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Intended Virtuality and Spontaneous Interactivity

        Jong Soo Kwon,Jin Wan Park 중앙대학교 영상콘텐츠융합연구소 2016 TechArt :Journal of Arts and Imaging Science Vol.3 No.2

        “The Feather Series” is a series of large-scale 3D lenticular works of Jong Soo Kwon. In Kwon’s work, he aimed for virtuality of Korean traditional spaces by expressing them using a 3D lenticular technology. One of the main goals of the 3D lenticular technology is to emphasize reality and the presence of objects, but Kwon applied this with a reverse twist. Moreover, when viewers see the lenticular image in a limited space, e.g., a white cube of galleries, the viewers can feel as if the painting follows their eyes, which creates a sense of interaction. Using a series of artworks using current technology, Kwon paradoxically argued that artists should pay closer attention to their own culture and tradition rather than focusing on the latest trends.

      • KCI등재후보

        경희대학교 수원캠퍼스 노천극장 주변 공원 기본계획

        김동찬,이윤수,권오원,민창기,김태현,박경모 경희대학교 디자인연구원 2004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7 No.1

        We, Kyung-hee University in Suwon has planned to build an open-air theater behind the building of natural science, and feel the need of creating places for cultural life and recreation. As the origin aim of this construction and landscape, university students can use this facilities and place for their daily relaxation and cultivation of emotion, and they also can utilize them for places of their meetings and events. Concerning the following completion of the UN Peace Park, our theater and the surrounding places will expectingly play important roles for the park because the open-air No-cheon theater is included in the full site of the UN Peace park. The focused elements of this basic plan are maintaining the basic plan of the UN Peace Park, forming the visually creative background, of the open-air theater cultural and recreational places, balancing and integrating human, nature, and the useful facilities.

      • KCI등재

        보호지역 경계조정을 위한 공간의사결정지원모델 연구 -지리산 국립공원을 사례로-

        성혜정 ( Hye Jung Sung ),권혁수 ( Hyuk Soo Kwon ),서창완 ( Chang Wan Seo ),박종화 ( Chong Hwa Park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11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SDSS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that can incorporate diverse opinions of stakeholders related the designation of protected areas (PA), and to employ the model for the readjustment of the boundary line of the Jirisan National Park of Korea. The SDSS would lead to more rational and less controversial decision-making during the expansion or removal of PA in Korea.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ly, to select evaluation criteria for SDSS for PA designation by using expert interview and literature survey. Secondly, to measure their preferences on the designation of additional PA or the removal of a part of PA based on the opinions of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local residents, environmental groups, or public officials. Thirdly, to produce conservation priority maps based on a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technique. The SDSS would be used to rational decision making for the expansion of PA or the release of a certain part of PA by reflecting diverse preferences on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economic interest of residents. The visualization of conservation priority maps would als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uch decision making processe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expansion of PA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includes vegetation conservation value, wildlife conservation value, and the habitats of key specie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removal of PA includes the proximity to roads and the boundary of PA, land use types, and conservation zoning of the PA. Preference weights are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the Jirisan National Park. Both the conservation priority and removal priority maps are based on land parcels so that property rights of all parcels would be correctly represented.

      • KCI등재후보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지역의 조류 현황

        강화연(Hwa-Yeon Kang),서슬기(Seul-Gi Seo),박세영(Se-Yeong Park),이지용(Ji-Yong Lee),권영수(Young-Soo Kwon) 국립공원연구원 2015 국립공원연구지 Vol.6 No.4

