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존 김려·김선 형제 저작의 문헌학적 재검토

        김영진 ( Kim Young-ji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8 No.-

        본고는 조선후기 문학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겼던 金鑢·金䥧 형제의 저작 중 현존하는 필사본 이본들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고 아울러 신자료를 소개하였다. 김려는 만년인 1818년에서 1821년 사이 자신의 시문과 지인 및 인척의 시문을 수합하여 『藫庭叢書』 34권 17책을 편찬하였다. 김려의 손자 김겸수는 이 총서 내의 김려의 시문만을 뽑고 또 육촌 김기수의 자료 협조를 얻어 보유를 첨부한 12권 6책의 목활자본 『藫庭遺藁』를 1882년에 간행하였다. 『담정총서』전질은 유일의 필사본이지만 『牛海異魚譜』및 김려의 傳은 轉寫本들이 현존하고 있다. 연세대에 소장된 『우해이어보』‘서여본’은 표제가 ‘玉曇書種’ 내제는 ‘담자외서’라고 되어 있고, 또 다른 『우해이어보』‘귀중본’은 표제가 ‘담정총서’, 내제는 역시 ‘담자외서’로 되어 있다. 이 ‘귀중본’에는 『우해이어보』 외에 김선·김선신·조면호 등의 시문이 필사되어 있는 바, 조면호가 김선의 제자였다는 점에서 조면호 또는 그 주변인이 필사한 책으로 보인다. 김려의 전 작품들은 『續齊諧志』(필사본 1책, 일본 천리도 서관), 『香半館藏書』(필사본 1책, 규장각) 등에도 실려있는 데, 일부 글자의 출입이 있다. 김려의 『思牖樂府』는 『담정총서』본과 성균관대 존경각 소장본에는 300수, 『담옹유고』에는 295수, 『담정유고』 목활자본에는 290수만 실려 있는 차이가 있다. 성균관대 소장 『담정유고』에는 「月巖權公行錄」 등 유배지 진해에서 지은 글 8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8편 중 「慕先齋上樑文」과 「慕先齋記」만 목활자본 『담정유고』에 보인다. 김선의 경우 시문의 유실이 김려만큼이나 많은데, 필자는 그의 逸文으로 김선민의 『관연록』에 붙인 題後와 유배지인 초산에서 쓴 『초관만필』을 소개하였다. 김선의 경우 『담정총서』에 수록된 小集 이외의 글들이 전혀 발견되지 않아 蒐佚 작업이 더욱 절실하다고 하겠다. 향후 김려·김선 형제와 추사 김정희와의 교유의 정도, 영향관계가 고찰될 필요가 있다. 그 磁場 안에 李鈺, 金善臣, 金照, 趙冕鎬, 金綺秀 등 중요한 문인들이 포진해있는데, 이들은 19세기 문학사를 다채롭고 풍성하게 해줄 하나의 판이 될 것이다. This paper reviewed the existing manuscripts of the Kim-Ryeo and Kim-Seon brother who left a clear mark in the literary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ntroduced new materials of them. Between 1818 and 1821, Kim-Ryeo compiled of 『Damjeongchongseo』 by collecting himself and his acquaintances and relatives’ poetry and literature. Kim Gyeom-soo, Kim-Ryeo’s grandson, selected only Kim Ryeo’s poetry in this book and published wooden movable type 『Damjeongyugo』 in 1882 with the cooperation of second cousin Kim Ki-su. The complete works of 『Damjeongchongseo』 is the only manuscript, but the transcripts of 『Woohaeiobo』 and Kim Ryeo’s biographies exist. A “valuable copy” of 『Woohaeiobo』 owned by Yonsei University include poems written by Kim-Seon, Kim Sun-shin, and Cho Myeon-ho. Considering Cho Myeon-ho was Kim-Seon’s student, I think Cho Myeon-ho or the people around him would have written this book. Kim-Ryeo’s works are also included in 『Sokjehaeji』and『Hyangbangwanjangseo』. Sungkyunkwan University’s 『Damjeongyugo』 contains 8 piece of works such as 「Wolamkwongonghaengrok」, 「Mosunjaesangrangmoon」, 「Mosunjaegi」 written in a place of exile Jinhae. Only 「Mosunjaesangrangmoon」 and 「Mosunjaegi」 are shown in the wooden movable type 『Damjeongyugo』. Also Kim-Seon’s inscription in Kim Sun-min’s 『Gwanyeonrok』 and 『Chogwanmanpil』 written in the exile site Chosan were excavat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Ryeo and Kim-Seon brother and Chusa Kim Jeong-hee.

