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기술 이미지의 미학적 해명: 19세기 골지와 카할의 신경과학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이재준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9 No.1

        The relationships between technoscience and aesthetics are questioned by the fact that their theoretical intentions are different. However, the historical epistemology that scientific knowledge is historically constructed by variously intervening in its outsides shows the potential of coupling technoscientific images with the aesthetic. The article focuses on their representation of neuron images in the neuroscience debate of Golgi and Cajal in the 19th century. In these representation processes scientific knowledge has been transformed and structured not only by the aesthetic intervening, but by the intervention of materials, such as dyeing materials and experimental tools. In their analyzing the epistemic conventions of technoscientific images, Daston and Galison have rightly disposed the their images to historical-epistemic division of 'the mechanical objectivity', but could not properly explain the materiality intervened in the representation. On the other hand, their representation involved not only the aesthetic, but the materiality of the contemporary photographic techniques. This shows the historical aspect of technoscientific images related to the aesthetic through the materiality of the experiment, and instantiates the coupling of technoscience with aesthetics. 과학기술과 미학의 관련은 학문 영역의 지향점이 상이하다는 사실에서 의문시되었다. 그러나 과학 지식이 그 외부의 다양한 개입에 의해 역사적으로 구성된다는 이해는 과학기술 이미지와 미적인 것의 연결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19세기 골지와 카할의 신경과학 논쟁에서 실험 이미지의 재현 과정에 주목한다. 그들의 신경세포 이미지 재현에는 미학적인 개입만이 아니라 신경세포염색물질의 개입이 과학적 지식을 변형시켰다. 대스턴과 갤리슨의 ‘기계적 객관성’ 개념은 그들의 이미지 재현을 인식적․역사적 구분에 따라 적합하게 배치했으나, 물질적인 개입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다. 반면 골지와 카할의 이미지재현은 19세기 사진 기술이 사용한 물질들과 긴밀히 연결되었다. 이는 과학기술 이미지가 실험 재료의 물질성을 매개로 해서 미적인 것과 연결될 수 있는역사적 계기들을 보여주며, 과학기술과 미학의 접점을 예시한다.

      • KCI등재

        근대인의 몸과 마음 길러내기: 안종화의 뺷초등생리위생학대요뺸(1909)를 통해 본 생리위생학의 수용과 변용

        오선실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2 No.1

        이 연구는 안종화의 소학교용 생리위생학 교과서, 뺷초등생리위생학대요뺸를분석함으로써, 비전문가라는 장벽에도 불구하고 생리위생학 수용에 높은 관심을 보였던 계몽지식인들이 서구 생리위생학을 어떻게 이해하고 전유했는지 추적한다. 이때 서구 근대 생리위생학은 전염병 통제라는 사회적 수요, 그리고 사회진화론의 과학적 근거라는 오해로 인해 계몽지식인들의 높은 관심을 받으며, 다른 서구 과학기술 지식에 비해 빠르게 수용될 수 있었다. 특히 실력양성을 표방한 각종 학회들이 발간한 학회지들은 계몽지식인들이 서구 근대 생리위생학의 실제 내용을 배우고 익히는 효과적인 학습 공간을 제공했다. 이러한 학회지에 토대한 집단 학습을 통해 생리위생학은 근대전환기 가장 주목받는 과학이론이자 계몽지식인이라면 누구나 알아야할 교양지식으로서 나름의 지식 체계를갖출 수 있었다. The study analyzes Ahn Jong-hwa's textbook on physiological hygiene for elementary schools, which is the result of group learning by enlightenment intellectuals, and traces how enlightenment intellectuals actually understood and inherited Western physiological hygiene. Western modern physiological hygiene was quickly accepted compared to other Western science due to the social demand for epidemic control and the misunderstanding of evolution. In particular, academic journals published byvarious academic societies provided effective learning spaces for enlightenment intellectuals to learn and deepen Western modern physiological hygiene. As a result of collective learning through these journals, physiological hygiene was the most popular scientific theory during the transition to the modern era, and the cultural knowledge that any enlightenment intellectuals should know.

