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양수산부의 무인도서 실태조사방법 개선방안

        오강호 ( Oh Kang-ho ),신상은 ( Shin Sang-eun ),차성식 ( Cha Seong-sig ),김해경 ( Kim Hai-gyoung ),윤석태 ( Youn Seok-tai ),고영구 ( Koh Yeong-koo ) 한국도서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1

        이 연구는 해양수산부와 환경부의 무인도서 실태조사와 주변국인 일본과 중국의 무인도서 실태조사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은 해양수산부 제2차 무인도서 실태조사의 과학적·체계적인 조사를 위한 대상, 내용, 방법 등의 실태조사 전반에 걸친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있다. 일본과 중국의 도서 실태조사 목적은 해양영토 확보에 중점을 두고 인문, 사회, 문화, 자원, 자연환경 등을 망라한 통합적 조사와 문헌 조사, 탐문 조사, 위성, 항공 등의 장비조사가 복합적으로 진행되는 반면, 우리나라 무인도서 실태조사는 대상과 방법에 있어 미흡한 점이 많다. 지난 20년간 무인도서 실태조사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첫째, 무인도서에 대한 전수조사가 진행되지 않아 실태조사에서 누락된 무인도서들이 존재한다. 둘째, 자연환경 실태조사 분야가 일정 부분 중복 조사로 진행되고 있다. 셋째, 무인도서 실태조사 방법 및 평가는 환경부의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을 준용하고 있어 도서의 특수성에 따른 과학적 조사 방법과 객관적 평가를 할 수 없다. 우리나라 무인도서 실태조사는 무인도서 전수조사, 복합적 DB 구축, 과학적·체계적인 현장조사 방법에서 개선할 필요성이 크다. 무인도서 실태조사 개선 사항으로 첫째, 무인도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전수조사 방법은 행정구역별 조사로 미등록 무인도서까지 조사하여야 한다. 무인도서는 밀집 지역과 분산 지역이 다르고, 지번 부여를 위해서 행정구역별 조사가 효율적이다. 둘째, 무인도서 DB는 체계성, 연속성, 복합성을 고려하여 구축하여야 한다. 무인도서 DB 구축은 관련 부처간의 협의를 통해 주무부처인 해양수산부 주관 속에 관리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셋째, 무인도서 실태조사도 무인도서 자연환경조사, 사회경제적 가치평가, 유형별 관리방안 등이 함께 진행하여야 한다. 특히 육역부와 해역부를 함께 조사하여야 한다. 육역부 조사는 지형·지질·경관, 육상생물 조사를 실시하고, 해역부 조사는 해양생물 및 주변 해역 환경 조사를 실시하여 무인도서와 주변해역의 종합적인 실태조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field researches made by the MOF(Ministry of Ocenas and Fisheries) on uninhabited islands. It also covers surveys conducted by our ministry of environment and of Japan and China. The study focuses on finding an improvement plan that can solve problems raised from the second field research on uninhabited islands. In our country, field researches on uninhabited islands is not systematic, especially in terms of subjects and methods. Some of the typical problems of previous researches was that they would miss out a few islands due to the lack of total inspection. Also, field researches on natural environment of the islands were carried out more than twice. Thirdly since most of them were mainly based on the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Guide”made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results failed to reflect peculiarities of specific islands. Compared to the field researches conducted in Japan and China, our ministry of environment needs more improvement in total inspection, composite data building and scientific and systematic research. Improvements for the database construction are firstly a total inspection on the islands, including the unlisted ones, and secondly an investigation o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in regards to their density. Also, giving each island an address is essential. Thirdly, DB construction for this islands needs to be more systematic, continuous and complex. Thus, it should be administrated by the MOF(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in cooperation of other related divisions. Last of all, field research must proceed in parallels of natural environment survey, socio-beneficial evaluation and type suitable management. Lastly, land and marine areas must be investigated together in the research. Land area includes terrane, geology, landscape and land-life, while the marine area includes sea-life and the surrounding sea area. To synthesize them, it is necessary to perform researches on uninhabited island itself and its surrounding area.

