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中學校 漢文敎育의 變遷과 展望

        박준호(Park Jun-Ho) 대동한문학회 2005 大東漢文學 Vol.22 No.-

        누구나 아는 바와 같이, 지금 학교 현장 교육에 있어서 漢字ㆍ漢文 敎育의 위상은 너무나 현저하게 격하되고 있다. 요컨대 교육과정상의 ‘漢文’敎科는 교육 수용자인 학생들이 그 필요성을 자각하지 않으면 전혀 선택되지 않을 수도 있는 과목으로 전락한 것이다. 여기에다 ‘漢字ㆍ漢文은 어렵고 재미없으며, 쉬운 한글을 두고 굳이 漢字ㆍ漢文을 왜 배워야 하느냐’는 생각을 갖고 있는, 컴퓨터 세대들의 漢文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의 어려움까지 가중되고 있다. 지난 시기에 우리가 이룩했던 知的 活動과 文化的 成就의 거의 대부분 은 漢字ㆍ漢文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漢字ㆍ漢文 敎育을 지금처럼 도외시한다면, 우리의 사상이나 정서에서부터 가치관에 이르기까지 연면히 간직되어 온 민족의 정신적 자산 대부분을 放棄하는 결과를 초래 할 것이다. 아울러 국어 어휘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漢字語의 학습을 통하여 현금의 언어생활에 보탬이 되고, 현실적으로도 여타의 敎科目을 학습하는 데에 많은 보탬이 된다는 사실도 중요하다. 또한 오늘날 지구촌에서 가장 역동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지역이 漢字文化圈이라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 지리적으로 한자문화권에 속해 있는 우리나라가 주변의 한자문화권에서 고립되지 않으려면 그리고 이들과 협력하여 세계 문명의 발전에 기여하고 문화적 동질성을 유지하려면, 중ㆍ고등학교에서의 漢字ㆍ漢文 敎育은 필수불가결한 과제인 것이다. 한자문화권인 한국ㆍ중국ㆍ일본의 공통분모는 바로 漢字ㆍ漢文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중ㆍ고등학교 漢字ㆍ漢文 敎育의 현실은 그야말로 참담한 지경에 있으며, 그에 따른 허다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이미 그동안 識見있는 이들의 衷情어린 지적과 경고가 있었다. 漢字ㆍ漢文 敎育이 안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능동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방안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다. 이 논문도 이 같은 상황 인식과 문제 의식을 바탕으로 어려운 현실을 타개해 보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집필되었는바, 우선 中學校 漢文敎育의 변천 과정과 현황 그리고 향후의 전망에 대해서 나름대로 살펴 보았다. 이러한 검토 과정에서 드러난 中學校 교육 현장의 문제점에 대한 제기를 통해, 한문 교육의 개선을 위한 방향을 설정하는데 일정한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study the course of changes in Middle school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outlook from now on. As everyone knows, the importance of reading and writing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is being downgraded in school education these days. So the subject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can be ignored if students don't feel the need to study it. In addition, they think, ‘Reading and writing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is far too difficult and not so interesting, so why must we lear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instead of using our own alphabet, Hangeul(한글)’ Hence, there is also the difficulty of negative opinions about it from the younger generation. Most of our intellectual activities and cultural achievement in the old days we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In this point of view, if we ignore the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like we are doing now, the result would be that we would have lost most of our national spiritual assets from our thoughts and emotions to even our long-time values. Besides, the learning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which have a lot of influence on Korean vocabulary is very helpful in verbal understanding and the study of other subjects. Also, these days a greater and more significant cultural use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is becoming known in the world and must be paid attention to. Our country, geographically located in the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global area of cultural influence, has to teach the students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so as not to be cut off from this particular cultural area, and instead cooperate with these countrie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world civilization and maintaining the same quality of culture, because it is the common denominator of Korea, China, and Japan. Nevertheless, the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and writing is in a miserable state now. We are already aware that this issue makes many problems. There may be many ways to cope actively with these many problems which the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and writing offers. This paper is written based on this present-situation and these problems that we sense, and to find a realistic way out of these difficulties. I hope it is helpful in finding a good direction in the improvement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through presenting the particular problems in the field of middle school that were revealed in this course of investigation.

