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양수산부의 무인도서 실태조사방법 개선방안

        오강호 ( Oh Kang-ho ),신상은 ( Shin Sang-eun ),차성식 ( Cha Seong-sig ),김해경 ( Kim Hai-gyoung ),윤석태 ( Youn Seok-tai ),고영구 ( Koh Yeong-koo ) 한국도서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1

        이 연구는 해양수산부와 환경부의 무인도서 실태조사와 주변국인 일본과 중국의 무인도서 실태조사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은 해양수산부 제2차 무인도서 실태조사의 과학적·체계적인 조사를 위한 대상, 내용, 방법 등의 실태조사 전반에 걸친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있다. 일본과 중국의 도서 실태조사 목적은 해양영토 확보에 중점을 두고 인문, 사회, 문화, 자원, 자연환경 등을 망라한 통합적 조사와 문헌 조사, 탐문 조사, 위성, 항공 등의 장비조사가 복합적으로 진행되는 반면, 우리나라 무인도서 실태조사는 대상과 방법에 있어 미흡한 점이 많다. 지난 20년간 무인도서 실태조사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첫째, 무인도서에 대한 전수조사가 진행되지 않아 실태조사에서 누락된 무인도서들이 존재한다. 둘째, 자연환경 실태조사 분야가 일정 부분 중복 조사로 진행되고 있다. 셋째, 무인도서 실태조사 방법 및 평가는 환경부의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을 준용하고 있어 도서의 특수성에 따른 과학적 조사 방법과 객관적 평가를 할 수 없다. 우리나라 무인도서 실태조사는 무인도서 전수조사, 복합적 DB 구축, 과학적·체계적인 현장조사 방법에서 개선할 필요성이 크다. 무인도서 실태조사 개선 사항으로 첫째, 무인도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전수조사 방법은 행정구역별 조사로 미등록 무인도서까지 조사하여야 한다. 무인도서는 밀집 지역과 분산 지역이 다르고, 지번 부여를 위해서 행정구역별 조사가 효율적이다. 둘째, 무인도서 DB는 체계성, 연속성, 복합성을 고려하여 구축하여야 한다. 무인도서 DB 구축은 관련 부처간의 협의를 통해 주무부처인 해양수산부 주관 속에 관리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셋째, 무인도서 실태조사도 무인도서 자연환경조사, 사회경제적 가치평가, 유형별 관리방안 등이 함께 진행하여야 한다. 특히 육역부와 해역부를 함께 조사하여야 한다. 육역부 조사는 지형·지질·경관, 육상생물 조사를 실시하고, 해역부 조사는 해양생물 및 주변 해역 환경 조사를 실시하여 무인도서와 주변해역의 종합적인 실태조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field researches made by the MOF(Ministry of Ocenas and Fisheries) on uninhabited islands. It also covers surveys conducted by our ministry of environment and of Japan and China. The study focuses on finding an improvement plan that can solve problems raised from the second field research on uninhabited islands. In our country, field researches on uninhabited islands is not systematic, especially in terms of subjects and methods. Some of the typical problems of previous researches was that they would miss out a few islands due to the lack of total inspection. Also, field researches on natural environment of the islands were carried out more than twice. Thirdly since most of them were mainly based on the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Guide”made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results failed to reflect peculiarities of specific islands. Compared to the field researches conducted in Japan and China, our ministry of environment needs more improvement in total inspection, composite data building and scientific and systematic research. Improvements for the database construction are firstly a total inspection on the islands, including the unlisted ones, and secondly an investigation o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in regards to their density. Also, giving each island an address is essential. Thirdly, DB construction for this islands needs to be more systematic, continuous and complex. Thus, it should be administrated by the MOF(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in cooperation of other related divisions. Last of all, field research must proceed in parallels of natural environment survey, socio-beneficial evaluation and type suitable management. Lastly, land and marine areas must be investigated together in the research. Land area includes terrane, geology, landscape and land-life, while the marine area includes sea-life and the surrounding sea area. To synthesize them, it is necessary to perform researches on uninhabited island itself and its surrounding area.

