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당귀의 품질평가법에 관한 연구

        조창희,김수정,이남윤,우영아,김효진 동덕여자대학교 종합약학연구소 2001 동덕약학연구지 Vol.5 No.-

        Angelicae gigantis radix is the root of the perennial plant, which belongs to family Umbelliferae. However, this herbal drug has quite different chemical components according to its different geographical origin though other herbal drugs (i.e. Leonuri Herba, Xanthii Fructus and so on) show similar major constituents. In other word, the root of Angelica gigas containing the coumarin compounds is commonly used in Korea as Angelicae gigantis radix, while Angelica sinensis and Angelica acutiloba including phthalide compounds are used in China and Japan, respectively. In this paper, Near-Infrared spectroscopy was developed to determine Genus name of Angelica spp., especially Angelica gigas and Angelica sinensis which are generally misused in the herbal market. Also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was evalua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Angelica gigas and Angelica sinensis with their specific properties.

      • KCI등재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외과적 노출술을 이용한 치험례

        조윤정,박영옥,김태완,김현정,김영진,남순현 대한소아치과학회 200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4 No.2

        제1대구치는 저작과 혼합치열기 이후의 수직적 교합관계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악골의 성장발육에 관여한다. 제1대구치의 매복은 하안면 고경의 감소, 낭의 형성, 치관 주위염, 인접치의 치근 흡수, 부정 교합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치료방법으로는 주기적 관찰, 외과적 노출술, 교정적 견인, 외과적 재위치술, 발치 등이 있으며 이중 외과적 노출술이 가장 기본이 되는 술식이다. 외과적 노출술시에는 맹출로의 개방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개방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레진관의 접착, 산화 아연 유지놀 시멘트, 치주포대 등을 노출된 부위에 충전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에서 장애물의 제거와 외과적 노출술을 시행한 결과 자발적인 맹출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surgical pack과 투명상유지장치를 사용하여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맹출로의 개방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어패럴 CAD System의 활용화 방안 연구(Ⅰ) : Hip Block 의 개발

        남윤자,이형숙,조영아 한국의류학회 1993 한국의류학회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attern drafting methods of the hip block and sleeve for female college students of 18 to 26 year-old. The study procedures and results were as follows 1. 313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measured, 17items were analyzed statisitcally. 2. New hip block and sleeve sloper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data analysis and fitting tests. 3. The sensory test was applied to evaluate the new hip block and sleeve sloper for female college student by comparing it with Japanese Bunka method sloper. According to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 of 40items on the questionnaire, all the item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a∠=0.01) between the two, with the new pattern having higher scores. The new drafting method proved to be better fitted at all 40items, and to be comfortable.