      • KCI등재

        金鑢의 編書 활동과 交遊에 관한 몇 가지 신자료

        김영진(Kim Young jin)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7 No.-

        본고는 담정총서 에 수록된 작가들의 인물정보와 그 자료 수집의 과정에 관한 자료들을 추가로 제시하고, 새로 발굴한 담정의 원고본과 필사본을 통해 담정유고 의 편집 과정을 논한 것이다. 담정총서 에 수록된 金愚淳 (1760~1835), 李友信(1762~1822), 金祖淳(1765~1832), 李濟魯(1789 ~1816), 金䥧(1772~1833), 惠藏(1772~1811), 李魯元(1756~1811),權常愼(1759~1824), 鄭彦學(1749~1818이후), 李鈺(1760~1815), 金善臣(1775~1846), 趙基復(1773~1839), 李安中(1752~1791), 李復鉉(1767~1853), 李濟殷(1784~1836)의 인적사항과 신발굴 자료를 보충하였다. 수록 문인들은 대체로 담정과 직접적으로나 혹은 간접적으로 교유관계가 있던 노론 시파(時派) 계열 인물들이 많고 김조순, 권상신, 김우순을 제외한 대부분은 관직에서 소외된 몰락하고 불우한 인물들이었다. 이들의 창작활동 공간은 주로 서울 주변이었음을 알 수 있다(예외적 인물은 아암 혜장). 전체 16명 중에서 9명이 부자나 형제 혹은 숙질의 관계로 연결되어있다. 즉 이옥, 김조순, 권상신, 김선신, 조기복, 정언학, 혜장 7명을 제외한 나머지 문인들은 인척관계를 형성하고 있어 담정총서 수록 작가와 그 작품이 同志的 결속보다는 혈연적 요소가 다소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담정총서 는 ‘동시대(幷世)’ 의식의 일환으로 편찬되었다는 것, 그리고 이옥과 김조순, 그리고 김려 본인의 작품이 대변하고 있듯이 산문에서는 ‘패사소품’적 참신한 작품들이 대거 뽑혔다는 점과 한시에서는 옥대향렴체 등의 이 시기 또 이들 그룹의 경향을 대표하는 시풍이 선택된 점 등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This paper shows writers in 「A Series of DamJeung」 and how these writers’ information is gathered. Also, it shows the editing process of 「A Series of DamJeung」 by referring newly discovered manuscript and original text. Here, I added these people’s personal data and other newly discovered materials: Kim Woo-soon(1760~1835), Lee Woo-sin(1762~1822), Kim Jo-soon(1765~1832), Lee Jae-noh(1789~1816), Kim-Rye(1772~1833), Hye-Jang(1772~1811), Lee Noh-won(1756~1811), Kwon Sang-sin(1759 ~1824), Jeong Uhn-hak(1749~after 1818), Lee Oak(1760~1815), Kim Seon-sin(1775~right after 1846), Jo Ki-bok(1773~ ), Lee An-joong(1752 ~1791), Lee Bok-hyun(1767~1853), Lee Jae-eun(1784~1836). These people a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group of Noron Si-pa (時派) and almost all of them were unfortunate ones who did not get important positions except Kim Jo-soon, Kwon Sang-sin, and Kim Woo-soon. Of 16 people, 9 of them are family members. That is, the others excepting those people (Lee Oak, Kim Jo-soon, Kwon Sang-sin, Kim Seon-sin, Jo Ki-bok, Jeong Uhn-hak and Hye-Jang) have blood relationship, so it has much influence than mere friendship. The book 「A Series of DamJeung」 is written in the spirit of Byeongse(幷世) and there are some of points worth watching: As their works show, (Lee Oak, Kim Jo-soon, Kim-Rye) in prose, novel works are included, which shows a kind of ‘Pesasopum’ trait (a name of genre). As such, some of traits showing the trend of this era reveal in poems.