      • KCI등재

        조미김의 대중국 진출을 위한 마케팅믹스 전략 연구

        김석민 ( Kim Seog-min ),전의천 ( Jun Eui-cheon ),최인녕 ( Choi Lin-yeong ),한상옥 ( Han Sang-ok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한·중 FTA의 대표적 수혜품목으로 주목받고 있는 조미김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대 중국 시장진출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연구의 주요내용과 방법으로, 먼저 세계와 한·중 양국 김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을 관련 기관의 통계 및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한 후, 한국과 중국의 김산업 무역구조와 국제경쟁력을 분석하였다. 중국 시장 내 한국, 태국, 일본 및 대만산 조미김의 국제경쟁력을 시장점유율(Market Share), 무역특화지수(Trade Specialization Index) 및 현시비교우위(RCA)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2015년 기준 한국의 MS가 65.14, TSI가 1.0, RCA가 1.37로 가장 높게 나타나 한국이 중국시장 내에서 절대적인 비교우위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태국이 일본의 중국시장 점유율 감소분을 대부분 흡수하면서 2015년 이후 시장점유율, 무역특화지수 및 현시비교우위지수를 빠른 속도로 증가시키면서 한국과의 경쟁이 점차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으로 조미김의 위생검역 및 라벨링 규정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한 문제점과 준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중국 조미김 유통시장 분석을 통한 마케팅믹스(Marketing Mix) 전략을 중국 소비자 요구에 맞는 다양한 맛의 제품 개발, 가공형상의 다양화, 건강 또는 선물세트 개발 등을 통한 가격차별화, 전문 및 온라인 유통채널 개발방안 등으로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는 한·중 FTA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에서는 중국의 조미김 관련 과도한 위생 검역기준을 완화시키기 위한 한중 검역·검사 협력 MOU를 체결을 추진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업차원에서는 OEM 수출방식을 지양하고 한·중 FTA로 인한 중국 내 한국산 제품에 대한 이미지 제고효과를 적극 활용하여 중국 소비자들에게 한국산 조미김의 브랜드 이미지를 강하게 인식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propose the strategy for seasoned seaweed, which is gaining attention as a representative product that will benefit from the Korea-China FTA, to penetrate into the Chinese market. As for the main contents and methods of the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in the seaweed industry (both in Korea and China) was analyzed using statistics and preceding researches from both countries. Also the trade structure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and Chinese seaweed industry were analyz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Based o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terms of market share, the Trade Specialization Index an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RCA) Index of 4 competing countries within China; Korea, Thailand, Japan and Taiwan, Korea`s MS was 65.14, TSI was 1.00 and F-H RCA was 1.37 in 2015. This indicates that Korea had secured an absolute comparative advantage in the Chinese market. Moreover, as a strategy to penetrate into the Chinese market, this study systematically proposed a measure involving Sanitary and Phytosanitary as well as compliance with the labelling regulations for the seasoned seaweed. In addition, a Marketing Mix strategy based on the analysis of China`s distribution market for seasoned seaweed was suggested. In conclusion,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s of the Korea-China FTA, the government has to engage in entering into a MOU for sanitary and phytosanitary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n order to relieve the excessive sanitary and phytosanitary criterion with regards to the seasoned seaweed of China. Furthermore, from the company`s perspective, they have to not be oriented on OEM export methods, and efforts must be made to strongly promote the brand image of Korean seasoned seaweed to the Chinese consumers.

      • KCI등재

        전라남도 남해안 유인도서 팔색조 분포 및 임상에 대한 연구

        김은미 ( Kim Eun-mi ),강창완 ( Kang Chang-wan ),전철현 ( Jeon Chul-hyun ),오미래 ( Oh Mi-rae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2

        팔색조는 국제적 멸종위기종으로 생존 개체수에 대한 파악은 멸종을 막기 위해 중요하다. 이번 조사는 2014년과 2015년에 실시하였으며 팔색조가 도래하는 시기인 5월 하순부터 번식기인 8월 하순까지 월 2회 이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 전라남도 남해안에 위치한 유인도서 중 완도군, 고흥군, 여수시에 속하는 12개 도서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서식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실시하였고 임상도를 통해 현재의 번식지 상황을 살펴보았다. 팔색조는 9개 유인도서에서 41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금오도에서 13개체가 관찰되어 전라남도 남해안 유인도서 중 가장 많은 개체가 관찰되었고 다음으로 거금도에서 10개체가 관찰되었다. 팔색조는 계곡 주변이나 상수원보호구역, 사찰 등 사람 접근이 어렵거나 제한되었고 산림 훼손이 덜한 지역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임상으로는 상록활엽수림과 낙엽활엽수림 그리고 침활혼효림 지역에서 관찰되었다. 이들 도서지역의 임상도를 살펴보았을 때 팔색조가 번식지로 선택한 지역은 4영급의 수목이 산림을 이루는 곳이었으며, 전라남도 남해안 유인도서 임상은 1970년대까지 성행하던 땔감용 그리고 목재용 벌채가 줄어들면서 기존에 작은 면적으로 남아있던 상록활엽수림과 식재된 곰솔림 그리고 맹아림 등의 숲이 30-40년이 지난현재 팔색조가 서식하기에 적합한 숲의 규모나 구조로 성장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It is essential that we know how many Fairy Pittas survived globally since this species is an international endangered species.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Fairy Pitta at 12 inhabited islands belonging to Wando-gun, Goheung-gun, Yeosu-si, located at the southern coast of Jeollanamdo province from 2014 to 2015. We visited these islands from the end of May to the end of August during 2 years for more than twice a month. We searched for literatures and the map of forest type for understanding the habitat environment. We confirmed 41 Fairy Pittas in 9 inhabited island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individuals(13) inhabited was the Geumodo Island which belonged to Yeosu-si, followed by the Geogeumdo(10) Island that belonged to Goheung-gun. We observed these forest species around the valley, temple and protection area of source water where human approach was difficult and restricted and thus, forest damage was less. These birds were observed in the evergreen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nd mixed forest of soft and hardwood. According to the forest type map in several islands, the trees of 4 grade age-class were composed of forests of the breeding areas. Authors believe that deforestation for fuels and timbers flourishing in the 1970s declined and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stayed within a small area. Also, the black pine forest( planted in the 1970s) and the sprout forest became a good forest condition for the Fairy Pitta’s breeding in terms of size and structure after 30-40 years.