      • KCI등재

        무인도서의 식생과 식생보전가치등급 -전남 완도군 중심으로-

        김하송 ( Ha Song Kim ),명현호 ( Hyeon Ho Myeong ),박정원 ( Jung Won Park ),조영준 ( Young Jun Cho ),오장근 ( Jang Geun Oh )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4

        2015년 5월부터 10월까지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약산면, 청산면, 금일읍, 노화읍, 보길면에 위치한 치도, 형도, 제도, 장고도, 대망도, 상도, 흰여도, 소병풍도, 낭도, 형제도, 갈도, 복생도, 바리섬, 경서도, 지초도 주변지역에 위치한 주요 무인도서를 중심으로 현지 답사를 통하여 무인도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식물군락은 낙엽활엽수림 식생인 소사나무군락, 상록침엽수림 식생인 곰솔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상록활엽수림 식생인 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보리밥나무군락, 돈나무군락, 사철나무군락, 사스레피나무군락, 상동나무군락, 돌가시나무군락, 우묵사스레피군락, 상동잎쥐똥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까마귀쪽나무군락, 초지 식생인 칡군락, 멍석딸기-칡군락, 참억새군락, 밀사초군락, 고사리군락, 찔레꽃군락 등이 나타났으며, 각군락의 식생분석과 우점군락을 기술하였고, 식생의 상관, 주요 식생형, 식생평가에 따라 각 조사지점별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조사지역의 무인도 생태자연도 등급 평가 기준에 따라 Ⅰ등급 지역은 복생도와 갈도이며, Ⅱ등급 지역은 장고도와 형제도이며, Ⅲ등급지역은 치도, 제도, 대망도, 상도, 흰여도, 소병풍도, 낭도, 바리섬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지역의 무인도서중에서 식생분야의 특정도서로서 지정이 가능한 도서는 복생도, 갈도, 장고도, 형제도 등으로 생각된다. 이들 도서는 서남해안의 지리적 특성을 갖는 특이 식생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보존가치가 높은 무인도서로 생각된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May to October 2015 to figure out the assessment class of Wando-gun``s vegetation and conservation values. According to the physiognomic classification, this area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4 categories. Th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evergreen coniferous fores,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and herb veget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classification, the Braun-Branquet method can categorize the plants into twenty-two different communities, such as the Carpinus turczaninowii, Pinus thunbergii, Pinus thunbergii-Eurya japonica, Castanopsis sieboldii, Machilus thunbergii, Elaeagnus macrophylla, Pittosporum thbira, Euonymus japonicus, Eurya japonica, Sageretia thea, Rosa wichuraiana, Eurya emarginata, Ligustrum quihoui, Camellia japonica, Quercus acuta, Litsea japonica, pueraria lobata, Rubus parvifolius-pueraria lobata, Miscanthus sinensis, Carex boottiana, Pteridium aquilinum, Rosa multiflora community. The grade Ⅰ area includes Bokssaengdo and galdo which are both uninhabitied islands that has a ecological nature states. Grade Ⅱ area is Janggodo and Hyeongjedo, and grede Ⅲ area is Chido, Jedo, Daemangdo, Sangdo, Huinyeodo, Sobyeongpungdo, Nangdo, and Bariseom. The islands designated as the specific islands of vegetation areas are Bokssaengdo, galdo, Janggodok, Hyeongjedo. These islands contribute to the specific geographical characteristic of the Southwesten Coast, and thus its conservation value is high.

