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외 주요 간행물에 나타난 지역연구로서의 한국 관련 디자인 연구의 경향 - 세계화와 지역화의 관점에서 한국디자인 정체성 담론의 방향성 고찰 -

        장주영 ( Juyoung Cha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7 한국디자인포럼 Vol.55 No.-

        연구배경 본 연구에서는 해외 주요 일간지와 학술지에 나타난 지역연구로서의 한국디자인 연구의 경향을 알아보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세계화와 지역화의 관점에서 한국디자인의 정체성 담론의 방향성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먼저 한국디자인사에서 전통과 정체성에 관한 담론들을 살펴보고, 이들의 한계점을 논의해본다. 그리고 해외로 눈을 돌려 세계 속에서 지역디자인과 국가디자인의 서사에 대해 조사를 하고, 최근의 지역디자인 담론의 경향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그리고 최근 6년간 해외 주요매체와 학술지에 거론되는 한국디자인에 대한 기사와 연구의 내용과 경향을 정리 분석한다. 연구결과 전체기사 중 한국문화예술 관련 국내외 행사나 전시회 소식을 알리기 위한 기사들이 가장 많았다. 관련 전문가에 의한 전문성을 갖춘 기사는 2개 정도가 있었다. 대체로 한국문화에 대한 가벼운 내용을 다룬 기사가 대부분이었다. 해외 우수학술지에 실린 한국디자인 관련 논문들은 10편 밖에 없었고, 모두 한국인 연구자들이 논문의 저자들이었다는 점이 특이했다. 이를 미루어 아직까지 한국디자인에 대한 외국인 전문 연구가는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연구들은 해외에 한국디자인을 적극적으로 알리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결론 해외연구자들의 시각을 이해해보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은 이루지 못했지만, 국내디자인 연구자들이 앞으로 세계와 소통하며 한국디자인 담론을 생성해나가야 할 것이라는 방향성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해외에서 한국 관련 디자인 연구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세계적 지역적 관점에서 한국디자인의 정체성 담론의 방향성을 모색해본 것에 의의를 두며, 이를 계기로 초국가적 관점에서의 한국디자인 담론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확산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rends in Korean design studies as a regional study in major foreign media and academic journals; and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discourse of Korean design identity in terms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Methods Firstly, the discourses on tradition and identity within Korean design were examined and their limitations were discussed. Subsequently, narratives of regional and national design in the world were investigated; as well as recent trends of regional design discourses. The articles and researches regarding Korean design which were mentioned in major overseas media and journals within the last six years were analyzed. Result Most articles introduced Korean design and arts related events and exhibitions. Other articles introduced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other innovative products. Majority of articles were rather light descriptions of Korean culture. There were only ten articles related to Korean design that had been published in acclaimed journals. Interestingly, all of these articles were written by Korean researchers. As a result, it seems that there are no foreign researchers on Korean design yet. These have been acting as a tool to actively promote Korean culture abroad.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design research related to Korea from abroad and to examine the direction of discourse of identity of Korean design from a global and regional viewpoint. It is expected that the discourse of Korean design from the transnational perspective will be actively spread around the world.

      • KCI등재

        청소년의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이미지 평가와 선호태도

        윤초롱 ( Chorong Youn ),문희강 ( Hee-kang M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9 No.-