      • 韓國漢文學批評 硏究의 回顧와 展望

        강민구(Kang Min-Koo) 대동한문학회 2003 大東漢文學 Vol.19 No.-

        한국한문학비평연구에서 그 연구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이론적 탐구와 실제 비평을 포괄한다. 文學史에서 한문학비평의 위상:한국문학사에서 비평이라는 개념은 1961년 발간된 『韓國漢文學史』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 전에는 品評, 評論, 稗說 등의 개념이 사용되었다. 한국문학사에서 한문학 비평의 위상에 대한 서술은 상당히 부족한 현실이다. 詩話 硏究:한국한문학비평 연구의 초기에는 詩論과 詩話가 同義語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詩話와 批評의 관계 설정, 특히 시화가 비평으로서 갖는 특성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詩論硏究:詩論은 漢文學批評에서 가장 큰 성과를 이룬 분야이다. 漢詩가 한국한문학의 장르를 크게 양분하고 있는 상황에서 漢詩 硏究의 선행 작업으로 詩論 硏究가 依例 설정되었으며, 연구자의 접근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점에 그 원인이 있다. 散文論硏究:古文論은 散文論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로 인식되었으며 양자가 동의어로 사용되기까지 하였다. 산문의 이론비평뿐만 아니라 실제 비평으로 연구가 심화 확장되었다. 文學觀硏究:文學思想, 文學理論의 관계 탐색에 주목하였으나 그 개념과범위의 劃定이 精緻하지 못하였다. 文學思想硏究:文學思想과 批評,作品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한문학의 기저를 형성하는 사상 규명과 사회 변혁의 원리를 추출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漢文學理論硏究:한문학에서 가장 활발히 연구된 분야로 이론의 개념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 性理學的 문학이론의 탐색과 성리학적 문학론으로부터의 이탈과 그것의 대안에 대한 모색이 연구되었다. 한국한문학비평에서 소홀시 되었으나 간과할 수 없는 분야는 原典批評이다. 또 한문학과 다른 예술 장르간의 교섭 양상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하며 選集에 投射된 批評觀도 규명되어야 한다. 漢文學批評史 뿐만 아니라 漢文學理論史, 漢文學創作論史, 漢文學作品論史, 漢文學作家論史, 漢文學批評學史 등의 分化·深化된 史的硏究도 이루어져야 한다. In the study of korean chinese literary criticism, the extent of its study includes a theoritical study and a practical criticism. A position of korean chinese literary criticism in the korean chinese literary criticism:The notion of criticism is first used in 『The history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which was published in the 1961. In former times, a estimation, a critique, a Pae-seol(稗說), and etc. was used. The description of a position of korean chinese literary criticism in a study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is not quite enough. The study of Si-wha'theory(詩話論):In the early stage of a study Si-wha(詩話) as a synonym. So, the establishment of a poetics and a criticism's relation, especially an argument of critical peculiarity of Si-wha(詩話), was continued. The study of poetics(詩論):The poetics achieves a great deal of result in a branch of korean chinese literary criticism. The reason why is that the study of poetics was established for the preceding work of the study of korean chinese poetry and a scholar's access is easy. The study of prose'theory(散文論):The theory of ancient classics was recognized as a most important subject and its synonym in the study of theory of prose, was deepened and extended to a theoritical and a practical criticism in a prose. The study of an outlook on literature(文學觀):The study of an outlook on literature gives an attention to the theory of literature and a literary thought. But the decision of its notion and limits were not minute. The study of literary thought(文學思想):A debate about the relation of the literary thought, a criticism and a literary work was presented. And the study of close examination for the thought which made a korean chinese literary foundation, the work for the abstraction of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social changes was advanced. The study of korean chinese literary theory(漢文學理論):This is a most extremly investigated branch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In this field, the study of theoritical conceptualization was advanced. A search for the Sung Confucianical literary theory, an examination for the departure from the Sung Confucianical literary theory and the alternative idea was studied. The original text criticism which is an important branch of korean chinese literary criticism should be studied. The study of an aspect for the negotiations between korean chinese literature and other artistic field should be studied. And an outlook on criticism which was traced out a selected works should be examined closely. Not only the criticism on korean chinese literature, but also the differentiate and deepening for the study of the theoritical history, the creative theory's history, the writing theory's history, the writer theory's history, the critic theory's history of korean chinese literary criticism should be studied.

