 간의 영향 관계가 구성원의 혁신행동 강화에 어떠한 역할과 상호작용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업에서 상사와 근무하는 구성원 3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코칭리더십의 방향제시와 관계는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역량개발과 수행평가는 유의적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코칭리더십 하위변인은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에 관계, 수행평가, 역량개발 및 방향제시 순으로 긍정적 영향을 보였다.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은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보였으며,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 간 관계에서 방향제시와 관계에 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하위요인별 코칭리더십과 심리적 안전감의 두 가지 관점에서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단순인과관계 연구에서 확장하여 이론적 모델을 확인하였다. 더하여 기업경쟁력 향상을 위해 코칭리더십 실행 및 구성원이 지각하는 심리적 안전감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성과 창출, 인적자원 향상과 기업혁신전략 전개에 핵심적인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촉진하는 코칭리더십의 보다 세밀한 작동 메커니즘 규명 및 효과성을 제고하는 방안 마련에 도움이 될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미래 연구방향을 함께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 교육 전공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듣기⋅쓰기 중심의 수업 모형 연구 -학업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딕토콤프를 중심으로-

        민정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9 사고와표현 Vol.12 No.3

        This study considers the reason for academic maladjustment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Korea as a lack of literacy to listen and write, required in an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Defining this literacy to listen and writ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nstruction model for improving this literacy. When identifying the state of literacy to listen and write among foreign graduate students, most of them had no experience in writing in Korean and failed to listen instructors’ discourses abundantly and write during lectures. Also, foreign graduate students thought themselves that listening and writing was important for academic adjustment, but they were not good at listening and writing. In order to improve this issue, this study suggests Dicto-Comp along with an instruction model. The stages of Dicto-Comp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specificity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Originally, Dicto-Comp was a method of teaching that combines reading and writing, but this study reconstructed the contents based on listening and writing. This study then explains how to apply this model to graduate school curriculum and presents a applicable instruction example.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mak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in authorship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the entrance into an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in collaboration with diverse studies and instruction models for helping academic adjustment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대학원 유학생의 학업 부적응 원인을 학술 담화공동체에서 요구하는듣고 쓰는 리터러시의 부족으로 정리했다. 이 듣고 쓰는 리터러시를 학업 리터러시로 정의하고 이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 모형을 만들었다. 또한 실제 대학원 유학생의 듣고 쓰는 리터러시 상태를 확인했는데, 대부분 한국어 필기 경험이없었고, 강의 중 교수자의 담화를 풍부하게 듣고 필기하지 못했다. 또한 대학원 유학생은 듣고 쓰는 것이 학업 적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스스로 못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업 모형을 만들면서 딕토콤프를제안했다. 본 연구는 대학원 유학생의 학습자 특수성에 맞춰서 딕토콤프의 단계를조절하고 새로운 단계를 추가해서 듣기⋅쓰기 수업 모형을 만들었다. 그리고 실제대학원 교육과정에서 이 모형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를 밝히고, 실제 수업 예시까지 제시했다. 본 연구는 대학원 유학생의 학업 적응에 듣고 쓰는 리터러시가중요함을 밝히고, 이를 위한 수업 모형을 개발⋅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향후 대학원 유학생의 학업 적응을 돕는 다양한 연구들과 수업모형이 개발되어서 대학원유학생의 저자성 향상과 학술 담화공동체 편입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대학원 유학생 석사학위논문의 ‘이론적 배경’ 구성에 관한 일고찰 : 한국어교육 전공 수업에서 발표된 ‘예비 논문’을 중심으로

        민정호(Min Jung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대학원 유학생에게 학위논문의 완성이 중요함을 전제로, 실제 학위논문관련 수업에서 심사를 앞둔 대학원 유학생이 발표한 학위논문 2장의 분석을 토대로 교육적 함의를 도출한 연구이다. 먼저 일반적 학위논문의 구조를 분석하고, 2장 ‘이론적 배경’에 들어가야 할 핵심적인 담화 내용을 배경 이론과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정리했다. 그리고 ‘실제’ 대학원 유학생의 학위논문 2장과 일반적인 학위논문 2장의 구조를 비교하고, 특징을 도출했다. 그리고 학위논문 2장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교육적 함의를 제안했다. 본 연구는 학위논문 2장의 일반적 구조를 정리하고, 이를 실제 대학원 유학생이 완성한 학위논문에 적용했다는 것, 그리고 이를 중심으로 대학원 유학생이 학위논문에 대한 장르적 인지가 부족하다는 것을 전제로 교육적 함의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monstrates an educational consensus derived from an analysis on the chapter 2 in a thesis, which was written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The thesis is actually educated, given that the completion of thesis is important to them. At first, it analyzed the general structure of thesis and arranged core discourse contents to be included in the chapter 2. And compared the structure of chapter 2 of the general thesis and chapter 2 in the thesis written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derived features. And the study suggested an educational implication that could promote quality improvement in chapter 2 of the thesis.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outlines the general structure of chapter 2 of the thesis, applies them to chapter 2 in the thesis written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derived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the premise that a graduate student lacks genre recognition of his/her thesis.

      • KCI등재

        학술적 글쓰기에서 대학원 유학생의 독자 고려 양상 분석 - 사회인지주의 관점에서 독자 인식과 제목을 중심으로

        민정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사회인지주의 관점을 통해 학술적 글쓰기에서 대학원 유학생이 고려하는 독자가 무엇인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인식으로서의 독자’와 ‘기능으로서의 독자’를 ‘텍스트 수준별’로 나눠 살펴보았다. 상위 필자는 보고서를 ‘학술적 글쓰기’로 인식하고, 담화공동체의 구성원을 예상독자로 인식했다. 반면에 중위와 하위 필자는 보고서를 ‘학문 목적 글쓰기’로 인식하고, 담화공동체와 관련성이 떨어지는 독자들을 고려했다. 하위 필자의 경우 예상독자로 ‘자기 자신’을 인식하는 모습도 나타났다. 상위 필자의 제목은 학술적 텍스트에 적합한 선언형 제목이 나타났고, 하위 필자의 제목은 학술적 텍스트에 적절하지 않은 질문형 제목이 나타났다. 또한 상위 필자와 하위 필자 모두 중립형 제목이 있었지만, 제목이 갖고 있는 정보량에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상위 필자에게는 콜론을 사용한 제목 쓰기 연습이 요구되고, 하위 필자에게는 담화공동체 중심의 독자 인식과 충분한 정보량을 가진 제목 쓰기 연습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대학원 유학생은 담화공동체의 장르성에 친숙해지고 전문 저자성을 확보해야 한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who the audience that foreign graduate students target in academic writing i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gnitive theory. For this, ‘audience as recognition’ and ‘audience as function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ext. High-level authors recognized reports as ‘academic writing’ and the members of a discourse community as the prospective audience. On the other hand, mid-level and low-level authors recognized reports as ‘writing to learn’ and considered audience less related to the discourse community. Some low-level authors recognized the prospective audience as ‘themselves.’ As for titles, high-level authors chose declarative titles that were proper for academic text, while some low-level authors used question titles not suitable for academic text. Although both high-level and low-level authors showed neutral titl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discovered in the amount of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titles. High-level authors are required to practice giving titles using a colon(:), while low-level authors need to practice it by recognizing audience centering on the discourse community and using sufficient information. Based on this, they ultimately need to be familiar with the genre of the discourse community and acquire professional autho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