        본 연구는 한국적 디자인 교복의 개념을 확인하고 제품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한국적 디자인의 교복으로 생활한복 교복만이 언급되었으나, 최근 생활한복 교복에 대한 디자인 측면의 개선이 요구되면서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새로운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적 디자인의 교복을 생활한복에 국한시키지 않고 한국적 정체성이 반영된 디자인의 교복으로 확장시키고,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한국적 디자인 교복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적 이미지의 현대적 표현을 통해 전통을 반영한 한국적 디자인 교복에 대한 청소년의 선호태도를 높일 수 있음을 검증하고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구체적인 이미지 평가차원과 그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전국의 여중생과 여고생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551개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개발된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 2종을 자극물로 제시하여 이들에 대한 이미지 평가 및 선호태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극물에 대해 현대적 이미지와 전통적 이미지의 수준을 평가하도록 하여 두 자극물이 전통적으로 표현된 정도에는 차이가 없으나 현대적 표현 정도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두 자극물 사이의 선호태도를 비교한 결과, 청소년들은 현대적으로 표현된 교복제품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적 디자인의 교복제품에 대한 미적 이미지 평가 차원을 밝힌 결과, 품위/단아, 편안/실용, 고루/투박, 장식/화려의 네 차원이 도출되었다. 각 이미지 평가 차원이 현대적 표현에 대한 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을 편안하고 실용적인 이미지나 단아하고 품위있는 이미지로 인식할수록 현대적이라고 평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concept of Korean image school uniforms, 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developing Korean image school uniforms. Korean image school uniforms may reflect the images of Korean cultural identity as well as the images of Hanbok. By reinterpreting traditional Korean image from a modern viewpoint and reflecting it Korean image school uniform design, a large portion of dissatisfaction with current Korean image school uniform could be resolved. In order to identify adolescents` preferred Korean image school uniform, this study examined if they prefer modernized Korean image to realistic one. And adolescents` image evaluation dimensions on Korean image school uniform that affect their altitudes towards Korean image school uniform were identified as well.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data from 551 female adolescent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dolescents perceived the difference between two stimuli operatinalized according to the level of modern expressivity and preferred the school uniform reflecting Korean traditional image with modern interpretation.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or image evaluation, four dimensions, refined/ graceful, easy/practical, stuffy/rustic, and decorative /staring were drawn. It was found that the easy/practical dimensions factor and refined/ graceful factor affected adolescents` perception of modernity in Korean image uniform.

      • KCI등재

        인천시 ‘월미한국전통정원’의 빛 디자인 구현방안 연구

        이상혁 ( Sang-hyuk Lee ),김영희 ( Young-hee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1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1

        연구배경 월미한국전통정원의 빛 디자인 제안을 위해 진행하였다. 인천시 중구의 시장경제 활성화와 관광명소 확대로 인한 관광객 유입 유도 및 월미한국전통정원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단행본, 인터넷, 사례 조사를 진행하고 현장조사에서 직접촬영 및 자료조사 등을 진행했다. 연구 범위는 월미한국전통정원을 중심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국가 표준 조도기준, 빛이 아름다운 국제도시 인천 만들기 2018, 환경부 산하 한국 환경공단 빛 공해 방지법, 국토교통부의 조명환경 관리구역의 유형 등의 이론적 연구를 통해 월미한국전통정원의 빛 디자인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와 문제점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월미한국전통정원의 빛 디자인 방향을 조도기준(KS A 3011)에 부합하도록 하되, 본 연구결과로 얻은 값을 조정하여 새로운 기준을 적용, 시뮬레이션을 통한 이미지를 구현하였다. 결론 월미한국전통정원 만의 특색을 바탕으로 연구결과로 얻은 새로운 기준과 CPTED 디자인을 고려한 빛 디자인을 시뮬레이션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인천시 중구의 CPTED 디자인을 포함한 현실적인 빛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새로운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Background It was conducted for the light design proposal of the Korean Traditional Garden in Wolmi. The purpose is to revitalize the market economy in Jung-gu, Incheon, induce the influx of tourists through the expansion of tourist attractions, and to revitalize the Wolmi Korean traditional garden. Methods Paperwork, internet,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and direct filming and data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field survey. The research scope is centered on the Korean traditional garden in Wolmi. Specifically,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on national standard illumination standards, making Incheon, an international city with beautiful lights 2018, the Light Pollution Prevention Act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types of lighting environment management zones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olmi Korean traditional garden landscape lighting design Prepare the foundation. Result A new standard was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 and problems obtained through the investigation. The light design direc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garden in Wolmi was set to conform to the illumination standard (KS A 3011), but the value obtained from this study was adjusted and applied as a new standard, and the image was implemented through simul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raditional Garden in Wolmi, a new standard obta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and a light design in consideration of CPTED design were presented through simulation.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standard for realistic light design guidelines including CPTED design in Jung-gu, Incheon.