      • KCI등재후보

        漢文敎育科 創立 30周年 回顧와 展望

        이명학(Lee Myung-Hak) 대동한문학회 2005 大東漢文學 Vol.22 No.-

        한문교육과는 1972년 당시 문교부로부터 ‘중등교사 양성’을 목적으로 인가를 받아 계명대ㆍ성균관대에 처음 설립되었으며, 한문학과도 ‘한문학 연구자 양성’을 목적으로 같은 해 국민대에 처음 설립되었다. 그 뒤 한문교육과ㆍ한문학과는 70년대와 80년대에 잇달아 설립되었다. 지난 30여년의 세월을 돌이켜보면 양적ㆍ질적인 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었다. 초창기 한문교육과는 준비가 미흡한 상태에서 창설된 관계로 방향 설정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적지 않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그러나 한문학의 개념이 정리되고 한문학 관련 학회와 연구자들의 의욕적인 노력으로 한국한문학에 대한 연구 업적이 축적되면서 한국한문학이 한문학과의 주 성격으로 자리 매김을 하게 되어, 과거의 교과 과정과는 현격하게 다른 교과 내용으로 변화를 이루게 되었다. 또한 초창기 한문교육과 학생들은 한문학에 대해 정보도 없었을 뿐 아니라, 사회적인 무관심으로 많은 좌절도 겪었으나, 80년대부터 우리 것에 대한 관심과 한국학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가 증대되면서 한문학 분야는 한국학의 중요한 유산이며,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는 중요한 분야로 인식하게 되었다. 지난 30여 년간 한문교육과의 양적ㆍ질적인 괄목할 만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한문교과 만큼 우여곡절을 겪은 교과도 없을 것이다. 한자 학습지 시장의 확대, 한자 한문경시대회의 활성화 등 사회적인 요구와는 달리, 공교육에서 한문교육은 30여 년 동안 일관성 없는 교육정책으로 인하여 그 위상이 날이 갈수록 위축되었다. 우리를 둘러싼 외부 환경이 지난 세월 동안 많이 호전된 것도 사실이지만, 특히 한문교육과의 정체성과 학교 교육 현장과의 괴리는 심각한 양상을 띠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직시하고 그 해결 방법을 모색할 때가 된 것이다. 우리는 이제부터 과거의 모습을 한번 냉정하게 뒤돌아보고 새로운 환경과 패러다임에 맞는 한문교육과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In retrospect for past thirty years our surprising growth has been achieved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by the painstaking endeavor and passion of predecessor teachers. I want to give them much thanks. In the early times, since the department of education for classical Chinese was started in the less prepared state, we underwent the many difficulties for orientation and experienced trial and errors to position the educational aims and curriculum operation. But as the concept of literature of classical Chinese was gradually arranged and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was accumulated by the enthusiastic toils of the researchers and associations related with literature of classical Chinese, so the professors majoring in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and Korean classical learning have made a main stream in universities, and finally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have been positioned as a center stem, which has far wide differences from the past curriculum. For now, however, after thirty years, new curriculum operation for harmonizing ‘Chinese character’, ‘classical Chinese’ and ‘text education’ is needed for future. It is right time to discuss the revision for stepping with social requirement and reality, not for the existing one-side education of ‘classics of classical Chinese’. Teaching method only with chalk and blackboard is impossible to attract the interests of internet generation. Effectual teaching method using various tools should be tried for motivating learning and these techniques be applied in school and society. From now on we have to look back in cool stance and to strive to make department of education for classical Chinese meet to new environment and paradigm.