      • KCI등재

        무인도서의 식생과 식생보전가치등급 -전남 완도군 중심으로-

        김하송 ( Ha Song Kim ),명현호 ( Hyeon Ho Myeong ),박정원 ( Jung Won Park ),조영준 ( Young Jun Cho ),오장근 ( Jang Geun Oh )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4

        2015년 5월부터 10월까지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약산면, 청산면, 금일읍, 노화읍, 보길면에 위치한 치도, 형도, 제도, 장고도, 대망도, 상도, 흰여도, 소병풍도, 낭도, 형제도, 갈도, 복생도, 바리섬, 경서도, 지초도 주변지역에 위치한 주요 무인도서를 중심으로 현지 답사를 통하여 무인도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식물군락은 낙엽활엽수림 식생인 소사나무군락, 상록침엽수림 식생인 곰솔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상록활엽수림 식생인 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보리밥나무군락, 돈나무군락, 사철나무군락, 사스레피나무군락, 상동나무군락, 돌가시나무군락, 우묵사스레피군락, 상동잎쥐똥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까마귀쪽나무군락, 초지 식생인 칡군락, 멍석딸기-칡군락, 참억새군락, 밀사초군락, 고사리군락, 찔레꽃군락 등이 나타났으며, 각군락의 식생분석과 우점군락을 기술하였고, 식생의 상관, 주요 식생형, 식생평가에 따라 각 조사지점별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조사지역의 무인도 생태자연도 등급 평가 기준에 따라 Ⅰ등급 지역은 복생도와 갈도이며, Ⅱ등급 지역은 장고도와 형제도이며, Ⅲ등급지역은 치도, 제도, 대망도, 상도, 흰여도, 소병풍도, 낭도, 바리섬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지역의 무인도서중에서 식생분야의 특정도서로서 지정이 가능한 도서는 복생도, 갈도, 장고도, 형제도 등으로 생각된다. 이들 도서는 서남해안의 지리적 특성을 갖는 특이 식생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보존가치가 높은 무인도서로 생각된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May to October 2015 to figure out the assessment class of Wando-gun``s vegetation and conservation values. According to the physiognomic classification, this area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4 categories. Th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evergreen coniferous fores,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and herb veget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classification, the Braun-Branquet method can categorize the plants into twenty-two different communities, such as the Carpinus turczaninowii, Pinus thunbergii, Pinus thunbergii-Eurya japonica, Castanopsis sieboldii, Machilus thunbergii, Elaeagnus macrophylla, Pittosporum thbira, Euonymus japonicus, Eurya japonica, Sageretia thea, Rosa wichuraiana, Eurya emarginata, Ligustrum quihoui, Camellia japonica, Quercus acuta, Litsea japonica, pueraria lobata, Rubus parvifolius-pueraria lobata, Miscanthus sinensis, Carex boottiana, Pteridium aquilinum, Rosa multiflora community. The grade Ⅰ area includes Bokssaengdo and galdo which are both uninhabitied islands that has a ecological nature states. Grade Ⅱ area is Janggodo and Hyeongjedo, and grede Ⅲ area is Chido, Jedo, Daemangdo, Sangdo, Huinyeodo, Sobyeongpungdo, Nangdo, and Bariseom. The islands designated as the specific islands of vegetation areas are Bokssaengdo, galdo, Janggodok, Hyeongjedo. These islands contribute to the specific geographical characteristic of the Southwesten Coast, and thus its conservation value is high.