      • KCI등재

        재난, 비인간(nonhuman)과 인문학적 상상력: 야마시타와 라투르의 비인간 화자를 중심으로

        이진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4 No.2

        This article discusses post-COVID humanistic imaginations suggested in Karen Tei Yamashita’s Through the arc of the rain forest and Bruno Latour’s Où suis-je? — Leçons du confinement à l'usage des terrestres. Yamashita helps readers overcome anthropocentricism through her nonhuman narrator, whose memory eventually becomes that of readers, while incorporating the traumatic stories of the underrepresented into history. Latour shows how “becoming a termite” can blur the human/nonhuman boundaries and allow readers to see the indivisible human-nonhuman relation. As a result, both authors suggest a possibility to include newmaterialism in the discussion on posthumanism. Meanwhile, Yamashita and Latour equip us with the creative imaginations for living in the new normal. 본 논문은 카렌 테이 야마시타(Karen Tei Yamashita)의 우림의 (무지개) 원호를 통과하여(Through the arc of the rain forest)와 브뤼노 라투르(Bruno Latour) 의 나는 어디에 있는가?: 코로나 사태와 격리가 지구생활자들에게 주는 교훈 (Où suis-je? —Leçons du confinement à l'usage des terrestres)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우리에게 제안하는 인문학적 상상력에 대해 살펴본다. 야마시타가 비인간화자의 기억이 독자의 기억이 되게 함으로써 인간 중심주의적 사고를 벗어나도록 이끈다면, 라투르는 ‘벌레 되기’를 통해 인간/비인간의 경계를 허무는 인문학적 상상력으로 이끈다

      • KCI등재

        과학기술 시각주의에서 비인간의 재현: 1970년대 미국과 일본의 로봇 연구를 중심으로

        이재준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0 No.4

        과학기술에서 시각 이미지는 과학적 실재성의 진리 주장을 보증해주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과학기술 시각주의는 과학기술 지식의 구성에서 시각 이미지의자리를 비판적으로 검토고자 하는 돈 아이디의 생각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아이디의 과학기술 시각주의를 브뤼노 라투르의 관점과 비교하고, 이러한 시각주의가 인간적인 것을 로봇에 재현하려는 1970년대 미국과 일본의 로봇과학기술연구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스탠포드 연구소의 로봇 <쉐이키>는 인공지능 연구의 새로운 방법을 찾기위해 인간의 두뇌 기능을 로봇에게 구현하고자 했으며, 가토 이치로의 <와봇> 은 인간 신체 구조 및 기능을 이족보행 로봇에게서 실현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시각적 재현은 비인간에게서 인간적인 것을 번역해내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일종의 인간-비인간 혼종 양상을 낳는 계기가 된다. Scientific visual image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to guarantee the truth of scientific reality. The techno-scientific visualism supports Don Ihde's idea that critically interpret the place of visual images in the composition of techno-scientific knowledge. The article compares Ihde's scientific visualism with B. Latour's stance and analyzes robotic researches which represented the human into robots in the U.S. and Japan in 1970s. The Stanford Research Institute's robot researches embodied human intelligence in Shakey the robot. Shakey the robot which could move with wheels represented visual information process of human brain by AI programing based on the Physical Symbol System Hypothesis, GOFAI. Japanese medical engineer Ichiro's researches represented an ideal image of human body and its function with his WABOT series. But his WABOT could represent just aggregation of human functions not the integrity of human. Their researches for a representation of human on the robot demonstrated an hybrid between human and non-human in process of the translation of the human into non-human.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 연구센터의 온라인 콘텐츠 요소 및 서비스 운영 방향에 관한 연구: 미국 연구중심 대학을 중심으로

