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희정 한국자원식물학회 1999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2 No.2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a useful genetic information for yield characteristics of tillering maize hybrids. Fls were planted under three plant densities at the experimental field of Agricultural College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he fresh yield of P1213749//FR805/IK3, FR805/IK3//Waesungri and IK/LE/FR805/IK3 was 7,862kg/10a, 8,290kg/10a and 7,746kg/10a, respectively. The fresh yield of tillering maize hybrids was higher than that of P3394 hybrids. The dry matter yield of P3394 hybrid was 1,430kg/10a with low plant density(4,800p1an1s) and that of PI213749//FR805/IK3 was 1,834kg/10a, the dry weight of FR805/IK3//Waesungri was 1,836kg/10a and that of IK/LE/FR805/IK3 was 1,810kg/10a. Grain yields per 10a of IK/LE//FR805/IK3(783kg) was the highest in 4,800plants/10a, and that of check hybrid was higher than the tillering maize hybrids in 3,600plants/10a, but grain yield per 10a of IK/LE/FR805/IK3 was 752kg, and that of P1213749/Dangjin//IK/LE(699kg) was higher than P3394 hybrid(680kg) with 2,400plants/10a. 분얼형 옥수수인 4개 교잡종과 대조구인 P3394 교잡종과의 수량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초수량에 대하여 재식밀도별로 알아보면 4,800주/10a에서는 PI213749//FR805/IK3 교잡종이 7,862kg이고, FR805/IK3//Waesungri 교잡종이 8,290kg/10이며, IK/LE//FR805/IK3 교잡종이 7,746kg/10a로서 대조구인 P3394의 6,247kg/10a보다도 많았다. 2. 건물수량은 대조구인 P3394 교잡종이 4,800주/10a에서 1,430kg로 다른 분얼형 옥수수 교잡종인 PI213749//FR805/IK3은 1,834kg/10a FR805/IK3//Waesungri 교잡종이 1,836kg/10a, IK/LE//FR805/IK3 교잡종이 1,810kg/10a로 많았다. 3. 종실수량은 4,800주/10a에서 IK/LE//FR805/IK3 교잡종이 783kg로 대조구인 P3394의 776kg/10a 보다 많았으며, 3,600주/10a에서는 대조구에서 714kg/10a로 다른 분얼형 옥수수 교잡종보다 종실수량이 많았다. 그러나 2,400주/10a에서는 오히려 분얼형 옥수수 교잡종인 IK/LE//FR805/IK3 교잡종이 752kg/10a이고, PI213749/Dangjin//FR805/IK3 교잡종이 699kg/10a로서 대조구인 P3394의 680kg/10a 보다 높았다.
남부지방에서 논 재배 적응성과 수량성이 우수한 목초류 선발
지희정,김원호,이종경,최기준,서성,임영철,권오도,김종덕,오인규 한국작물학회 2008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8 No.10
최근 국제 곡물가격의 상승과 바이오에너지 사용증가로 수입되는 옥수수 및 수입 조사료의 가격 상승으로 양질의 조사료 확보를 위해서는 유휴지와 휴경지 뿐만아니라 논을 이용한 양질의 조사료를 연중생산 하기위한 사료작물의 재배와 이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바 본 연구에는 여러 초종의 목초류를 파종하여 논 재배에 알맞은 품종을 선발하고자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리드카나리그라스 등7품종 단파와 톨페스큐 혼파를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논 포장에 2007년 10월1일 파종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시험구당 6m2 로하고 파종방법은 산파하였고, 시비량은 화본과 목초는N-P2O5-K2O = 210 : 150 : 180 (kg/ha), 두과목초는 N-P2O5-K2O = 50 : 120 : 120 (kg/ha) 로 하였고 기타 비배관리는 표준재배법에 따랐다. 생육조사는 작물학적 특성인 간장, 착수고, 출사기, 병해, 충해 등을 조사하였고 수량은 구 전체를 예취하여 측정하였고 건물수량은 이들중에서 임의 샘플을 취하여 건조기에 70℃에서 2주일간 완전히 건조한 후 건물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남부지역 논재배에서 목초류 초종 선발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생초 수량이 87.1ton/ha 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톨페스큐가 70.7ton/ha이고 건물수량은 각각 23.9ton/ha , 16.2ton/ha 이고 두과류에서는 헤어리베치가 생초수량이 32.4ton/ha로 가장 많지만 건물수량은 9.3ton/ha에 불과하였고 특히 크림손클로버는 수량이 저조하지만 꽃이 붉은색이어서 경관을 조성할 목적으로 어메니티 측면의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톨페스큐 혼파초지에서는 건물수량이 13.5ton/ha이었고 예취 차수가 증가함에 따라 클로버가 점차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부지방에서 논 재배 적응성과 수량성이 우수한 수수류의 선발
지희정,김원호,이종경,최기준,서성,임영철,권오도,김종덕,오인규 한국작물학회 2008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8 No.10
최근 국민경제가 발전하면서 동물성 단백질의 수요증가로 국내 가축의 사육두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바이오에너지 사용증가와 국제 곡물가격의 상승으로 수입되는 옥수수 및 수입 조사료의 가격 상승으로 양질의 조사료 확보를 위해서는 논을 이용한 사료작물의 재배와 이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바 타작물에 비해 습해에 비교적 강하고 적응성과 수량성이 우수한 논 재배용 수수류 품종을 선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시재료는 도입 품종인 점보 등 6품종을 전라남도 농업기술원에 2007년 5월3일 파종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시험구당12m2 로하고 재식거리는 50cm 간격으로 6열을 파종하였고 시비량은 N-P2O5-K2O= 200 : 150 : 150 (kg/ha)로 하였고 기타 비배관리는 표준 재배법에 따랐다. 생육조사는 작물학적특성으로 초장,출수일,당도,내습성,병해,충해 등을 조사하였고 수량은4열중에 가운데2열을 예취하여 측정하였고 건물수량은 이들중에 3주 샘플을 취하여 건조기에70℃에서 2주일간 완전히 건조한 후 건물율과 사료가치를 분석하였다. 남부지역에서 수수류 유망품종으로는 Revolution, SX17 등으로 내습성이 비교적 강하고 건물수량이 31톤/ha, 25톤/ha 등이며 생육이 양호하며 소화율이 47 ~ 48% 이고 NDF는 각각 64.8%, 70.2% 등이고 ADF는 각각 40.2%, 43.2% 등으로 양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