      • KCI등재

        유산(酉山) 정학연(丁學淵)의 회인시 연구 -『추일회인절구십일수(秋日懷人絶句十一首)』를 중심으로-

        김영진 ( Young Jin Kim ) 한국시가학회 2016 韓國 詩歌硏究 Vol.40 No.-

        본고는 茶山 丁若鏞(1762~1836)의 장남 酉山 丁學淵(1783~1859)의 회인시 『秋日懷人絶句十一首』를 소개ㆍ분석하고 아울러 정학연의 장년기 교유를 탐색하였다. 『추일회인절구십일수』(『酉山集』, 필사본 1책, 개인 소장)는 현존하는 정학연의 시집에서 가장 이른 시기(1826~27년)에 창작된 회인시다. 李學逵(1770~1835), 權永佐(1782~1830), 柳最寬(1788~1843), 金正喜(1786~1856), 尹定鉉(1793~1874), 朴長암(1780년생), 韓晩植(자 菊老), 申緯(1769~1847), 李祖憲(1796~1862), 南聖執, 李魯榮(1781~1860) 총 11명의 인물을 다루고 있는데, 정학연이 회인시를 짓게 된 데는신위, 이학규와의 교유(상호 시문 교환 포함)가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11명의 대상 인물은 전반적으로 같은 당파인 남인계열(이학규, 권영좌), 김정희와 신위의 교유그룹을 중심으로 하는 시인들(유최관, 김정희, 윤정현, 박장암, 한만식, 신위, 이조헌, 남성집), 마지막으로 마재(소내) 인근 지역에서 이웃으로 교제한 이노영의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정학연은 여러 편의 회인시를 남겼는데, 『추일회인절구십일수』에 이어 창작된 『歲暮江鄕, 門無來客, 只有梅花在紙屛中, 燈火靑熒, 澹然相對, 如將晤語, 感年華之迅速, 思往事之悠邈, 遂以梅花起興, 寓念舊懷人之意, 援筆疾書, 呈海居』(『酉山詩』, 필사본 1책, 실학박물관 소장)는 회인시로서는 독특한 면모를 지닌 변격의 회인시라고 할 수있다. 여기에 나오는 11명의 인물들은 장년기 교유의 연장선상에 있다. 그리고 아직 발굴되지 않은 『회인시』 40장(1840년작)은 만년기 교유의 핵심을 보여주는 작품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This paper will introduce Chuilhuiyinjeolgu 11 verses(「秋日懷人絶句十一首」). This is a kind of hui-yin(the theme is gathered people) poetry(懷人詩) created by ‘Jeong Hak-yeon(1783~1859) who is the son of Dasan Jeong Yak-yong (1762~1836). These verses are the earliest work of the poet’s collection of poems(1826~27). In the poems, there appear 11 different people and Jeong Hak-yeon created this under the influence of his friends, Shin Yui(申緯) and Lee Hak-gyu(李學逵). Of eleven people, some belong to Nam-yin(Lee Hak-gyu and Gwon young-jwa), and some related to the networks of Shin Yui and Kim Jeong-hee(Yoo Chui-gwan, Kim Jeong-hee, Yoon Jeong-hyun, Bak Jang-am, Han Man-sik, Shin Yui, Lee Jo-heon, Nam Seong-jib), and the last one, Lee Roh-young, is the poet’s neighbor. Jeong Hak-yeon leaves several hui-yin poems, and these show special trait-irregularity. The eleven people are in the extension of their relationship of adulthood. Lastly, we presume that the poet’s other hui-yin poems-still not excavated-could show the poet’s latter years.

      • KCI등재

        민성휘(閔聖徽) 가문의 장서 연구 -7대손 민경속(閔景涑)과 유만주(兪晩柱)의 서적 왕래를 겸하여-

        김영진 ( Kim Young-jin ),안정은 ( Ahn Jeong-eun )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80