        전경선,이지수,최성연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4 No.3

        In order to propose online content elements and service operational strategy that can be applied to DH(Digital Humanities) research centers in domestic universities,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on status and online content of 39 DH research centers in research-oriented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Based on the needs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nine online content elements that should be provided by DH research centers were identified: 1) mission(vision), 2) people and organization, 3) projects, 4) data, 5)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programs, 6) tools and technologies, 7) funding, 8) information sources, and 9) publication and consult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types of DH research centers were found: independent DH research centers within universities, organizations within university libraries, and departmental associations. In addition, the most common elements that DH research centers provide as online content were people/organization, 39(100%), and mission(vision), 38(97%).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setting guidelines for online content services of DH research centers in domestic universiti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디지털 인문학(DH, Digital Humanities) 연구센터에서 실제적으로 서비스 할 수 있는 온라인 콘텐츠 요소와 운영 방향을 제안하고자 미국의 연구중심 대학 39개 DH 연구센터의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운영 현황및 온라인 콘텐츠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DH 연구센터의 운영 기관은 대학도서관, 학과 연계, 대학 내 독립 DH 연구센터 등 3개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DH 연구센터에서 온라인 콘텐츠로 가장 많이 제공하는 요소는 인력/조직 (100%), 미션(비전)(97%), 정보원(92%) 순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 대학에서 DH 연구센터를 주축으로 한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의 가이드를 설정하는 데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1차 산업혁명과 박람회(1798-1900)

        김차규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xposition in terms of humanities. Because the fair began much earlier than the Industrial Revolution, but the World Expo, including science and technology, began at the London World’s Fair in 1851. In view of this, I think that some of the products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were exhibited at the World Exposition, and that many countries that were stimulated by this phenomenon came to the forefront in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so that a huge wave of industrial revolution appeared and the modernization of the world took place. Therefore, I think that the exhibition has played a role of informing the status of the nation while faithfully fulfilling the role of the window to look at the achievements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paper, the origin of the fair, the French Industry Fair (1798-1849), and the World Expo (1851-1900) during the 19th century of technology and civilization development were studied. 본 연구가 추구하는 목적은 인문학적 관점에서 1차 산업혁명과 박람회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고찰하는데 있다. 왜냐하면 박람회는 산업혁명보다 훨씬 일찍 시작되었지만, 과학과 기술을 포함한 세계박람회(World Expositions)는 1851 년 런던 세계박람회부터 시작하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런 점을 감안하여 산업혁명의 일부 결과물들이 세계박람회에 출품되고 이에 자극을 받은 여러 국가들이앞다투어 과학 및 기술개발에 뛰어듦으로써 산업혁명의 거대한 파도가 나타나고 세계 근대화가 이루어졌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박람회는 산업혁명의성과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창문의 역할을 충실히 함과 동시에 국가의 위상을알리는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고 본다. 이 논문에서는 박람회의 기원과 프랑스산업박람회(1798-1849) 그리고 19세기 기술․문명 개발시기의 세계박람회(1851-1900)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KCI등재

        국내외 인문학 분야의 인공지능 주제 연구 동향 비교 분석

        김진원,이재윤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humanities both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through bibliometric analysis. A total of 635 and 594 papers were collected from KCI and WoS, respectively, from 2002 to February 2023, and analyzed using keyword co-occurrence and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research activities in the field of AI in humanities have become more active both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In particular, 2016 and 2019 were turning points for research activities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respectively. While research trends in Korea and overseas are similar overall in that they cover various topics related to AI in humanities, overseas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on the history of AI development as well as theological perspectives compared to Korea 이 연구는 국내외 인문학 분야의 인공지능 주제의 연구 동향을 계량서지학적비교 분석을 통해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KCI와 WoS에서 2002 년부터 2023년 2월까지의 논문 635건과 594건을 수집하여 단어동시출현분석과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국내는 2016년, 해외는 2019년을 기점으로 연구가 보다 더 활성화되었다. 다양한 주제가 다루어지는 점은 전반적으로비슷했지만, 해외의 경우 국내와는 다르게 신학 관점의 AI 연구와 AI 발전사에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 KCI등재