      • KCI등재

        개정상법과 숨은 자기주식의 문제

        남윤경,양명조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4 法學論集 Vol.18 No.4

        2011년 4월 14일 개정되어 2012년 4월 15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현행상법은 자기주식의 취득에 관하여 구상법과는 다른 입법방식을 취함으로써, 자기주식과 관련하여 몇가지 논의가 필요하게 되었다. 자기주식의 취득에 관하여 자본충실의 원칙 내지 주주평등의 원칙에 위배되는 등의 폐해가 지적되어 오고 있으나, 회사로서는 경영목적 등을 위하여 경우에 따라 자기주식의 취득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현행상법상 규제들만으로는 위 폐해들을 모두 방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현행상법에서 “자기의 명의와 계산으로” 취득하는 경우를 자기주식이라 규정하고 있어, 타인명의와 회사의 계산으로 취득한 자기주식은 자기주식과 구별하여 다룰 것이냐가 논의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이 회사의 계산과 타인의 명의로 자기회사의 주식을 취득하는 사례가 더 이상 ‘상법상의’ 자기주식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아‘숨은 자기주식’이라는 개념을 제안한다. 상법에서 허용하지 않는 위법한 자기주식을 취득하였을 때 그 효력에 관하여 견해가 나뉘는바, 상대적 무효설이 타당하다. 이에 의하면 상대방이 선의일 경우 그 취득을 유효로 보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그렇게 취득한 자기주식에 관하여는 자익권, 공익권을 행사할 수 없다고 본다. 숨은 자기주식의 경우에도 자기주식과 마찬가지로 취득의 원칙적 무효, 자익권ㆍ공익권의 배제를 인정하기 위하여 ‘숨은’ 자기주식이라는 용어가 필요하고 적당하다. 숨은 자기주식을 취득한 경우의 효력에 관하여는 ①회사가 자유롭게 취득할 수 있는 것으로 보는 견해, ②제341조를 유추적용하자는 견해, 그리고 ③숨은 자기주식의 취득은 완전히 금지된다는 견해가 있을 수 있으나, 현행상법의 개정취지 등을 고려하면 전면 금지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숨은 자기주식을 판별하기 위한 기준으로 ‘회사의 계산’에 관하여, 구상법상 판례는 회사의 자금출연 외에, 주식취득에 따른 손익이 회사에 귀속되어야 한다는 요건을 요구하여 왔다. 이에 대하여는 자기주식 취득행위를 규제하게 된 원인이 회사자산의 감소에 따른 회사채권자 및 주주의 이익보호의 필요성에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회사가 자금만 출연하였다면 숨은 자기주식을 취득한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숨은 자기주식 취득으로 인정되면 주식취득 자체가 무효가 될 뿐만 아니라 자익권 및 공익권이 박탈되므로, 그 판단기준을 정함에 있어서는 구상법하에서의 판례의 입장과 같이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One of the major drastic changes in 2012 Revised Korean Commercial Code (hereinafter, ‘Commercial Code’) was abolishing the general prohibition of acquisition of their treasury stock by non-listed business corporations. Before the Code revision treasury stock can be acquired by such corporations where the Commercial Code permitted. e.g., in cases of mergers, shareholders’ excercise of appraisal rights, preparing for stock options. Even before the revision, the treasury stock acquisition was broadly allowed for listed corporations. Though the new provision allows acquiring its treasury stock with its net profits in the name of the corporation itself, still such acquisition via the name of the third person should be prohibited. The author calls the latter case, ‘covert’ or ‘hidden’ treasury stock. To find a covert treasury stock in the name of the third person, crucial is the financial resource used for the acquisition of the stock in question. Where the corporation financially support the funding of the acquisition by the third person, attribution of its dividend or profit margin would be the key factors to decide a hidden treasury stock. Even under the new Commercial Code, the hidden treasury stock should be prohibited and its acquisition will be rendered null and void. Further its shareholder should be deprived of every sort of shareholder’s rights about the covert treasury stock.

      • KCI등재

        레진모형 근관에서 Ni-Ti 파일로 근관성형 후 거타퍼챠콘의 근관내 삽입깊이에 대한 연구

        조현구,황윤찬,황인남,오원만 大韓齒科保存學會 2007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2 No.6

