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족문화로서 한국어 연구의 지평—『민족문화연구』의 한국어학 연구 경향과 전망에 부쳐—

        이상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101 No.-

        이 논문은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학술지 『민족문화연구』 지령 100호를 맞아 이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어 연구가 어떤 경향으로 변화해 왔는지 『민족문화연구』에 실린 한국어학 관련 논문들을 중심으로 그 연구의 역사적 변천을 살핀 연구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국어학 연구의 결실을 바탕으로 향후 『민족문화연구』의 미래를 위해 새롭게 모색해야 할 과제와 전망에 대해 ‘한국학 연구의 발자취와 새로운 방향 모색’이라는 주제로 살펴보았다. 본문에서는 우선 논의의 전제로 ‘민족문화’와 ‘민족어’로서 한국어의 위상 문제를 간략하게 다루었다. 또한 본론에서는 한국학, 한국문화로서 한국어 연구의 성과를 시대별로 조망하였다. 1970년대 이전부터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그리고 2010년대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민족문화연구』에 실린 어학적 성과를 전통적인 한국어학 연구 경향과 시대별로 두드러진 어학적 성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 시대적 의미를 한국어학사의 시선에서 평가하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민연의 학술지 『민족문화연구』 중심의 한국어학사이다. 물론 『민족문화연구』의 한국어 연구가 지난 60년의 한국어학사 전체를 대변할 수는 없다. 그러나 『민족문화연구』의 한국어학 연구의 특징과 경향을 통해서 한국어학사 전체의 한 줄기의 맥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컨대, 이 논문은 한국학으로서 한국어학 연구의 다양성과 확장을 보여주는 학술지 『민족문화연구』의 한국어 연구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studies in the papers published in Korean Cultural Studies (『민족문화연구』). After identifying the Korean language as the national language that manifests the national culture, I discuss what has been done and what needs to be done more in the area of Korean language studies. More specifically, I examine said papers based on different time periods: pre-1970s, 1970s, 1980s, 1990s, 2000s, and 2010s. The papers are then further categorized based on research trends and linguistic achievements, which in turn are evaluated within a broader perspective of Korean linguistics history. While it is true that the research published in Korean Cultural Studies cannot be said to be representative examples, there is no denying that we can identify some trends by chronologically examining the papers. Overall, this article deals with the history of Korean Cultural Studies, which evaluates the depth, diversity, and expansion of traditional Korean language studies.