        본고는 조선시대 서책문화, 그 가운데 ‘私家藏書’에 대한 사례 연구를 여흥민씨 閔聖徽(1582~1648) 가문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연구의 주안점은 두 가지인데 첫째는 민성휘 개인이 본격적으로 형성한 ‘사가장서’의 실체와 특징이고, 둘째는 민성휘의 7대손 閔景涑(1751~1794)의 장서다. 후자의 경우엔 벗 兪晩柱(1755~1788)와의 사이에 이루어진 書冊 相互 借覽과 문학, 학술 담론을 중심에 두었다. 민성휘의 1628년 明 使行에서의 서책 구입과 민경속과 유만주의 교유는 기존 연구성과가 있다. 본고는 기존 성과 위에 민성휘 윗대 아랫대의 저술 및 장서 현황, 소론 당파보인 『簪譜』 및 민경속의 인척 鄭堉이 편찬한 印譜 『圖書譜』, 任天常의 『試筆』 등의 신자료를 추가하여 이 가문의 장서 형성 과정과 그 학술 문화사적 특성을 보다 구체화하였다. 우선 민성휘의 『肅敏書目』을 재검토하고 현존하는 민성휘 장서인이 압인된 책들을 조사하여 관련 방증을 하였다. 또한 민성휘가 수집한 장서와 서책에 대한 관심이 가까이는 민성휘의 『松京訪碑錄』, 閔晉亮의 『唐詩類選』, 閔周冕의 『(新纂)東京誌』로 이어졌고, 멀리는 7세손 민경속의 『知先錄』과 『迂叟謾錄』 및 『輸廫故人錄』, 8세손 閔魯行의 『名數咫聞』과 『咫聞別集』 등으로 이어졌음을 논하였다. 민경속과 유만주 사이에 1785년부터 1787년까지 3년간 지속된 서책 교류를 총정리하였다. 이 둘의 진지하고 진솔한 학술교류는 방문 외에 양가 장서 및 서화의 상호 대차와 감상을 기본으로 하였는 바 두 가문의 당파와 교유권의 차이로 인해 수장 자료의 성격차이 역시 컸다. 이 점이 상대방의 호기심을 일으키고, 부족한 면을 충족시켜 주면서 서로의 성장에 밑거름이 되었다. 민경속의 인척으로 특히 주목되는 것이 ‘江華學’으로 널리 알려진 전주이씨 덕천군파와 연일정씨 鄭夏彦 후손가다. 연일정씨는 또 자하 신위와 연결되어 이후 민노행이 추사 김정희와 교류를 갖게되는 계기가 되었다. 민성휘가의 『서책목록』이 발견되지 않았고, 이 가문의 장서도 다 흩어졌다는 제약과 한계 속에서도 여러 자료의 편린들을 찾아내어 민씨가의 학술문화사적 의의를 추출하여 보았다. 이 과정에서 兪晩柱의 『欽英』이 갖는 서적문화사에서의 높은 의의를 재삼 확인할 수 있었다. 여흥민씨가의 장서와 그것의 학술문화사적 효용은 ‘조선시대 사가장서’의 한 실상과 의미 부여를 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하겠다. This thesis focused on the book culture in the Choseon Dinasty period, particularly with the emphasis laid on the family of the Yeoheung Mins by way of the case study on the collection of books at the private family of Seong-Hui Min(1582~1648) of the Yeoheung Mins. The main emphasis is two and the first is the subst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on of books at private family’ purposefully formulated by the individual Seong-Hui Min and the other is the collection of books of the 7<sup>th</sup> descendant Gyeong-Sok Min(1751~1794). In the latter case, the focus was laid on the mutual borrowing and reading of the books and academic discourse with his friend Man-Ju Yoo(1755~1788). The purchase of books by Seong- Hui Min in his envoy trip to Ming in 1627 and the exchange between Gyeong-Sok Min and Man-Ju Yoo were greatly facilitated by Ha-Ra Kim. On top of the achievements of Ha-Ra Kim, this thesis carried out a more realistic review of the background of the formulation of the collection of books at this family and the academic and cultural historical characteristics with reference to the significant new data such as the writings and the status of book collections, the newsletter of Soron Party 『Jambo』, the book of impressions of seals 『Doseobo』 published by Yook Jeong who was a member of Yeonil Jeongs which was a relative family of Gyeong-Sok Min and others. First, this thesis aimed to establish the circumstantial evidence by conducting a review of 『Sukminseomok』 written by Seong-Hui Min and investigating the books belonging to the extant collection of books of Seong-Hui Min. It was verified that most of the pressing books from the extant collection of Seong-Hui Min are wood-block print books from Ming and discussed that the books were scattered from early stages. In addition, it was discussed that the attention to the collections and books established by Seong-Hui Min extended closely to 『Songgyeongbangbirok』 by Seong- Hui Min, 『Dangsiyuseon』 by Jin-Yang Min and 『(New Publication) Donggyeongji』 and remotely to 『Jiseonrok』, 『Osumyeonrok』 and 『Suyogoinrok』 by the 7<sup>th</sup> descendant Grong-Sok Min and 『Myeongsuchimun』 and 『Jimoonbyeoljib』 by the 8th descendant No-Haeng Min. The thesis made an aggregate summary of the exchange of books between Gyeong-Sok Min and Man-Ju Yoo which lasted for 3 years from 1785 to 1787. The earnest and sincere academic exchange between them revealed the differences in the books and paintings stored due to the differences in faction, relatives and others apart from the collection of books in each family and these differences made great contribution to their mutual growth by invoking the intellectual curiosity and supplementing the deficient parts of each. The books of Gyeong-Sok Min can be divided between those inherited and those collected by oneself and in regard of the latter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ve share of the books from Choseon Dynasty was much increased and that the relative families the Jeonju Lees (Deokcheongun family branch - Ganghwahak) and the Yeonil Jeongs inflicted a great influence on the procurement of books. By way of the connection with Jaha Wui Shin, the Yeonil Jeongs offered the opportunity for No-Haeng Min to have exchanges with Chusa Jeong-Hee Kim. Even under the limitation and restriction that 『List of Books』 of the family of Seong-Hui Min was not discovered and the collection of books of the family was all scattered around, the academic and cultural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books of the Mins was extracted by discovering the partial fractions of a diversity of data. In this process, the high cultural historical value of the literatures retained by 『Heumyeong』 by Man-Ju Yoo could be ascertained anew. This thesis has the meaning that it highlighted the fact that the collection of books at the Yeoheung Mins and their academic and cultural historical utility reveal a realistic aspect of the ‘collection of books at private families in Choseon Dynasty Period’ and also that it gave such a meaning.