      • KCI등재

        전라남도 남해안 유인도서 팔색조 분포 및 임상에 대한 연구

        김은미 ( Kim Eun-mi ),강창완 ( Kang Chang-wan ),전철현 ( Jeon Chul-hyun ),오미래 ( Oh Mi-rae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2

        팔색조는 국제적 멸종위기종으로 생존 개체수에 대한 파악은 멸종을 막기 위해 중요하다. 이번 조사는 2014년과 2015년에 실시하였으며 팔색조가 도래하는 시기인 5월 하순부터 번식기인 8월 하순까지 월 2회 이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 전라남도 남해안에 위치한 유인도서 중 완도군, 고흥군, 여수시에 속하는 12개 도서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서식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실시하였고 임상도를 통해 현재의 번식지 상황을 살펴보았다. 팔색조는 9개 유인도서에서 41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금오도에서 13개체가 관찰되어 전라남도 남해안 유인도서 중 가장 많은 개체가 관찰되었고 다음으로 거금도에서 10개체가 관찰되었다. 팔색조는 계곡 주변이나 상수원보호구역, 사찰 등 사람 접근이 어렵거나 제한되었고 산림 훼손이 덜한 지역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임상으로는 상록활엽수림과 낙엽활엽수림 그리고 침활혼효림 지역에서 관찰되었다. 이들 도서지역의 임상도를 살펴보았을 때 팔색조가 번식지로 선택한 지역은 4영급의 수목이 산림을 이루는 곳이었으며, 전라남도 남해안 유인도서 임상은 1970년대까지 성행하던 땔감용 그리고 목재용 벌채가 줄어들면서 기존에 작은 면적으로 남아있던 상록활엽수림과 식재된 곰솔림 그리고 맹아림 등의 숲이 30-40년이 지난현재 팔색조가 서식하기에 적합한 숲의 규모나 구조로 성장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It is essential that we know how many Fairy Pittas survived globally since this species is an international endangered species.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Fairy Pitta at 12 inhabited islands belonging to Wando-gun, Goheung-gun, Yeosu-si, located at the southern coast of Jeollanamdo province from 2014 to 2015. We visited these islands from the end of May to the end of August during 2 years for more than twice a month. We searched for literatures and the map of forest type for understanding the habitat environment. We confirmed 41 Fairy Pittas in 9 inhabited island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individuals(13) inhabited was the Geumodo Island which belonged to Yeosu-si, followed by the Geogeumdo(10) Island that belonged to Goheung-gun. We observed these forest species around the valley, temple and protection area of source water where human approach was difficult and restricted and thus, forest damage was less. These birds were observed in the evergreen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nd mixed forest of soft and hardwood. According to the forest type map in several islands, the trees of 4 grade age-class were composed of forests of the breeding areas. Authors believe that deforestation for fuels and timbers flourishing in the 1970s declined and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stayed within a small area. Also, the black pine forest( planted in the 1970s) and the sprout forest became a good forest condition for the Fairy Pitta’s breeding in terms of size and structure after 30-40 years.