      • KCI등재

        1964년의 조지훈과 민족문화 프로젝트

        고지혜 ( Ko Ji-hy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0 No.-

        이 논문은 1960년대 조지훈의 학술 활동을 조감하고 당대의 담론 지형 안에서 그 위치를 가늠해 보면서 ‘학인 조지훈’을 역사화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1964년에 조지훈은 단독저서 1권과 공동저서 2권을 출간하고 잡지 및 학술지에 3편의 논고를 발표 했으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소장으로서 학술지 『민족문화연구』를 창간하고, 『한국문화사대계』를 기획 및 출간했다. 이러한 조지훈의 학술 활동은 민족이라는 주체의 삶을 이루는 ‘거의 모든 지식’을 체계화하는 작업, 이른바 ‘학(學)으로서의 민족문화’를 수립하는 것으로 수렴된다. 즉, 조지훈은 ‘민족지 구축’과 ‘민족문화사 다시 쓰기’라는 방법론을 통해 민족문화학을 세우고자 했는데, 이러한 작업의 배면에는 면면히 이어 왔어야 할 단일민족의 전통과 문화가 제대로 계승되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이 자리하고 있었다. 1920년대생 조지훈의 학술 활동은 언제나 ‘일본’ 혹은 ‘식민의 경험’을 의식할 수 밖에 없었기에, 결국 조지훈이 몰두했던 것은 식민사학이 그토록 부정했던 ‘단일한 실체로서의 국가/민족’이 상정되고 작용될 수 있는 지식체계를 만드는 일이었으며, 이러한 ‘탈식민을 위한 욕망’이야말로 학인 조지훈을 추동하던 원동력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지훈의 탈식민 민족문화학에 대한 구상은 식민지 조선학운동의 연구 성과에 기반을 둔 것이었다. 특히 최남선의 학술적 작업을 상당 부분 계승하고 있는 조지훈의 작업은 우리 민족문화(사)에 내재해 있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계승하고 발현시키는 학술 활동이야 말로 민족의 독자성과 존재 가치를 확인하는 작업이라는 인식을 전제한다. 이는 1960년대 후반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는 내재적 발전론의 역사인식이기도 했다. 즉, 조지훈은 민족을 주체로 하는 ‘계보의 서사’를 상상하고 창출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했으며 이러한 작업에는 보편에의 충동, 달리 말하면 한국문화사/문학사에도 형이상(사상)이 있음을 증명해내고픈 욕망이 잠재해 있다. 이는 식민과 탈식민이 교차하고, 분단과 냉전체제 안에서 치열한 담론 투쟁이 일어나던 1960년대의 시대정신이기도 하며, ‘한국적인 것’을 탐구하고 찾아내야 했던 (한)국학 연구자로서의 자기정립을 향한 의지이기도 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scholar Cho Ji-hoon in terms of historical context by seeing the entire view of his academic activities in the 1960s and estimating the position within the discourse arena of that time. In 1964, Cho Ji-hoon published one single-authored book, two co-authored books, and three research papers in periodical and academic journal, issued the academic journal Korean Culture Studies as the Research Director of the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orea University, and planned and published An Outline of the Korean Civilization. His academic activities are converged into establishing the project of systemizing ‘almost all knowledge’ that comprise the life of ethnic group, so-called ‘national culture as academic studies’. In other words, he tried to establish national culture studies by ‘establishing ethnography’ and ‘rewriting national culture studies’. There underlain the problem consciousness that tradition and culture of a single race, which should have been passed on continuously, were not properly succeeded. Since the academic activities of Cho Ji-hoon who was born in the 1920s had no other choice but to rely on either ‘Japan’ or ‘colonial experience’, he focused on making a knowledge system that can introduce and apply ‘country and race as a single substance’, which was totally denied by the colonial academia. Such a desire for decolonization was an impetus for him. When it came to study contents and methodology, he substantially succeeded the academic projects of the 1920s colonial era Joseonhak movement, especially Choi Nam-seon. Here underlain the thinking that academic activities succeeding and manifesting mankind’s universal value inherent in the Korean ethnic culture history is the project of identifying race’s identity and existence value. This was the historical awareness of the intrinsic development which began to be discussed from the late 1960s. In other words, Cho Ji-hoon aimed to conduct the work of imagining and creating ‘description of genealogy’ which became the root of nation. Here underlain universality orientation―desire to prove that metaphysics exist in Korean culture and literature history. This is the spirit of the 1960s when colonization and decolonization combined and fierce discourse struggle took place in division and the Cold War and the will toward establishing oneself by researchers of Korean Studies who had to explore and discover ‘Korean things’.

      • KCI등재

        한국 현대문학 연구와 『민족문화연구』—『민족문화연구』를 통해 본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동향—

        이만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101 No.-

        This paper lays its purpose in examining the academic practice and significance of the Korean Cultural Studies which has been published by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orea University. To this end, first, the academic status which the Korean Cultural Studies accounts for was analyzed through a quantitative comparison between the Dong Bang Hak Chi, the Daedong Munwha Yeon'gu, and the Korean Cultural Studies, which have been published by university-affiliated research institutes since the 1950s or 1960s. As a result, unlike the Dong Bang Hak Ch and Daedong Munwha Yeon'gu, which attempted to form an academic network with countries around Asia,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Cultural Studies intended to establish the strategy to integrate and unite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n History, and Philosophy of Korea—which can be said to be the foundation of Koreanology—within the magnetic field of ‘National Culture.’ Second, how research trends have changed by period was reviewed by diachronically examining the inclusion aspects by major and of modern literature papers, with respect to the papers included in the Korean Cultural Studi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onographs from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Korean History accounted for more than 80% of all papers included. It is interpreted that this could be the result coming out because of not only the absence of researchers capable of studying and lecturing on modern & contemporary literature and modern & contemporary history but also the lack of organization of related subjects, during the 1940s and 1960s, when many four-year universities were founded. In addition, the papers in the field of Modern Literature are categorized by period, which were organized into “A period to strengthen the foundation of modern literature research (1964-1979)—A period when the work theory and writer’s theory was established as a methodology for Modern Literature research (1980-1999)—A period when research objects and methods were diversified (after 2000).” Through this, we reviewed the academic-history position that the Korean Cultural Studies occupied for each period.

