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中學校 漢文敎育의 變遷과 展望

        박준호(Park Jun-Ho) 대동한문학회 2005 大東漢文學 Vol.22 No.-

        누구나 아는 바와 같이, 지금 학교 현장 교육에 있어서 漢字ㆍ漢文 敎育의 위상은 너무나 현저하게 격하되고 있다. 요컨대 교육과정상의 ‘漢文’敎科는 교육 수용자인 학생들이 그 필요성을 자각하지 않으면 전혀 선택되지 않을 수도 있는 과목으로 전락한 것이다. 여기에다 ‘漢字ㆍ漢文은 어렵고 재미없으며, 쉬운 한글을 두고 굳이 漢字ㆍ漢文을 왜 배워야 하느냐’는 생각을 갖고 있는, 컴퓨터 세대들의 漢文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의 어려움까지 가중되고 있다. 지난 시기에 우리가 이룩했던 知的 活動과 文化的 成就의 거의 대부분 은 漢字ㆍ漢文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漢字ㆍ漢文 敎育을 지금처럼 도외시한다면, 우리의 사상이나 정서에서부터 가치관에 이르기까지 연면히 간직되어 온 민족의 정신적 자산 대부분을 放棄하는 결과를 초래 할 것이다. 아울러 국어 어휘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漢字語의 학습을 통하여 현금의 언어생활에 보탬이 되고, 현실적으로도 여타의 敎科目을 학습하는 데에 많은 보탬이 된다는 사실도 중요하다. 또한 오늘날 지구촌에서 가장 역동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지역이 漢字文化圈이라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 지리적으로 한자문화권에 속해 있는 우리나라가 주변의 한자문화권에서 고립되지 않으려면 그리고 이들과 협력하여 세계 문명의 발전에 기여하고 문화적 동질성을 유지하려면, 중ㆍ고등학교에서의 漢字ㆍ漢文 敎育은 필수불가결한 과제인 것이다. 한자문화권인 한국ㆍ중국ㆍ일본의 공통분모는 바로 漢字ㆍ漢文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중ㆍ고등학교 漢字ㆍ漢文 敎育의 현실은 그야말로 참담한 지경에 있으며, 그에 따른 허다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이미 그동안 識見있는 이들의 衷情어린 지적과 경고가 있었다. 漢字ㆍ漢文 敎育이 안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능동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방안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다. 이 논문도 이 같은 상황 인식과 문제 의식을 바탕으로 어려운 현실을 타개해 보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집필되었는바, 우선 中學校 漢文敎育의 변천 과정과 현황 그리고 향후의 전망에 대해서 나름대로 살펴 보았다. 이러한 검토 과정에서 드러난 中學校 교육 현장의 문제점에 대한 제기를 통해, 한문 교육의 개선을 위한 방향을 설정하는데 일정한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study the course of changes in Middle school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outlook from now on. As everyone knows, the importance of reading and writing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is being downgraded in school education these days. So the subject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can be ignored if students don't feel the need to study it. In addition, they think, ‘Reading and writing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is far too difficult and not so interesting, so why must we lear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instead of using our own alphabet, Hangeul(한글)’ Hence, there is also the difficulty of negative opinions about it from the younger generation. Most of our intellectual activities and cultural achievement in the old days we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In this point of view, if we ignore the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like we are doing now, the result would be that we would have lost most of our national spiritual assets from our thoughts and emotions to even our long-time values. Besides, the learning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which have a lot of influence on Korean vocabulary is very helpful in verbal understanding and the study of other subjects. Also, these days a greater and more significant cultural use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is becoming known in the world and must be paid attention to. Our country, geographically located in the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global area of cultural influence, has to teach the students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so as not to be cut off from this particular cultural area, and instead cooperate with these countrie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world civilization and maintaining the same quality of culture, because it is the common denominator of Korea, China, and Japan. Nevertheless, the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and writing is in a miserable state now. We are already aware that this issue makes many problems. There may be many ways to cope actively with these many problems which the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and writing offers. This paper is written based on this present-situation and these problems that we sense, and to find a realistic way out of these difficulties. I hope it is helpful in finding a good direction in the improvement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through presenting the particular problems in the field of middle school that were revealed in this course of investigation.