      • KCI등재후보

        대학 한문교육과 교육과정의 현황과 문제점 - 전공영역을 중심으로 -

        정재철(Jung Jae-Chul) 대동한문학회 2005 大東漢文學 Vol.22 No.-

        Preparing introduction of the estimation and approval system for a college of education, I checked present state and controversial issues mainly with contents of the curriculum education studies and the curriculum content studies of the Sino-Korean education department curriculum in existing 10 universities. The curriculum of the Sino-Korean education department must be organized with contents faithfully reflected original characteristic of the Sino-Korean major and educational ideology and purpose which the teachers' college aimed as a special purpose college cultivating teachers for middle and high schools. Particularly the major realm of the Sino-Korean department curriculum must be organized as the way Confrontation and complement are mutually possible between the curriculum education studies and the curriculum content studies thus it can be differentiated from the curriculum of other general departments. The subjects for the curriculum education studies opened for the major realm of the present 10 universities' Sino-Korean education was constructed hurriedly without scholarly filtering process about Sino-Korean education to make provision for the estimation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which have been held over two times since 1998. As we can see on the appointment examination recently set, the curriculum education studies should be understood on a whole point of view as the curriculum with education by taking off dichotomous sight as curriculum and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curriculum education on the educational procedure of the Sino-Korean education department should be reorganized by scientific and synthetic way to unite the content problem-what the contents should be and the method-how to teach. The subjects of the curriculum content studies opened at the present 10 universities can be divided widely by the contents with a fundamental realm, a literal realm, a historical realm, and a philosophical realm. The biggest problem in the curriculum education studies is rather the contents of the subjects opened for each realm than the weight of it. There are several subjects which is not suitable to middle and high schools' Sino-Korean curriculum and some of these are even different from tendency of the appointment examinations for these 9 years. In the future the subjects of the curriculum content studies should be improved to the subjects for preparation of the teacher's appointment examination and for proper acquirement of the knowledge and the method requested at the school education field. The curriculum of the Sino-Korean education department should be continually improved so that the students can acquire essential knowledges and manuals to understand and change synthetically the actual field where they will work in the future. From now observation related to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curriculum must be devoted to the content of improvement proposal for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in the comprehensive program of teacher-training system reorganization. Celebrating the 30th anniversary of the foundation, the Sino-Korean education department have to raise its level as an independent department and make future-oriented educational curriculum reflected requirement of the field as well as making provision for the estimation of the teacher's college. 본 연구는 2009년부터 제도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범대학 평가인정제도입에 대비하여, 현재 10개 대학의 한문교육과 교육과정의 현황과 문제점을 전공영역인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중ㆍ고등학교 한문교사를 양성하는 한문교육과의 교육과정은 교사 양성이 라는 특수 목적대학으로서의 사범대학이 지향하는 교육이념이나 교육목적과 한문전공 고유의 특성이 충실히 반영된 내용으로 편성되어야 한다. 특히 한문교육과 교육과정의 전공영역은 일반학과의 교육과정과 차별화될 수 있도록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이 서로 대립하고 보완할 수 있도록 편성해야 한다. 현재 10개 대학 한문교육과 교육과정의 전공영역으로 개설된 교과교육학 과목들은 한문교육학에 대한 학문적 여과 과정 없이 1998년도부터 2차에 걸쳐 실시된 사범대학 평가에 대비해 급조된 것이다. 최근에 출제된 임용시험 문제에서 보듯이 교과교육학는 기존의 교과와 교육이라는 이분법적 시각에서 벗어나 교과와 교육의 총체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한문교육과 교육과정에서의 교과교육학 과목은 교과의 내용을 무엇으로 설정할 것인가 하는 ‘내용’의 문제와 함께 교과의 내용을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에 하는 ‘방법’의 문제가 종합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현재 10개 대학 한문교육과에 개설된 교과내용학 과목을 내용별로 분류하면 크게 기초영역, 문학영역, 역사영역, 철학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교과내용학 과목에서의 가장 큰 문제는 영역간의 비중보다는 각 영역별로 개설된 과목의 내용에 있다. 교육내용학 과목 중에는 중ㆍ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의 내용과는 맞지 않거나 최근 9년간 임용시험에서 출제된 문제와는 방향이 다른 과목이 상당수 개설되어 있다. 앞으로 전공 영역인 교과내용학과목은 학생들이 교직으로 진출하기 위한 관문인 임용고사에 대비하고, 학교 교육 현장에서 요구하는 지식과 방법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과목을 중심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한문교육과의 교육과정은 예비 교사인 학생들이 근무하게 될 학교 현장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현장 개선에 필요한 지식과 방법을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개선될 필요가 있다. 향후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개정방향과 관련해 주목해야 할 것은 「교원양성체제 개편 종합방안 시안」에서의 교직 과목의 개선(안)의 내용이다. 한문교육과는 창설 30주년을 맞아 다가오는 사범대학 평가에 대비해 독립학과로서의 학문적 입지를 확고히 하면서 수준 높은 중ㆍ고등학교 한문교사를 배출할 수 있도록, 독립교과로서의 학문적 위상을 높이고 교육 현장의 요구가 반영된 미래지향적인 교육과정을 만들어야 한다.

      • KCI등재

        다전공 복합학문시대 한문학연구의 역할

        이종묵(Lee, Jong-mook) 대동한문학회 2009 大東漢文學 Vol.31 No.-

        이 논문은 21세기 다문화 복합학문 시대를 맞아 한국한문학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국한문학 연구는 그 출발단계에서부터 순문학적인 것만을 고집하지 않아 사상사, 사회사, 예술사 등을 포괄하는 통합 학문적 정격이 강하였다. 특히 최근에는 문학의 범위를 넘어서 타전공 영역의 본령에 해당하는 연구 성과까지 도출하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 포스트모더니즘과 탈근대 담론이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민족이나 근대와 같은 거대담론이 축소되고 그 자리에 생활 혹은 일상이 자리하는 한편, 문화론적인 접근이 크게 유행하면서 한문학 연구 역시 문화론적인 연구가 크게 성행하고 있다. ‘물질(material)’을 키워드로 하는 문화론적 연구 방법에 의하여 한문으로 된 텍스트를 바탕으로 건축, 조경, 여행, 서적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주목할 만한 성과가 나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한문학 연구의 미래를 낙관할 수 있지만, 정밀한 한문 해독 능력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문학 이외의 여러 학문에 대한 깊은 이해가 동반될 때 한문학 연구의 수준이 높아질 수 있다. 이와 함께 학문 방향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생태, 소수자, 다문화, 여성 등 현재적인 의미가 있는 주제를 개발하여 살아 있는 한문학 연구가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法古創新은 여전히 한문학 연구의 가장 중요한 방법론이 되어야 한다. 물론 탈근대와 연계된 문화론적인 접근은 어떤 이념이나 목적을 지향하지 않음으로써 그간 주도적이지 않았던 문화사적 현상을 새롭게 부각시키는 것 자체에 관심이 있다. 이에 따라 문화론적 접근은 독자들에게 읽을거리를 제공할 수 있어 새로운 형태의 창작행위로 나아갈 필요도 있다. 한국한문학 연구가 다른 분야를 향하여 개척의 길을 나아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한문학 텍스트를 정밀하게 해독하기 위해서도 다전공 복합학문의 자세가 필수적이다. 한문학 작품은 일반적인 문학이 다 그러하듯이 삼라만상을 담는 그릇이므로, 정밀한 작품해석을 위해서는 다전공 복합학문에 힘을 쏟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조선 후기 박물학적인 경향이 문학에서 강하게 드러나므로 박물학자적인 박학이 필요하다. This paper tries to seek to find a way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research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age of Multi-major Interdisciplinary Study. From a beginning stage, the research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has a tendency of coordinate learning, including history of ideas, social history, and art history. Especially, in recent days, it produces the outcomes in other major fields beyond the boundary of literature. Furthermore, it follows the trend of cultural studies focusing on the dailiness or everyday lifes under the influence of discourses on post-modernism and post-structuralism, while the macro-discourses such as nation and modemity are being retreated. By the methodology of cultural studies which take 'material' as an academic keyword, the research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turns out noteworthy achievements in diverse areas, such as architecture, gardening, travel, and book. In this situation, we can be optimistic about the future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but for the upgraded advancement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deep approaches on various subjects outside the literature based on the close understanding of Chinese texts are required. The research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should develop new methodologies with a creative mind, covering current academic issues such as ecology, minority, multi-culture, gender. These cultural approaches associated with post-modernism pay attention to show the cultural phenomena which have not veen focused so far, unrestricted to any specific ideology or intention. These might offer many materials to the readers and need to get to a new form of writing activities. It is important that the research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explores a new way forward different academic fields, but for the close interpretation of Chinese texts, the attitude for multi-major interdisciplinary study is necessary. Especially, the literature in the late Joseon has a strong tendency of natural history, so the researchers need to have a wide knowledge as a naturalist.