        허물어진 ‘문 안’ - 박완서의 『나목』을 통해 본 한국전쟁과 서울의 공간적 재편

        나보령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9 No.4

        Seoul during the Korean War was a place which was actively being rebuilt and transformed behind the shadows of death and ruins. The Naked Tree by Park Wansuh describes Seoul through the spatial tension between the old house (Hanok) in Gye-dong, which was destroyed by the war, and the Post Exchange (PX), which was bustling with people even during the wartime. Considering the fact that Gye-dong was relatively intact from the war in real life, the description of the destroyed house seems to have been symbolic.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old house in Gye-dong was intentionally set in parallel with Myeong-dong, the neighborhood next to the PX which became home to the nouveau riche and exuded vulgarity and foreignness in the novel, this study posited that the spaces in Park Wansuh’s The Naked Tree signified the space “within the gates,” which was the spatial center of traditional Seoul, as well as the spiritual values the traditional Seoul represented. In other words, the fate of the old house in Gye-dong in this novel, which is torn down after becoming increasingly dilapidated, reflects the fate of Seoul. As the traditional spatial orders of the city breaks down in the wartime, the spiritual values within the gates, such as dignity, elegance, and tradition also disappears. On the other hand, Myeong-dong, which is situated next to the PX, becomes a stage where people, who used to be in the peripheries by living “outside the gates” before the war, earn dollars through their resourcefulness and rise to become the nouveau riche of the city. Myeong-dong is rebuilt from the ruins at a fast pace thanks to the new class, and the revival of Myeong-dong becomes a direct reflection of their unprecedented rise. The rampant materialism and brashness are in stark contrast to the atmosphere of Gye-dong. Nevertheless, considering that Gye-dong is described as a space of darkness and death that is beyond repair, the novel is not completely rejecting the unrelenting vitality that flows in Myeong-dong. The protagonist Yikyung roams about the old house in Gye-dong and the PX in Myeong-dong, but eventually chose to endure the wartime by joining the latter. It is only in the peaceful and affluent postwar Seoul, which is free from any vestiges of the war, where she realizes that she had dismissed and even thrown away the spiritual values represented by the old house in Gye-dong and that she joined the philistine world, which she had once despised, with relative ease. The shame she feels while visiting the sturdy Western-style house, which was been built where the old house used to be, reminds the protagonist of the things that have disappeared in postwar Seoul, which were represented by an old house that remains in the corner. 전시 서울은 죽음과 폐허의 이면에서 활발하게 재건되고 변모해나가는 시공간이었다. 박완서의 『나목』은 그와 같은 서울의 풍경을 전쟁의 상흔을 입은 계동의 고가와 전시에도 불야성을 이루는 피엑스 간의 공간적 긴장을 통해 펼쳐낸다. 그런데 계동이 실제 전쟁의 피해를 크게 입은 지역은 아니었다는 사실을상기했을 때, 이 상흔은 다분히 상징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나목』에서 계동의 고가가 뜨내기 신흥 부유층이 활개 치는 무대이자, 상스럽고 외래적인 분위기를 발산하는 피엑스 일대의 명동과 의도적인 대칭을 이루고 있다는점에 착안해 이곳이 서울의 전통적인 공간적 중심이었던 ‘문 안’과 문 안으로대변되는 정신적 가치들을 체현한다고 해석하였다. 즉, 퇴락할 대로 퇴락한 끝에 결국에는 해체되는 계동의 고가의 운명은 전쟁이라는 격변기 속에서 서울의전통적인 공간 질서가 해체되고, 기존의 문 안으로 대변되었던 서울의 일상, 문화, 전통, 예술과 같은 정신적인 가치들이 스러져가는 현상을 의미한다고 볼 수있다. 반면, 피엑스 일대의 명동은 전쟁 전의 사회에서는 주변부에 위치하였던 인물들이 강인한 생활력과 달러를 움켜쥐고 서울의 신흥 부유층으로 부상하는 무대로 제시된다. 이들에 의해 명동은 폐허로부터 빠르게 재건되어 나갔고, 명동의 부흥이 곧 이 계층의 비약적인 성장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이들의 노골적인 황금만능주의, 속물주의는 계동의 분위기와 대조되지만, 계동이 더 이상회생 불가능한 암흑과 죽음의 공간으로 표상되었던 것과 비교해 볼 때, 명동을휩싸고 도는 그악스럽고 기승스러운 활기 자체가 부정된다고만은 볼 수 없다. 주인공 이경은 계동의 고가와 피엑스 일대의 명동 사이에서 끊임없이 방황했지만, 결국에는 후자에 편승해 전쟁의 시간을 통과해온 인물이다. 더 이상 전쟁의 자취가 남아있지 않은 평화롭고 풍요로운 전후의 서울에서 그녀는 비로소자신이 계동의 고가로 대변되는 정신적인 가치들을 죽은 것으로 오인하고, 자신이 경멸했던 속물적인 세계에 쉽게 편승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고가가 헐린 자리에 세워진 견고한 양옥에서 느끼는 바로 그 부끄러움은 그녀로 하여금해체되지 않은 한 모퉁이의 고가로 상징되는, 전후의 서울에서 스러져 간 것들에 대해 끊임없이 성찰하게끔 만든다.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 프로젝트와 전산언어학