      • KCI등재

        공모전 수상작 디자인 주제 분석을 통한 최근 공간 디자인 트렌드 연구

        안소미 ( An So-mi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3 No.-

        오늘날 공간디자인과 관련하여 공간에 내포되는 디자인 주제의 변화는 디자인 트렌드로 이해되고 있다. 색감과 마감재 등에 치우쳐진 공간디자인 트렌드 가 아닌 디자인 주제의 흐름에 대한 이해는 디자인 실무분야뿐만 아니라 공간디자인의 교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 디자인 공모전 작품들에 내포된 디자인 주제들을 추출하여 최근 공간 디자인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한국 공간 디자인 대전과 한국 인테리어 대전의 최근 2~3년간 수상작품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공모전 수상작들의 공간디자인에 적용된 최근의 디자인 주제는 `자연친화`와 연계된 주제가 가장 많았으며, `힐링`, `소통`, `전통`, `지속가능성`, `환경문제`, `가족`, `공동체`, `개인의 성장`, `여가와 문화` 등의 주제가 추출되었다. 이들을 분석하여 도출된 주요 공간디자인 트렌드는 `친환경 디자인 트렌드`, `웰빙 디자인 트렌드`, `함께 사는 사회를 위한 디자인 트렌드`, 그리고 `전통문화 디자인 트렌드` 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간 디자이너와 전공학생들의 디자인 작업에 있어 현재는 물론 보다 미래지향적인 디자인 주제들을 파악하는 데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며, 창의적 공간디자인을 위한 적용 가능한 실제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e change of design subjects implied in the space shows the transition of design trend, so that understanding this change in very important for design practice as well as for the education of space desig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latest design trends through the design themes that are contained in the recent space design works of competition. This study conducts a research on the subjects of award-winning works of the Korea Space Design Competition over the last three years and the Korea Interior Design Competition over the last two yea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mostly adopted design theme in the recent space design is `eco-friendly`, followed by `healing`, `communication`, `traditional`, `sustainability`, `environmental issues`, `family`, `community`, `personal growth`, `leisure and culture`, etc. Design trends that analyzed through those design themes are `trends of traditional design`, `eco-design trends`, `well-being design trends`, and, `social design tre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a significance as a useful data for space designers and students to understand and anticipate the design theme for the future, and as a practical foundation for designing creative space.

      • KCI등재

        한국적 디자인 양상으로서의 융합 - 서울시 좋은 간판 디자인을 중심으로 -

        남용현 ( Yong-hyun Nam ),김향원 ( Hyang-won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0 No.-