      • KCI등재

        특집논문: 문화연구의 비판적 성찰; 문화연구의 연구문화 : 언론학계에서의 제도화 효과에 관한 성찰

        이상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民族文化硏究 Vol.53 No.-

        이 글은 한국 문화연구의 연구문화에 대한 하나의 비판적 성찰이다. 연구문화란 연구노동을 조건 지으면서도 그 자체는 연구자들에게 좀처럼 의식되지 않는 암묵적 지식과 실천 감각의 형성구조를 가리킨다. 이 글은 언론학계 내에서 문화연구가 하나의 전공분야로 제도화된 이래 어떠한 연구문화가 구축되어왔는지, 또 그 특성과 문제점은 무엇인지 검토한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 글은 문화연구자들이 제도화의 부정적인 효과로부터 벗어나 사회과학계 내에서 새로운 대안적 학문실천의 공간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attempts to provide an informed critical reflection on the research culture in Korean cultural studies. The notion of 'research culture' means, in this work, a formative structure of tacit knowledge and practical sense which conditions the research practice not very consciously. This article especially probes some traits and problems of the research culture since the incorporation of cultural studies by communication studies. In doing so, this article argues that researchers of cultural studies, liberated from the negative effects of the institutionalization, should constitute a new space of alternative academic practices in the social sciences.

      • KCI등재

        구수한 큰 맛: 번역된 자연미

        정혜린 ( Jung He-ri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8 No.-

        고유섭(高裕燮)은 우리나라 최초의 한국미술사학자이자 미학 연구자로서 한국 미술사를 구축했다. 이 논문이 주목하는 바는 그가 「조선미술문화의 몇 낱 성격」과 「조선고대 미술의 특색과 그 전승문제」에서 한국 미술의 가장 큰 특징이자 전통으로 제시한 ‘구수 한 큰 맛’, ‘무기교의 기교’를 대표로 하는 자연미 계열의 개념어들이다. 이 개념들은 그 질박한 뉘앙스와 달리 서양 미학과 미술사, 일본·중국의 미술과 긴밀한 비교 속에 조성된 것들이다. 고유섭은 문화과학, 진·선·미와 지·정·의의 분류법을 수입하여 한 국 미술문화의 모든 역사 구간을 아우르는 ‘보편타당한 가치 표준’을 탐색했다. 이미 우 리에게 잘 알려진 구수함·고수함·맵자·단색·적조미·우아·단아, 이들을 구수한 큰 맛이 그것이다. 문화과학, 진·선·미와 지·정·의 등의 개념은 신칸트학파의 산물로서 경성제국대학에서 고유섭의 재학 시절 철학·미학을 담당했던 아베요시시게는 빈델반트, 리케르트 등의 신칸트학파의 대표적 전달자이다. 고유섭은 당시 최신의 선진적 학문을 따라 자신의 학문의 방법론과 연구대상을 설정하고 이로부터 한국미술의 역사를 한국인의 손으로 서술하는 길을 걸었다. 그러나 근대 유럽의 학문 체제와 가치로 한국 미술문화를 재단하고 번역함으로써 그의 한국미술사에는 시서화일치를 추구하는 회화가 제외되고 공예만 남았다. 한국근현대사에서 구수한 큰 맛과 같은 자연미를 한국 고유의 아름다움으로 제시하는 발언은 수없이 이어져 왔는데 시기상으로 볼 때 고유섭 이야말로 이러한 논란을 학계로 끌어들인 근원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그가 제시한 공예 미로서의 자연미는 근현대 한국 문화계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지만 그 개념들이 한국 자생의 것이 아니라는 점은 한번도 명확히 지적되지 않았다. 이제 구수한 큰 맛이 근현대라는 시대의 산물임을 밝혀 이 개념이 지시하는 과거, 이 개념에서 시작한 현재가 고유섭의 시대로부터 보다 자유로워질 새로운 계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Ko Yu-seoup, the first Korean scholar on Korean art history and aesthetics suggested some concepts including ‘Earthy and Generous Taste’ and ‘skillfulness of noskill’ as Korean original beauties. Ko imported Neo-Kantianism though Japanese Neo-Kantianism in Keijō Imperial University and applied its famous cultural science as method for studying Korean art history and ideas of values, the Truth, Good and Beauty as its values. The result he got as Korean original art was just craft art and its natural beauty, for traditional Korean art lacked the idea of Beauty and fine arts of modern Europeans. He should have deduced Earthy and Generous Taste from traditional Korean art works and texts not from Modern European thoughts. Though Ko intended describe the history of Korean art with the criteria of newest and advanced academic view and methods, he reduced the history to craft arts and natural beauty, which continues at some corners of academic fields and art world wide as well as Korea until now never criticized.