      • KCI등재후보

        컴퓨터를 이용한 속도 조절형 치과 국소마취 기구: 문헌고찰

        김영진,이준형,이강희,김기덕,정복영,방난심,박원서,Kim, Young-Jin,Lee, Jun-Hyung,Lee, Kang-Hee,Kim, Kee-Deog,Jung, Bock-Young,Pang, Nan-Sim,Park, Wonse 대한치과마취과학회 2013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13 No.4

        Background: Today, there are computer controlled local anesthesia devices used clinically. The main principle is to control injection speed by computer aided system, and it relieves pain. However, there are few objective data considering this subject. In this literature review, we researched studies about computer controlled anesthetic delivery. We compared pain control effect of computer controlled to conventional local anesthetic syringe system. Methods: A bibliographic search in PubMed was performed and we reviewed original articles. Results: There were 18 publications that compared pain control effect of computer controlled to conventional system. There were 8 articles reported of children, similar pain control effect was found in 7 of them. One study showed superior pain control effect of computer controlled anesthetic delivery. For adults, 10 studies showed superior pain control effect in computer aided system. Conclusions: Computer controlled anesthetic delivery has similar or superior pain control effect compared to conventional local anesthetic syringe system. For both children and adults, computer controlled anesthetic delivery could be clinically useful, still it may be more effective for adults.

      • KCI등재

        2014 / 2015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Lolium multiflorum Lam.)의 벼 입모 중 파종 재배시 생육저해 요인 분석

        김영진,최기춘,이상학,정종성,박형수,김기용,지희정,이상훈,최기준,김원호,Kim, Young-Jin,Choi, Ki-Choon,Lee, Sang-Hak,Jung, Jeong-Sung,Park, Hyung-Soo,Kim, Ki-Yong,Ji, Hee-Chung,Lee, Sang-Hoon,Choi, Gi-Jun,Kim, Won-H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6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6 No.1

        2014/2015년도 전국 동계사료작물, 특히 벼 입모 중 파종했던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월동 후 생육 상황은 매우 저조했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생육저해 요인을 찾기 위해 충남 논산지역의 생육상황과 인근 대전지역의 기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월동 후인 2015년 2월 8일과 9일의 최저기온과 최대순간풍속은 각각 $-8.8^{\circ}C$와 10.7 m/s, $-12.4^{\circ}C$와 9.6 m/s로서 소낙눈을 동반한 강풍이 불면서 온도도 매우 낮았는데, 이는 토양 과습으로 토양 표면에 노출되어 있던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뿌리 생장에 매우 불리하게 작용하였다. 연이어 2월 12, 13, 14일에도 각각 $-4.1^{\circ}C$와 11.6 m/s, $-5.6^{\circ}C$와 10.3 m/s, $-4.7^{\circ}C$와 7.5 m/s의 저온과 강풍피해를 받았다. 더욱이 1월부터 지속된 가뭄현상으로 건조상태가 지속되다가 2월 15, 16일에 19 mm의 강우가 내렸으나 생육을 회복하기엔 역부족이었다. 2월 26, 27, 28일에도 $-1.8^{\circ}C$와 13.7 m/s, $-3.5^{\circ}C$와 10.6 m/s, $-4.1^{\circ}C$와 6.8 m/s의 저온과 강풍피해가 있었다. 3월 3일까지 고사개체가 59% 이상으로 많았으며 3월 4일부터 12일까지 9일간의 저온과 강풍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생육 회복불능상태로 몰고 갔다. 따라서 2014/2015년의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수량감소의 주원인은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2014년 10월, 11월의 강우로 인하여 벼 수확 후 볏짚수거가 지연되어 볏짚 밑에 눌려 연약하게 자란 개체가 월동 후 저온에 고사되었다. 배수로 미설치로 논 토양 표면의 수분이 과다하여 뿌리를 땅속으로 내리지 못한 채 월동하게 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봄에 서릿발 및 가뭄과 강풍을 동반한 저온피해를 받아 뿌리가 말라버려 작물이 고사되어 버리는 상황이 발생되었다. The growth of Italian ryegrass (IRG) after wintering was very low in 2015 when IRG was broadcasted under growing rice in fall of 2014. To determine growth inhibitory factors of IRG, we examined the growth conditions of IRG in Nonsan region and meteorological conditions in Daejeon nearby Nonsan. Minimum temperature and maximum instantaneous wind speed on Feb. $8^{th}$ and $9^{th}$ of 2015 after wintering of IRG were $8.8^{\circ}C$, 10.7 m/s and $12.4^{\circ}C$, 9.6m/s, respectively. Air temperature was suddenly dropped due to strong wind with snow showers, which had unfavorable effect on root growth of IRG exposed at the soil surface. The minimum temperature and maximum instantaneous wind speed on Feb. $12^{th}$, $13^{th}$, and $14^{th}$ of 2015 were $4.1^{\circ}C$, 11.6 m/s, $-5.6^{\circ}C$, 10.3 m/s, and $-4.7^{\circ}C$, 7.5 m/s, respectively. The growth circumstance of IRG was not good because soil was dried due to drought continued from January. The minimum temperature and maximum instantaneous wind speed on Feb. $26^{th}$, $27^{th}$, and $28^{th}$ of 2015 were $1.8^{\circ}C$, 13.7 m/s, $-3.5^{\circ}C$, 10.6 m/s, and $4.1^{\circ}C$, 6.8 m/s, respectively. The number of wilting of IRG was more than 59% until Mar. $3^{rd}$ of 2015. IRG faced irreparable environment (low minimum temperatures and extreme instantaneous wind speeds) for 9 days from Mar. $4^{th}$ to Mar. $12^{th}$ of 2015. The main reason for the decrease of IRG productivity was collection delay of rice straw after rice harvest because there was continuous rain between Oct. and Nov. of 2014. For this reason, weakly grown IRG under rice straw was withered after wintering. IRG was withered by frost heaving, drought, and instantaneous wind speed in the spring. Furthermore, the root of IRG was damaged while growing in excess moisture in the surface of paddy soil during the winter season due to rain.