        연구배경 서울시 옥외 간판 디자인에 나타난 융합양상을 설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서울시 옥외 간판에 나타난 1) 균형의 파괴 2) 도상과 추상의 융합 3) 조형요소의 분리불가능성 양상을 조사 및 분석범주로 만들고 이를 서울시 좋은 간판에 적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설문은 매우 단순하여 그림을 보고 위의 3 범주가 적용되어 있는가 그렇지 않은가 하는 OX 응답을 요구하였다. 설문대상자는 총 226명이며 디자인 전공 성인이라면 누구나 응답할 수 있는 조건에서 조사가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균형성과 구상성, 분리성 조사에 대한 응답과 그에 대한 결론을 도출했다. 서울시 좋은 간판은 디자인의 고전적인 의미에서 정확한 1대 1의 균형, 사진상 이미지로서의 구상과 추상표현주의와 같은 추상, 형상들이 서로 정확하게 분리된 기하학적 배열을 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었다. 즉, 디자인의 고전적인 원칙으로부터 큰 거리를 취하고 있으며 이 모습이 서울의 옥외 간판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이다. 옥외 간판은 일반 디자인과는 다르게 길거리 익명의 사람들에게 직접 대면하여 소통하는 가장 직접적인 디자인 물이다. 따라서 작은 기교나 모방 표현마저도 금방 드러나기 마련이며 그만큼 어떤 제작의 특정 관례를 가지고 있다. 편하고, 정보소통에 충실하고 소비자의 특성(한국인의 특성)에 맞도록 고민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결론 분석 결론은 융합적 논리로 드러났다. 아울러 옥외간판이 융합개념에 상응하는 내용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또한 한국문양의 전통이기도 하다는 점도 동시에 이해하게 한다. 한국의 공예 전통과 시각문화는 서구가 만들어 온 디자인의 고전적인 원칙과는 다른 것이며 따라서 서울시 좋은간판이 보여주는 디자인의 특성은 근본에 있어서 서구 디자인의 원칙과는 다른 차원에서 이해 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plain the aspect of convergence of the outdoor sign designs of Seoul. First, the study set 1) destruction of balance 2) convergence of mapping and abstraction and 3) inseparability of formative elements of the Korean outdoor signs as categories for research and analysis and conducted a survey after applying the categories to Seoul Good Signs. Methods The survey was very simple, requiring the OX responses to whether the three categories were applied after looking at the pictur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26 people on a condition to be able to answer the questions if they were design major students. Result The analysis found the responses to the research on balance, concreteness and separability and its conclusions. Seoul Good Signs showed that they were not in a geometric arrangement with accurate one on one balance, concreteness as photo images and abstraction like abstract expressionism and accurately separated shapes in a classical sense of design. In other words, they have kept a long distance from the classical principles of design and this was demonstrated in the outdoor signs in Seoul. Unlike general designs, outdoor signs are the most direct design products to communicate with the people on the street. Therefore, small techniques or imitation expression are often revealed soon and there are as much particular practices in sign production. There is no other choice but to consider making the designs convenient, easy to communicate and satisfy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Koreans). Conclusion That was appeared to be the logic of convergence. The analysis result gives understanding to that the outdoor signs have the equivalent concept to convergence and that this is also one of the traditions of Korean pattern. Since the craft tradition and visual culture of Korea is different from the classical design principles of the Western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fundamental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utdoor sign designs in Seoul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 western design principles.