      • KCI등재

        21세기 사회변동과 한국 한문학 연구의 방향

        안대회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09 大東漢文學 Vol.31 No.-

        This paper aims to search for the orientation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Research according to the social change in the Twenty- first Century. First of all, I analyze the function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as an independent academic department, though its status is flexible in changing environments. Secondly, I suggest that Korean Chinese Literature should satisfy the various demands for the texts in Chinese from the other areas of humanities as well as carry out its own research in Chinese literature, while participating in diverse interpretations of traditional culture. Thirdly, Korean Chinese Literature needs to promote the international research activities by using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materials in Chinese as one of international written language. Based on these arguments, I present the orientation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research in three parts. The first is that the research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as an academic system and learning should be more strengthened. The second is that the researchers who have a sufficient base for leading Korean Chinese Literature should be constantly produced. The third is that the research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should pay attentions to a variety of spheres over the narrow boundary of department learning and procure a global perspective. 본고는 21세기 사회변동에 따른 한국 한문학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먼저 21세기 사회변동에 따른 한국 한문학의 위상이 가변적이기는 하나 여전히 독립된 학문으로서 기능을 할 것인지 분석했다. 다음으로 인문학의 한 분야로서 한문학이 한문학 고유의 연구를 진행함과 동시에 다양한 인문학의 한문 텍스트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전통문화의 다양한 해석에도 동참하는 일을 병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세 번째로 한국 한문학이 국제적으로 널리 연구되고 한문학자가 국제적 문어인 한문에 대한 장악력을 이용하여 국제적 연구활동을 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21세기 한국 한문학의 연구방향을 세 가지로 모색했다. 먼저 제도와 학문으로서 한문학 연구를 강화해야 한다는 점을 밝혔다. 신생 학문으로서 한국 한문학이 기초에 충실하고 필요한 연구자를 지속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중요함을 역설했다. 다음으로 분과학문의 좁은 한계를 넘어 다양한 영역에 관심을 촉발할 것과 국제적 시야를 확보해야 함을 강조했다.

      • KCI등재후보

        大學 敎養 漢文敎育의 現況과 課題 - 대구ㆍ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

        김영주(Kim Young-Ju) 대동한문학회 2005 大東漢文學 Vol.22 No.-

        우리나라 대부분의 대학이 교양 한문교육의 절실한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 속에서, 대학 교양 한문 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연구하기 위해, 대구ㆍ경북 지역 대학 교양 한문교육의 현황을 고찰해 보기로 한다. 연구 시점인 2004년 12월 이전의 우리나라 대학의 교양 한문교육은 광복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된 ‘한글 전용’ 정책과 ‘世界化’ㆍ‘情報化’의 미명하에 영어과 중심의 교과편제 속에서 소홀시 되어 왔다. 그러나 일부의 대학에서 교육의 精神과 目的에 입각하여 볼 때 한문이 필요한 교과목이며 指導的人格을 陶冶하는데 필요한 일반과목이라는 점이 인정되어, 지속적인 강의가 이루어졌다. 현재 대구ㆍ경북 지역 대학의 교양한문 교육은 대학 보다는 주로 대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공계가 주류를 이루는 대학이 취업을 목적으로 한 전문 지식 교육에만 주안을 두기 때문이다. 대학교 위주의 교양 한문교육 역시 강좌 개설의 恒常性, 관련 강좌 간의 連繫性 그리고 實用性 또는 活用性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교재들은 과거의 교양 교재에 나타나는 작가, 작품, 사상의 편중성이 비교적 많이 보완되어 문장 중심의 敎養漢文類, 한자어 중심의 實用漢字類, 양자의 복합형, 文化論類, 그리고 漢文學 槪論類 등으로 다양화 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과거의 교양교재에 나타나던 특정 작가 및 작품에의 편향성이 반복되고 있으며, 지식인으로서의 교양 습득과 국제사회와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획득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적절히 부응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교육 주체라 할 수 있는 각 대학에서는 교육 객체의 요구에 부 응할 수 있는 교재 개발과 연계성 있는 강좌 개설 그리고 우수한 교수진의 확보를 통해 이러한 문제의 해결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 교육 객체로서 의 학생들은 한자ㆍ한문에 대한 선입견을 탈피하여 자신의 필요에 따른 적절한 강좌 및 교재를 요구함으로써 수요자 중심의 실제적인 한문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협조해야 할 것이다. Most of university in korea. was not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chinese literature as a cultural studies To study of a direction of the chinese literature as a cultural studies, I investigate the present state of the chinese literature as a cultural studies in Dae-gu, Kyung-pook area. Before, the chinese literature as a cultural studies was thought to indifference in the name of the Han-gul exclusive use policy, Globalization, Information. On the ground of an educational spirit and a purpose, the necessity of the chinese literature as a cultural studies and the cultivation of character was being accepted. As a result, a lasting lecture for the chinese literature as a cultural studies was followed. The chinese literature as a cultural studies in Dae-gu, Kyung-pook area was formed an education around the university than the college. The reason why is that the college is made up of a depart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it pursuit an expert knowledge for the working. The chinese literature as a cultural studies around the university also had many problems like that a homeostasis of a lecture, a connection of a lecture and a practicality of a lecture. Before, teaching material was repletion too much of writer, work, thought. Nowdays it was diversified a kind of Gyo-yang han-mun, Sil-yong han-ja, a complex style teaching materials of Gyo-yang han-mun and Sil-yong han-ja, a cultural theory style, an instruction to chinese literature and etc. Yet, many problems like that too much of writer, work, the social request of knowledge learning as a culture and a means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was followed. To solve these problems, each university as an educational subject try to develop a teaching material, open a lecture, ensure a superior teacher. And the student as an educational object try to grow out of a precnception, select a proper lecture, request a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 KCI등재

