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존 김려·김선 형제 저작의 문헌학적 재검토

        김영진 ( Kim Young-ji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8 No.-

        본고는 조선후기 문학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겼던 金鑢·金䥧 형제의 저작 중 현존하는 필사본 이본들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고 아울러 신자료를 소개하였다. 김려는 만년인 1818년에서 1821년 사이 자신의 시문과 지인 및 인척의 시문을 수합하여 『藫庭叢書』 34권 17책을 편찬하였다. 김려의 손자 김겸수는 이 총서 내의 김려의 시문만을 뽑고 또 육촌 김기수의 자료 협조를 얻어 보유를 첨부한 12권 6책의 목활자본 『藫庭遺藁』를 1882년에 간행하였다. 『담정총서』전질은 유일의 필사본이지만 『牛海異魚譜』및 김려의 傳은 轉寫本들이 현존하고 있다. 연세대에 소장된 『우해이어보』‘서여본’은 표제가 ‘玉曇書種’ 내제는 ‘담자외서’라고 되어 있고, 또 다른 『우해이어보』‘귀중본’은 표제가 ‘담정총서’, 내제는 역시 ‘담자외서’로 되어 있다. 이 ‘귀중본’에는 『우해이어보』 외에 김선·김선신·조면호 등의 시문이 필사되어 있는 바, 조면호가 김선의 제자였다는 점에서 조면호 또는 그 주변인이 필사한 책으로 보인다. 김려의 전 작품들은 『續齊諧志』(필사본 1책, 일본 천리도 서관), 『香半館藏書』(필사본 1책, 규장각) 등에도 실려있는 데, 일부 글자의 출입이 있다. 김려의 『思牖樂府』는 『담정총서』본과 성균관대 존경각 소장본에는 300수, 『담옹유고』에는 295수, 『담정유고』 목활자본에는 290수만 실려 있는 차이가 있다. 성균관대 소장 『담정유고』에는 「月巖權公行錄」 등 유배지 진해에서 지은 글 8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8편 중 「慕先齋上樑文」과 「慕先齋記」만 목활자본 『담정유고』에 보인다. 김선의 경우 시문의 유실이 김려만큼이나 많은데, 필자는 그의 逸文으로 김선민의 『관연록』에 붙인 題後와 유배지인 초산에서 쓴 『초관만필』을 소개하였다. 김선의 경우 『담정총서』에 수록된 小集 이외의 글들이 전혀 발견되지 않아 蒐佚 작업이 더욱 절실하다고 하겠다. 향후 김려·김선 형제와 추사 김정희와의 교유의 정도, 영향관계가 고찰될 필요가 있다. 그 磁場 안에 李鈺, 金善臣, 金照, 趙冕鎬, 金綺秀 등 중요한 문인들이 포진해있는데, 이들은 19세기 문학사를 다채롭고 풍성하게 해줄 하나의 판이 될 것이다. This paper reviewed the existing manuscripts of the Kim-Ryeo and Kim-Seon brother who left a clear mark in the literary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ntroduced new materials of them. Between 1818 and 1821, Kim-Ryeo compiled of 『Damjeongchongseo』 by collecting himself and his acquaintances and relatives’ poetry and literature. Kim Gyeom-soo, Kim-Ryeo’s grandson, selected only Kim Ryeo’s poetry in this book and published wooden movable type 『Damjeongyugo』 in 1882 with the cooperation of second cousin Kim Ki-su. The complete works of 『Damjeongchongseo』 is the only manuscript, but the transcripts of 『Woohaeiobo』 and Kim Ryeo’s biographies exist. A “valuable copy” of 『Woohaeiobo』 owned by Yonsei University include poems written by Kim-Seon, Kim Sun-shin, and Cho Myeon-ho. Considering Cho Myeon-ho was Kim-Seon’s student, I think Cho Myeon-ho or the people around him would have written this book. Kim-Ryeo’s works are also included in 『Sokjehaeji』and『Hyangbangwanjangseo』. Sungkyunkwan University’s 『Damjeongyugo』 contains 8 piece of works such as 「Wolamkwongonghaengrok」, 「Mosunjaesangrangmoon」, 「Mosunjaegi」 written in a place of exile Jinhae. Only 「Mosunjaesangrangmoon」 and 「Mosunjaegi」 are shown in the wooden movable type 『Damjeongyugo』. Also Kim-Seon’s inscription in Kim Sun-min’s 『Gwanyeonrok』 and 『Chogwanmanpil』 written in the exile site Chosan were excavat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Ryeo and Kim-Seon brother and Chusa Kim Jeong-hee.