      • KCI등재후보

        이조 후기 한문학에서 언어생활의 수용과 교섭 - 창작에서 언어의 수용문제를 중심으로 -

        진재교(Jin Jae-kyo) 대동한문학회 2004 大東漢文學 Vol.20 No.-

        이 논문은 한문학이 언어 생활을 어떻게 수용하여 창작과정에서의 이원적 문제를 해소하고 어떻게 문학적 성취를 이룩하였던 가를 살펴본 것이다. 국문 문학과 한문학의 상호 번역과정에서 보여준 교섭, 그리고 야담과 한시 창작에서의 구연의 수용 등의 사례를 통해 구체적인 양상을 확인하였다. 생활언어와 한문학, 한문학과 국문문학 양식에서의 상호 교섭, 문학간의 넓나듦을 통한 교집합의 확대 등이 그 예이다. 이는 한문학이 언어 생활과 현실 생활에서 맛볼 수 있는 정취를 살리려 한 점에서, 주체적 자각에 기대어 창작의 개성을 살렸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시도는 일정한 성취를 낼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진전을 보여주는 것 또한 사실이다. 사실 생활에서 쓰는 언어를 한문학이 여하히 수용하였던 가 하는 문제는 한문학을 도입할 시기부터 생래적으로 가진 모순이자, 풀기 어려운 난제의 하나였다. 그런 점에서 서로의 거리를 좁히는 노력은 문학사의 중요한 사안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이는 매우 제한적 의미를 지니며, 본질적인 한계가 가로놓여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한문학에서의 언어생활과 한문학의 거리를 좁히는 데서 보여준 ‘變貌’라던가, 일부 작가들의 성취도 이러한 한계를 인식한 위에서 그 의의를 따지고 들어야 할 것이다. 곧 한문학 양식을 인정하는 전제 위에서 그 논의는 가능할 터이다. This essay purports to examine how the literature of late Joseon in classical Chinese language adopted and expressed the colloquial Korean native language in their writing. The author especially uses for its object of study various styles of literary works either written both in classical Chinese and native colloquial languages or translated from either to the other. The tendency of expressing the peculiar styles of Korean vernacular expressions in literary work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language of late Joseon shows the literati's independent spirit in composition and their efforts to accept the heart of Korea people. It is especially meaningful to attempt to examine such a tendency in late Josoen. This is because the issue of accepting Korean vernacular language in the writing in classical Chinese language existed from the very beginning that Korean people started using classical Chinese for their writing instrument but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native language of Korea and its writing has never been easy. What is discussed and claimed in this essay, however, will merely have limited meaning, unless readers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nature between the colloquial Korean and the written classical Chinese. Otherwise, the concentrated efforts made by the literati discussed here would not be regarded as more than non-Korean Chinese literature.