        중학교 漢詩 교육을 위한 제안 - 2009개정 한문교과서를 중심으로 -

        김봉남(Kim, Bong-nam) 대동한문학회 2017 大東漢文學 Vol.52 No.-

        필자가 생각하는 2009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14종의 한문 교과서와 한시영역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은 세 가지이다. 첫 번째는 한문 교과서에 수록된 한시 작품의 수가 적은 것이고, 두 번째는 중학교 한문 교과서의 대단원과 소단원의 구성에 연관성이 부족한 것이며, 세 번째는 교과서에 수록된 한시가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것이 있다는 것이다. 이 세 가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필자가 제안한 대안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대안은 한문 교과서 대단원을 장르 중심에서 주제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그 다음에는 1개의 소단원에 같은 주제를 가진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수록 하는 것이다. 즉 1개의 소단원 안에 주제와 관련된 단어와 성어(또는 속담) 와 경서(또는 격언・제자서), 한시, 산문(또는 소설)을 수록하는 것이다. 소단원의 주제가 무엇이냐에 따라 소단원에 수록하는 장르의 비중을 다소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만약 소단원의 주제가 ‘만남과 이별’이면 한시나 산문의 비중을 다소 높이는 것이 좋을 것이다. 만남과 이별의 정감은 시문으로 표현되어 있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소단원의 주제가 ‘자애와 효도’일 경우는 논어 와 같은 경전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 좋겠다. 마지막 으로는 학생들 눈높이에 맞는 한시 작품을 27개의 소단원에 각각 2수씩 제시하여 한문교사들이 실제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중학교 한문 교과서의 구성은 전반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그러나 여전히 걸림 돌이 되는 것은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이다. 필자가 제시한 방안이 미래에 새로 제작될 한문교과서에 얼마나 적용될지 알 수 없다. 더구나 중학교 한문교과서의 분량이 줄어들고 있는 지금의 추세와 역행한다는 지적을 받을 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보았을때 중학교 한문교과서는 지금보다 강화되어야 한다는 것이 필자의 소견이 다. 한문 수업 시수가 적다고 해서 한문교과서의 내용을 계속 줄여 나간다면 한문교육의 위상도 점차 위축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There are three kinds of Chinese textbooks and the problems of the Chinese poetry area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hinese textbooks and curriculum that I think. The first is that the number of Hanshi works in the textbooks of Chinese textbooks is small, the second is the lack of relevance to the composition of the textbooks and sub-departments of middle school textbooks, and the third is that the textbooks listed in the textbooks do not fit the students eyes. To improve these three problems, I proposed the following alternatives. The first alternative is to organize the Chinese textbooks as main themes. Then, in one subanalysis, the collection of works of various genres with the same theme. In other words, it contains the words related to the subject, the words (or proverbs) and the scriptures (or proverbs / disciples), the poems, and the prose (or novels) in one subsection. Depending on the subject of the sub-department, the proportion of the genres included in the subdepartment may be somewhat different. If the subject of the sub-committee is ‘meeting and separation’, it would be better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prose or prose. The feeling of meeting and separation is often expressed in the form of a poem. On the other hand, if the subject of the sub-department is ‘charity and filial piety’, it is better to increase the weight of the scriptures such as non-eo(論語) . Finally, two works were presented to each of the 27 sub-departments, so that the teachers could use them in class. As such, the composition of middle school Chinese textbooks needs overall change.However, it is still a stumbling block to 900 elementary Chinese characters for middle school Chinese education. I do not know how much my suggestion will apply to future Chinese textbooks. Moreover, it may be pointed out that it is contrary to the present tendency that the volume of middle school textbooks is decreasing. However, in the long run, it is my opinion that middle school textbooks should be strengthened now. If the number of Chinese class lessons is small and the content of Chinese textbooks is continuously reduced, the status of Chinese textbooks will gradually diminish.