      • KCI등재

        한반도 서남해의 특정도서(병풍도, 탄항도, 백야도, 납태기도, 행금도)의 보호조류 서식현황 연구

        김우열 ( Woo Yuel Kim ),성하철 ( Ha Cheol Sung ),빙기창 ( Gi Chang Bing ),최원석 ( Won Suk Choi ),이지용 ( Ji Yong Lee )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보호 조류의 생태적 특징을 고려한 지속적 보전방안의 활용을 목적으로 2012년 5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조류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지역에 속해있는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1호’에 의해 지정된 한반도 서남해 남단 다도해해상 진도군일대의 특정도서(병풍도, 탄항도, 백야도, 납태기도, 행금도)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52종 765개체(최대개체수 기준)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20종의 국내보호조류가 관찰되었다. 또한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IUCN Red List)``의 관심대상종(LC, Least Concern) 이상 등급은 총 49종으로 나타났으며, 위기근접종(NT, Near Threatened) 2종, 취약종(VU, Vulnerable) 1종이 함께 조사되었다. 세계자연보전연맹의 취약종(LC) 초과 등급 3종으로 전체 5.8%를 차지하였다. 또한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국내·외 보호조류는 한국조류목록(한국조류학회, 2009) 중 국내 법정보호종과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전체 보호종 수를 기준으로 국내 멸종위기야생생물 조류는 9.6%로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형학과 식물생태학적 측면에서 조류와 서식지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면적이 가장 넓은 병풍도에서 종수와 고도가 가장 높았고 면적이 가장 작은 탄항도에서 종수와 고도가 가장 낮았다. 결과적으로 서식지가 넓을수록 종수와 개체수가 높게 나타났고 서식지가 작을수록 종수가 적게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서식지가 넓을수록 종수와 개체수가 많이 관찰되는 경향을 보였고, 고도와 조류 종수의 비교에서는 최대 고도와 식생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line with the continuous conservation plans for birds protected by law in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rea, Korea, we surveyed the bird communities of five islands (Byeongpungdo, Tanhangdo, Baekyado, Naptaegido and Haenggeumdo), which are all appointed by the "Special Act on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in Island Areas including Dok Island". We conducted the survey once or twice every year from May 2012 to September 2014, each considering birds`` breeding (summer) and migratory (fall) seasons. In total, 768 individual birds and 52 species were observed within the five islands, and 20 species were protected by law in Korea. According to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e) Red List Status, 49 species were classified as least concerned (LC), 2 near threatened (NT) and 1 vulnerable (VU). Thus, 5.8% were recorded above the LC level, and 9.6% were listed on the endangered category I and II.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es richness and their habitat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Byeongpungdo showed the highest species richness and covered the largest area with the highest altitude. On the other hand, Tanhangdo had the smallest area and lowest altitude and showed the lowest species richness. This relationship indicates that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species has a high correlation with size, altitude and the islands ’vegetation structure.

      • KCI등재

        전라북도 부안군ㆍ고창군 무인도서 식생에 관한 연구

        이남숙 ( Lee Nam-sook ),김창환 ( Kim Chang-hwan ),이희철 ( Lee Hee-chul ),최영은 ( Choi Young-eun ),장수림 ( Jang Su-rim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2

        부안군과 고창군의 무인도서는 총 30개이며, 이들 도서 중 식생이 형성된 도서는 20개로 조사되었다. 20개의 식생이 형성된 도서 중 부안군 소재 무인도서는 18개이며, 고창군 소재 무인도서는 2개로서 심원면 만돌리에 위치한다. 20개 무인도서의 주요 식생은 억새군락 15.87%, 곰솔군락이 13.83%, 소사나무군락이 6.00%로서 전체 면적의 35.70%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순 식생면적으로는 154,267.60㎡로서 대부분이 이들 군락들에 의하여 우점되어 있다. 무인도서별 군락 다양성은 큰딴지도가 9개 군락이 분포하고 있으며, 증조도 5개 군락, 모괴도, 수리바위도 4개 군락이 분포하고 있어 큰딴지도를 제외하면 1-5개 군락이 분포하고 있어 군락 다양성은 비교적 낮다. 군락 출현비율은 곰솔군락과 억새군락이 높았으며, 곰솔군락이 분포하고 있는 무인도서에서는 곰솔군락의 분포비율이 높았다. 한편 전체 20개 무인도서에서 분포하는 군락은 총 22개 군락이며 이들 중 초본성 군락과 아ㆍ관목성 군락은 각각 7개 군락이 있으며, 교목성 군락은 9개 군락이 분포한다. 특히 곰솔군락은 대부분이 식재된 군락이며, 억새, 참억새군락은 방목에 의해 형성된 군락이며, 이대와 왕대는 과거 방목 등의 관리를 위해 건축된 건축물 주변에 식재된 형태로 군락을 이루고 있다. 20개 무인도서의 전체적인 식생의 특징은 난대성 수목군락이 많지 않으며, 곰솔, 억새 등 식재 또는 교란된 식생의 분포비율이 비교적 높고 사구 식생이 거의 분포하지 않은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무인도서의 식생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천이가 진행되면 난대성 수종인 사스레피나무, 동백나무, 다정큼나무 등과 소사나무군락 분포 비율의 증가가 예상된다. Six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from May to September of 2013 in order to identify vegetation and develop the current vegetation map of uninhabited islands in Buan-gun and Gochang-gun of Jeollabukdo. In total there were 30 uninhabited islands in Buan-gun and Gochang-gun, and vegetation was formed in 20 of them. Among the 20 uninhabited islands, 18 were located in Buan-gun and two in Mandol-ri, Simwon-myeon of Gochang-gun. Main vegetation of 20 uninhabited islands was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community of 15.87%, the Pinus thunbergii community 13.83%, and the Carpinus coreana community 6.00%. Those three communities accounted for 35.70% of the total area. The net vegetation area was 154,267.60m2, and was mostly dominated by these communities. Regarding vegetation diversity, Keunttanji Island had nine communities, and Jeungjo Island had five communities. Mogoe Island and Suribawi Island had four communities each. Since the number of communities in these islands ranged from one to five except for the Keunttanji Island, and the community diversity was relatively low. The 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community had a high origination rate. In the uninhabited islands where the Pinus thunbergii community was largely distributed, the distribution ratio of Pinus thunbergii community was high. A total of 22 communities were distributed in the 20 uninhabited islands. The number of herbaceous community, shrub community and subtree community were seven each, while the arboreal community was nine. Especially, in the Pinus thunbergii community most of those trees were planted and the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were formed by grazing. The Pseudosasa japonica and Phyllostachys bambusoides were planted around a structure that was constructed before for the purpose of management including grazing. As for the characteristic of overall vegetation in the 20 uninhabited islands, warm temperature communities were rare. Also, the distribution rate of planted or disturbed communities like the Pinus thunbergii and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was relatively high. Another characteristic was that the dune vegetation was rarely distributed. As the succession progresses, these uninhabited islands are expected to face an increase in the level of Eurya japonica, Camellia japonica, Raphiolepis umbellata and the Carpinus coreana community, all warm temperature species.