      • KCI등재

        Generalized Preferential Flow Model (GPFM)의 개념과 적용사례 연구

        김영진,타모 스테인휴이스,남경필,Kim, Young-Jin,Steenhuis, Tammo,Nam, Kyoung-Phile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7 지하수토양환경 Vol.12 No.5

        최근 들어 preferential flow같은 현장조건의 불균질한 매질을 이동하는 지하수 거동해석에 이류 분산 방정식을 적용하는데 많은 문제점들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따라 Kim 등(2005)은 최소한의 모형인자로 preferential flow 경로를 통한 토양지하수의 흐름을 예측할 수 있는 간단한 모형을 개발한 바 있다. Kim 등(2005)이 제시한 Generalized Preferential Flow Model(GPFM)은 토양을 표층주변의 분배 층(distribution layer)과 그 밑의 운반구역(conveyance zone)으로 나누어 거동을 예측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PFM을 간단히 소개하고 기존의 다른 실험결과에 적용한 후 이류분산방정식(CDM)과의 비교를 통해 모형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기존에 발표된 두 개의 실험값에 GPFM을 적용해본 결과, GPFM은 세 가지 인자-유효함수비, 유속, 분산계수-를 입력하여 silty 및 sandy loam 토양 내 추적자의 파과곡선을 잘 예측하였다. CDM을 이용한 예측 값과 비교한 결과 GPFM과 CDM 모두 실제 관측된 파과곡선과 일치된 경향을 보였으나, GPFM에 의해 추측된 인자들이 더 현실적으로 가능한 값을 나타내었다. 인용된 두 실험값에 GPFM을 적용할 경우 예측 값에 가장 영향을 끼친 인자는 유효함수비로 나타났는데, 이는 Kim 등(2005)이 같은 종류의 토양에서 유속이 GPFM의 결과에 가장 영향을 끼쳤다고 보고한 것에 비해, 다른 성질의 토양에서는 유효 함수비가 가장 결정적인 인자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GPFM이 이용하기가 쉽고 여러 가지 현장조건에 적용성이 높아 preferential flow 경로를 통한 토양지하수의 흐름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In recent years the convective-dispersive equation has been often discredited in predicting subsurface solute transport under field conditions due to presence of preferential flow paths. Kim et al. (2005) proposed a simple equation that can predict the breakthrough of solutes without excessive data requirements. In their Generalized Preferential Flow Model (GPFM), the soil is conceptually divided in a saturated "distribution layer" near the surface and a "conveyance zone" with preferential flow paths below. In this study, we test the model with previously published data, and compare it with a classical convective-dispersive model (CDM). With three parameters required-apparent water content of the distribution zone, and solute velocity and dispersion in the conveyance zone-GPFM was able to describe the breakthrough of solutes both through silty and sandy loam soils. Although both GPFM and CDM fitted the data well in visual, variables for GPFM were more realistic. The most sensitive parameter was the apparent water content, indicating that it is the determining factor to apply GPFM to various soil types, while Kim et al. (2005) reported that changing the velocity of GPFM reproduced solute transport when same soils were used. Overall, it seems that the GPFM has a great potential to predict solute leaching under field conditions with a wide range of generality.

      • 공간 네트워크 상의 이동객체를 위한 시그니처 기반의 궤적 색인구조

        김영진,김영창,장재우,심춘보,Kim, Young-Jin,Kim, Young-Chang,Chang, Jae-Woo,Sim, Chun-Bo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8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0 No.3