        서해안 육상지역을 통과하는 조류의 이동생태를 파악하기 위해, 2014년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지역의 조류상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관찰된 조류는 총 14목 30과 88종 23,230개체이며, 평균 조사일당 159.7개체가 관찰되었다. 전체 우점종은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 21.1%, 되새 Fringilla montifringilla 18.5%, 박새 Parus major 12.7%,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8.2%,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5.8% 순이었다. 이동시기인 5월과 10월에는 각각 56종, 조사일당 평균 310.5개체로 가장 많은 종과 개체수가 기록되었다. 종과 개체수가 가장 적은 시기는 여름철인 8월로, 기록된 종 수는 24종이며 조사일당 평균 95개체가 관찰되었다. 종풍부도(R ) 지수는 가장 많은 종이 관찰된 5월에 가장 높았으나, 종다양도(H )와 종균등도(E )는 오히려 이동시기에 낮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일부 상위 우점종의 개체수가 월등히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부, 문화재청, IUCN 등이 지정한 멸종위기 및 법정보호종은 총 9종이 관찰되었다. From July 2014 to Jun 2015, bird survey was conducted in Hakampo, Taeanhaean National Park. A total of 23,230 and 159.7 per day of birds representing 14 orders, 30 families, 88 species were observed. The most abundant species were the Black-tailed Gull Larus crassirostris (21.1%), the Brambling Fringilla montifringilla (18.5%), the Great Tit Parus major (12.7%), the Vinous-throated Parrotbill Paradoxornis webbianus (8.2%), Yellow-throated Bunting Emberiza elegans (5.8%).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 was the highest in May and October, respectively, as 56 species and 310.5 individual per day were recorded. According to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Cultural Herigage Adinistration of Korea and IUCN Red List, a total of 9 protected species were recorded during the survey.

      • 국립공원 내 철새중간기착지에서 철새 도래현황 비교 : 흑산도와 소매물도를 중심으로

        홍길표(Gil-Pyo Hong),빙기창(Gi-Chang Bing),조숙영(Sook-Young Cho),박세영(Se-Young Park),김양모,권영수(Young-Soo Kwon) 국립공원연구원 2013 국립공원연구지 Vol.4 No.1

        국립공원 내 주요 철새중간기착지의 철새이동 현황을 비교하기 위해 동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지역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흑산도와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소매물도 지역이며, 조사 기간은 2013년 4월 29일~5월 2일까지 4일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2개 지역에서 총 109종 2,537개체가 기록되었으며, 지역별로는 흑산도에서 96종 1,615개체, 소매물도에서 45종 922개체가 조사되었다. 흑산도에서는 제비 Hirundo rustica가 최우점종이었으며, 소매물도에서는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가 최우점종으로 조사되어, 지역별로 우점종의 구성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내에 위치한 철새중간기착지에서의 동시 조사는 본 조사가 처음이다. We performed simultaneous survey in order to compare the status of migratory birds at stopover sites in National Park. The study areas were Heuksan-do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nd Somaemul-do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from 29 April to 2 May in 2013. We observed total 109 species, 2,537 individual. In two regions, 96 species, 1,615 individuals were observed in Heuksan-do and 45 species, 922 individuals observed in Somaemul-do. The dominant species was the Barn Swollow Hirundo rustica in Heukan-do and the Black-tailed Gull Larus crassirostris in Somaemul-do. Domiant species differed between two regions. This study is the first time to monitor stopover sites simultaneously in Korea National Park.

      • SCOPUSKCI등재

        생분해성 폴리락타이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마이크캡슐의 제조와 방출거동에 대한 연구