      • KCI등재

        가구디자인에 표현된 한국성에 관한 연구-연구자의 가구디자인 작품을 중심으로-

        김진우 ( Kim Jinwoo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39 No.-

        본 연구는 가구디자인에 표현된 한국성에 관한 고찰에 관한 것이다. 연구의 사례로는 연구자의 2008년 작품 세 점을 선정했다. 이 작품들은 개념설정 단계에서부터 한국성을 접목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출발했다. 디자인의 선진국들과 차별화하고 우리의 정서와 환경에 적합한 가구를 디자인하기 위해서, 우선 한국인에게 있어 가구란 존재가 무엇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과 성찰이 선행돼야 하며, 그 과정에서 우리의 정서와 생활 속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한국적 가치를 발견해 내고 이를 다시 현대적 디자인으로 발전시켜나가야 한다는 것을 인식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작품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국적 조형특성을 발췌하여 재해석하고 현대적인 작품에 접목하는 과정이 쉽지 않았는데, 이는 연구자에게 있어 한국성이라는 개념자체가 막연하고 불분명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므로 연구방법에 있어서 한국성에 대한 용어적 정의와 국내 디자인에 나타난 한국성 표출 사례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선행했다. 한국전통공간에 나타난 형태, 공간구성, 주변 환경과의 관계, 그리고 이들이 표출하고 있는 정신적인 가치를 중심으로 전통공간에 나타난 한국성을 도출했고 이 중에서 다음 세 가지 개념에 근거하여 작품을 진행했다. 첫째, 지나치게 다듬지 않은 탈기교적 아름다움, 둘째, 가변적 구조와 형태의 실현, 셋째, 가구 스스로 공간을 형성하는 가구이다. 이론적 배경 및 고찰과 함께 실제 진행됐던 작품의 전개과정 및 결과물을 제시했으며 이를 근거로 가구디자인에 나타난 한국성에 대해 요약 서술했다. This paper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Korean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furniture design. Three works created in 2008 among author`s work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Those works started with the purpose to express the Korean characteristics from the stage to establish the concepts. For designing the furniture which was differentiated from that in the advanced countries in terms of design and satisfied the emotion and environment of Korea, the basic question "what furniture means for the Korean?" should be investigated and deliberated at first. In that process, we should identify the Korean value existing in our emotion and life and develop it to the modern design. However, it was not easy to identify and interpre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esign and apply them to the modern works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works. It`s because that the concept of `Korean characteristics` was obscure and vague for the author. As the methodology, the preliminary research was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n the Korean characteristics expressed on designs in Korea and the terminology on Korean characteristics. The Korean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from the traditional space with focus on the mental values expressed by traditional space as well as forms in Korean traditional space, spatial structure and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n the basis of the Korean characteristics identified, the works were created using three concepts; beauty which is not excessively refined, variable structure, and furniture which creates space. This paper is the thesis on the works so that it presented the creative process of works and final products after establishing the concepts and then summarized the theories on Korean characteristics observed in furniture design.

      • KCI등재

        3D 프린팅을 활용한 펑크 패턴의 갓 디자인 제안

        박용규,김미현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0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4

        Background In this study, we tried to understand traditional Korean Gat, which has become an international issue due to the popularity of the Korean Wave, the Netflix drama "Kingdom," and seek to modernize the gat design that reflects the trend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In particular, the company sought to apply PLA filaments to utilize customizable 3D printing and eco-friendly design during the manufacturing phase. Methods Research methods conduct theoretical research and work production research together.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we understand about the Gat, and seek research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the work. And the production process for producing 3D printed freshly made works using eco-friendly PLA filament materials was carried out with concept planning, design, modeling, 3D printing output, and completion of works.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using 3D printing to explore the modern design of traditional Korean Gat due to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Second, the 3D printed Gat design using eco-friendly materials was found to be capable of applying modern and eco-friendly designs for the globa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gat. Third, 3D printed gat using PLA eco-friendly material filament was derived as a result. Conclusion As a way to globalize Korean culture, differentiated designs that reflect trends that are prevalent by utilizing Korean Wave-based Gat can satisfy consumers' pursuit of individuality, while new designs that apply eco-friendly PLA filament materials suitable for consumers' eco-friendly consciousness can be a product based on the overall social status of pursuing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nsumer needs. And in line with the change in the industrial environm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new design using 3D printing can suggest custom design, which can show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 diversity. 연구배경 본 연구에서는 넷플릭스 드라마 ‘킹덤’이라는 한류의 열풍에 따라 국제적으로 이슈가 된 전통 갓에 대해서 이해하고, 디자인의 관점에서 트렌드를 반영한 갓 디자인의 모던화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제작 단계에서 맞춤디자인이 가능한 3D 프린팅 활용과 친환경 디자인을 위해 PLA 필라멘트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작품 제작 연구를 함께 진행한다. 이론적 연구를 통해 갓에 대해서 이해하고, 작품 제작을 위한 연구 방법을 모색한다. 그리고 친환경 PLA 필라멘트 소재를 활용한 3D 프린팅 갓 작품 제작을 위한 제작 프로세스는 작품 컨셉 기획, 디자인, 모델링, 3D 프린팅 출력, 작품 완성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전통 갓의 현대적 디자인 모색을 위해 3D 프린팅 활용 갓 디자인은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3D 프린팅 갓 디자인은 한국 전통 갓의 세계화를 위한 현대화 디자인과 친환경 디자인의 적용이 가능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과로서 PLA 친환경 소재 필라멘트를 활용한 3D 프린팅 갓을 3작품 도출하였다. 결론 한국 문화의 글로벌화를 위한 방안으로 한류 소재갓을 활용하여 유행하는 트렌드를 반영한 차별적인 디자인은 소비자의 개성 추구를 만족 시킬 수 있으며,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에 적합한 친환경 PLA 필라멘트 소재를 적용한 갓 디자인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사회전반적인 현황과 소비자의 니즈에 따른 제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4차 산업 혁명이라는 산업 환경의 변화에 따라 3D 프린팅 활용한 갓 디자인은 맞춤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어 제품의 다양성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기후와 주거환경에 적합한 패시브하우스 디자인 방향