      • KCI등재

        신안군 도서지역의 소 사육문화에 관한 연구

        이혜연 한국도서학회 2014 韓國島嶼硏究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vernacular houses and cattle breeding of the Shinan island region, and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housing type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tudy first analyzed the position of cowsheds. It then focused on explaining the marine climate, cattle breeding and its ecological environment. Since the house acts as the main living space, its struct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local lifestyle. The hosts living in the vernacular house are the same people that live in the area.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vernacular house in Sinan-gun differ upon where it is situated. There are largely three types of vernacular house structure. First is one with a cowshed placed in the main house structure. Second is one where the cowshed is placed in the outbuilding, and lastly one without any cowshed. The warm current of the Yellow Sea is responsible for the temperate maritime climate. The oceanic climate depends on the region"s ecology and the type of trees that the island area holds. Evergreen grows wild in the Heuksan area, and since cows feed upon grass and trees are plentiful in the winter fields and mountains of the region, cattle breeding is possible. Thus, in Heuksan area, the vernacular houses are built without any cowsheds.

      • KCI등재

        도서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 내용 분석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

        김미경 ( Kim Mi-keyoung ),오숙현 ( Oh Sook-hyun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도서지역이 많은 전라남도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의 내용을 특수학급현황, 시설, 인력, 프로그램, 주요메뉴 등을 기준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라남도 22개 시군지역 교육청에있는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라남도 각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에 제시된 특수학급현황은 각 학교급인유치원, 초등학교, 중등학교별로 학급 수, 학생 수, 실무사 수 등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는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는 곡성군, 여수시, 장성군, 화순군 등 네 곳으로 나타났다. 반면 강진군, 함평군 등 두 곳은 이러한 내용이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았고 나머지16곳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는 이러한 내용이 부분적으로 제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라남도 각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에 제시된 시설현황의 경우, 관련 내용이 전혀 제시되지 않은 곳이 11곳으로 나타났다. 관련 내용이 제시된 나머지 11곳 센터의 경우 교사실 9곳, 상담실 9곳, 진단평가실 4곳, 방과후 교육실 2곳, 감각통합 치료실 7곳, 언어치료실 6곳, 제과제빵실 3곳, 샤워실 2곳, 기타 시설로는 직업전환실 2곳, 가정생활지원실 1곳, 자료실 1곳, 탕비실 1곳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시설은 특수교육지원센터가 기능과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물리적 환경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전남 소재 22개 특수교육지원센터 중 인력현황 내용이 제시되지 않은 곳은 강진군, 담양군, 목포시, 해남군, 화순군 등 5곳으로 나타났다. 인력 현황 관련내용이 나타난 17곳 센터의 경우 센터장은 16곳, 장학사는 12곳, 특수교사는 4곳, 순회 특수교사는 15곳, 순회 전담강사는 15곳, 치료사는 13곳, 기타 인력으로는 부센터장 3곳, 연수상담홍보지원 1곳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라남도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학기 중 프로그램의 경우 프로그램을 제시하지 않은 곳은 8곳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14곳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경우 특기ㆍ적성교육은 9곳, 치료지원은 7곳, 성교육은 7곳, 직업ㆍ전환교육은 7곳이며 학기 중 프로그램 기타 내용으로는 일상생활체험 1곳, 장애도서대여 1곳, 가족지원 프로그램 1곳, 현장체험학습은 2곳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2곳의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방학 중 프로그램이 제시되지 않은 곳은 3곳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19곳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경우에는 특기ㆍ적성교육은 19곳, 치료지원은 10곳, 직업ㆍ전환 교육은 6곳으로 나타났고 방학 중 프로그램 기타 내용으로는 생태체험은 2곳, 역사탐방은 1곳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에 나타난 프로그램이 구체적이지 못하고 다양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 점은 향후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파악된다. 다섯째, 전라남도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에 제시된 주요 메뉴 내용의 경우 센터소개의 하위메뉴인 `소개`는 20곳, `운영목적`은 15곳, `시설현황`은 7곳, `조직도`는 11곳, `오시는 길`은 11곳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요활동의 하위메뉴인 `선정배치`는 10곳, `순회교육`은 4곳, `치료지원`은 5곳 제시하고 있었다. 