        박수진,김승학,홍성권 한국화학공학회 2003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41 No.4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poly(L-lactide) (PLA)/poly(ethylene glycol) (PEG) 마이크로캡슐을 액중건조법으로 제조하고, PLA 마이크로캡슐에 PEG를 첨가함에 따른 분해거동, 크기분포 그리고 방출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PLA/PEG 공중합체는 PLA보다 친수성이 크게 나타났고, 낮은 유리전이 온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PLA/PEG 마이크로캡슐의 표면은 PLA 마이크로캡슐보다 부드럽지 못했고, 제조된 PLA와 PLA/PEG 마이크로캡슐의 평균크기는 40과 57 ㎛이었으며, 또한 구형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 image analyzer와 SEM을 통하여 관찰되었다. PLA/PEG 마이크로캡슐의 약물 방출거동은 UV/Vis. spectra를 통하여 살펴보았고, 방출 속도는 PEG의 첨가에 따라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친수성기의 증가와 PEG의 팽윤성으로 설명되어질 수 있다. In this work, biodegradable poly(L-lactide) (PLA)/poly(ethylene glycol) (PEG) microcapsules were prepared by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method. The effect of PEG segments on the degradation, size distribution, and release behavior of the microcapsules was studi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PLAPEG copolymers were more hydrophilic and exhibited low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compared to PLA homopolymer. The surface of PLAPEG microcapsules was not as smooth as that of PLA microcapsules. The mean diameters of the PLA and PLA/PEG microcapsules were 40 and 57 pm, respectively. The spherical forms were observed by image analyzer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Drug release from microcapsules was determined by UV/Vis spectra. It was found that the drug release rates of the microcapsul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dding of PEG, which could be attributed to the increase in their hydrophilicity and swelling characteristics.

      • Xanthomonas sp. EPS-1의 Exopolysaccharide생산을 위한 무기염류의 영향

        박석규,손봉수,이상원,서권일,김홍출 순천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5 基礎科學硏究誌 Vol.6 No.-

        For the production of high viscosity exopolysaccharide from Xanthomonas sp. EPS-1 which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soils, optimum concentration of inorganic salts were investigated : 0.2% KH_2PO_4, 0.05% MgSO_4·7H_2O, 0.3% NaCl, 0.005% CaCO_3, 0.007% FeSO_4·7H_2O, 0.005% MnSO_4·7H_2O. When EPS-1 strain was cultivated at 30℃ for 72 hours in a jar fermentor (impeller speed 300 rpm, aeration rate 3 vvm, 2 liter), polymer content, product rate and yield(Y_p/s) was 18.4g/ℓ, 0.26g/ℓ/h and 37%, respectively.

      • KCI등재

        습식방법에 의한 팽창흑연의 제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박수진,김기석,홍성권 한국화학공학회 2003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41 No.6

        본 연구에서는 습식방법에 의한 팽창흑연(EG)의 특성을 조사하였고, 오일 흡착실험을 통하여 EG의 유류 흡착제로서의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층간흑연(GICs)은 습식방법에 의하여 천연흑연의 층간에 삽입제를 삽입시켜 준비하였고, EG는 GICs를 600-900℃ 사이의 고온과 산소기류 하에서 1분간 열처리하여 제조하였다. 다양한 처리 온도에 대한 EG의 팽창 부피, 삽입제의 함량 그리고 층간거리는 메스실린더와 XR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오일 흡착실험을 위하여 n-dodecane을 사용하였다. 또한, 오일흡착 전과 후의 표면 형태는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처리 온도의 증가와 함께 EG의 팽창 부피와 삽입제의 함량은 증가하였고, 오일 흡착용량은 EG(1 g)에 대해 16-35 g의 오일을 흡착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결과, EG의 제조를 위한 습식방법은 오일의 새로운 흡착제로써 EG를 제조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관찰된다. In this work, the characteristics of expanded graphite (EG) are investigated for the possibility of useful application as oil-adsorbent of EG. The graphite intercalated compounds (GICs) are prepared by the wet process that leads to an intercalation of intercalant into natural graphites. The graphite intercalate is subjected to the heat treatment in furnace between 600℃ and 900℃ under oxidizing atmosphere for about 1 min. The expansion volume, volatile content, and interlayer distance of EG on different heating temperatures are measured by mass cylinder and X-ray diffraction (XRD). N-dodecane is used for oil adsorption, and morphology of EG before and after oil adsorption is observed by SEM. As a result, the expansion volume and volatile content of EG a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treatment temperature. The oil adsorption capacity is found to be 16-35g of n-dodecane per the 1g EG studied. It is then concluded that the wet process of EG is a useful technique for a new adsorbent of oil.