      • KCI등재

        조미김의 대중국 진출을 위한 마케팅믹스 전략 연구

        김석민 ( Kim Seog-min ),전의천 ( Jun Eui-cheon ),최인녕 ( Choi Lin-yeong ),한상옥 ( Han Sang-ok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한·중 FTA의 대표적 수혜품목으로 주목받고 있는 조미김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대 중국 시장진출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연구의 주요내용과 방법으로, 먼저 세계와 한·중 양국 김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을 관련 기관의 통계 및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한 후, 한국과 중국의 김산업 무역구조와 국제경쟁력을 분석하였다. 중국 시장 내 한국, 태국, 일본 및 대만산 조미김의 국제경쟁력을 시장점유율(Market Share), 무역특화지수(Trade Specialization Index) 및 현시비교우위(RCA)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2015년 기준 한국의 MS가 65.14, TSI가 1.0, RCA가 1.37로 가장 높게 나타나 한국이 중국시장 내에서 절대적인 비교우위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태국이 일본의 중국시장 점유율 감소분을 대부분 흡수하면서 2015년 이후 시장점유율, 무역특화지수 및 현시비교우위지수를 빠른 속도로 증가시키면서 한국과의 경쟁이 점차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으로 조미김의 위생검역 및 라벨링 규정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한 문제점과 준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중국 조미김 유통시장 분석을 통한 마케팅믹스(Marketing Mix) 전략을 중국 소비자 요구에 맞는 다양한 맛의 제품 개발, 가공형상의 다양화, 건강 또는 선물세트 개발 등을 통한 가격차별화, 전문 및 온라인 유통채널 개발방안 등으로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는 한·중 FTA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에서는 중국의 조미김 관련 과도한 위생 검역기준을 완화시키기 위한 한중 검역·검사 협력 MOU를 체결을 추진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업차원에서는 OEM 수출방식을 지양하고 한·중 FTA로 인한 중국 내 한국산 제품에 대한 이미지 제고효과를 적극 활용하여 중국 소비자들에게 한국산 조미김의 브랜드 이미지를 강하게 인식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propose the strategy for seasoned seaweed, which is gaining attention as a representative product that will benefit from the Korea-China FTA, to penetrate into the Chinese market. As for the main contents and methods of the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in the seaweed industry (both in Korea and China) was analyzed using statistics and preceding researches from both countries. Also the trade structure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and Chinese seaweed industry were analyz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Based o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terms of market share, the Trade Specialization Index an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RCA) Index of 4 competing countries within China; Korea, Thailand, Japan and Taiwan, Korea`s MS was 65.14, TSI was 1.00 and F-H RCA was 1.37 in 2015. This indicates that Korea had secured an absolute comparative advantage in the Chinese market. Moreover, as a strategy to penetrate into the Chinese market, this study systematically proposed a measure involving Sanitary and Phytosanitary as well as compliance with the labelling regulations for the seasoned seaweed. In addition, a Marketing Mix strategy based on the analysis of China`s distribution market for seasoned seaweed was suggested. In conclusion,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s of the Korea-China FTA, the government has to engage in entering into a MOU for sanitary and phytosanitary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n order to relieve the excessive sanitary and phytosanitary criterion with regards to the seasoned seaweed of China. Furthermore, from the company`s perspective, they have to not be oriented on OEM export methods, and efforts must be made to strongly promote the brand image of Korean seasoned seaweed to the Chinese consumers.

      • KCI등재

        한반도 서남해의 특정도서(병풍도, 탄항도, 백야도, 납태기도, 행금도)의 보호조류 서식현황 연구

        김우열 ( Woo Yuel Kim ),성하철 ( Ha Cheol Sung ),빙기창 ( Gi Chang Bing ),최원석 ( Won Suk Choi ),이지용 ( Ji Yong Lee )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보호 조류의 생태적 특징을 고려한 지속적 보전방안의 활용을 목적으로 2012년 5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조류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지역에 속해있는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1호’에 의해 지정된 한반도 서남해 남단 다도해해상 진도군일대의 특정도서(병풍도, 탄항도, 백야도, 납태기도, 행금도)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52종 765개체(최대개체수 기준)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20종의 국내보호조류가 관찰되었다. 또한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IUCN Red List)``의 관심대상종(LC, Least Concern) 이상 등급은 총 49종으로 나타났으며, 위기근접종(NT, Near Threatened) 2종, 취약종(VU, Vulnerable) 1종이 함께 조사되었다. 세계자연보전연맹의 취약종(LC) 초과 등급 3종으로 전체 5.8%를 차지하였다. 또한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국내·외 보호조류는 한국조류목록(한국조류학회, 2009) 중 국내 법정보호종과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전체 보호종 수를 기준으로 국내 멸종위기야생생물 조류는 9.6%로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형학과 식물생태학적 측면에서 조류와 서식지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면적이 가장 넓은 병풍도에서 종수와 고도가 가장 높았고 면적이 가장 작은 탄항도에서 종수와 고도가 가장 낮았다. 결과적으로 서식지가 넓을수록 종수와 개체수가 높게 나타났고 서식지가 작을수록 종수가 적게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서식지가 넓을수록 종수와 개체수가 많이 관찰되는 경향을 보였고, 고도와 조류 종수의 비교에서는 최대 고도와 식생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line with the continuous conservation plans for birds protected by law in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rea, Korea, we surveyed the bird communities of five islands (Byeongpungdo, Tanhangdo, Baekyado, Naptaegido and Haenggeumdo), which are all appointed by the "Special Act on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in Island Areas including Dok Island". We conducted the survey once or twice every year from May 2012 to September 2014, each considering birds`` breeding (summer) and migratory (fall) seasons. In total, 768 individual birds and 52 species were observed within the five islands, and 20 species were protected by law in Korea. According to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e) Red List Status, 49 species were classified as least concerned (LC), 2 near threatened (NT) and 1 vulnerable (VU). Thus, 5.8% were recorded above the LC level, and 9.6% were listed on the endangered category I and II.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es richness and their habitat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Byeongpungdo showed the highest species richness and covered the largest area with the highest altitude. On the other hand, Tanhangdo had the smallest area and lowest altitude and showed the lowest species richness. This relationship indicates that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species has a high correlation with size, altitude and the islands ’vegetation structure.