      • KCI등재

        특집논문: 문화연구의 비판적 성찰; "문화" 개념과 "성차" 관련 개념들에 관한 몇 가지 고찰 :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 "페미니즘 문화연구"를 중심으로

        김현경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民族文化硏究 Vol.53 No.-

        페미니즘 문화연구는 단일한 하나의 학제적 카테고리라기보다, 학제와 학제를 가로 지르며, 맥락화된 현실과 이론을 오가는 두 연구 분야가 만나거나 혹은 경합하며 이론을 생산해내는 장(field)이다. 따라서 지난 20여년간 한국 사회에서 이루어진 "페미니즘 문화연구"의 작업을 검토하는 이 글은 핵심적인 개념인 "문화"와 "성차" 관련 개념들을 나침반 삼아 그 변동과정을 따라가보는 방식을 취하고자 한다. 우선 서구 사회 "문화"와 "성차"관련 개념 변동 지형은 첫째, 문화 개념을 경유한 남성우월체계와 그 논리비판, 둘째, 구조기능주의적 논의에서 "성차별적 문화"의 섹스-젠더 환원성, 셋째, 문화연구의 등장과 함께 가능해진 페미니즘 문화연구 활성화로 파악되었다. 또한 한국 사회 변동의 계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심 모순"에 대한 대당 개념으로서의 "문화" 와 주변적 위치로서의 "여성" 개념 등장, 둘째, 성정치론자들의 "섹슈얼리티"와 규범적 "성문화"에 관한 문제제기, 셋째, 성정치론자들의 문제제기와 문화연구 프레임을 받아들인 페미니스트들이 분석하는 성별과 섹슈얼리티의 교차성 그리고 대중문화. 이러한 "성차" 관련 개념과 "문화" 개념의 변동 속에서 페미니즘 문화연구의 외연은 확대되었지만, 매체의 다변화, 문화산업의 양적 성장이라는 조건들 속에서 더욱 조밀하고 복잡해지는 성차의 의미망들을 관련 체제들과 연관지어 분석, 비판해야 하는 새로운 과제가 도래했다. Feminist Cultural Studies is rather an interdisciplinary field producing theories by different areas traversing contextualized reality and theories than a homogeneous disciplinary category. Therefore, this article which examines tasks of "Feminist Cultural Studies" in Korean society for over twenty years takes the essential "culture" and "sexual differences" related concepts as a compass and follows their changing process. To begin with, the changing topography of "culture" and "sexual differences" related concepts in Western society was grasped by 1) the criticism on male supremacy and its logic via culture concept 2) sex-gender reduction of "sexist culture" concept in structural functional discussion 3) the increased Feminist Cultural Studies enabled by the advent of cultural studies. In addition, the causes of the changes in Korean society are as follows. 1) the advent of "culture" concept as a anti idea against "main cause of problem of Korean society" and "women" concept as a marginal position 2) sexual politics 'raising a question about "sexuality" and normative "sexual culture" 3) intersection of gender and sexuality and popular culture analyzed by feminists who accepted sexual politics' question and the frame of cultural studies. In the aforementioned changes of "sexual differences" related concepts and "culture" concept, the scope of feminist cultural studies has been extended. Yet, under the conditions of diversified media and quantitative growth of cultural industries, the new task of analyzing and criticising the denser and more complicated semantic net in the association with related system has arrived.