      • KCI등재

        金鑢의 編書 활동과 交遊에 관한 몇 가지 신자료

        김영진(Kim Young jin)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7 No.-

        본고는 담정총서 에 수록된 작가들의 인물정보와 그 자료 수집의 과정에 관한 자료들을 추가로 제시하고, 새로 발굴한 담정의 원고본과 필사본을 통해 담정유고 의 편집 과정을 논한 것이다. 담정총서 에 수록된 金愚淳 (1760~1835), 李友信(1762~1822), 金祖淳(1765~1832), 李濟魯(1789 ~1816), 金䥧(1772~1833), 惠藏(1772~1811), 李魯元(1756~1811),權常愼(1759~1824), 鄭彦學(1749~1818이후), 李鈺(1760~1815), 金善臣(1775~1846), 趙基復(1773~1839), 李安中(1752~1791), 李復鉉(1767~1853), 李濟殷(1784~1836)의 인적사항과 신발굴 자료를 보충하였다. 수록 문인들은 대체로 담정과 직접적으로나 혹은 간접적으로 교유관계가 있던 노론 시파(時派) 계열 인물들이 많고 김조순, 권상신, 김우순을 제외한 대부분은 관직에서 소외된 몰락하고 불우한 인물들이었다. 이들의 창작활동 공간은 주로 서울 주변이었음을 알 수 있다(예외적 인물은 아암 혜장). 전체 16명 중에서 9명이 부자나 형제 혹은 숙질의 관계로 연결되어있다. 즉 이옥, 김조순, 권상신, 김선신, 조기복, 정언학, 혜장 7명을 제외한 나머지 문인들은 인척관계를 형성하고 있어 담정총서 수록 작가와 그 작품이 同志的 결속보다는 혈연적 요소가 다소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담정총서 는 ‘동시대(幷世)’ 의식의 일환으로 편찬되었다는 것, 그리고 이옥과 김조순, 그리고 김려 본인의 작품이 대변하고 있듯이 산문에서는 ‘패사소품’적 참신한 작품들이 대거 뽑혔다는 점과 한시에서는 옥대향렴체 등의 이 시기 또 이들 그룹의 경향을 대표하는 시풍이 선택된 점 등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This paper shows writers in 「A Series of DamJeung」 and how these writers’ information is gathered. Also, it shows the editing process of 「A Series of DamJeung」 by referring newly discovered manuscript and original text. Here, I added these people’s personal data and other newly discovered materials: Kim Woo-soon(1760~1835), Lee Woo-sin(1762~1822), Kim Jo-soon(1765~1832), Lee Jae-noh(1789~1816), Kim-Rye(1772~1833), Hye-Jang(1772~1811), Lee Noh-won(1756~1811), Kwon Sang-sin(1759 ~1824), Jeong Uhn-hak(1749~after 1818), Lee Oak(1760~1815), Kim Seon-sin(1775~right after 1846), Jo Ki-bok(1773~ ), Lee An-joong(1752 ~1791), Lee Bok-hyun(1767~1853), Lee Jae-eun(1784~1836). These people a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group of Noron Si-pa (時派) and almost all of them were unfortunate ones who did not get important positions except Kim Jo-soon, Kwon Sang-sin, and Kim Woo-soon. Of 16 people, 9 of them are family members. That is, the others excepting those people (Lee Oak, Kim Jo-soon, Kwon Sang-sin, Kim Seon-sin, Jo Ki-bok, Jeong Uhn-hak and Hye-Jang) have blood relationship, so it has much influence than mere friendship. The book 「A Series of DamJeung」 is written in the spirit of Byeongse(幷世) and there are some of points worth watching: As their works show, (Lee Oak, Kim Jo-soon, Kim-Rye) in prose, novel works are included, which shows a kind of ‘Pesasopum’ trait (a name of genre). As such, some of traits showing the trend of this era reveal in poems.