특수학급현황은 14곳, 알림마당은 10곳, 자료마당은 15곳, 상담실은 14곳, 갤러리는 16곳, 관련 사이트는 12곳 제시하고 있으며 기타 메뉴 내용으로 특수교육관련법규 1곳, 장애이해교육 1곳, 법률정보 1곳, 학습자료 1곳, 연수자료1곳, 진학정보 1곳, 특수교육연구회 1곳, 개인정보처리방침 1곳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의 내용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난 점은 앞으로 특수교육지원센터홈페이지를 보다 활발히 홍보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보완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ebsites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special classes, facilities, manpower, programs and main categories. The analysis was based on 22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of the Jeollanam-do Education Office.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special classes presented on the websites of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e present number of classes, students and staffs of each school system (kindergarte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needs to be presented. The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at met these requirements were Gokseong-gun, Yeosu-si, Jangseong-gun and Hwasun-gun. However, Gangjin-gun and Hampyeong-gun did not present these contents at all, and in the rest of 16 cities` websites, these contents were only presented partly. Second, in term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facilities, 11 cities did not present the relevant contents. The rest 11 cities had 9 teachers` rooms, 9 counseling centers, 4 diagnosis evaluation rooms, 2 after-school education rooms, 7 sensory integration therapy rooms, 6 language treatment rooms, 3 bakery rooms and 2 shower rooms along with 2 career transition rooms, 1 home life support room, 1 reference room and 1 tea room. Since these facilities are important information,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hould present them, if they wish to perform their functions and roles efficiently. Third, among 22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Jeollanam-do, the cities that did not present the current situation of manpower were Gangjin-gun, Damyang-gun, Mokpo-si and Hwasun-gun. The rest 17 cities presented that the current situation of manpower had 16 center directors, 12 school commissioners, 4 special instructors, 15 traveling special instructors, 15 traveling exclusive instructors and 13 therapists along with 3 vice center directors and 1 training counseling PR support personnel. Fourth, regarding programs thae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operated during semesters, 8 centers did not present programs. In the case of the other 14 centers, there were 9 centers that had special ability aptitude education, 7 therapeutic support, 7 sex education and 7 career transition education along with 1 daily life experience, 1 book rental for the handicapped, 1 family support program and 2 field experience education. Meanwhile, there were 3 centers that did not present programs during vacations. In the case of the rest 19 centers, there were 19 centers that had special ability aptitude education, 10 therapeutic support and 6 career transition education along with 2 ecological experience and 1 history exploration. The fact that the programs presented were not detailed shows that these websites need future improvement. Fifth, regarding main menus presented in the Jeollanam-do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there were 20 centers that had `Introduction`, 15 `Purpose of operation`, 7 `Current situation of facilities`, 11 `Organization map` and 11 `Directions`, which were the sub-category of center introduction. In addition, the sub-category of major activities contained 10 `Selection arrangement`, 4 `Traveling education` and 5 `therapeutic support`. There were 14 centers that had the current situation of special classes, 10 notice board, 15 data section, 14 counseling section, 16 gallery and 12 related sites along with other menus including 1 special education related laws, 1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1 legal information, 1 learning material, 1 training data, 1 school admission guide, 1 special education research committee and 1 personal information handling policy. As shown above, the websites of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lack sufficient contents, which implies that they should compensate the insufficient parts of websites by PR, so that the websites can be better utilized.