        본 연구는 레진모형 만곡근관에서 여러 가지 엔진구동형 Ni-Ti파일로 근관성형 후,같은 경사도를 가진 수종의 거타퍼챠콘을 적용시 근관 내 삽입 깊이에 대해 비교, 분석해보고자 시행하였다. 레진 모형근관으로 J자의 근관형태가 재현된 ENDO-TRAINING BLOCK 50개를 사용하여 각각 10개씩 1) ProFile .04 taper #25, 2) ProFile .06 taper #25, 3) ProTaper F2, 4) HEROShaper .04 taper #25, 5) HEROShaper .06 taper #25 파일로 최종 근관성형 하였다. 거타퍼챠콘은 META (META Biomed, Korea), Sure-Endo (SUREDENT, Korea) 그리고 DiaDent (DiaDent Group International Inc., Canada)의 .04 및 .06 경사도의 콘을 사용하였으며 선택된 거타퍼챠콘의 직경 및 경사도를 측정하였다. ProFile과 HEROShaper로 성형한 레진블록에는 사용된 Ni-Ti 파일의 경사도에 맞는 제조회사별 .04 및 .06 경사도의 거타퍼챠콘을 10개씩 근관에 적용하였으며, ProTaper로 성형한 레진블록에는 경사도와 무관하게 제조회사별 .04 및 .06 경사도의 거타퍼챠콘을 10개씩 적용하였다. 거타퍼챠콘을 근관 내 적용한 상태에서 스캐너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얻은 후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근첨에서 거타퍼챠콘 첨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고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HEROShaer를 이용하여 근관성형 한 경우 ProFile 및 ProTaper보다 거타퍼챠콘의 근관 내 적합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근관성형 시 .04 taper HEROShaper로 근관성형 후에는 META 거타퍼챠콘 및 Sure-Endo 거타퍼챠콘을, .06 taper HEROShaper로 근관성형 후에는 DiaDent 거타퍼챠콘을 마스터콘으로 사용시 근관 내 적합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근관성형 후 사용한 Ni-Ti 파일과 같은 경사도를 가진 거타퍼챠콘이 근관에 알맞게 위치되는 것은 아니며 근관충전 시 적절한 마스터콘의 선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sertion depth of several brands of master gutta percha cones after shaping by various Ni-Ti rotary files in simulated canals. Fifty resin simulated J-shape canals were instrumented with ProFile, ProTaper and HEROShaper. Simulated canals were prepared with ProFile .04 taper #25 (n = 10), .06 taper #25 (n = 10), ProTaper F2 (n = 10), HEROShaper .04 taper #25 (n = 10) and .06 taper #25 (n = 10). Size #25 gutta percha cones with a .04 & .06 taper from three different brands were used: DiaDent; META; Sure-endo. The gutta percha cones were selected and inserted into the prepared simulated canals. The distance from the apex of the prepared canal to the gutta percha cone tip was measured by image analysis program. Within limited data of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the simulated root canals were prepared with HEROShaper, gutta-percha cones were closely adapted to the root canal. 2. All brands of gutta percha cones fail to go to the prepared length in canal which was instrumented with ProFile, the cones extend beyond the prepared length in canal which was prepared with ProTaper. 3. In canal which was instrumented with HEROShaper .04 taper #25, Sure-endo .04 taper master gutta percha cone was well fitted (p < 0.05). 4. In canal which was instrumented with HEROShaper .06 taper #25, META .06 taper master gutta percha cone was well fitted (p ( 0.05). As a result, we concluded that the insertion depth of all brands of master gutta percha cone do not match the rotary instrument, even though it was prepared by crown-down technique, as recommended by the manufacturer. Therefore, the master cone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to match the depth of the prepared canal for adequate obturation.

      • KCI등재

        치질을 투과한 조사광에 의한 복합레진 중합시 치질의 두께, 광세기 및 조사 시간이 복합레진의 표면 경도에 미치는 영향

        조수경,김동준,황윤찬,오원만,황인남 大韓齒科保存學會 2005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0 No.2

        본 연구에서는 치질을 투과한 광에너지량을 측정하고 치질을 투과한 광에너지에 의한 광중합 복합레진의 중합 정도를 표면 경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광조사기로는 할로겐 광원을 사용하는 Optilux 501 (Demetron, USA)을 사용하였으며, 중합용 light guide는 840 mW/cm²의 광세기를 갖는 직경 12 mm의 light guide와 1100 nW/cm²의 광세기를 갖는 직경 7 mm의 Turbo light guide를 사용하였다. 광원을 투과시킬 치질은 건전한 상악 중절치의 순면에서부터 법랑질과 상아질을 포함하도록 0.7x0.7cm 의 크기로 두께 1.0 mm와 2.0 mm의 치아 절편을 준비하였다. 직경 5 mm, 두께 2 mm의 주형에 Al 색상의 광중합 복합레진(Charisma, Kulzer, Germany)을 충전하고 각 군에 주어진 조건에 따라 광중합하였다. 시편은 크게 치질의 두께에 따라 (대조군, 1 mm, 2 mm) 3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각 군은 다시 light guide의 종류와 광조사 시간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제작된 시편은 미세경도측정기를 이용해 광조사면의 비커스 경도를 측정한 결과, 2 mm 치질군과 대조군의 Turbo-light guide으로 40초 동안 중합한 시편이 가장 높은 표면 경도값을 보였으며, 2 mm 치질군에서 light guide의 종류에 상관없이 20초 동안 중합한 시편들이 가장 낮은 표면 경도값을 보였다 (p < 0.05). 이상의 결과는 1 mm 이하와 같은 얇은 치질을 투과하여 복합레진을 중합하는 경우 광세기와 광조사 시간을 증가시키면 중합 정도도 증가하나, 특정 두께 이상의 치질을 투과 시 광세기나 광조사 시간을 증가시키더라도 중합 정도의 증가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amount of light energy that was projected through the tooth material and analyzed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by measuring the surface hardness of composites. For polymerization, Optilux 501 (Demetron, USA) with two types of light guide was used: a 12 mm diameter light guide with 840 nW/cm² light intensity and a 7 mm diameter turbo light guide with 1100 nW/cm². Specimen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ickness of penetrating tooth (1 mm, 2 mm, 0 mm). Each group was further divided into four subgroups according to type of light guide and curing time (20 seconds, 40 seconds). Vickers' hardness was measured by using a microhardness tester. In 0 mm and 1 mm penetrating tooth group, which were polymerized by a turbo light guide for 40 seconds, showed the highest hardness values. The specimens from 2 mm penetrating tooth group, which were polymerized for 20 seconds, demonstrated the lowest hardness regardless of the types of light guides (p < 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hen projecting tooth material over a specified thickness, the increase of polymerization will be limited even if light intensity or curing time is increased.