      • KCI등재

        곡아지실소시호탕(穀芽枳實小柴胡湯)의 간보호작용(肝保護作用)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김영진,강대근,이재익,김강산,강병기,전영세,Kim, Young-Jin,Kang, Dae-Geun,Lee, Jae-Ik,Kim, Kang-San,Kang, Byung-Ki,Cheon, Young-Sae 대한한방내과학회 2000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1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Gokajisilsosiho-Tang(GJST) on the lactic dehydrogenase(LDH) release, cell viability and activity, lipid peroxidation, DNA synthesis and the changes of total protein synthesis and GSH changes in vivo and in vitro in rat cultured hepatocytes from hydrogen peroxide$(H_2O_2)$-induced injury. The GJST extract had not an effect on cytotoxicity in all experimental results. The treatment of GJST extract of $160{\mu}g/ml$, $320{\mu}g/ml$ showed the significant effect to decrease LDH leakage induced by t-BHP in cultured rat hepatocytes. The higher concentration of GJST extract than $160{\mu}g/ml$,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on decreasing cell viability induced by t-BHP. The treatment of t-BHP to rat cultured hepatocytes result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increase in TBARS, in the presence of GJST extract the production of TBAR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was inhibited concentration dependently, significantly inhibited at $80{\mu}g/ml$ of GJST extract and above. The GJST extract simutaneously present with t-BHP prevented the loss of total protein and GSH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GJST extract may play a hepatoprotective role in oxidative damage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and a therapeutic potential of inhibiting liver injury.

      • KCI등재

        나물용 콩 품종의 종실 및 콩나물 함유 Isoflavone 변이

        김영진,오영진,조상균,김정곤,박명렬,윤성중,Kim, Young-Jin,Oh, Young-Jin,Cho, Sang-Kyun,Kim, Jung-Gon,Park, Myoung-Ryoul,Yun, Song-Joong 한국작물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51 No.suppl1