      • 숯첨가 사료투여가 넙치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권문경,이윤호,박상언,김봉석,박수일 한국어병학회 2002 한국어병학회지 Vol.15 No.1

        숯첨가 사료 투여가 넙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넙치에 숯 1%, 3%, 5% 첨가사료를 8주간 투여하면서 성장, 혈액성분, 비특이적면역능을 분석하였으며 어병세균인 Edwardsiella tarda 균의 공격 시험에 대한 방어능을 조사하였다. 숯 첨가 사료 투여는 넙치의 성장과 라이소자임 활성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지만, 5% 숯첨가구에서 혈액 중의 total protein과 cholesterol의 농도가 대조구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숯 3% 첨가구에서 두신 식세포의 활성 및 병원성 세균인 E. tarda에 대한 방어능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charcoal effects on the immune responses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ere studied. Fish were fed an experimental diet supplemented with 1%, 3% or 5% of charcoal to a commercial diet. Several factors such as weight gain, hematological parameters,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and resistance against Edwardsiella tarda were evaluated 4 and 8 weeks after the administraion. The changes of body weight and lysozyme activities were not signigicant among tested groups. But cholesterol and total protein concentration in the blood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5% supplemented group than in the control. The production of superoxide by macrophage from the head kidney, examined by NBT redu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3% charcoal supplemented groups than in the control. The survival rate after an artificial challenge with 1×10^exp(7) cells of E. tarda per fish was significantly the highest in the 3% charcoal supplemented group.