        공간 네트워크 상을 움직이는 많은 이동객체들의 궤적 분석을 통해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궤적을 효과적으로 검색 할 수 있는 궤적 기반 색인 구조가 필요하다. 하지만 도로와 같은 공간 네트워크상의 궤적 기반 색인 구조에 대한 연구는 FNR-트리나 MON-트리를 제외하고는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FNR-트리나 MON-트리는 에지를 지난 이동객체의 이동정보인 세그먼트만을 저장할 뿐 전체 궤적을 유지하지 못하며, 궤적 질의에 대해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간 네트워크상의 이동객체를 위한 시그니처 기반의 궤적 색인 구조인 SigMO-트리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이동객체를 공간과 시간 특성으로 분류하고, 전체 궤적을 유지함으로써 영역질의와 궤적질의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색인 구조를 설계한다. 아울러, 사용자 질의를 시공간영역 내 궤적 질의, 시간영역 내 유사궤적 질의로 분류하고, 이들을 처리 하기 위한 질의 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각 질의처리 알고리즘은 효율적인 검색을 위하여 시그니처 파일 기법을 이용하여 궤적을 검색한다. 마지막으로 성능평가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궤적 기반 색인 구조가 기존의 색인구조인 FNR-트리, MON-트리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보인다. Because we can usually get many information through analyzing trajectories of moving objects on spatial networks, efficient trajectory index structures are required to achieve good retrieval performance on their trajectorie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rajectory index structures for spatial networks such as FNR-tree and MON-tree. Also, because FNR-tree and MON-tree store the segment unit of moving objects, they can't support the trajectory of whole moving object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trajectory index structures based on signatures on a spatial network, named SigMO-Tree. For this, we divide moving object data into spatial and temporal attributes, and design an index structure which supports not only range query but trajectory query by preserving the whole trajectory of moving objects. In addition, we divide user queries into trajectory query based on spatio-temporal area and similar-tralectory query, and propose query processing algorithms to support them. The algorithm uses a signature file in order to retrieve candidate trajectories efficiently Finally, we show from our performance analysis that our trajectory index structure outperforms the existing index structures like FNR-Tree and MON-Tree.

      • KCI등재

        CO<sub>2</sub> 포화 염수 투과실험에 따른 유정시멘트의 성분분석

        김영진,윤태섭,염광수,김광염,김정중,Kim, Young Jin,Yun, Tae Sup,Youm, Kwang Soo,Kim, Kwang Yeom,Kim, Jung Joong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5 No.3

        지중의 높은 압력과 온도에서 양생되는 유정공 시멘트 (Oil Well Cement, OWC)는 $CO_2$ 포화 염수에 의하여 열화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_2$ 포화 염수에 의한 OWC의 미세구조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지중과 동일한 온도와 압력조건 하에서 $CO_2$ 포화 염수를 투과시키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표준 양생된 Class G OWC 시편이 사용되었다. 압력 10 MPa에서 48시간동안 $CO_2$를 융해시킨 포화 염수의 pH는 3.14로 계산되었다. OWC내 수산화칼슘이 $CO_2$와 반응하여 생성된 탄산칼슘에 대한 3차원 미세단층촬영으로 시편내부의 분포양상을 확인하였고, X선 회절분석을 통해 탄산칼슘의 증가추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칼슘-실리케이트 수화물의 탄산화를 $^{29}Si$ 핵자기공명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The integrity of oil well cement (OWC), cur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may degrade upon the exposure to the $CO_2$-saturated brine. In this study, a test setup was devised to examine the composition changes of hardened OWC due to the migration of $CO_2$-saturated brine under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he Class G OWC cured at ambient conditions was used for the test set-up. The estimated pH of the brine saturated with $CO_2$ for 24 hours under 10 MPa and $40^{\circ}C$ was 3.14. The 3D micro computed tomography enables the evaluation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internal structures for carbonated produced by $Ca(OH)_2$ in the hydrated OWC, corroborated by X-ray diffraction analyses that reveal the increment of $CaCO_3$. Moreover, $^{29}Si$ Nuclear Magnetic Resonance results showed the carbonation of calcium silicate hydrates (C-S-H) in the hydrated OWC.

      • KCI등재

        남부지역 친환경 논 재배를 위한 나물콩 품종 선발 및 품질 평가

        김영진,이광원,조상균,오영진,신상욱,백채훈,김경호,김태수,김기종,Kim, Young-Jin,Lee, Kwang-Won,Cho, Sang-Kyun,Oh, Young-Jin,Shin, Sang-Ouk,Paik, Chae-Hoon,Kim, Kyong-Ho,Kim, Tae-Soo,Kim, Ki-Jong 한국유기농업학회 2011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19 No.3