      • KCI등재

        전라북도 부안군ㆍ고창군 무인도서 식생에 관한 연구

        이남숙 ( Lee Nam-sook ),김창환 ( Kim Chang-hwan ),이희철 ( Lee Hee-chul ),최영은 ( Choi Young-eun ),장수림 ( Jang Su-rim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2

        부안군과 고창군의 무인도서는 총 30개이며, 이들 도서 중 식생이 형성된 도서는 20개로 조사되었다. 20개의 식생이 형성된 도서 중 부안군 소재 무인도서는 18개이며, 고창군 소재 무인도서는 2개로서 심원면 만돌리에 위치한다. 20개 무인도서의 주요 식생은 억새군락 15.87%, 곰솔군락이 13.83%, 소사나무군락이 6.00%로서 전체 면적의 35.70%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순 식생면적으로는 154,267.60㎡로서 대부분이 이들 군락들에 의하여 우점되어 있다. 무인도서별 군락 다양성은 큰딴지도가 9개 군락이 분포하고 있으며, 증조도 5개 군락, 모괴도, 수리바위도 4개 군락이 분포하고 있어 큰딴지도를 제외하면 1-5개 군락이 분포하고 있어 군락 다양성은 비교적 낮다. 군락 출현비율은 곰솔군락과 억새군락이 높았으며, 곰솔군락이 분포하고 있는 무인도서에서는 곰솔군락의 분포비율이 높았다. 한편 전체 20개 무인도서에서 분포하는 군락은 총 22개 군락이며 이들 중 초본성 군락과 아ㆍ관목성 군락은 각각 7개 군락이 있으며, 교목성 군락은 9개 군락이 분포한다. 특히 곰솔군락은 대부분이 식재된 군락이며, 억새, 참억새군락은 방목에 의해 형성된 군락이며, 이대와 왕대는 과거 방목 등의 관리를 위해 건축된 건축물 주변에 식재된 형태로 군락을 이루고 있다. 20개 무인도서의 전체적인 식생의 특징은 난대성 수목군락이 많지 않으며, 곰솔, 억새 등 식재 또는 교란된 식생의 분포비율이 비교적 높고 사구 식생이 거의 분포하지 않은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무인도서의 식생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천이가 진행되면 난대성 수종인 사스레피나무, 동백나무, 다정큼나무 등과 소사나무군락 분포 비율의 증가가 예상된다. Six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from May to September of 2013 in order to identify vegetation and develop the current vegetation map of uninhabited islands in Buan-gun and Gochang-gun of Jeollabukdo. In total there were 30 uninhabited islands in Buan-gun and Gochang-gun, and vegetation was formed in 20 of them. Among the 20 uninhabited islands, 18 were located in Buan-gun and two in Mandol-ri, Simwon-myeon of Gochang-gun. Main vegetation of 20 uninhabited islands was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community of 15.87%, the Pinus thunbergii community 13.83%, and the Carpinus coreana community 6.00%. Those three communities accounted for 35.70% of the total area. The net vegetation area was 154,267.60m2, and was mostly dominated by these communities. Regarding vegetation diversity, Keunttanji Island had nine communities, and Jeungjo Island had five communities. Mogoe Island and Suribawi Island had four communities each. Since the number of communities in these islands ranged from one to five except for the Keunttanji Island, and the community diversity was relatively low. The 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community had a high origination rate. In the uninhabited islands where the Pinus thunbergii community was largely distributed, the distribution ratio of Pinus thunbergii community was high. A total of 22 communities were distributed in the 20 uninhabited islands. The number of herbaceous community, shrub community and subtree community were seven each, while the arboreal community was nine. Especially, in the Pinus thunbergii community most of those trees were planted and the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were formed by grazing. The Pseudosasa japonica and Phyllostachys bambusoides were planted around a structure that was constructed before for the purpose of management including grazing. As for the characteristic of overall vegetation in the 20 uninhabited islands, warm temperature communities were rare. Also, the distribution rate of planted or disturbed communities like the Pinus thunbergii and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was relatively high. Another characteristic was that the dune vegetation was rarely distributed. As the succession progresses, these uninhabited islands are expected to face an increase in the level of Eurya japonica, Camellia japonica, Raphiolepis umbellata and the Carpinus coreana community, all warm temperature species.