      • 韓國漢文學批評 硏究의 回顧와 展望

        강민구(Kang Min-Koo) 대동한문학회 2003 大東漢文學 Vol.19 No.-

        한국한문학비평연구에서 그 연구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이론적 탐구와 실제 비평을 포괄한다. 文學史에서 한문학비평의 위상:한국문학사에서 비평이라는 개념은 1961년 발간된 『韓國漢文學史』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 전에는 品評, 評論, 稗說 등의 개념이 사용되었다. 한국문학사에서 한문학 비평의 위상에 대한 서술은 상당히 부족한 현실이다. 詩話 硏究:한국한문학비평 연구의 초기에는 詩論과 詩話가 同義語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詩話와 批評의 관계 설정, 특히 시화가 비평으로서 갖는 특성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詩論硏究:詩論은 漢文學批評에서 가장 큰 성과를 이룬 분야이다. 漢詩가 한국한문학의 장르를 크게 양분하고 있는 상황에서 漢詩 硏究의 선행 작업으로 詩論 硏究가 依例 설정되었으며, 연구자의 접근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점에 그 원인이 있다. 散文論硏究:古文論은 散文論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로 인식되었으며 양자가 동의어로 사용되기까지 하였다. 산문의 이론비평뿐만 아니라 실제 비평으로 연구가 심화 확장되었다. 文學觀硏究:文學思想, 文學理論의 관계 탐색에 주목하였으나 그 개념과범위의 劃定이 精緻하지 못하였다. 文學思想硏究:文學思想과 批評,作品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한문학의 기저를 형성하는 사상 규명과 사회 변혁의 원리를 추출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漢文學理論硏究:한문학에서 가장 활발히 연구된 분야로 이론의 개념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 性理學的 문학이론의 탐색과 성리학적 문학론으로부터의 이탈과 그것의 대안에 대한 모색이 연구되었다. 한국한문학비평에서 소홀시 되었으나 간과할 수 없는 분야는 原典批評이다. 또 한문학과 다른 예술 장르간의 교섭 양상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하며 選集에 投射된 批評觀도 규명되어야 한다. 漢文學批評史 뿐만 아니라 漢文學理論史, 漢文學創作論史, 漢文學作品論史, 漢文學作家論史, 漢文學批評學史 등의 分化·深化된 史的硏究도 이루어져야 한다. In the study of korean chinese literary criticism, the extent of its study includes a theoritical study and a practical criticism. A position of korean chinese literary criticism in the korean chinese literary criticism:The notion of criticism is first used in 『The history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which was published in the 1961. In former times, a estimation, a critique, a Pae-seol(稗說), and etc. was used. The description of a position of korean chinese literary criticism in a study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is not quite enough. The study of Si-wha'theory(詩話論):In the early stage of a study Si-wha(詩話) as a synonym. So, the establishment of a poetics and a criticism's relation, especially an argument of critical peculiarity of Si-wha(詩話), was continued. The study of poetics(詩論):The poetics achieves a great deal of result in a branch of korean chinese literary criticism. The reason why is that the study of poetics was established for the preceding work of the study of korean chinese poetry and a scholar's access is easy. The study of prose'theory(散文論):The theory of ancient classics was recognized as a most important subject and its synonym in the study of theory of prose, was deepened and extended to a theoritical and a practical criticism in a prose. The study of an outlook on literature(文學觀):The study of an outlook on literature gives an attention to the theory of literature and a literary thought. But the decision of its notion and limits were not minute. The study of literary thought(文學思想):A debate about the relation of the literary thought, a criticism and a literary work was presented. And the study of close examination for the thought which made a korean chinese literary foundation, the work for the abstraction of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social changes was advanced. The study of korean chinese literary theory(漢文學理論):This is a most extremly investigated branch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In this field, the study of theoritical conceptualization was advanced. A search for the Sung Confucianical literary theory, an examination for the departure from the Sung Confucianical literary theory and the alternative idea was studied. The original text criticism which is an important branch of korean chinese literary criticism should be studied. The study of an aspect for the negotiations between korean chinese literature and other artistic field should be studied. And an outlook on criticism which was traced out a selected works should be examined closely. Not only the criticism on korean chinese literature, but also the differentiate and deepening for the study of the theoritical history, the creative theory's history, the writing theory's history, the writer theory's history, the critic theory's history of korean chinese literary criticism should be studied.

      • KCI등재후보

        高等學校 漢文科 敎育의 反省과 展望

        남궁원(Namgung Won) 대동한문학회 2005 大東漢文學 Vol.22 No.-

        漢文科가 국어과로부터 독립된 지 어언 30여년이 된 지금 高等學校 漢文科 敎育은 우여곡절을 겪으며 오늘에 이르렀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高等學校 漢文 敎育의 역사는 성공적인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이제 이 시점에서 지난날을 되돌아보고 앞으로 개선해야 할 점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大修能 이전에 실시되었던 대학입학학력고사 시기에는 漢文 문제가 국어 교과 안에 포함되어 출제되었다. 1993년 大修能이 실시되면서 漢文科는 大學入試에서 소외되었다가 2005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처음으로 제2외 국어와 함께 30문항의 시험을 치르게 되었다. 학교 교육과정 중 漢文科目를 이수를 희망하여 선택한 학생수가 상당히 많다. 일반계 高等學校에서는 이른바 국민공통기본교과인 과목들을 제외하고 단연 1위이다. 漢文科 독립 이후 대학의 漢文敎育科 또는 漢文學科에서 본격적으로 漢文敎育이 시작된 지 30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보아 漢文敎師는 양적 질적인 면 모두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漢文科 敎師들의 연구 역량도 크게 향상하였다. 漢文科 敎師들은 漢文敎育 관련 학회와 교사모임을 중심으로 연구, 연수를 실시하고 지식과 정보, 그리고 학습기술을 교류하고 있다. 「漢文」과 「漢文古典」이라는 명칭은 두 과목 간 연속의 느낌ㆍ동질적 느낌을 주기보다는 단절의 느낌ㆍ이질적 느낌을 준다. 따라서 교과목 명칭을 다른 과목들과 마찬가지로 두 과목간의 연계성이 분명하도록 「漢文Ⅰ」, 「漢文Ⅱ」와 같이 하자. 또 「漢文古典」의 성격 및 목표, 내용과 수준을 「漢文Ⅰ」의 것들에서 한 걸음만 더 나가는 수준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우리 漢文科의 교육 내용 중 漢字, 漢字語, 漢文의 비중에 대하여 상이하고 다양한 견해가 있다. 필자는 현재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나은 방편이라는 생각이다. 高等學校 敎育用 漢字 900字를 비롯한 漢字 敎育에 관한 부정적 주장은 자칫 가끔씩 고개를 드는 漢文科의 존재 부정 세력에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 漢文科가 1,800字 때문에 존재하는 것은 물론 아니지만 사회와 학부모의 漢文科에 대한 인식 호전의 고리로 활용할 수 있고 또 학생들이 漢文을 선택하게 하는 흡인 요소로 강력히 작용하는 것도 현실이다. 漢文의 궁극적 학습 목표인 선인과의 의사 소통을 위해서는 漢文科 敎育에서 漢文 敎育이 차지하는 비중은 높아야 한다. 다만, 漢字 敎育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시대 상황에서 漢字 敎育을 우리 漢文科가 담당하는 것도 우리의 소임이므로 지금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하자는 것이다. 敎科書의 명칭을 새롭게 「漢字와 漢文Ⅰ」, 「漢字와 漢文Ⅱ」와 같이 敎育내용을 압축적으로 명시하여 사회 일반에서 高等學校 「漢文」은 漢文 문장중심으로 가르치는 과목이라서 실생활과 학문 수행에 도움이 안 된다고 짐작하는 이들의 의구심을 없애면서 동시에 高等學校 「漢文」을 단순히 ‘漢字’교육이라고만 생각하는 이들의 오해도 불식할 수 있을 것이다. 敎科書 내용제재의 분량이 적정화되어야 한다. 또 수준이 적절해야 한다. 漢文科 敎科書를 집필할 때 공급자 중심의 마인드에서 벗어나 수요자의 특징과 필요, 수준을 고려하여야 한다. 제재와 내용의 편향성을 극복하고 균형을 갖추어야 한다. Since 1975, Chinese Classics Education set apart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During that time, Chinese Classics Education has many turns and twists. I think change of Chinese Classics Education in high schools get somewhere. Chinese Classics has three changes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At first, language section includes Chinese Classics. In 1993, Chinese Classics has no influence on CSAT. For the first time, Chinese Classics is independent of Korean language in 2005 CSAT. Chinese Classics tests thirty items like other second foreign languages. Many students chose Chinese Classics as an optional subject. Chinese Classics which they chose rank the top, except national common-based subject of 7th national curriculum, in the Academic High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Chinese Classics multiplied in the facet of qualities and quantities for thirty years. Two titles between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is unconnected. So. to express two subjects of deliberate hierarchy, two titles in Chinese Classics will change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into Chinese Classics Ⅰ and Chinese Classics Ⅱ. Also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lassics Ⅱ such as objective, contents and level upgrade in Chinese Classics Ⅰ. According to various scholastic views, the content organization of Chinese Classics classify as domains of Chinese characters, words i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riting is very different from theirs. From that viewpoint I suggest here a few things. From that viewpoint I suggest here a few things. First,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lassics , we call the titles of subject as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Ⅰ> and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Ⅱ>. Second, the quantities of content organization are too appropriate for learners and grades. Third, to meet a demand, the authors of Chinese Classics should consider learners' needs and levels. Also contents and subject matters are often biased by authorities and authors' judgement. The authors of Chinese Classics should deal with whole kinds of matters. Thus, the learners can get ready to receive neutral ideas and balanced point of view.