      • KCI등재

        북한의 문화재 보호관리기관 연구―‘민족유산보호국’의 변천과 최근 변화를 중심으로―

        남보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4 No.-

        This study summarized the process of which the central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nd management organization is being established by concentrating on the transition of the ‘National Authority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which is a national heritage protection institution.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rule, North Korea organized a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nd management institution, and established the central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nd management institution through the forming ‘The Department of Conserv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in the 1970s after passing through a transition period. Although the name of the management institution was frequently changed, its major tasks showed a tendency of being embodied and institutionalized. Moreover, basic tasks such as collecting, evaluating, registering, and managing cultural heritage were also supported by the laws. Meanwhile, North Korea has exerted to register the cultural heritage to the UNESCO heritage from around 2000 to the latest and conducted the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as well as a project called ‘Introduction & Propaganda’ of North Korean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exchanges between two Koreas and those with European countries such as France and Germany, which continued to immediately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In this process, it was an opportunity to accept ‘advanced technologies that meet global trends.’ 한반도의 문화재는 남과 북이 같은 역사를 공유했다는 실증의 산물로, 북한이 펼치는 문화재 보호관리정책은 북한만의 것이 아니라 한반도의 문화재를 함께 향유하기 위해 우리 모두의 지속적인 관심과 이해가 꼭 필요하다. 본 논문은 북한의 문화재 보호관리기관인 ‘민족유산보호국’의 변천에 집중하여 중앙 문화재 보호관리조직이 확립되어 가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북한은 해방 직후부터 문화재 보호관리기관을 조직하였고, 과도기를 거쳐 1970년대 ‘문화보존총국’을 수립하여 중앙 문화재 보호관리기관을 확립하였다. 관리 기관 명칭이 자주 변경되었지만 그 업무는 구체화되고 제도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문화재 보호 대상뿐만 아니라 문화재 수집 및 평가와 등록, 보호 관리 등과 같은 기본 업무 역시 법으로 뒷받침하였다. 한편 북한은 2000년 전후부터 최근까지 유네스코 등록유산 등재를 위한 활동과 코로나-19 발생 전까지 이어진 프랑스와 독일 등과 같은 유럽국가와의 교류 및 남북 교류를 통한 북한 문화재 ‘소개선전’사업뿐만 아니라 인적⋅물적 교류를 진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세계적인 추세에 맞는 선진기술’을 받아들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현재 대북제재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1980년대부터 꾸준하게 이어져 온 문화재 국제교류라는 외부동인이 제한된 상황이지만, 북한은 문화재 교류를 위해 ‘민족유산보호국’을 필두로 ‘조선민족유산보호기금’을 설립하고 ‘조선민족유산보존사’의 기능을 강화하였으며 최근까지 유네스코 등록유산에 대한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민족문화연구』 누적 100호로 본 한국 고전문학 연구 경향과 과제