      • KCI등재

        복합레진의 표면거칠기에 따른 투명도와 표면 색상의 차이에 관한 연구

        조규정,박수정,조현구,김동준,황윤찬,오원만,황인남 大韓齒科保存學會 2006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1 No.4

        본 연구는 복합레진의 표면 연마에 의한 표면 거칠기가 표면 색상과 투명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Charisma (Heraeus Kulzer GmbH, Domagen, Germany)의 B1과 A3, Esthet-X (DENTSPLY Caulk, Milford, USA)의 B1과 B3 레진으로 거칠기에 따른 표면 색상을 평가하기 위한 직경 8㎜, 두께 5㎜의 시편을 제작하고, Sof-Lex finishing & polishing system(3M, ESPE Dental Products. St. Paul USA)의 C, M, F, 및 SF 디스크로 시편의 한쪽 면을 연마하였으며, 연마 전 Mylar strip으로 압축된 면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거칠기에 따른 투명도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한 두께 1 ㎜의 시편을 Charisma의 A3로 제작하여, 한쪽 면을 600, 1000, 1500 및 2000번 사포로 연마하였다. 각 시편의 연마 전과 후, 연마면의 CIE L^(*)a^(*)b^(*)값과 1 ㎜ 시편의 백색과 흑색 배경판 상에서의 Y값을 spectrophotometer인 Spectrolino (GretagMacbech, Regensdorf, Switzerland)를 사용해 측정 분석하였으며, 각 시편의 연마 전과 후의 평균 표면 조드 (Ra)값을 Surface Roughness Tester SJ-301 (Mytutoyo, Tokyo, Japan)로 측정했다. L^(*)값은 재료와 색상에 상관없이 가장 거친 Sof-lex C 디스크로 연마한 군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p < 0.05). Esthet-X B3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Ra값이 감소함에 따라 L^(*)값도 낮아졌다. a^(*)값은 표면 거칠기에 따라 특정한 변화 양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b^(*)값은 Esthet-X B1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Sof-lex SF 디스크로 연마 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p < 0.05), Charisma B1과 Esthet-X B3군에서 Ra값과 비교적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Contrast ratio는 1000번과 1500번 사포로 연마한 군간을 제외한 모든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으며 (p < 0.05). 표면 거칠기가 감소함에 따라 contrast ratio도 감소하였다(R2 = 0.801). The objectives of this were to evaluate the effect of surface roughness on the surface color and translucency of the composite reins. Two composite resins (Esthet-X, Dentsply, Milford, USA and Charisma, Kulzer, Domagen, Germany)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surface color. Charisma was used to investigate the translucency. 40 disc samples (diameter: 8 ㎜, thickness: 5 ㎜) were made by each product to measure the surface color. Ploymerized each sample's one side was treated by Sof-Lex finishing and polishing system (Group C, M, F, SF). 40 disc samples (diameter: 6 ㎜, thickness: 1 ㎜) were prepared to measure the opacity. 1 ㎜ samples were ground one side with #600, #1000, #1500 and #2000 sandpapers. CIE L^(*)a^(*)b^(*) values of each 5 ㎜ thickness samples, and XYZ values of 1 ㎜ thickness samples on the white and black background were measured with spectrophotometer (Spectrolino, GretagMacbeth, Regensdorf, Switzerland). Mean surface roughness (Ra) of all samples before and after surface treatment was measured using the Surface Roughness Tester SJ-301 (Mytutoyo, Tokyo, Japan). Regardless of type and shade of the composite resin, L^(*) values measured in group C were higher than others (p < 0.05), and L^(*) value decreased as the Ra value decreased except B3 shade of Esthet-X.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 values among groups. In control group and SF, highest b^(*) values were measured (p < 0.05), except B1 shade of Esthet-X. Contrast ratio decreased as the Ra value decreased (p < 0.05). With the above results, difference of surface roughness has influence on surface color and translucency of dental composite resins. 〔J Kor Acad Cons Dent 31(4):312-322, 2006〕