      • KCI등재

        조선후기 변격시문에 관한 일고찰

        심경호(Sim, Kyung-ho) 대동한문학회 2017 大東漢文學 Vol.53 No.-

        전근대시기의 한국한문학의 산문 문체는 문언어법에 기초를 둔 정격 한문(고문, 의고문, 소품)만이 아니라 조선식 한문을 포괄했고, 후자는 실용의 공간에서 극히 비중이 컸다. 하지만 일부 문인들은 조선식 한문을 이용하여 俳諧體나 비실용적-문예적 글쓰기를 시도했다. 또한 조선후기에는 변격한문의 산문만이 아니라 한시의 변격인 조선식 ‘고풍’과 배해체 과시・과문도 발달했다. 이 논문을 작성하면서 다음과 같은 과제를 생각해 보았다. (1) 변격 한문산문의 문체 한국에서는 지방 군현의 관부문서(향리계층), 귀족 양반층의 민원소송, 매매계약, 상속치부문건과 가내의 의사소통, 왕실기록류[儀軌・謄錄 등] 에서는 이두문에 기반을 둔 변격의 한문을 광범하게 사용했다. 이두식 한문이 전근대시기의 문자생활에서 차지한 위치와 그 역사적 기능, 본격 문학과의 관련 양상 등에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다. (2) 고풍 고풍은 본래 과시를 연마하는 과정에서 습작의 낮은 단계에서 출현했을것이다. 하지만 일부문인들은 無韻의 장편 고시를 조선의 독특한 ‘고풍’ 형식으로 인정하고, 시작에 활용했다. 이미 丁若鏞은 雅言覺非 에서 조선식 ‘古風’에 대해 언급한 바 있는데, 금번에 김삿갓의 한시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대고풍의 구체적 예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俳諧 科詩・科文 조선후기의 독서층은 젊어서 과시와 과문의 연마에 열중했으며, 많은 낙방거자들이 과시와 과문의 습작을 남기고 매문을 하거나 행권처럼 습작집을 만들었다. 상층 지식인들은 과시와 과문을 저급한 양식으로 비난했으나, 민간에 行世한 과시와 과문은 민간의 삶을 반영하고 민간의 문체미학을 구현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특히 배해체의 과식・과문은 독특한 정서와 미학적 구상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현화의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앞으로 민족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다양하게 발전해 왔던 실용적 한문산문(고문, 부, 이두문 등등), 고풍(특히 대고풍), 배해체의 과시・과문의 문체에 대해 깊은 관심을 두고, 그 자체의 발전 양상과 그것이 이른바 문예적 한시문과 상호 영향을 끼친 사실에 주목해야 하리라 본다. In Joseon period, prose style in Classical Chinese in pre-modern period includes not only regular style based on literary language but also irregular style which was widely used in practical writings including executive documents. However, some literati in late Joseon period attempted to write Paixie (俳諧) style writings or unpractical literary writings in so-called Joseon style irregular prose. In late Joseon, what is more, not only Joseon style irregular prose, but Joseon style poetry without rhyme (古風) and Paixie style exam poetry and prose (俳諧體 科詩文) were widely used. This article explores the meaning of ‘irregular style’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ith some cases mentioned above and suggests future researches as well. (1) Joseon style irregular Chinese: Joseon style irregular Chinese was widely used in various kind of documents including official documents of local governments, civil affair documents, real estate trade contract, documents of inheritance of property, official documents concerning royal family.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cluding its status in literacy life, its historical functions and its relationship with belles-lettres in pre-modern period. (2) Josoen style poetry without rhyme It is presumed that Joseon style poetry without rhyme was emerged at first as the result of exam poetry study. However, some literati recognized this old style poems without rhyme as a distinctive poetry style of their own country and started to compose poems using that style. Jeong Yak-yong has already mentioned this Joseon style poetry without rhyme in his Aeon Gakbi (雅言覺非) of which cases were also found in Gim Rip’s poems in the recent research. (3) Paixie style exam poetry and prose Most of literati in the late Joseon period were absorbed in studying exam poetry and prose while they were young, and many of those who failed the national exam produced and sold their writings in exam poetry and prose style, or compiled their own anthology. Although literati of yangban class blamed its vulgarness, however, it is now estimated that it conveys the everyday life of ordinary people and represents the aesthetics of literary style of ordinary people. Further studies on Paixie style exam poetry and prose are needed as it has the uniqueness in emotional aspects as well as the aesthetic idea.