      • 한문소설 연구의 시대적 추이와 과제별 전망

        정출헌(Chung Chul-heon) 대동한문학회 2003 大東漢文學 Vol.19 No.-

        About 70 years has passed since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novel began earnestly with the publication of History of Chosun's Novel by Kim Tae Joon in 1933.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novel is coincident with that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is indicates suggests that the former is the starting point and center of studying Korean literature. Thus this study first reviewed the history of research on Korean novels in Chinese in accordance with the times within the mainstream of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novel. In 1960s, a number of biographical and empirical studies were carried out about the main authors and works of Korean novels in Chinese. Such studies were extended and deepened in 1970s by employing new theories and methods of research. In 198Os, narratives that might be seen literally related with Korean novels in Chinese were also studied, when social history-based methodology was spotlighted. And in 1990s, frames of individual works of the novel were given more attention as the methodology as foresaid were re-manipulated. Then the study suggested new issues to be dealt with in relation to research trends so far described. Above all, a wide range of explorations need to be made about the field of narrative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when Korean novel in Chinese burgeoned as a genre. Next it is needed to review how fictional biography as the mainstream of the genre became more realistic and developed in new ways. Then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how works of the novel were translated into versions in Korean, distributed and influenced or influenced by popular novels written in Korean. Finally it is needed to aesthetically explore works of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and then compare them with those of East Asian novel in Chinese. 고전소설에 대한 본격적 연구는 김태준의 『조선소설사』(1933년)가 간행된 뒤로부터 따진다면, 대략 70년의 역사를 갖는 셈이다. 그것은 우리 고전문학 연구의 역사이기도 하다. 고전소설 연구가 국문학 연구의 출발인 동시에 중심을 차지하고 있었음을 반증하는 사례라 하겠다. 본고에서는 그런 중요성에 유의하여, 우선 고전소설 연구의 주요한 흐름 속에서 한문소설 연구사를 시기별로 개관·검토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문소설의 주요 작가와 작품에 대한 傳記的·實證的 연구가 주류를 이루던 1960년대, 둘째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통해 한문소설 연구가 심화되고 연구 대상이 확산되던 1970년대, 셋째 한문소설과 인접한 서사장르로 연구 대상이 확대되고 사회사적 연구방법론이 주된 흐름을 형성하던 1980년대, 넷째 지난 시기의 사회사적 연구방법론이 재조정되면서 한문소설의 사적 구도에 관심을 기울이던 1990년대로 연구사의 흐름을 집약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이런 연구사적 흐름 위에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과제들을소개하고, 해결의 전망을 모색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한문소설사의 초기에 해당되는 15~6세기의 서사문학적 지평에 대한 폭넓은 탐구가 필요하다는 점, 둘째 한문소설의 주류를 형성하던 傳奇小說이 현실성을 강화하면서 점차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되던 양상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 셋째 한문소설이 국문으로 번역·유통되거나 통속적인 국문소설과 영향을 주고받던 양상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는 점, 넷째 한문소설 작품의 미학적 탐구와 함께 동아시아 한문소설과의 비교문학적 고찰이 필요하다는 점을 연구 과제로 제기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중학교 漢詩 교육을 위한 제안 - 2009개정 한문교과서를 중심으로 -

        김봉남(Kim, Bong-nam) 대동한문학회 2017 大東漢文學 Vol.52 No.-

        필자가 생각하는 2009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14종의 한문 교과서와 한시영역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은 세 가지이다. 첫 번째는 한문 교과서에 수록된 한시 작품의 수가 적은 것이고, 두 번째는 중학교 한문 교과서의 대단원과 소단원의 구성에 연관성이 부족한 것이며, 세 번째는 교과서에 수록된 한시가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것이 있다는 것이다. 이 세 가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필자가 제안한 대안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대안은 한문 교과서 대단원을 장르 중심에서 주제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그 다음에는 1개의 소단원에 같은 주제를 가진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수록 하는 것이다. 즉 1개의 소단원 안에 주제와 관련된 단어와 성어(또는 속담) 와 경서(또는 격언・제자서), 한시, 산문(또는 소설)을 수록하는 것이다. 소단원의 주제가 무엇이냐에 따라 소단원에 수록하는 장르의 비중을 다소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만약 소단원의 주제가 ‘만남과 이별’이면 한시나 산문의 비중을 다소 높이는 것이 좋을 것이다. 만남과 이별의 정감은 시문으로 표현되어 있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소단원의 주제가 ‘자애와 효도’일 경우는 논어 와 같은 경전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 좋겠다. 마지막 으로는 학생들 눈높이에 맞는 한시 작품을 27개의 소단원에 각각 2수씩 제시하여 한문교사들이 실제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중학교 한문 교과서의 구성은 전반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그러나 여전히 걸림 돌이 되는 것은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이다. 필자가 제시한 방안이 미래에 새로 제작될 한문교과서에 얼마나 적용될지 알 수 없다. 더구나 중학교 한문교과서의 분량이 줄어들고 있는 지금의 추세와 역행한다는 지적을 받을 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보았을때 중학교 한문교과서는 지금보다 강화되어야 한다는 것이 필자의 소견이 다. 한문 수업 시수가 적다고 해서 한문교과서의 내용을 계속 줄여 나간다면 한문교육의 위상도 점차 위축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There are three kinds of Chinese textbooks and the problems of the Chinese poetry area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hinese textbooks and curriculum that I think. The first is that the number of Hanshi works in the textbooks of Chinese textbooks is small, the second is the lack of relevance to the composition of the textbooks and sub-departments of middle school textbooks, and the third is that the textbooks listed in the textbooks do not fit the students eyes. To improve these three problems, I proposed the following alternatives. The first alternative is to organize the Chinese textbooks as main themes. Then, in one subanalysis, the collection of works of various genres with the same theme. In other words, it contains the words related to the subject, the words (or proverbs) and the scriptures (or proverbs / disciples), the poems, and the prose (or novels) in one subsection. Depending on the subject of the sub-department, the proportion of the genres included in the subdepartment may be somewhat different. If the subject of the sub-committee is ‘meeting and separation’, it would be better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prose or prose. The feeling of meeting and separation is often expressed in the form of a poem. On the other hand, if the subject of the sub-department is ‘charity and filial piety’, it is better to increase the weight of the scriptures such as non-eo(論語) . Finally, two works were presented to each of the 27 sub-departments, so that the teachers could use them in class. As such, the composition of middle school Chinese textbooks needs overall change.However, it is still a stumbling block to 900 elementary Chinese characters for middle school Chinese education. I do not know how much my suggestion will apply to future Chinese textbooks. Moreover, it may be pointed out that it is contrary to the present tendency that the volume of middle school textbooks is decreasing. However, in the long run, it is my opinion that middle school textbooks should be strengthened now. If the number of Chinese class lessons is small and the content of Chinese textbooks is continuously reduced, the status of Chinese textbooks will gradually diminish.