        문선욱 ( Sun-wook M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2 No.-

        연구배경 본 연구는 한국적 패시브하우스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공학기반의 디자인 기초연구이다. 즉 패시브하우스의 성능 요건에 충족되면서도 국내의 기후환경에 부합하고, 국내 거주자의 생활양식에 적합하여 주거 쾌적성이 높은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패시브하우스의 정의와 정량적 요구성능, 디자인기법, 국내외 인증제도 및 관련법령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일사량, 습도, 환기의 측면에서 한국의 기후환경에 수백년 이상을 진화해 온 한옥과 패시브하우스의 기준이 되는 서유럽의 기준을 비교 고찰하고, 현대 한국의 주거환경에 구현될 수 있는 한국적 패시브 하우스의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고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전통한옥으로부터 도출된 패시브하우스 디자인 기법으로는 난방하지 않는 열적 완충 공간의 복원, 가변적 창호시스템, 상승기류 형성을 위한 공간의 비움과 채움, 계절에 따른 일사 및 습도를 조절하는 처마, 낙엽수 식재를 통한 계절에 따른 자연 차양장치 등이 있으며, 현대 건축의 요소와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기법의 개발은 지속적인 연구로 해결해야 한다. 결론 본 연구결과가 기대하는 효과는 한국의 기후조건과 주거생활의 특징에 기인하는 한국적 디자인 성능요건이 차별화되어야 함을 부각시킴으로써, 에너지 절감 원리에 입각한 건축 성능과 거주자의 주거 쾌적성을 개선할 단서를 마련하였다는 데 있다. 또한 에너지 절감의 공학적 기술력을 갖춘, 디자인과 공학 융합적 접근의 연구라는데 그 의미가 있다. Background This study is basic design research of the engineering base to seek the direction of Korean passive house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sign direction of housing amenity that meet performance requirements in passive house and comply with the climate in the domestic environment and the lifestyle in conformity with domestic residents. Methods The research process is to leading a review of the advanced studies and then look at the definition of passive house, quantitative performance criteria, design technique, domestic and foreign certification and the relevant laws. The next to consider traditional Korean house that evolved over hundreds of years the environment in the climate of Korea that compared Western Europe on the benchmark criteria for Passive house in terms of solar radiation, humidity, ventilation, In the final, to suggest Korean passive house design direction and a plan direct to be implemented in the context of housing of Korea of the current period Result Passive house design techniques were derived from traditional Korean as follows : The restoration of the heat thermal buffer zone that does not, variable window system, fill or empty of space for the formation of an ascending air current, solar radiation on seasonal and humidity to control the eaves, seasonal natural shading device through a deciduous tree planting. Conclusion Derived in connection with the techniques, the development of modern elements of architecture and systems can apply techniques must be resolved in continued research.