        우수한 기능성을 가진 나물콩을 생산하기 위하여 isoflavone함량이 높은 품종을 선발하고, 재배적 방법에 의한 원료콩 종실의 isoflavone함량의 증진 가능성을 조사하는 한편, 콩나물의 재배 일수에 따른 콩나물 부위별 isoflavone 함량의 경시적 변화 양상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한 나물콩 21품종의 종실에 함유된 daidzein과 genistein의 총 함량은 $756{\sim}1,682{\mu}g/g$으로 품종간 차이가 컸으며, 특히 익산 13호$(1,682{\mu}g/g)$ 및 남원재래$(1,500{\mu}g/g)$에서 함량이 높았다. 2. Daidzein 함량은 익산 13호$(924{\mu}g/g)$ 및 IT 160996 $(828{\mu}g/g)$에서 높았으며, genistein 함량은 익산 13호$(758{\mu}g/g)$ 및 남원재래$(756{\mu}g/g)$에서 높았다. 3. 풍산나물콩의 영양생장기에 식물생장조절제인 안티폴$(2,472{\mu}g/g)$과 후라스타$(2,052{\mu}g/g)$를 처리하였을 때 daidzein과 genistein의 총 함량이 대조군$(1,800{\mu}g/g)$에 비하여 각각 37%와 14% 증가하였다. 4. 은하콩의 콩나물 재배일수 경과에 따른 isoflavone 함량은 자엽의 경우 변화가 미미하였으나, 배축의 경우 daidzein이 치상 후 3일까지 증가하다 4일째부터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배축의 genistein함량은 콩나물 재배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다. 5. 풍산나물콩의 콩나물 재배일수 경과에 따른 isoflavone 함량은 은하콩과 달리 자엽의 경우에는 변화가 미미하였으나, 배축의 경우 daidzein이 치상 후 1일에 $5,154{\mu}g/g$까지 증가했으나 재배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배축의 genistein함량은 큰 변동을 보이지 않았다. 6. 콩나물재배 6일째부터 발생한 잔뿌리에는 isoflavone 함량이 $4,416{\mu}g/g{\sim}5,232{\mu}g/g$으로 매우 높았다. 7. 고기능성 나물용 콩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원료콩 종실의 isoflavone함량이 높고, 콩나물이 식용으로 이용되는 시기까지 isoflavone함량이 크게 감소하지 않는 특성을 가진 품종의 육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iofuctionality of soybean seeds and soy-bean products have been fortified by the uncovering of the multifuctional beneficial effects of isoflavones. As one way to fully utilize beneficial effects of isoflavones in soybean sprout is through the enhancement of isoflavone contents in soybean seeds, genetic selection for higher isoflavone and cultivational measures to increase isoflavone content in soybean seeds were attempted. Isoflavones (daidzein, gemstein) contents in soybean seeds and soybean sprouts were determin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otal isoflavone contents in soybean seeds ranged from 756 to $1,682{\mu}g/g$ and Iksan #13 $(1,682{\mu}g/g)$ showed highest content among the 21 germplasms analyzed. Onetime treatment of soybean plants with Antipol or Piaster at the $V_4$ stage yielded seeds with higher isoflavones as $2,472{\mu}g/g\;or\;2,052{\mu}g/g$,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by 37% and 14% than that of seeds in the control plants, respectively. In Eunhakong, Isoflavone contents of soybean sprout changed during sprouting. Daidzein content in hypocotyl increased to maximum on the third day of cultivation and decreased there-after, whereas the content changed little in cotyledon. In sprouts of Pungsannamulkong, daidzein content in hypocotyl showed a maximum level on the first day and decreased gradually thereafter but, the content changed little in cotyledon. Total isoflavone contents in lateral roots which developed on the 6th day after sprouting ranged from 4,416 to $5,232{\mu}g/g$ DW.

      • KCI등재

        2014 / 2015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Lolium multiflorum Lam.)의 벼 입모 중 파종 재배시 생육저해 요인 분석

        김영진,최기춘,이상학,정종성,박형수,김기용,지희정,이상훈,최기준,김원호,Kim, Young-Jin,Choi, Ki-Choon,Lee, Sang-Hak,Jung, Jeong-Sung,Park, Hyung-Soo,Kim, Ki-Yong,Ji, Hee-Chung,Lee, Sang-Hoon,Choi, Gi-Jun,Kim, Won-H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6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6 No.1