        김준형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101 No.-

        『민족문화연구』 누적 100호를 통해 한국 고전문학의 연구 경향을 살피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고민하였다. 누적 100호에 수록된 1,200여 편 내외의 논문 중 고전문학 관련 논문은 대략 440여 편 정도다. 전체의 35%다. 『민족문화연구』에는 특집 섹션이 총 63개인데, 여기에는 크게 세 가지 요소에 주목했다. 첫째, 특집호의 흐름이 ①인문학 위주에서 다른 분야까지 포섭했다. ②동일한 기획 주제가 반복되었다. ③기관의 역할을 위한 특집이 적지 않다는 점 등이 세 양상으로 나타났다는 것이 그러하다. 둘째, 특집호에는 한국문학과 다른 분야 학문과의 협업 양상에 변화를 보였다는 점이다. 초기에는 국학을 중심에 두고 다른 분야의 학문을 포용하는 방식이었다면, 후기에는 국학을 넘어 동아시아 보편 질서 안에서 한국문학의 위상을 찾는 방식으로 이동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특집호에는 한국문학의 독자적인 방향성을 설정했다는 점이다. 근대와 민족이라는 거대담론에 기초한 한국문학 연구는 2000년 이후로 소시민의 일상에 초점을 맞춘 생활사 위주의 미시담론으로 변환하였다. 이런 도정에서 ‘나’라는 개인의 존재에 대한 물음이 연구의 중심에 놓인 것도 당연한 결과였다. 특집호가 아닌 일반 논문들도 흐름은 크게 다르지 않다. 초기 민족문화연구 에 수록된 논문은 국학을 중심에 둔 민속학이나 민족정신의 흐름이 간단없이 이어졌음을 입증하기 위한 고전시가에 초점을 맞췄다. 하지만 2000년 이후로 언어 인식에 따른 문화적 이질성 문제가 더 이상의 장애 요인으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한문학 연구가 활발해졌다. 또한 국제적인 보편성 아래에서 한국문학의 특수성을 읽어내려는 경향이 강해졌다. 또한 중심보다 주변에 관심을 보인 것도 같은 맥락에 놓인다. 권력자 중심이 아닌 익명화된 소수자에 관심을 보인 것도, 그리고 여성과 문화가 한국문학의 중심에 놓인 것도, 음악과 미술 등과 교섭하는 연구 성과들이 강조된 것도 같은 흐름에서 파생된 결과다. 한국문학의 소멸까지 이야기되는 시점에서 새로운 과제를 나열하는 것은 염치없는 일이다. 차라리 중세에서 근대로 이행하던 시기의 고민을 엿보아, 그에 기초하여 오늘날 한국문학 연구의 방향성을 고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첫째, 문학 연구의 목적성. 둘째, 학문 간 연대 및 공동 작업의 필요성. 셋째, 자료 공유 및 정리 작업의 필요성 등은 거기서 생산된 물음이다. 이를 통해 한국문학 연구의 구심점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 학문 간 연구 및 공동 작업에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자율성이 필요하다는 점. 그리고 자료와 공유 및 정리 작업은 한국문학 연구의 기초인데, 그 모범적 사례를 고려대 해외한국학자료센터에서 찾을 수 있다는 점을 방향성으로 제시하였다. Through the cumulative 100th issue of KOREAN CULTURAL STUDIES, I looked at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thought about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e approximately 1,200 papers included in the 100th issue, approximately 440 are related to classical literature. It is 35% of the total. KOREAN CULTURAL STUDIES has a total of 63 special sections. Looking at the special issue, it is noteworthy in three major respects. First, looking at the flow of the special issue, three aspects are revealed. ① It focused on the humanities and included other fields. ②The same planning theme was repeated. ③This includes the fact that there are quite a few special features for the role of the institution. Second, the special issue showed a change in the pattern of collaboration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other academic fields. In the beginning, it was a method of embracing studies in other fields based on Korean Studies, but in the later period, it was seen that it moved beyond Korean Studies to a method of finding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within the East Asian universal order. Third, the special issue also showed an aspect of setting an independent direction for Korean literature. Since 2000, research on Korean literature based on the macro-discourse of homeland and nation has shifted its focus on the daily lives of small-scale citizens to micro-discourse centered on life history. In this journey, it was a natural result that the question of the existence of the individual ‘I’ was placed at the center of the research. General papers that are not part of a special issue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flow of a special issue. The early papers included in National Culture Studies focused on folklore centered on national studies and classical poetry to show that the flow of national spirit progressed and developed in a linear manner. However, since 2000, Chinese literature has shown significant progress as the problem of cultural heterogeneity due to language recognition no longer acts as an obstacle. The tendency to read the specificity of Korean literature under international universality has become stronger. Also, the increased interest in the periphery rather than the center can be explained in the same context. This is why the focus is on anonymous minorities rather than those in power. The same result is that women and culture are placed at the center of Korean literature, and research results that negotiate music and art are emphasized. After reviewing this, I also thought about the tasks of Korean literature research. Rather than raising a special task at a time when we are talking about the disappearance of Korean literature, it is more meaningful to translate Kim Chun-dong’s concerns from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the Middle Ages to the modern era into today's problems. Through this, three issues were raised. First, the purpose of literary research. Second, the need for interdisciplinary solidarity and collaboration. Third, there is the need for data sharing and organization. Through this, a central point for Korean literature research must be established and autonomy to demonstrate creativity in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collaboration is needed. He also suggested that sharing and organizing data is the basis of Korean literature research, and that exemplary examples can be found at Center for Overseas Resource on Korean Studies.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연구>의 인문학적 의미와 전망