      • KCI등재

        시장지향적 디자인 정보의 활용과 기업성과

        김호곤 ( Kim Ho-g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의 개발과정에서 시장과 고객에게 초점을 두는 시장지향적 디자인 정보의 활용이 기업성과의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시장지향성의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107부의 설문지를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분석, 개발된 측정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시장지향적 디자인 정보의 활용과 기업의 이미지 향상 및 시장점유율 확대와의 관계를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국내의 디자이너들은 디자인 개발에서 시장지향적 디자인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둘째, 시장지향적 디자인 정보는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시장환경에 초점을 두고, 이와 관련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수집하여 디자인 개발에 활용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셋째, 시장지향적 디자인 정보의 활용은 기업이미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시장지향적 디자인 정보의 활용은 시장점유율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문적 관점에서 보면 앞으로의 디자인 방법론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실무적 관점에서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확인함으로써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시장지향성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oriented design inform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s. Firstly, a pilot test has been conducted with a panel of 10 design experts from academicians and design practitioners. Based on the pilot test, a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conducted with 107 designers or product developer in order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orientation of design and business perform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ny of designers use market oriented design information in design development. Second, use of market oriented design information means focusing on market environment in design development, use information about market environment. Third, the higher market orientation of design, the better corporate image. Fourth, the higher market orientation of design, the higher market shar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has been discussed.

      • KCI등재

        이순신대교 심볼·캐릭터디자인 개발연구

        김철우 ( Kim Chul-woo ),강도은 ( Kang Do-un ),최경옥 ( Choi Kyong-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4 No.-

        본 연구는 2013년 광양시의 이순신대교 심볼·캐릭터디자인(2013 Lee-Sunshin Bridge Symbol . Character Design) (대학교 산학협력단)와의 계약이 이루어 졌다. 연구 개발 및 목적은 2013년 광양시의 이순신대교 심볼·캐릭터디자인을 개발을 통해 광양시 이순신 대교의 우수한 위상을 전국에 홍보하여 광양시 랜드마크로써, 이미지 제고 뿐만 아니라, 관광객 유치를 위한 다양한 마케팅 수단 중 하나로써 심볼과 캐릭터디자인을 통한 상품화개발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이미지 형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과 범위는 광양시청 문화홍보담당관이 제공하는 설화자료(19개)를 분석하여 광양시에서 추구하는 상징과 의미를 함축한 심볼·캐릭터디자인 총59항목 (기본형 22항목, 응용형 37항목)에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디자인을 도출하였다. 개발기간은 2013년 02월19일부터 2013년 04월09일까지 총 약2개월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연구를 통해 개발된 광양시 이순신대교 심볼·캐릭터디자인 <등록번호: 30-0720523, 30-0720524, 30-0720531, 30-0720175, 30-0720525, 30-0720526 >은 이순신대교의 상징성을 널리 알리고, 캐릭터디자인 개발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스토리텔링을 통한 다양한 콘텐츠 연구개발이 이루어 졌다. The study was done through a contract with the writer(Arithmetic consortium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through the manufacturing plan for 2013 Lee-Sunshin Bridge Symbol & Character Design of Gwanyang city. The aim of the R&D is to enhance the position of Lee-Sunshin Bridge through 2013 Lee-Sunshin Bridge Symbol & Character Design of Gwangyang city and to improve its image as a landmark of Gwangyang city as well as to create added value through commercialization of the symbol and character as one measure of various marketing methods for inducing tourists and to contribute to vitaliz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and image The method and scope of the study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19 fable materials, provided by a cultural publicity department of Gwangyang City Hall and the story-telling design was created with total 59 designs for the symbol and character, implying the symbol and meaning, which Gwangyang City pursues.(22 basic forms and 37 applied forms) The development took two months from 19, Feb, 2013 to 9, Apr, 2013. The symbol and character for Lee-Sunshin Bridge was developed by the study: registration number of 30-0720523, 30-0720524, 30-0720531, 30-0720175, 30-0720525 and 30-0720526>. They could promote the symbol of the bridge and create added value through the R&D and development for various contents was done with storytel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