      • KCI등재

        여수시 묘도 일대의 지형 및 지질경관 특성에 관한 연구

        김해경 ( Hai Gyoung Kim,)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4

        유네스코는 세계 도처에 분포하는 지질유산을 평가하여 세계 문화보존, 자연환경 보호의 목적과 지질다양성 보전과 교육 그리고 관광으로 이어져 지역의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세계지질공원 인증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 자연공원법을 개정하여 국내에 분포하는 보존가치가 있는 지질유산을 평가하여 관광과 교육을 겸하는 지질관광을 통한 지역 경제발전과 환경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최근 학계에서도 지질유산과 지질관광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이와 관련하여 전라남도에 분포하는 도서에 관한 지형 및 지질환경적인 측면 그리고 관광과 교육을 접목한 지질관광 측면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 여수시 묘도지역을 중심으로 이 일대에 분포하는 지형 및 지질 경관의 특징을 조사 및 분석하고 지질관광 및 교육적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묘도 일대지역에 분포하는 지형 및 지질경관을 조사 및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지형)에 따른 지형경관 분석결과는 해안지형으로 분류되며 구체적으로는 해식애, 해안타포니, 자갈해안이 분포하여 3종류의 지형경관이 분포하고 있다. 지형 및 지질 유산의 조사 대상(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3)의 항목을 기초로 하여 비교하면 연구지역에서는 일반 지형의 해안분류에서 해식애, 암석해안의 2종류 그리고 일반 지질이 분류에서 층리, 사층리, 점이층리, 결핵체, 역암, 사암, 이암, 셰일, 절리, 암맥, 안산암, 화강암 및 단층의 13종류로 총 15종류가 분포하고 있다. 이외에도 엽층리, 구상풍화 현상과 핵석 그리고 식물뿌리에 의한 풍화현상과 화강암이 풍화되어 풍화토가 분포하는 토양단면이 관찰된다. 전라남도 여수시 묘도 일대에 분포하는 다양한 지형 및 지질경관은 지구 역사의 변화과정을 기록하고 있으며 경관적가치 뿐만 아니라 과학적인 내용을 광범위하고 포함하고 있다. 연구 지역에 분포하는 다양한 지형 및 지질경관 중에는 특히, 층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입자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점이층리, 변위가 수 cm인 정단층, 퇴적암을 관입한 두께가 약 1m 내외인 암맥, 다양한 유형의 해안 타포니 그리고 핵석의 형성과정을 보여주는 구상풍화 현상을 관찰할 수있다. 이러한 지형 및 지질경관은 관광객을 위한 생태관광, 지질관광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뿐만 아니라 초, 중등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지형 및 지질을 관찰하고 탐구할 수 있는 야외체험 학습의 자료로서도 활용가치가 있다. 연구 지역 내에 분포한 다양한 지형 및 지질경관 중에 지질유산으로서 가치 여부의 판단은 보다 세부적이고 다각적인 전문가 조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um for geotourism and education by surveying the characteristics of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distributed in Myodo Area, Yeosu city, Korea. For this study, geological survey was performed in the rocky coast and beach of Myodo and Weollaedong, Yeosu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from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12) and the categorization of Korea Environment Institute(2003), three types (sea cliff, marine tafoni, gravel beach)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s and fifteen types(stratification, cross bedding, graded bedding, joint, dyke, andesite, granite, conglomerate, fault etc.) of geological landscapes are distributed in the study area. In addition, various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graded as bedding, normal fault, marine tafoni and spheroidal weathering are distributed in this study area. Such landscapes are worthy in the basic resource for geotourism and education on earth science due to its value as scenery and historical records. More detailed geological investigation in this study area is needed to designate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as geoheritage which is worth preserving.