        남부지역 친환경 논 재배에 적합한 나물콩 품종을 선발하고자 풍산나물콩 등 29 품종을 공시하여 밭 재배와 비교하여 생육특성, 습해정도 및 수량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1. 논 재배시 개체당 협수 및 개체당 립수는 밭 재배에 비해 큰 차이로 적었으며, 경태는 대체로 얇았고 성숙기는 공시 품종 대부분에서 밭 재배에 비해 5~14일 정도 지연 되었다. 2. 무 농약(살충제) 재배시 영양생장기에는 땅거미 등의 천적으로 인하여 콩의 생장에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노린재류의 피해는 입비대기에 심했는데, 품종 간 피해 정도가 달라 친환경 논 재배에 적합한 내충성 나물콩 품종 선발이 가능하였다. 노린재 저항성을 보인 품종으로는 소원콩, 풍원콩, 소록콩, 풍산나물콩, 소백나물콩, 광안콩, 푸른콩, 부광콩, 팔도콩 및 녹채콩이었다. 3. 개화기 이후 한 달 이상 지속된 강우와 무 농약(살균제) 재배로 인하여 협의 탄저병 및 종실의 자반병, 미이라병의 감염정도가 품종간 크게 나타나, 친환경 논 재배에 적합한 내병성 나물콩 품종 선발이 가능하였다. 포장에서 병 발생이 적은 품종으로는 팔도콩, 광안콩, 도레미콩, 소명콩, 풍산나물콩, 익산나물콩, 서남콩, 소진콩, 푸른콩, 보석콩, 남해콩 및 소록콩이었다. 4. 공시품종들의 백립중은 9.8~17.2g 범위에 속하였으며 대부분의 품종에서 밭 재배 대비 0.1~3.7g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일부 품종에서는 오히려 약간 감소하였다. 정부수매 규격상 소립나물콩(선별체 직경 4.0~5.6mm)에 해당되는 품종은 다원콩(9.8g), 다채콩(9.9g), 보석콩(10.3), 서남콩(10.4g), 소강콩(10.7g), 한남콩(11.0g), 소명콩(11.1g) 및 원황콩(11.3g)이었다. 5. 풍산나물콩(266kg/10a)에 비해 수량이 높았던 품종은 소록콩(308kg), 한남콩(288kg), 보석콩(281g), 소원콩(271g)이었으며, 흑색 종피를 가진 다원콩은 146kg에 불과한 낮은 수량성을 나타냈다. 6. 수확된 종자의 발아특성을 살펴보면 평균발아기간은 2일 이내였으며, 대부분의 품종에서 발아세는 77~99%, 최종 발아율은 89~100%로 높은 발아율을 나타냈으나, 다원콩 및 장기콩에서는 경실종자 및 부패립으로 인하여 발아세 및 발아율이 70% 이하로 매우 낮았다. 7. 공시된 나물콩 품종들의 내병성, 내충성, 내도복, 립중, 수량성, 내습성 정도 및 콩나물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판단해 보면 서남콩, 한남콩, 도레미콩, 보석콩, 풍원콩, 광안콩, 소원콩, 다기콩, 팔도콩, 은하콩, 및 풍산나물콩이 높은 수량과 립 크기의 균일한 분포를 나타내어 친환경 논 재배에 유망시 되었다. We carried out the experiment to select the suitable sprout soybean varieties for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in paddy field of southern part area, compares of excess moisture injury degree and yield ability among 29 sprout soybean varieties. Plant growth of sprout soybean was generally low in beginning and recovered after flowering due to rainfall. In paddy field cultivation, number of pod per individual and number of seed per individual were less in difference than upland cultivation, and maturing date was delayed 5-14 days than upland cultivation in most species. When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pest injury was not caused major problem for the growth during the vegetative period of soybean due to ground spider as natural enemy to insect pest. However, damage of stink bugs showed severe during grain filling period, and Dawonkong, Anpyeongkong, Dachaekong and Wonhwangkong showed susceptible to sting bug. SMV infection was weak and showed some necrosis symptoms in Sokangkong, but black root rot was not infected at all. Bacterial pustule began to be infected slowly from pod enlargement stage in most species, displayed severe symptoms in Dawonkong, Pungsannamulkong, Seonamkong and Sobaeknamulkong. The symptoms of pod anthracnose, pod blight and purple spot were greatly appeared after flowering. Disease resistance varieties was Paldokong, Kwangankong, Doremikong, Somyeongkong, Pungsannamulkong, Iksa-namulkong, Seonamkong, Sojinkong, Pureunkong, Bosugkong, Namhaekong and Sorokkong. Lodging index showed 3 in Saebyeolkong, and other species displayed slight lodging in 0-3 degree. 100-seed weight is 9.8-17.2g extent and increased 0.1-3.7g than upland cultivation in most species, but decreased in some species. Government purchase standard, species correspond to small-seed-size namulkong (Sizing screen diameter 4.0-5.6 mm) was Dawonkong, Dachaekong, Bosugkong, Seonamkong, Sokangkong, Hannamkong, Somyeongkong and Wonhwangkong. Species which seed yield was higher than Pungsannamulkong (266kg/10a) were Sorokkong, Hannamkong, Bosugkong and Sowonkong. Considering sprout soybean species, disease endurance, insect resistance, lodging resistance, 100-seed weight, yield ability and excess moisture tolerances synthetically, Seonamkong, Hannamkong, Doremikong, Bosugkong, Pungwonkong, Kwangankong, Sowonkong, Dagikong, Paldokong, Eunhakong and Pungsannamulkong were promising for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in paddy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