      • KCI등재

        수산발효식품(젓갈류)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영광군 도서 및 설도를 중심으로-

        전태갑 ( Tae Ghap Chun )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1

        수산발효식품인 젓갈산업은 중앙정부의 정책적인 지원과 지방자치단체의 신성장동력산업선정 등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젓갈산업의 규모화는 더디게 나타났고, 생산효율성 및 성장성도 매우 둔화되었다. 이것은 정책지원이 효율적이지 못했음을 반증한다. 또한 농어촌개발이 도농소득격차 극복을 위한 경제적 측면에서 농어촌 어메니티를 포함한 포괄적 개발방식으로 전환되고 있음에도 기존 연구결과는 이러한 사항은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이를 적용한 발전방안 제시에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취지에 따라 문헌연구와 현장조사를 병행하여 젓갈산업의 현황과 중앙정부의 정책적 지원, 지방자치단체의 사업추진 등을 살펴본 결과 젓갈산업을 향토산업으로 육성하고, 농어촌어메니티를 활용한 포괄적 개발과 그린투어리즘과 연계를 강화한 지오투어리즘추진, IT·BT·NT 등 융·복합 기술의 도입, 인력양성이 젓갈산업발전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특히 인력양성은 젓갈산업발전의 초석임과 동시에 지역주도 클러스터 중심의 통합인력양성 지원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영광군 수산발효식품 젓갈류산업의 발전방안은 농어촌 어메니티를 포함한 개발방식으로 전통성, 차별성을 실현하는 방향으로 모색되어져야 한다. 도서(안마, 송이, 낙월도) 및 설도의 젓갈산업이 향토산업으로 육성되어져야 한다. 관광과 지역활성화의 새로운 대안, 지오투어니즘을 추진해야 한다 인력양성으로 기업체 현장인력에 대한 식품관련 전문지식과 내용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운영 및 지원강화가 필요하다. 아울러 ‘산·한·연’의 연계 학습시스템의 구축이 있어야 한다. A variety of supports such as political assistance from the central government or the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selecting new growth drive industries have been granted to the fermented pickled fish industry. However, regardless of such supports, the economy of scale has been materialized rather sluggishly, and the pickled fish industry’s production efficiency and growth has levelled off. Such results indicate that former supports were inefficient. Also, although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has been encouraged in order to narrow the income gap between agricultural and fishing communities, such attempts(a comprehensive development method including improvement of amenities for both communities in economic terms) turned to be inefficient. Thus, this study is designed to put forth some ideas on how to apply those attempts efficiently. In line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some literature researches and on-site inspections on where the pickled fish industry stands and how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upport programs have been unfolded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rawn. The pickled fish industry should be nurtured as an indigenous industry; a comprehensive development utilizing the agricultural and fishing community amenity program and geo-tourism combined with green tourism should be implemented. Also, an introduction of combined IT·BT·NT technologies and manpower training is bound and have an effective impact on the industry. In particular, manpower training is the very cornerstone of the pickled fish industry. Thus, a manpower training system that nurtures skilled workers in the local governments`` industrial clusters should be put to place.

      • KCI등재

        전라남도 갯벌의 현황분석 및 발전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 무안·신안을 중심으로 -

        손정모 ( Son Jeong-mo ),오강호 ( Oh Kang-ho ),김동주 ( Kim Dong-ju ) 한국도서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3