      • KCI등재

        서남해 도서·해안지역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산림관리 - 천관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을 중심으로 -

        곽광호 ( Kwag Kwang-ho ),김은일 ( Kim Eun-ii ),김종영 ( Kim Chong-young ),안기완 ( An Ki-wan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서남해 도서와 해안지역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 대한 임분 관리와 유전자원의 효율적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전남 지역에 산재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현황을 살피고, 이 지역을 대표하는 천관산 동백나무림(장흥군 소재)을 대상으로 산림군집구조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임분의 지속가능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남지역에 지정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면적은 78개소 2,411 ha로 나타났다. 이중 내륙지방은 전체 면적의 12.1 %인 291 ha에 불과하였으나, 완도, 신안, 진도(조도) 등 도서지역이 87.9 %인 2,119 ha를 차지하고 있었다. 천관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은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보기 드문 동백나무 순림이 약 20 ha에 걸쳐 형성되어 산림유전자원으로서의 보전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해발 200 m를 기준으로 산록부와 산복부에 분포하는 동백나무의 입목밀도, 평균 성장량, 종 구성에서 차이가 나타나는데, 산록에 비해 산복에서 입목밀도가 낮고 종 구성이 단순한 반면, 수고와 경급 성장량이 높았다. 해발 200 m 미만 임분의 아교목층 중요치는 동백나무(169.76), 산벚나무(21.26), 참식나무(16.06), 때죽나무(14.60), 자귀나무(13.75)의 순이었으며, 해발 200 m 이상 임분에서는 동백나무(243.96), 참식나무(24.65), 합다리나무(15.73), 예덕나무(15.65)의 순으로 분석되어 전형적인 순림의 임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해발 200 m 미만 관목층 중요치는 동백나무(82.46), 참식나무(66.37), 조록싸리(19.76), 산초나무(17.88)의 순으로, 해발 200 m 이상에서는 참식나무(164.52), 동백나무(47.89), 고추나무(25.46), 산초나무(19.39)의 순으로 오히려 참식나무의 중요치가 더 높게 나타나 산림유전자원의 보전을 위해서는 산복부의 하층식생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해발고도에 따른 임상 변화는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과 인접한 마을 주민들의 산림이용활동이 주된 원인인 것으로 파악되며, 향후 이 숲을 보전하기 위한 정책 방향, 시업 기술의 적용 등 관리계획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판단 기준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protected areas within the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The study was based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Camellia japonica L. stand in Mt. Cheongwan, Jangheung-gun. The area of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in Jeollanam-do Province was found to be 78 points 2,411 ha. This constituted only 12.1 % of the inland area, but the coastal and island areas such as Wando, Shinan and Jindo accounted for 87.9 % of Jeollanam-do Province area. The mean DBH was 15.3 cm, and average height was 5.4 in altitude of over 200 m. In contrast, the mean DBH was 7.7 cm, and average tree height was 4.9 cm in altitude of less than 200 m. According to the importance value, the subtree layer that showed an altitude of less than 200 m, was Camellia japonica L.(169.76), Prunus sargentii Rehder(21.26), Neolitsea sericea BL(16.06), Styrax japonica Siebold & Zucc.(14.60), Albizia julibrissin Durazz(13.75). The subtree layer whose altitude was over 200m was Camellia japonica L.(243.96), Neolitsea sericea BL.(24.65), Meliosma oldhamii Maxim.(15.73), Mallotus japonicus (L.f.) Mull.Arg(15.65). The species uniformity and diversity was high in the side of the mountain compared to the bottom, while dominance showed high in the bottom of a mountain rather than the side. Camellia japonica L. stand dominated in the study site but if forest gap was to occurred, Neolitsea sericea BL. was judged to have high growth potential in the crown canopy through competition with Camellia japonica L.. In sh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provide an important criterion that can build a management plan to preserve this forest.