      • KCI등재

        고전번역의 현실과 학제간 연계의 필요성

        이상하(Lee, Sang-ha) 대동한문학회 2009 大東漢文學 Vol.31 No.-

        고전번역의 목적은 한마디로 말하면 고전과 현대의 소통일 터이지만 그 소통이란 것이 간단한 통역을 하듯이 쉽게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한문은 이미 영어, 일본어와 같이 많이 쓰이는 외국어보다 오히려 더 낯선 언어가 되어 있다. 한문이 무엇인가 하는 것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아서 대다수의 국민들이 한문과 한자를 구분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한문 원전에 조예가 잎은 학자가 많이 양성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지금까지 한문고전번역을 담당해왔던 역자들을 보면, 서당에서 공부한 초기의 한학자, 그리고 민족문화추진회 부설 국역연수원에서 공부한 사람이 대부분이다. 1년에 고작 몇 명씩 길러지는 민족문화추진회 연수원 상임연구원 출신 역자들의 손에 의해 국역 사업이 진행되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07년 한국고전번역원이 설립된 것은 지금까지 매우 저조했던 한문고전번역의 질과 양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려 지금의 현실로는 1차 번역만도 100년이 더 걸릴 기간을 단축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자면 무엇보다 역자의 수를 늘려야 할 터인데, 한문을 읽을수 있는 역자를 기르는 일이 단기간에 되는 것이 아니고, 아직 한문고전역자에 대한 처우가 그다지 향상되지않은 현실에서 우수한 인재들을 고전번역에 오게 하기도 쉽지 않다. 게다가 번역을 기다리고 있는 한문고전 자료는 다양하여, 지금까지 국가 예산으로 번영해온 사료, 문집류에 그치지 않는다. 이제 한국고전번역원이 출범하면서 고전번역사업을 획기적으로 중대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 이 시점에서 현실을 점검하고 한문고전번역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고전번역에 종사하는 학자는 文史哲의 기본 지식을 두루 갖추는 게 바람직하지만 대학에서 인문학이 여러 분야로 나뉘어져 있는 현실에서 그러한 학식을 갖출 것을 요구하기는 어렵다. 그런데 번역을 전업하는 역자를 양성하기는 어렵고 번역을 기다리는 서종은 많다. 한편 한문고전의 정리・번역은 젊은 학자들에게 인문학의 바탕을 다지는 데 더 없이 좋은 공부 과정이 될 수 있다. 조사해 본 바에 의하면, 한문을 공부한 사람은 전문역자 외에도 다른 학문분야에 흩어져 있다. 이러한 역자와 다양한 특정분야 전공자들에 대한 정보수집과 숫자 파악을 통해 새로운 사업에 동원할 수 있는 인원을 파악하여 부족한 번역 인력을 보충하고 다양한 특정분야 전공자들과 상호 교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야 한다. 醫術, 農業, 예술, 종교 등 다양한 전공분야가 포함된 子部書의 서종들을 번역하려면 한문 독해력 외에도 그 분야으 전문지식이 필요하다. 번역서 1200책 가량의 분량으로 추정되는 지부서를 서종에 따라 유관 학계와 연계하여 연구 번역하는 것은 고전번역 사업에 새로운 진로가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국학 전반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것이다. The purpose of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is to communicate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but the commumication is not very easy. Chinese classics have been more strange to us than English and Japanese. As recognition on what Chinese classics are is very low, most of the people can not differentiate Chinese classics and Chinese characters. In such reality, it is hard to expect that a number of scholars who are good at original Chinese classics are produced. Most of the translators of Chinese classics studied them at local schools or at Korea Training Center for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s. The center produced only a few translators a year and our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s has depended on them. The Institute for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was established in 2007, with purposes to raicse quality and quantity of the translation exceptionally and reduce a period of 100 years to be taken for the first translation. First of all, we need more translators, but nurturing translators who can read Chinese classics can not be achieved within a short period. It is hard to attract outstanding elites to translating job as no good offer for them has not been provided. In addition, there are enormous data on Chinese classics including historical data and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which were translated with national budget. The Institute for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is a base for exceptional expansion of classic translation, on which we should develop new directions for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s. Scholars engaging in translation of classics should have extensive knowledge on literature, history and philsophy, but as humanities are divided into several areas, it is impossible to obtain human resources with such qualification. It is difficult to nurture full-time translators and a great number of books are waiting for them. Menwhile, organizing and translating Chinese classics are the best ways to build the base to study humanities. According to some research, the persons who studied Chinese classics work for many different areas as well as full-time translating job. So we have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full-time translators and the people working for different areas though they studied Chinese classics and identify whether they can be mobilized for new projects. Then we should develop a field for exchanges between them. To translate various kinds of books on medicine, agriculture, art and religion, translators should have specialized knowledge in addition to ability to comprehend Chinese classics. Studying and translating Jabuseo consisting of 1200 books through inter-disciplinary connection will provide a new direction to understand Chinese classics and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 KCI등재후보