      • KCI등재

        한자문화권 한문(古典文言文) 교육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영역에 관하여

        許喆(Heo, Chul) 대동한문학회 2021 大東漢文學 Vol.66 No.-

        漢文(古典文言文)은 漢字라는 문자체계와 고대 중국어에 기반한 어법형식을 공유한 文言을 가르킨다. 한문(고전문언문)은 중국에서 발생한 이후에 중세 시기를 거치면서 중국과 중국의 주변 국가에서 자국어문과 함께 사용되면서 관어(官語)이자 지식과 문화 교류, 축적과 생산의 도구였다. 이런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개별 국가들은 전근대 어문 개혁 이후에도 한문(고전문언문)을 死語化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으로서의 한문(고전문언문)의 가치와 필요성을 인정하고 유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한문』교과’라는 제한된 영역을 벗어나 현재 각 지역과 국가에서 시행되는 한문(고전문언문) 교육과 관련된 제 연구의 필요성과 그 구체적 연구 영역에 대해 논의하였다. 전통적 한자문화권에 속하였던 각 지역과 국가에서 시행되는 한문(고전문언문) 교육을 검토하는 것은 본 연구가 첫째, 개별 지역과 국가를 이해하는 또 다른 방법이며, 둘째, 한문 교과 내적으로 볼 때는 한국에서의 한문 교과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이나 교재, 평가의 방법 등의 모색해 이바지해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셋째, 한국 뿐 아니라 동아시아 전체의 한문(고전문언문) 교육이 추구해야 할 목표의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 제기와 더불어 그 해결 방안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으며, 넷째, 한문(고전문언문) 교육이 새로운 한자문화권의 고유한 특성 교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초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고 있다. Literary Sinitic refers to the Han-character system and to the form of grammar based on ancient Chinese. Literary Sinitic was a standard language and instrument of knowledge, cultural exchange, accumulation and production after the outbreak in China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throughout the Middle Ages. Due to this historical background, individual countries recognize and maintain the value and need of Literary Sinitic as an education, despite the abolition of Literary Sinitic after the reform of the pre-modern language. This study discussed the need for my research and specific areas of research related to Literary Sinitic education currently implemented in each region and country, beyond the limited scope of Han Mun in Korea. Reviewing the Literary Seminary education in each region and country that belonged to traditional Sino-sphere is another way of understanding individual regions and countries, and secondly, within the Literary Semantic curriculum, we can not only explore new teaching-learning methods, textbooks, evaluation methods, etc.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fundamental study that can establish itself 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new Sino-sphere.