        2014/2015년도 전국 동계사료작물, 특히 벼 입모 중 파종했던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월동 후 생육 상황은 매우 저조했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생육저해 요인을 찾기 위해 충남 논산지역의 생육상황과 인근 대전지역의 기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월동 후인 2015년 2월 8일과 9일의 최저기온과 최대순간풍속은 각각 $-8.8^{\circ}C$와 10.7 m/s, $-12.4^{\circ}C$와 9.6 m/s로서 소낙눈을 동반한 강풍이 불면서 온도도 매우 낮았는데, 이는 토양 과습으로 토양 표면에 노출되어 있던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뿌리 생장에 매우 불리하게 작용하였다. 연이어 2월 12, 13, 14일에도 각각 $-4.1^{\circ}C$와 11.6 m/s, $-5.6^{\circ}C$와 10.3 m/s, $-4.7^{\circ}C$와 7.5 m/s의 저온과 강풍피해를 받았다. 더욱이 1월부터 지속된 가뭄현상으로 건조상태가 지속되다가 2월 15, 16일에 19 mm의 강우가 내렸으나 생육을 회복하기엔 역부족이었다. 2월 26, 27, 28일에도 $-1.8^{\circ}C$와 13.7 m/s, $-3.5^{\circ}C$와 10.6 m/s, $-4.1^{\circ}C$와 6.8 m/s의 저온과 강풍피해가 있었다. 3월 3일까지 고사개체가 59% 이상으로 많았으며 3월 4일부터 12일까지 9일간의 저온과 강풍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생육 회복불능상태로 몰고 갔다. 따라서 2014/2015년의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수량감소의 주원인은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2014년 10월, 11월의 강우로 인하여 벼 수확 후 볏짚수거가 지연되어 볏짚 밑에 눌려 연약하게 자란 개체가 월동 후 저온에 고사되었다. 배수로 미설치로 논 토양 표면의 수분이 과다하여 뿌리를 땅속으로 내리지 못한 채 월동하게 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봄에 서릿발 및 가뭄과 강풍을 동반한 저온피해를 받아 뿌리가 말라버려 작물이 고사되어 버리는 상황이 발생되었다. The growth of Italian ryegrass (IRG) after wintering was very low in 2015 when IRG was broadcasted under growing rice in fall of 2014. To determine growth inhibitory factors of IRG, we examined the growth conditions of IRG in Nonsan region and meteorological conditions in Daejeon nearby Nonsan. Minimum temperature and maximum instantaneous wind speed on Feb. $8^{th}$ and $9^{th}$ of 2015 after wintering of IRG were $8.8^{\circ}C$, 10.7 m/s and $12.4^{\circ}C$, 9.6m/s, respectively. Air temperature was suddenly dropped due to strong wind with snow showers, which had unfavorable effect on root growth of IRG exposed at the soil surface. The minimum temperature and maximum instantaneous wind speed on Feb. $12^{th}$, $13^{th}$, and $14^{th}$ of 2015 were $4.1^{\circ}C$, 11.6 m/s, $-5.6^{\circ}C$, 10.3 m/s, and $-4.7^{\circ}C$, 7.5 m/s, respectively. The growth circumstance of IRG was not good because soil was dried due to drought continued from January. The minimum temperature and maximum instantaneous wind speed on Feb. $26^{th}$, $27^{th}$, and $28^{th}$ of 2015 were $1.8^{\circ}C$, 13.7 m/s, $-3.5^{\circ}C$, 10.6 m/s, and $4.1^{\circ}C$, 6.8 m/s, respectively. The number of wilting of IRG was more than 59% until Mar. $3^{rd}$ of 2015. IRG faced irreparable environment (low minimum temperatures and extreme instantaneous wind speeds) for 9 days from Mar. $4^{th}$ to Mar. $12^{th}$ of 2015. The main reason for the decrease of IRG productivity was collection delay of rice straw after rice harvest because there was continuous rain between Oct. and Nov. of 2014. For this reason, weakly grown IRG under rice straw was withered after wintering. IRG was withered by frost heaving, drought, and instantaneous wind speed in the spring. Furthermore, the root of IRG was damaged while growing in excess moisture in the surface of paddy soil during the winter season due to rain.