        김흥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3 民族文化硏究 Vol.38 No.-

        우리의 과제는 시간-공간-주제의 다차원 구조를 가지는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Electronic Cultural Atlas)를 개발하고, 이를 응용하여 조선시대 문화에 관한 대규모의 입체적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는 문화 표현의 근본적인 조건을 좌표축으로 하는 입체적 구성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주제 축은 유형별 분류체계 속에서 문화의 내용을, 시간축은 그 문화가 생성, 변이, 소멸되는 역동적인 과정의 전체를, 공간축은 실제적인 존재의 영역들을 표시하여, 이 다면적 연관 속에서 문화 현상을 총제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재구성하려는 것이다. 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조선시대의 전자문화지도뿐만 아니라, 향후에 구축될 인문학 분야 전자 자원의 국제적 소통을 위한 자료 처리의 표준적 방법을 확립할 예정이다. 아울러 우리는 조선시대의 문화를 종합적이고도 연관된 틀로 체계화하려는 대규모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서 과제 참여자들이 지닌 전문 분야의 지식을 최대한 수합하고, 나아가 전공 영역을 넘어서서 조선시대 문화 전반을 투시할 수 있는 거시적 안목을 확보하고자 한다. 인접 전공과 소동하고 협력하는 과정에서 각자의 전문영역에 거점을 두면서도 거시적인 연관을 동시에 탐사하여 시간·공간·주제를 인식의 기본 틀로 삼는 새로운 방법론의 체계를 개척하고자 한다. 분야별 문화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이를 응용할 개별 연구의 성과를 집약하여 본 과제는 궁극적으로 조선시대 문화에 대한 인식의 기본구도와 통합적 이해 체계를 공동연구의 성과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이로써 조선시대의 문화 현상이 근거하고 있는 미시적인 지반에서 인접한 事象들과의 거시적 연관이, 시공간의 조건에 따른 동일성과 차이점 또는 지속과 변화라는 역동적인 측면들이 해명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조선 문화 전체의 특징적구조 내지 문화 패러다임을 파악하는 데 기여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Our project team’s main task is to develope the electronic cultural atlas of Chosun Korea which is constituted by multi-dimensional structure such as time-space-theme axises, and to apply this atlas to the cubical study of the Chosun Korea’s culture. The Electronic Cultural Atlas of Chosun Korea will be constructed to have cubical structure which is intended to place cultural features in the coordinate axis. Theme axis will treat cultural contents in typological classification system, Time axis will manage total culture process - formation, mutation, extinction, and the space axis will show the territory of actual features subsistence. By knowing cultural phenomena multi-dimensionally, We will reconstruct existing system to understand cultural phenomena totally. Performing this project, we will establish humanistic data processing standard which facilitat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nd construct the electronic cultural atlas of Chosun Korea. To construct large scale database which systemize the culture of Chosun Korea totally and consistently, we collect all the participating researcher’s knowledge. Furthermore, we intend to make each researcher get macroscopic perspective that can overview the whole feature of Chosun Korea’s culture. In doing this interdisciplinary research, our team researchers concentrate on their own major field and explore macroscopic connections, and finally develop new methodological System which adopt time-space-theme axises as a recognizing frame. By Constructing cultural database in each sphere, and integrating applied individual research output, our project team intends to present a basic planning of recognition and a synthesized understanding system as output of our joint research. I believe that our project team will make clear adjacent feature’s macroscopic connection in the microscopic basis which is the base of cultural phenomena in Chosun Korea, and elucidate dynamic features such as ‘identity and difference’ or ‘continuance and change’. Also I wish our project contribute to understanding unique structure or cultural paradigm of total Chosun culture.