        국한문 교체기의 언어생활과 문학활동

        주승택(Ju Seung-taeg) 대동한문학회 2004 大東漢文學 Vol.20 No.-

        이 논문은 한국문학사에서 한국한문학의 하한선이 어디까지인가를 밝히기 위하여 쓰여진 것이다. 이미 <한국한문학의 變異양상>이라는 논문을 통하여 漢詩가 近代詩로 교체되는 과정을 고찰한 필자는 이번에는 漢文(散文)이 국한문혼용체와 순국문체로 대체되는 과정을 고찰하여 보았다. 연구의 대상으로 선택한 자료는 당시의 신문인데 『한성순보』에서는 순한문을 선택했던 당시의 개화파 지식인들이 『한성주보』에서는 한문과 함께 국한문체, 순국문체를 동시에 선택함으로써 변화의 필요성을 처음으로 제기하였다. 그런데 『한성주보』가 한문에 익숙한 관료층을 대상으로 발행된 신문임을 감안한다면 국한문체나 순국문체의 선택은 독자들의 편의를 감안한 것이 아니라 이데올로기적 측면이 강함을 확인하였다. 한문산문이 국한문체로 교체되는 과정에서 또 하나 문제되는 것은 바로 문학성의 문제이다. 한문학에서 시와 달리 산문은 문학성을 뒷받침해 줄 만한 형식적인 요소가 별로 없다. 한시가 한문산문보다 오랜 생명을 지닌 것은 한시의 문학성을 대체할 만한 국문시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한시는 자유시가 등장하는 1920년대 중반까지 각종 언론매체의 <사조>란을 통하여 활발한 창작과 유통이 이루어졌다. 이에 비하여 한문산문은 문학과 비문학의 경계선이 모호하다. 이것은 그 만큼 문학의 영역이 넓었다는 뜻인데 『孟子』, 『莊子』, 『史記』, 『三國史記』에서 보듯이 사상이나 역사를 기술하는 글도 문학적 글쓰기에 성공하면 훌륭한 문학작품으로 간주되었다. 그런데 국한문혼용체나 순국문체는 한문산문의 이같은 기능(문학성)을 제대로 계승하지 못하였다. 그 결과 소설과 같이 문학적 형식이 확고한 장르에서는 국한문혼용체나 순국문체도 문학작품의 표현매체가 될 수 있었으나 논설문이나 기사문 같은 문체에서는 문학의 영역을 벗어나 실용문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결국 국한문혼용체나 순국문체는 과거 한문산문으로 표현되던 폭넓은 영역가운데 실용문으로서의 영역만을 계승하는데 그쳤다. 한문산문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 가운데 실용적 기능은 효과적으로 계승했으나 한문산문의 문학적 기능을 계승하는데는 실패하였던 것이다. 초창기에 국한문 혼용체로 한문산문의 문학적 기능을 계승하려고 노력한 흔적은 『시사총보』의 논설란을 통하여 확인해 볼 수 있다. 장지연이 집필한 것으로 믿어지는 이 『시사총보』의 논설란을 국한문혼용체를 문학적 문체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나 그 결과는 실패한 것으로 파악된다. 결국 이 같은 노력이 실패함으로써 한문산문의 폭넓은 문학적 표현영역은 사라지고 소설이라는 좁은 영역에서 국한문혼용체나 순국문체가 문학적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what(to what extent) the under limit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is. The author already investigated the process of Chinese poetry being replacing into modern one through a thesis entitled “A modifying aspect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this time would look into the process of Chinese characters(prose) being alternated with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and a style of writing pure Korean characters. The material selected as the object of study was newspaper published at that time, and the reformists-intellectuals, who had chosen only a pure Chinese characters in 『Han-sung-sun-bo』(newspaper), proposed the necessity of a change for the first time by selecting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and a style of writing pure Korean characters with Chinese characters in 『Han-sung-ju-bo』 at the same time. However, when considering that 『Han-sung-ju-bo』 was the newspaper aimed at government officials who were accustomed to using Chinese characters, it’s found that the choice of the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or the style of writing pure Korean characters has an aspect of no considering readers’ convenience, showing an ideological aspect. In the process of Chinese characters being replaced into the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a problem is the one of the very literary property. In Chinese characters, prose writings, unlike poems, have little formal elements worth supporting literary property. The reason that Chinese poetry has a litter stronger hold on life than that of Chinese characters is because there was no Korean literary poetry worth alternating with literary property of Chinese poetry. Therefore, Chinese poetry had became made lively in creative writing and its distribution through the <Sa-jo> columns of all kinds of mass media till the middle 1920's when free-styled poems appeared, while Chinese character was vague in the boundary line between literature and non-literature. It means that the domain of literature was broad to that extent, and as you can see from the cases of 『Maeg-ja』- the Works of Mencius, 『Jang-ja』- the Works of Chuangtzu, 『Sa-gi』, 『Sam-kuk-sa-gi』, the writings about thought or history also, if they are successful in literary writing, were considered as excellent works of literature. However,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or a style of writing pure Korean characters did not succeed to this function of Chinese character. As a result, in a genre like novel in which a literal form is fixed,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or a style of writing pure Korean characters also could be an expressive media for a literary work, but in a literary style such as an editorial sentence or an article, it was degraded to a practical sentence out of the domain of literature. After all,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or a style of writing pure Korean characters remained at only succeeding to its domain as a practical sentence among earlier broad domains of expression with Chinese characters. That is, it succeeded to the practical function of Chinese character effectively, but failed in succeeding to the literary function of Chinese character. A trace of efforts to succeed to the literary function of Chinese characters with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editorial column of 『Si-sa-chong-bo』. Even though various attempts were made to make use of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of the editorial column in 『Si-sa-chong-bo』, which is believed to be written by Jang Ji-Yeon, as a literary style. Finally, with the failure of these efforts, broad literary expressive domains of Chinese characters disappeared and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or a style of writing pure Korean characters peformed a