      • KCI등재

        유산(酉山) 정학연(丁學淵)의 회인시 연구 -『추일회인절구십일수(秋日懷人絶句十一首)』를 중심으로-

        김영진 ( Young Jin Kim ) 한국시가학회 2016 韓國 詩歌硏究 Vol.40 No.-

        본고는 茶山 丁若鏞(1762~1836)의 장남 酉山 丁學淵(1783~1859)의 회인시 『秋日懷人絶句十一首』를 소개ㆍ분석하고 아울러 정학연의 장년기 교유를 탐색하였다. 『추일회인절구십일수』(『酉山集』, 필사본 1책, 개인 소장)는 현존하는 정학연의 시집에서 가장 이른 시기(1826~27년)에 창작된 회인시다. 李學逵(1770~1835), 權永佐(1782~1830), 柳最寬(1788~1843), 金正喜(1786~1856), 尹定鉉(1793~1874), 朴長암(1780년생), 韓晩植(자 菊老), 申緯(1769~1847), 李祖憲(1796~1862), 南聖執, 李魯榮(1781~1860) 총 11명의 인물을 다루고 있는데, 정학연이 회인시를 짓게 된 데는신위, 이학규와의 교유(상호 시문 교환 포함)가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11명의 대상 인물은 전반적으로 같은 당파인 남인계열(이학규, 권영좌), 김정희와 신위의 교유그룹을 중심으로 하는 시인들(유최관, 김정희, 윤정현, 박장암, 한만식, 신위, 이조헌, 남성집), 마지막으로 마재(소내) 인근 지역에서 이웃으로 교제한 이노영의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정학연은 여러 편의 회인시를 남겼는데, 『추일회인절구십일수』에 이어 창작된 『歲暮江鄕, 門無來客, 只有梅花在紙屛中, 燈火靑熒, 澹然相對, 如將晤語, 感年華之迅速, 思往事之悠邈, 遂以梅花起興, 寓念舊懷人之意, 援筆疾書, 呈海居』(『酉山詩』, 필사본 1책, 실학박물관 소장)는 회인시로서는 독특한 면모를 지닌 변격의 회인시라고 할 수있다. 여기에 나오는 11명의 인물들은 장년기 교유의 연장선상에 있다. 그리고 아직 발굴되지 않은 『회인시』 40장(1840년작)은 만년기 교유의 핵심을 보여주는 작품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This paper will introduce Chuilhuiyinjeolgu 11 verses(「秋日懷人絶句十一首」). This is a kind of hui-yin(the theme is gathered people) poetry(懷人詩) created by ‘Jeong Hak-yeon(1783~1859) who is the son of Dasan Jeong Yak-yong (1762~1836). These verses are the earliest work of the poet’s collection of poems(1826~27). In the poems, there appear 11 different people and Jeong Hak-yeon created this under the influence of his friends, Shin Yui(申緯) and Lee Hak-gyu(李學逵). Of eleven people, some belong to Nam-yin(Lee Hak-gyu and Gwon young-jwa), and some related to the networks of Shin Yui and Kim Jeong-hee(Yoo Chui-gwan, Kim Jeong-hee, Yoon Jeong-hyun, Bak Jang-am, Han Man-sik, Shin Yui, Lee Jo-heon, Nam Seong-jib), and the last one, Lee Roh-young, is the poet’s neighbor. Jeong Hak-yeon leaves several hui-yin poems, and these show special trait-irregularity. The eleven people are in the extension of their relationship of adulthood. Lastly, we presume that the poet’s other hui-yin poems-still not excavated-could show the poet’s latter years.

      • KCI등재

        세척과 안정화기술을 적용한 오염 준설토의 처리 및 재활용 시스템 개발

        김영진,남경필,이승배,김병규,권영호,황인성,Kim, Young-Jin,Nam, Kyoung-Phile,Lee, Seung-Bae,Kim, Byeong-Kyu,Kwon, Young-Ho,Hwang, In-Seong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0 지하수토양환경 Vol.15 No.2

        Although the demands for the dredging work have been increasing due to social and industrial reasons including national plan for restoration of four major rivers, environmental standards or management guidelines for the dredged river sediment are limited. The suggested environmental standard for the beneficial use of dredged river sediment consists of two levels, recyclable and concern, and includes eight contaminants such as metals and organic contaminants. The systematic approach to remediate dredged river sediment is also suggested. The system consists of both washing and stabilization processes with continuous multi particle separation. In the early stage, the sediments are separated into two particle sizes. The coarse-grained sediment over 0.075 mm, generally decontaminated with less trouble, follows normal washing steps and is sent for recycling. The fine-grained sediments under 0.075 mm are separated again at 0.025 mm. The particles bigger than this second separation point are treated in two ways, advanced washing for highly contaminated sediments and stabilization for less. The lab test results show that birnessite and apatite are most effective stabilizing agents among tested for Cd and Pb. The most fine residues, down-sized by continuous particle separation, are finally sent for disposal. The system is tested for metals in this study, but is expected to be effective for organic contaminants included in the environmental standard, such as PAH and PCE. The feasibility test on the field site will be followed.