      • 유·초등학교 교과용도서 장애관련 내용 분석 : Focusing on the Views of Disability

        권택환,김수연,박은영,이유훈 국립특수교육원 2003 연구보고서 Vol.- No.2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성공적 실행은 특수교육뿐 만 아니라 교육 전반의 당면과제이자 목표이다. 장애학생이 일반학교에서 일반아동들과 물리적, 사회적, 그리고 교육과정적으로 통합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이 모든 학생에게 반응적이어야 하며, 궁극적으로 일반교육의 재구조화가 촉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일반교사와 아동들의 장애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의 개선은 필수 전제조건으로 지적되고 있다.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인식 개선은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겠으나, 학생들이 매일의 학교 수업에서 접하는 교과서에 장애관련 내용이 어떠한 수준과 내용으로 수록되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간과되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문제이다. 시대적으로 교과서의 역할과 기능은 변화되어 왔으나 학교 현장에서 교과서는 변함없이 교사와 학생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강조하는 현 교육정책 속에서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는 특히 일반학생들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하여 학년별, 교과별로 다양한 장애관련 내용을 담으려는 노력이 역력하므로 적합한 내용이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나, 아직까지 교과서에 수록된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한 연구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와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방법은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으로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 12권 과 초등학교 10개 교과(생활의 길잡이, 사회과 탐구, 실험 관찰 포함)의 교과서, 16개 시ㆍ도 우리들은 1학년 16권, 통합교과(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에서 장애와 관련된 내용(장애관련 용어, 삽화, 인물, 시설, 소계 등)을 학년별, 교과별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내 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공통주제어를 추출하였다. 먼저 2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내용을 읽으면서 관련 주제어를 기록하였다. 각자 주제어를 기록한 뒤 연구자 협의를 통해 공통으로 기록한 주제어를 추출하고, 다르게 기록한 주제어는 합의를 거쳐 최종 분석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주제어는 다음 6가지이다 (1)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 (2) 장애 체험 활동, (3) 장애인 묘사, (4) 직접적 정보 제공 및 접촉, (5) 개인의 차이 수용 및 인권 존중, (6) 장애 관련 인물.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와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관련 용어와 삽화, 그리고 6가지 주제로 분석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관련 용어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었으며, 그 중에는 몇 가지 수정되어야 할 용어도 있었다(예, 장애 인형, 장애 그림, 정상인, 지체부자유자). 이에 반해 초등학교 1학년 교과서에는 직접적인 장애를 지칭하는 용어는 제시되어 있지 않고, 2학년부터 장애인이라는 용어가 명시되어 있다. 체육교과의 '장애물'과 실험관찰의 '앉은뱅이 저울'과 같이 교과교육 전문가와 함께 장애 인식 개선을 위해 용어 수정을 협의해야 할 필요성도 지적되었다. 둘째, 장애관련 삽화는 지체부자유와 시각장애인이 가장 많이 묘사되어 있었으며, 이들을 도와주는 방식은 주로 휠체어 밀기, 가방 들어 주기였다. 장애아동이 또래들과 수업 및 다양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상호작용하는 모습의 삽화가 증가되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 수록된 장애인들은 주로 장애로 인해 불편한 '처지'에 놓인 것으로 묘사되었으며, 일반인들은 이들의 어려움을 이해하여 도움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 올바른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장애인의 불편함을 이해하기 위하여 제시된 주요한 방법은 장애체험 활동이었다. 그리고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의 확충을 사회복지 측면에서, 그러고 공정성의 확보 측면에서 장애인에게 제공되어야 할 중요한 지원의 하나인 것으로 명시되어 있었다. 장애를 직접적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개인의 외모, 국적, 능력, 성별에 따른 차이를 수용하고 존중해야 함을 담고 있는 내용도 제시되어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현재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와 제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는 장애관련 내용이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합교육이 확산되어 가는 현 시점에서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올바르지 않은 용어와 삽화, 그리고 지문의 내용은 교과서 개정 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제 초등학교 교실 안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에서 장애이해 교육이 보다 효과적이며, 적합한 내용과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세한 지도 방법이 '교사용 지도서' 에 안내되어야 할 것이다.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is an urgent task not only for special education but also education in general. As is often suggested, teachers' and students' positiv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crucial for this task. Particularly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the way the textbooks depict disabilities.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yet to be done about this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book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ies. We employ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as our research method. 12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indergarten, 10 different subject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the 16 first-grade textbooks of 16 cities and states (they have the same title, 'We are first-graders," but their contents differ), and the contents of subject-integrated texts concerning disabiliti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grades and subjects. We devise six frameworks of analysis and analysis indicators are as follows: (1) assistive technology and convinience facilities (2) the simulation of disabilities (3) the description of disabilities (4) providing direct information on disabilities and direct contact with disabilities (5) the accepta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 respect for human rights (6)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summary of our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ies appear most frequently in instructional materials of kindergarten, and there are some words that need to be changed (e.g. a normal person and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It is also pointed out that word change would be considered in consultation with specific textbook specialists to foster positive perceptions about disabilities (e.g. "hindrance" in the textbook of physical education and "a crippled scale" in the textbook of experiment and observation). Second, person with visual impairment and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y appear predominantly in the illustrations depicting disabilities, and the major activities to aid these children are wheelchair-pulling and backpack-carrying. To increase illustrations that portray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actively in classroom activities as well as various non-classroom activities interacting with their peer children is required. Third, in the textbooks people with disability are mainly depicted as being put in an uncomfortable "situation," and as those who need help from others. In addition, they suggest the simulative experience of disability as the major way to understand the uncomfortable situation of disability. They also propose that the expansion of assistive technology and convinience facilities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main support for disabilities. We can find in these textbooks that although they do not refer to disability directly, there are many contents that encourage the accepta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the difference of countenance, nationality, ability, and gender). In conclusion, we find out that current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indergarten and the elementary textbooks of 7th national curriculum contain a considerable amount of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y. We regard this as very encouraging. When the textbook is revised, our study will help to choose more proper words, illustrations, and contents. We suggest that more detailed guidelines for understanding disability which help teachers to teach appropriate contents in a more effective and perceptive way in the classroom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should b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