      • KCI등재후보

        국한문 교체기의 언어생활과 문학활동

        주승택(Ju Seung-taeg) 대동한문학회 2004 大東漢文學 Vol.20 No.-

        이 논문은 한국문학사에서 한국한문학의 하한선이 어디까지인가를 밝히기 위하여 쓰여진 것이다. 이미 <한국한문학의 變異양상>이라는 논문을 통하여 漢詩가 近代詩로 교체되는 과정을 고찰한 필자는 이번에는 漢文(散文)이 국한문혼용체와 순국문체로 대체되는 과정을 고찰하여 보았다. 연구의 대상으로 선택한 자료는 당시의 신문인데 『한성순보』에서는 순한문을 선택했던 당시의 개화파 지식인들이 『한성주보』에서는 한문과 함께 국한문체, 순국문체를 동시에 선택함으로써 변화의 필요성을 처음으로 제기하였다. 그런데 『한성주보』가 한문에 익숙한 관료층을 대상으로 발행된 신문임을 감안한다면 국한문체나 순국문체의 선택은 독자들의 편의를 감안한 것이 아니라 이데올로기적 측면이 강함을 확인하였다. 한문산문이 국한문체로 교체되는 과정에서 또 하나 문제되는 것은 바로 문학성의 문제이다. 한문학에서 시와 달리 산문은 문학성을 뒷받침해 줄 만한 형식적인 요소가 별로 없다. 한시가 한문산문보다 오랜 생명을 지닌 것은 한시의 문학성을 대체할 만한 국문시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한시는 자유시가 등장하는 1920년대 중반까지 각종 언론매체의 <사조>란을 통하여 활발한 창작과 유통이 이루어졌다. 이에 비하여 한문산문은 문학과 비문학의 경계선이 모호하다. 이것은 그 만큼 문학의 영역이 넓었다는 뜻인데 『孟子』, 『莊子』, 『史記』, 『三國史記』에서 보듯이 사상이나 역사를 기술하는 글도 문학적 글쓰기에 성공하면 훌륭한 문학작품으로 간주되었다. 그런데 국한문혼용체나 순국문체는 한문산문의 이같은 기능(문학성)을 제대로 계승하지 못하였다. 그 결과 소설과 같이 문학적 형식이 확고한 장르에서는 국한문혼용체나 순국문체도 문학작품의 표현매체가 될 수 있었으나 논설문이나 기사문 같은 문체에서는 문학의 영역을 벗어나 실용문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결국 국한문혼용체나 순국문체는 과거 한문산문으로 표현되던 폭넓은 영역가운데 실용문으로서의 영역만을 계승하는데 그쳤다. 한문산문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 가운데 실용적 기능은 효과적으로 계승했으나 한문산문의 문학적 기능을 계승하는데는 실패하였던 것이다. 초창기에 국한문 혼용체로 한문산문의 문학적 기능을 계승하려고 노력한 흔적은 『시사총보』의 논설란을 통하여 확인해 볼 수 있다. 장지연이 집필한 것으로 믿어지는 이 『시사총보』의 논설란을 국한문혼용체를 문학적 문체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나 그 결과는 실패한 것으로 파악된다. 결국 이 같은 노력이 실패함으로써 한문산문의 폭넓은 문학적 표현영역은 사라지고 소설이라는 좁은 영역에서 국한문혼용체나 순국문체가 문학적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what(to what extent) the under limit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is. The author already investigated the process of Chinese poetry being replacing into modern one through a thesis entitled “A modifying aspect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this time would look into the process of Chinese characters(prose) being alternated with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and a style of writing pure Korean characters. The material selected as the object of study was newspaper published at that time, and the reformists-intellectuals, who had chosen only a pure Chinese characters in 『Han-sung-sun-bo』(newspaper), proposed the necessity of a change for the first time by selecting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and a style of writing pure Korean characters with Chinese characters in 『Han-sung-ju-bo』 at the same time. However, when considering that 『Han-sung-ju-bo』 was the newspaper aimed at government officials who were accustomed to using Chinese characters, it’s found that the choice of the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or the style of writing pure Korean characters has an aspect of no considering readers’ convenience, showing an ideological aspect. In the process of Chinese characters being replaced into the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a problem is the one of the very literary property. In Chinese characters, prose writings, unlike poems, have little formal elements worth supporting literary property. The reason that Chinese poetry has a litter stronger hold on life than that of Chinese characters is because there was no Korean literary poetry worth alternating with literary property of Chinese poetry. Therefore, Chinese poetry had became made lively in creative writing and its distribution through the <Sa-jo> columns of all kinds of mass media till the middle 1920's when free-styled poems appeared, while Chinese character was vague in the boundary line between literature and non-literature. It means that the domain of literature was broad to that extent, and as you can see from the cases of 『Maeg-ja』- the Works of Mencius, 『Jang-ja』- the Works of Chuangtzu, 『Sa-gi』, 『Sam-kuk-sa-gi』, the writings about thought or history also, if they are successful in literary writing, were considered as excellent works of literature. However,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or a style of writing pure Korean characters did not succeed to this function of Chinese character. As a result, in a genre like novel in which a literal form is fixed,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or a style of writing pure Korean characters also could be an expressive media for a literary work, but in a literary style such as an editorial sentence or an article, it was degraded to a practical sentence out of the domain of literature. After all,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or a style of writing pure Korean characters remained at only succeeding to its domain as a practical sentence among earlier broad domains of expression with Chinese characters. That is, it succeeded to the practical function of Chinese character effectively, but failed in succeeding to the literary function of Chinese character. A trace of efforts to succeed to the literary function of Chinese characters with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editorial column of 『Si-sa-chong-bo』. Even though various attempts were made to make use of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of the editorial column in 『Si-sa-chong-bo』, which is believed to be written by Jang Ji-Yeon, as a literary style. Finally, with the failure of these efforts, broad literary expressive domains of Chinese characters disappeared and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or a style of writing pure Korean characters peformed 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