        박광현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1 No.2

        Digital humanities (DH) is a response and an evolutionary reaction from studies on Humanities to the recent change, namel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hange, however, comes with an intellectual challenge, a fusion with numerous neighboring fields of studies that have not been considered Humanities proper traditionally. Thus, at this point, it is apt to review those areas and expert knowledge that they offer and evaluate them for relevance to Humanities. This paper is an overview of key concepts in language-related fields, i.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machine learning. It sketches how these technical sub fields emerge in a number of DH projects and proposes that the role of these neighboring areas is beyond simply being facilitative and may serve as a driving factor toward a fundamental restructuring in research scope, methodology, and framework in Humanities research. 디지털 인문학은 이른바 4차 산업혁명 시대라고 하는 급격한 변화의 시기에대한 인문학의 대응과 진화의 방향을 함축하고 있다. 그러나 이 변화는 많은 인접 분야와의 융합을 거치며 생겨난 이질성으로 인해 인문학 연구자들에게는 지적인 부담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현 시점에서 인문학의 융합분야들을 살펴보고 디지털 인문학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끄는 협업의 제 방안을정리해본다. 인접 분야들 중에서는 특히 코퍼스와 자연어처리를 아우르는 전산언어학과 기계학습 분야가 인문학과 융합한 프로젝트 사례를 살펴보고, 이들 분야가 보조적 역할을 넘어서 인문학 연구의 영역과 연구체계의 근본적 재구조화를 촉진할 가능성을 전망해본다.

      • KCI등재

        뇌에서의 단어 정보 처리와 표상: 신경과학의 성과를 중심으로

        채현식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oblem of word processing and representation in the brain from the viewpoint of neuroscience. In the brain, words are processed and represented based on hearing, vision, body sensory information, and physical motor information. The new word information is processed through the hippocampal system, and represented on the cortical network of the brain after a certain period of consolidation. Among the information of the word, the phonological form is expressed around the auditory cortex, and the character form is represented by the visual (form) perceptual cortex. The sensory meaning of the word is represented in the somatosensory cortex, and the meaning related to the physical motor is represented in the motor cortex. The abstract meaning of a word is represented in several semantichuba based on sensory - physical motor representations. Grammatical words and grammatical morphemes are represented in the cortical area around the Sylvian fissure. On the other hand, lexical words are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sensory - motor domain, including perisylvian area. The lexical category of a word does not seem to be independently represented apart from semantic information of word. 뇌에서의 단어 정보 처리와 표상 문제를 신경과학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이 글의 목적이다. 뇌에서 단어는 청각, 시각, 신체 감각 정보나 신체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되고 표상된다. 새로운 단어의 정보는 해마 체계를 거쳐 처리되되, 일정한 응고화 기간이 지난 뒤에 뇌의 피질 네트워크에 표상된다. 단어의정보 중 음운 형식은 청각 피질 주변에, 문자 형식은 시각(형태) 지각 피질에표상된다. 단어의 구체적, 감각적 의미는 해당 감각적 지각을 표상하는 지각 피질 부위에, 신체 운동과 관련된 의미는 운동 피질 부위에 분산 표상된다. 단어의 추상적 의미는 감각-신체 운동 표상을 바탕으로 몇 군데 의미 허브 영역에표상된다. 문법적 단어나 문법형태소는 실비우스 틈새 주변의 피질 영역에 집중되어 표상된다. 반면 어휘적 단어는 실비우스 틈새 주변 피질을 포함하여 감각-운동 영역에 걸쳐 넓게 분산되어 표상된다. 단어의 어휘범주는 의미정보와 떨어져서 독자적으로 표상되지 않는 듯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