      • SCOPUSSCIEKCI등재

        혈관가지가 없는 두개강내 혈관에서 발생한 뇌 동맥류

        김영진,김재민,이형중,백광흠,김충현,오석전,Kim, Young Jin,Kim, Jae Min,Yi, Hyeong Joong,Bak, Koang Hum,Kim, Choong Hyun,Oh, Suck Jun 대한신경외과학회 2000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9 No.4

        Objective : In general, most of saccular aneurysms arise at arterial divisions, but those arising at unbranched site are rare. These aneurysms might impose neurosurgeons a formidable surgical challenge, due to uncommon features and a difficult surgical technique. Methods : Between the period of Jan. 1996 and Dec. 1998, a total of 110 cases of aneurysms were operated. Among them, five cases of unbranched site aneurysm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rough medical records, angiographic and operative findings. Results : The incidence of aneurysms unrelated to arterial branches was 4.5%. All cases presented with subarachnoid hemorrhage(SAH) ; three(60%) were at internal carotid artery(ICA) and two(40%) at middle cerebral artery (MCA). Two had a history of hypertension and three showed atherosclerotic changes in the arterial wall. One ICA and one MCA aneurysms proved to be a blood blister-like aneurysm(BBA) in their shape. Strikingly, a rapid neurological deterioration was shown in two ruptured ICA variants, which resulted in death and another two aneurysms left with morbidity. Conclusion : The preoperative neurological status in most cases was relatively poor compared to that of aneurysms arising at a branched site. Regarding its pathogenesis, atherosclerosis as well as hemodynamic factor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ation of these variant aneurysms among various etiological factors. The overall prognosis of unbranched site aneurysms was worse than that of branched site aneurysms. In cases of BBAs, special attention was requisite to handle them during clipping and/or wrapping due to an easy fragile, thin aneurysmal wall.

      • KCI등재

        순수 P2P 네트워크 환경에서 프락시-서버 할당을 위한 동적 피어 선정 기법 설계 및 구현

        김영진,김문정,김응모,엄영익,Kim, Young-Jin,Kim, Moon-Jeong,Kim, Ung-Mo,Eom, Young-I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0 No.1

        현재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방화벽과공용 IP 주소 부족 문제를 발견하기 위한 NAT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에서는 기본적으로 서로 다른 방화벽/NAT 내에 있는 사용자들 간의 상호 연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제한된 서비스들만이 제공되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서로 다른 피어들간에 직접 연결을 하여 서비스를 주고받는 순수 P2P 환경에서는 각종 서비스의 제공에 근 방해 요소로 작용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P2P 환경에서 방화벽/NAT 내에 있지 않은 피어들 중 네트워크 트래픽이 적은 피어를 동적으로 선정하여 프락시-서버를 할당한 후 이를 피어들의 통신 매개체로 사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운영체제 독립적이고, 양방항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며, 기존의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프락시-서버로 집중될 수 있는 네트워크 그래픽을 여러 피어들에게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Recently, deployments of firewalls and NATs ire increasing to provide network security features or to solve the problem of public IP shortage. But, in these environments, peers in different firewall or NAT environments may get limited services because they cannot open direct communicate channels. This can be a significant problem in pure P2P environments where the peers should get or provide services by opening direct channels among themselv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cheme for dynamically selecting a peer that fan be used as a proxy server. The proxy server support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eers in different firewall or NAT environments. The proposed scheme is operating system independent and support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mong the peers in P2P environments. Additionally, the proposed scheme can distribute network traffic by dynamically allocating proxy servers to the peers that is not located in the firewall or NAT environm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