        본 연구는 전남지역에 분포하는 갯벌을 해황 및 지형,지리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인문사회환경, 자연환경, 법,제도 등에 대한 현황 파악과 무안·신안 갯벌의 특성에 맞는 발전전략을 수립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전남갯벌은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갯벌의 약 42%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무안군과 신안군 갯벌은 이 중에서 각각 14.1%, 33.3%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20년간 무안군의 인구수는 도청 이전으로 인하여 증가한 것으로 보이나, 신안군의 경우 인구수가 감소하였다. 세대별 인구 구성은 무안군과 신안군 모두 노령화가 진행 중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무안군은 21.2%, 신안군은 21.9%로 고령인구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무안군과 신안군을 통합하였을 경우 고령인구비율이 20년간 11.3%에서 23.6%로 크게 증가하였다. 인구의 고령화는 지역 내 총 생산 증가율의 감소를 가져온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신안군의 경우 농림·어업부문에서 -17%의 성장률을 보였다. 관광분야의 경우 무안군을 방문한 관광객은 연평균 11.4%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신안군의 경우 2013년을 기준으로 감소세로 전환되었다. 무안갯벌센터는 매년 지속적으로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신안군 증도에 위치한 갯벌센터도 관광객의 유입이 꾸준하다. 신안 갯벌은 내면 쪽의 도서 해안을 따라 펄 갯벌이 대규모로 발달하여 있고, 서해와 열려있는 서쪽 해안은 모래 갯벌이 형성되어 있다. 무안 갯벌은 중대형 반 폐쇄성 내만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장자리는 충적층과 해안절벽이 발달되어 있다. 만의 안쪽은 수심이 낮으며, 모래성분이 우세한 특성을 보이고, 갯벌이 육지쪽으로 성장하는 전형적인 후퇴형 갯벌의 특징을 보인다. 무안과 신안갯벌은 일부 지역이 해양보호구역인 습지보호지역과 전라남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지역이 습지보호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무안 갯벌은 우리나라 제1호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신안 증도 갯벌이 제9호, 비금-도초도 갯벌이 제13호로 지정되어 있다. 전남갯벌은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서부갯벌과 남동계절풍의 영향이 우세한 남부갯벌로 구분되며, 무안과 신안 갯벌은 서부갯벌에 속한다. 갯벌은 다시 지형·지질학적 특성에 따라 개방 갯벌, 섬 갯벌, 만 갯벌로 구분되며, 신안 서쪽 갯벌은 개방 갯벌, 내면 쪽은 섬 갯벌에 해당되고, 무안 갯벌은 만 갯벌에 해당된다. 무안과 신안 갯벌은 외해와 바로 연결되지 않고 섬으로 가로막혀 갯벌이 잘 발달할 수 있는 자연적 환경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육성기원 퇴적물로 이루어져 수산·양식자원의 보고이자 건강한 해양생태계를 보유하고 있다. 무안과 신안갯벌의 효과적인 보전·관리를 위하여 갯벌의 체계적인 보호·관리기반 구축, 갯벌의 기능과 가치제고, 갯벌자원의 비교우위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해양보호구역으로서 무안과 신안 갯벌의 효과적인 보호·관리를 위하여 해양보호구역센터를 설치·운영하고, 체계적인 갯벌 자원 조사 등을 수행할 갯벌자원연구센터 설치가 필요하다. 또한 일부지역에 한정되어 있는 습지보호지역을 생태권역으로 확대 지정하고, 갯벌 환경의 보호·관리를 위한 시설 확충 및 해양 쓰레기 처리 방안 등이 논의되어야 한다. 그리고, 건강한 생태환경을 가지고 있는 무안과 신안 갯벌에서 생산되는 수산 자원의 판로를 개척하기 위한 브랜드화 및 인증작업이 병행되어야 하며, 갯벌생태유원지 등의 인프라 확충과 함께 체류형 관광상품 개발을 통해 무안과 신안 갯벌의 관광상품화도 필요하다. This study classified. tidal flats in Jeollanam-do according to their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human social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legal system, and to establish a development strategy for tidal flat of Muan & Shinan in Jeollanam-do. Tidal flats in Jeollanam-do accounted for about 42% of the tidal flats in Korea. In particular, tidal flats in Muan and Shinan accounted for 14.1% and 33.3% of tidal flats in Jeollanam-do. Over the past 20 years, the population of Muan has increased and the population of Shinan has decreased. Population composition of each generation was surveyed that both Muan and Sinan were aging.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aged 65 and over was 21.2% in Muan and 21.9% in Shinan. The ratio of elderly population increased from 11.3% to 23.6% over 20 years(adding Muan and Shinan). The aging of the population was analyzed as a decrease in the total production growth rate in the region. Shinan showed -17% growth rate in agriculture and fishery. In the tourism, the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tourists visiting Muan is 11.4%. And Shinan has been on the decline since 2013. The Muan Tidal Center and Shinan Jeungdo Tidal Center is constantly increasing in number of tourists every year. Tidal flat in Shinan has a large scale mud tidal flats along the inner coast of the island, and sand tidal flats are formed.on the west coast. Muan tidal flats are located in mid-large semi-enclosed inner bay. The edges are alluvium and coastal cliffs are developed. The inner part of the bay is low in depth, mainly sandy, and features a typical retreat tidal flat where the tidal flats grow toward the land. Some areas of Muan and Shinan tidal flats are designated as wetland protect areas of Marine Protected Area(MPA) and Jeollanam-do Provincial Park. Areas designated as provincial parks include wetland protection areas. Muan tidal flat is designated as the No. 1 wetland protect area in Korea, Shinan Jeung-do tidal flat is No. 9, and Bigeum· Docho-do tidal flat is No. 13. Jeollanam-do tidal flats are divided into western tidal flats affected by the northwest monsoon and southern tidal flats dominated by the effects of the Southeast Monsoon. Muan and Shinan tidal flats belong to the Western tidal flat. Tidal flats are divided into open tidal flats, island tidal flats, and bay tidal flats according to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Tidal flats in Muan and Shinan are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sea, there have a natural environment where the tidal flats can be well developed. It is also a rich repository of marine aquaculture resources and a healthy marine ecosystem. For effect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idal flats in Muan and Shinan , it is necessary to foundation setup for systematic protection and supervision of tidal-flat, enhance the function and value of the tidal-flat, and enhance the comparative advantage of tidal-flat resources. Establish and operate a Marine Protected Area Center for effectiv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tidal flats in Muan and Shinan as Marine Protected Areas.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tidal-flat resource research center to conduct systematic tidal-flat resource surveys. Wetland protection areas that are limited to some areas should be extended to the ecosphere region. The expansion of facilities for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the tidal flat environment and the disposal plan of the marine garbage should be discussed. Branding and certification of fisheries resources produced in Muan and Shinan tidal flats should be carried ou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infrastructure such as the tidal-flat ecological recreation area and to develop the tourism products of the tidal fl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