      • KCI등재

        ‘국학’에서 ‘한국학’으로, 새로운 진로의 모색—『민족문화연구』 한국사(전근대) 연구의 회고—

        오치훈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10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lect on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pre-modern Korean history, focusing on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Korean Cultural Studies” (RIKS) from its inaugural issue to the 99th issue by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at Korea University. This is intended to commemorate the publication of the 100th issue of RIKS and, on the other hand, to review 60 years of research history leading up to 2024, anticipating the 60th anniversary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64. Quantitatively, the review results show a total of 186 articles in the field of pre-modern Korean history, with 17 of them being data releases. When classified by field, there are 5 articles on archaeology, 7 on art history, 10 on folklore, and in the field of Korean history, there are 22 articles on ancient history, 22 on the Goryeo period, 18 on the early Joseon period, 76 on the late Joseon period, and 7 on the somewhat ambiguous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ith 2 on the pre-modern period. Among the 147 articles in the field of pre-modern histor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era and topic, the most preferred topic by researchers is political history. In contrast, social history does not seem to be prominent, especially in the Goryeo period. Additionally, economic history is heavily biased towards the late Joseon period, except for one article on the Goryeo period, indicat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ields. Next, the review of content and topics identified several research trends. Firstly, before the year 2000, foundational research laying the groundwork for Korean studies and various papers by scholars from diverse disciplines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were published. Critiques of the heteronomy and notion of stagnated development of colonial historiography and expressions of pride in Korean culture were emphasized. Secondly, since the 1960s, the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that emerged while criticizing the heteronomy and notion of stagnated development of colonial historiography has been critically inherited. Thirdly, around the year 2000, there was a shift in direction from ‘國學’ (national studies) to ‘韓國學’ (Korean studies). In addition, 18 special features and 31 studies related to pre-modern Korean history were conducted, and 17 resources were introduced under the title “Introduction to Overseas Korean Studies Materials.” 본고는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하는 『민족문화연구』의 창간호부터 99호까지의 논문 가운데 한국사 전근대사 분야에 한정하여 연구성과를 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것은 『민족문화연구』의 100호 발간을 기념하고, 한편으로는 1964년에 창간된 이후 2024년을 앞두고 60년의 연구사를 검토하는 의미도 있다. 정량적으로 검토한 결과 전근대사 분야의 글은 총 186편에 이르며, 이 가운데 자료해제는 17편이 있다. 논문을 분야별로 나누어 보면 고고학 5편, 미술사 7편, 민속학 10편이 있고, 한국사 분야는 고대사 22편, 고려시대 22편, 조선전기 18편, 조선후기 76편과 시기 분류가 다소 애매한 조선시대 7편, 전근대 2편이 있다. 전근대사 분야 147편을 대상으로 각 시대별, 주제별 분류 결과에 의하면, 연구자들이 가장 선호한 주제는 정치사이다. 국제관계사와 사상사의 경우 고대부터 조선후기까지 시기를 불문하고 비교적 고르게 관심을 받고 있는 반면에 사회사는 고려시대의 경우 보이지 않는다. 또한 경제사는 고려시대 1편을 제외하면 조선후기에 편중되어 있어 분야별 차이가 심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 다음으로 내용과 주제를 검토한 결과 몇 가지 연구경향을 확인하였다. 첫째, 2000년 이전에는 한국학의 초석을 다지는 기초적인 연구, 전통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전공자들의 논고가 게재되었으며, 식민사학에 대한 비판과 한국 문화에 대한 자부심 표출이 강조되었다. 둘째, 1960년대 이후로 식민사관의 타율성과 정체성론을 비판하면서 등장한 내재적 발전론이 비판적으로 계승되었다. 셋째, 2000년을 전후로 ‘국학’에서 ‘한국학’으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졌다. 이밖에 전근대사 분야와 관련하여 18개의 특집, 31편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해외한국학자료 소개>라는 제목으로 17개의 자료 소개가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