      • 한문소설 연구의 시대적 추이와 과제별 전망

        정출헌(Chung Chul-heon) 대동한문학회 2003 大東漢文學 Vol.19 No.-

        About 70 years has passed since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novel began earnestly with the publication of History of Chosun's Novel by Kim Tae Joon in 1933.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novel is coincident with that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is indicates suggests that the former is the starting point and center of studying Korean literature. Thus this study first reviewed the history of research on Korean novels in Chinese in accordance with the times within the mainstream of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novel. In 1960s, a number of biographical and empirical studies were carried out about the main authors and works of Korean novels in Chinese. Such studies were extended and deepened in 1970s by employing new theories and methods of research. In 198Os, narratives that might be seen literally related with Korean novels in Chinese were also studied, when social history-based methodology was spotlighted. And in 1990s, frames of individual works of the novel were given more attention as the methodology as foresaid were re-manipulated. Then the study suggested new issues to be dealt with in relation to research trends so far described. Above all, a wide range of explorations need to be made about the field of narrative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when Korean novel in Chinese burgeoned as a genre. Next it is needed to review how fictional biography as the mainstream of the genre became more realistic and developed in new ways. Then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how works of the novel were translated into versions in Korean, distributed and influenced or influenced by popular novels written in Korean. Finally it is needed to aesthetically explore works of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and then compare them with those of East Asian novel in Chinese. 고전소설에 대한 본격적 연구는 김태준의 『조선소설사』(1933년)가 간행된 뒤로부터 따진다면, 대략 70년의 역사를 갖는 셈이다. 그것은 우리 고전문학 연구의 역사이기도 하다. 고전소설 연구가 국문학 연구의 출발인 동시에 중심을 차지하고 있었음을 반증하는 사례라 하겠다. 본고에서는 그런 중요성에 유의하여, 우선 고전소설 연구의 주요한 흐름 속에서 한문소설 연구사를 시기별로 개관·검토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문소설의 주요 작가와 작품에 대한 傳記的·實證的 연구가 주류를 이루던 1960년대, 둘째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통해 한문소설 연구가 심화되고 연구 대상이 확산되던 1970년대, 셋째 한문소설과 인접한 서사장르로 연구 대상이 확대되고 사회사적 연구방법론이 주된 흐름을 형성하던 1980년대, 넷째 지난 시기의 사회사적 연구방법론이 재조정되면서 한문소설의 사적 구도에 관심을 기울이던 1990년대로 연구사의 흐름을 집약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이런 연구사적 흐름 위에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과제들을소개하고, 해결의 전망을 모색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한문소설사의 초기에 해당되는 15~6세기의 서사문학적 지평에 대한 폭넓은 탐구가 필요하다는 점, 둘째 한문소설의 주류를 형성하던 傳奇小說이 현실성을 강화하면서 점차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되던 양상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 셋째 한문소설이 국문으로 번역·유통되거나 통속적인 국문소설과 영향을 주고받던 양상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는 점, 넷째 한문소설 작품의 미학적 탐구와 함께 동아시아 한문소설과의 비교문학적 고찰이 필요하다는 점을 연구 과제로 제기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