      • KCI등재

        일본의 김 소비변화에 대한 고찰

        백은영 ( Eun Young Baek ) 한국도서학회 2014 韓國島嶼硏究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김의 주요 수출국인 일본의 김 소비변화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김 산업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김 수급동향, 소비특성, 유통구조와 연도별 김 생산량과 양식어가 수 추이에 대해 제시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핵심인 일본의 김 소비 감소 원인에 대해 살펴보고 사점을 도출했다. 일본의 김 소비 감소 주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의 가구원수 변화이다. 특히 단독가구와 2인 가구원수 증가로 과거보다 김 소비가 감소했다. 둘째, 김 양식어가 수 감소이다. 과거보다 김 양식 의존도는 높아졌으나, 김 양식어가 소득은 오히려 줄었다. 셋째, 일본의 과잉재고와 고착화된 유통구조이다. 기존 거래 방법을 고수함에 따라 유통 마진을 증가시켰고, 소비가 줄면서 재고 또한 증가세를 보였다. 마지막으로는 수입산과의 가격경쟁력 저하이다. 일본의 김 소비 변화를 통해 살펴 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가까운 미래에 김 소비가 감소할 여지를 전혀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일본의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의 김 산업의 문제점을 미리 점검해 보고, 소비자 니즈에 맞는 제품 개발과 소비변화에 대해 수시적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aver consumption in Japan, the major export county of our local laver, and to search methods that can develope the Korean laver industry. The study suggested the current supply and demand of laver in Japan, consumption features, distribution system, yearly laver production and laver farming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laver consumption decline in Japan and to deduct implications on the local laver industry. Firstly, the major cause of reduction in laver consumption is the chang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in Japan. Compared to the past, due to the increase in single or two-family households, laver consumption has decreased significantly. Although dependence on laver farming has increased, the total income generated from it has decreased. Thirdly, this trend is also related to the excessive stocks and fixed distribution system of Japan. Due to the conventional dealing method, as distribution margin increased and consumption decreased, inventory and stock increased. Lastly, low price-competitiveness compared to the foreign products is one of the major causes. While the price of foreign laver products decreased, the ones from Japan maintained its high price, increasing price difference. Due to the change in laver consumption in Japan, the laver consumption in Korea is likely to decrease. Thus, looking into the problems of the laver industry in Korea in advance is required, along with developing products that meet customer’s needs and monitoring consumption pattern at all times.

      • KCI등재

        보건진료원의 은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도서 및 오벽지를 중심으로-

        조유향 ( Yoo Hyang Cho ),정영해 ( Youn Ghae Chung ) 한국도서학회 2014 韓國島嶼硏究 Vol.26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lluminate the related factors of preparedness and satisfaction concerning the retirement of CHPs. Secondary data from 467 CHPs was analyzed. The used data is same to the one collected by Cho and Chung(2013). Chi-squared tests, Fisher`s exact tests, t-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analyzed using SPSS 14.0. 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Age, economic status, eligious gathering activity, duration of work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retirement preparedness of CHPs. Satisfaction on their retirement preparedness was related to age, current living area, presence of spouse, economic status, attendance of friendly meeting and duration of work. Factors related to the retirement preparedness of the CHPs were age, duration until retirement, intention to retire early,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after retirement. In addition, factors related to the satisfaction of retirement preparedness of CHPs were wanted retire age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after retirement. Given that all other factors are equal, younger age, higher economic status, longer duration of work, necessity of CHP post were positively linked with the CHPs` satisfaction towards their retirement prepared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