      • KCI등재

        어패럴 CAD System의 활용화 방안 연구(Ⅱ) : 테일러드 쟈켓 설계 과정을 중심으로

        남윤자,이형숙,조영아 한국의류학회 1994 한국의류학회지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tilize of CAD System in pattern making process for women's apparel. The automation by the use of CAD System provides the higher accuracy and efficiency in pattern making process. AccuMark 300 System was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New size spec chart and grading pitch chart were developed based on the data analysis and fitting tests for female college students. 2. New jacket block was developed based on the torso length sloper. 3. Automatic grading of jacket block have been developed by creation and modification of grading rules of block pattern. 4. Pattern Design Systyem(P/D/S) were enabled to be constructed directly form a block pattern by modifications to existing styled pattern. 5. Original master pattern was generated by P/D/S menu option. 6. Production pattern added seam allowance, notchs was generated by P/D/S menu option. 7. Interative maker making process have enabled to save a wide range of time and space. 8. Measurement of garment by P/D/S measuring tools is to utilize in garment costing, quality control.

      • Thermocouple을 이용한 Buchanan Plugger 표면의 온도상승 분석

        조진숙,황윤찬,김선호,황인남,최보영,정영진,정우남,오원만 전남대학교 치의학연구소 2003 구강과학 Vol.15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actual temperature rise on the surface of Buchanan plugger by evaluating the temperature rise on the surface of it, the peak temperature of pluggers of various size using thermocouple. The heat carrier system 'System B Heatsource' (Model 1005, Analytic Technologies, USA) and the Buchanan pluggers of F, FM, M and ML sizes are used for this study. The temperature was set to 200 which Dr. Buchanan's "Continuous wave of condensation" technique recommended on digital display and the power level on it was set to 10. The touch mode was used. Five thermocouples were plac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each size of Buchanan's pluggers at 1 ㎜ increments from the tip to the 4 ㎜ length of shank. Each thermocouple was secured with cyanoacrylate adhesive and orthodontic resin block. The two wire leads of each thermocouple were connected to the appropriate channels of Data Logger. This wa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record input from the five thermocouples. The heat control spring was touched for 1, 2, 3, 4 and 5 seconds, and the temperature rise on the surface of the pluggers were measured at 1 sec intervals for more than 5 seconds with an accuracy of 0.01. Ten trials was determined for each plugger. The average of temperature rise and standard deviation was calculated for each size of plugger.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one-way ANOVA to determine their significance. The results as follows. 1. The position at which the temperature peaked was approximately at 1∼2㎜ far from the tip of Buchanan plugger (p<0.01). 2. The peak temperature was 215.25±2.28℃ in F plugger, 185.94±2.19℃ in FM plugger, 169.51±9.12℃ in M plugger, and 160.79±1.27℃ in ML plugger and the peak temperature was highest in F type and followed by, in descending order, FM type, M type. ML type showed the lowest peak temperature (p<0.01).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actual temperature on the surface of the pluggers does not correlate well with the temperature set on digital display. Heat concentrates around the tip. The larger plugger reveals lower temperature rise rela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